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전반기 한국의 해양주권 수호에 대한 연구 : 독도와 주변해역을 중심으로

        임호민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2 한국민족문화 Vol.45 No.-

        This paper is to study of the territorial dispute issu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early 1950s. Japan has claimed the territory For the Dokdo as unfair grounds and crap. Through this research, I will give the facts about the legitimacy of owning Dokdo in relation to the territory of South Korea. Japan claims Repetitive and progressively ownership of the dokdo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he reason for this is that Japan's claim get recognized thanks to sponsorship of the USA and England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And japan induced Diplomatic friction In order to cause a dispute in connection with the Dokdo ownership and marine boundaries. Historically, It is weak Japan's historical data related to the ownership of Dokdo. Shimane county notice would be illegal in 1905. Because it is a unilateral announcement of the militaristic Japan, at the same time, announce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rather than a national dimension. Also our government did not approve a Shimane county notice. Our government has responded legally. For example, our government has declared only the Syngman Rhee Line on January 18, 1952 by the MacArthur line was proclaimed 1945. San Francisco Peace Treaty signed April 1952. Syngman Rhee Line proclaimed for the purpose to ensure the marine sovereignty and peace. Although the Dokdo have been excluded in the peace treaty with Japan, USA and England are not included in the territory of Japan. Maritime sovereignty Declaration has not mentioned separately in San Francisco Peace Treaty. As a result, our government's independent marine sovereignty Declaration is reasonable. 해방직후부터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복적이며 점진적으로 주장하였던 까닭은 한국전쟁에 대한 전후처리 과정에서 미국과 영국 등 서방국들의 후원에 힘입어 그들의 주장을 관철시키고자 함이었다. 일본이 독도 소유권 및 해양경계선과 관련된 외교적 마찰을 유도한 것에 대해 우리 정부는 한국 어민을 보호하기 위해 경비대의 파견과 주둔, 표지석의 설치, 독도 전반에 대한 정밀 조사, 등대와 같은 영구 시설물의 설치, 그리고 일본 해양순시선을 비롯한 일본 선박이 출현할 경우 위협적 무력 사용과 같은 강경책으로 대응하였다. 한국의 일련의 조치들은 ‘인접해양에 대한 주권에 관한 선언(이하 ‘평화선’으로 표기함)’ 이후 대일강화조약 체결 때 한일간의 해양경계선 논의에 있어서 우선권을 확보하고자 함이었다. 역사적인 측면으로 보아도 1616년 근거 자료는 사료적 신빙성이 미약하며, 1905년 시마네현 고시 역시 합법적인 명분을 갖고 있지 않다. 이미 512년 신라가 우산국을 복속한 사실이 있으며, 1905년 고시 이전부터 독도는 울릉도 부속도서였으며, 또한 무주지가 아닌우리의 영토이다. 그리고 맥아더라인에서 평화선으로 이어지는 우리의 해양 주권은 독도 영유권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우리 정부가 맥아더라인 내에서 일본 어선을 나포한 것은 우리의 해양 주권을 사수하기 위한 조치였다. 대일평화조약에 독도가 배제되었다고 해서 미․영 양국이 인정한 것은 아니다. 평화선 역시 대일강화조약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으므로 우리 정부의 평화선은 자주권의 발동이었다. 또 1953~1954년 한․일 간 반복적인 영토표식의 설치와 철거는 양국 간 어업 및 독도 영유권 분쟁에 있어서 물리적 시도와 충돌로 전환하는 상징적 사건이었다. 이에 우리 정부의 강경 대응은 대내외적으로 독도가 한국땅임을 확고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

      • KCI등재

        표준 셀 라이브러리 P&R 포팅과 테스트 칩의 설계

        임호민,김남섭,김진상,조원경 한국항행학회 200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7 No.2

        본 논문에서는 최신의 미세공정인 0.18㎛ CMOS 공정을 이용한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설계하고, 이를 P&R(Placement and Routing) CAD 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포팅한다 제작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간단한 테스트칩을 제작하였으며 설계에 사용된 표준 셀 라이브러리는 0.18㎛ 아남반도체의 공정이다. 이러한 설계 및 제작과정을 통하여 최신의 미세공정을 이용하여 디지털 시스템의 자동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ign standard cell libraries using the 0.18um deep submircom CMOS process, and port them into a P&R (Placement and Routing) CAD tool. A simple test ship has been designed in order to verify the functionalities of the 0.18um standard cell libraries whose technical process was provided by Anam semiconductor. Through these experiments, we have found that the new 0.18um CMOS process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automatic digital system design.

      • KCI등재

        강원지역 공비토벌 연구 - 1948 ~ 6·25전쟁 직전까지 -

        임호민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5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ain the activities of guerrillas in the Gangwon Province from 1948 to June 25, 1950. Secondly, the ultimate reason and reason why the guerrillas tried to develop their activities in this area. Third, the process and achievements of fighting against guerrillas of South Korean soldiers and police. Since August 15, 1945,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had tried to make the entire Korean peninsula based on a socialist system, whereas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South Korea wanted to build a social and national system centered on a liberal democracy. North Korea has continued to engage in illegal warfare, such as a guerrilla war, in alliance with the Namrodang to achieve its communist revolution in southern part of the 38th Parallel. Activities of the Namrodang in Gangwon Province started in 1946. The North Korean People's Liberation Army was formed in July 1949 after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 Workers Party officially decided to merge. The aim of organizing the People's Liberation Army was to organize and operate more massive guerrilla warfare that had traditionally been carried out across South Korea. The period when the guerrillas activities were more active was after August and September 1948, when the independent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the South and North respectively. In November 1948, the North Korean guerrilla group expanded in solidarity with the existing Namrodang and South Korean soldiers and police collaborated to destroy the North Korean guerrillas. The historic meaning of the war being fought by South Korean soldiers and police in Gangwon Province is as follows; first, it resulted in blocking the movements of guerrillas and the supply of weapons to mountains linked to Odaesan, Taebeoksan, and Jirisan. Second, it weakened the solidarity of North Korean soldiers and North Korean guerrillas during the Korean War begun on June 25, 1950. 연구 목적은 첫째, 1948년부터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직전까지 강원도 지역에서 활약하였던 공비들의 실태, 둘째, 공비들이 활동을 전개하려 한 궁극적인 목적, 셋째, 공비들에 대한 군경의 토벌 과정과 성과들을 설명하는데 있다. 추가로 38선을 접하고 있던 강원도 지역의 실상이 한국전쟁 발발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1945년 8월 15일 이후 소련과 북한은 한반도 전체를 사회주의 체제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고, 반대로 미군정과 남한은 민주주의 중심의 사회 및 국가체제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북한은 사회주의 혁명을 달성하고자 남로당 세력과 연대하여 38선 이남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게릴라전과 같은 불법적인 투쟁을 전개하였다. 강원지역에서의 남로당 활동은 1946년부터 발생되었다. 북한의 인민유격대는 남?북 노동당이 공식적으로 합당을 결정한 후인 1949년 7월 조직되었다. 인민유격대가 조직된 것은 이전까지 남한 각지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던 ‘유격투쟁’을 조직적이며 좀 더 대규모로 운영하기 위한 것이었다. 공비들의 활동이 더 활발했던 시기는 단독정부가 수립된 1948년 8~9월 이후부터이다. 1948년 11월 강원지역에는 태백준령을 타고 넘어온 인민군유격대가 기존 남로당 조직과 연대하면서 세력을 확장하였고, 이에 대해 군경은 협력하여 무장공비들을 소탕·섬멸시켰다. 군경에 의한 강원도 지역 공비토벌의 성과가 내포하고 있는 전쟁사적 측면에서 의미는 첫째, 강원도 오대산뿐만 아니라 태백산, 경상북도 내륙 산간, 지리산 지역으로 연결되는 공비들의 이동 및 병력과 무기 공급을 차단시키데 기여하였다는 점, 둘째,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남침한 이후 북한군과 남한 내의 무장공비와의 연대 약화 현상이 발생되었다는 점 등이다.

      • KCI등재

        강원 영동지방 정미의진의 활동과 전황(戰況)

        임호민 육군군사연구소 2015 군사연구 Vol.- No.139

        Gangwon district is the core area of Hanmal-euibyeong,where outstanding righteous army,including Yu Inseok and Min Geungho,was turned out.The active nature of righteous army in Gangwon than any other places was because, first, Confucianists in the area had strong Cheoksa, anideology which expels wickedness. Second, as cooperating with large number of mountain hunters, Gangwon strengthened fighting power.Next,they took the advantage of mountainous areas to successfully carry out guerrilla warfare.And lastly,since the army had built armories, it could supply the gun powder on its own. On June1907, Gojong,then-king of the Joseon Dynasty, secretly dispatched a number of emissaries to The Second Hague Conventions, which resulted in accelerating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The Japanese Empire forced Gojong to abdicate the throne and to conclude Junmi7 Treaty, another unequal treaty. The empire ordered the Dynasty to dismiss the military, the last bastion in Joseon. In opposition, Jonmi-euibyeong broke out on a large scale. It lasted for 2 months in Yeongdong area of Gangwon. People from various classes, like the dismissed soldiers, intellectuals, and Confucianists, joined in this anti-Japanese struggle. As dismissed soldiers involved, the militant movement became nationwide and the fight strategy improved. Also they secured more weaponary and diversified army’s members. The Japanese Empire knew it would be impossible to take over Korea completely unless they took control of Gangwon,both the core zone and foundation of righteous army.Therefore, Japanese’s large-scale-suppression in Gangwon occurred.Since this righteous army was a major setback for establishing colonial rule in Korea, it was necessary to repress the army above all things. This was Namhan Dae TobeolJakjeon, a military operation over Korean. Namhan Dae TobeolJakjeon, which started on September 1909,was an operation to completely get rid of righteous army located in suburbs. According to reports by Hankook Jucha gun, Japanese had stationed their garrisonsin Wonsan,Gangneung for Donghaean, Yeongseo for Wonju, Chuncheon, and other places,having them to fight against Korean army, which proves that they had prepared the military action far before it was publicly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army leaders and soldiers responded with massive troops organized with small military units. As Japanese suppression got into their stride,the righteous army shifted their strategies,for example,to attack Japanese guards or police out-stations. Keywords: Gangwon, Hanmal-euibyeong,Min Geungho,Jonmi-euibyeong, Namhan DaeTobeolJakjeo 강원도는 의병운동 진원지로서 유인석·민긍호 등과 같은 쟁쟁한 의병장을 배출하였다.이곳 의병활동이 다른 어떤 고장보다 활발하게 전개된 이유는,첫째,강원도 유림들이 지니고 있었던 척사이념이 남달리 철저했다는 사실,둘째지역적인 특성과 맞물려 산포수가 많아 전투역량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셋째 산악지대를 이용한 유격전으로 무기 등 열세적인 조건을 극복한 점,마지막으로 활동지역에 직접 무기제조장을 설치하여 병기를 자체적으로 생산·공급할수 있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1907년 8월 초 강원 영동지방의 정미의병은 1907년 6월 헤이그 제2회 만국평화회의 밀사사건을 계기로 일제가 한국식민지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방편으로같은 해 7월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정미7조약이 맺게 하였고,결국 한국의마지막 보루인 군대 해산령까지 내려지게 되자,해산군인과 지식인,유학자 등다수의 인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항일투쟁으로 해산 군인이 참여함으로써의병운동이 전국화가 되었고,의병전술이 향상되거나 무기가 확충되고 의병구성원도 다양화되었다. 이에 일본은 이와 같은 의병의 진원지이자 세력기반인 강원도 지방에서의의진을 소탕하지 않고서는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이른바‘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을 수립하여 대대적인 토벌작전을 전개하기에 이르렀다.1907년 8월부터 작성된 한국주차군 보고서에 따르면,강원도 지역의 경우, 원산을 거점으로 동해안은 강릉,영서지방은 원주,춘천 등지에 일본군 수비대를주둔시켜 해당 지역 의병 토벌을 주도하도록 하였다.이는 1908년 6월 15일~7월10일 사이에 펼쳐졌던 ‘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보다 앞서 일제는 영동지방 의병에 대한 대대적인 토벌을 단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의병장들과 참여의병들은 정미의병 초기에는 대규모 병력과 부대단위로 조직화된 의병투쟁을 전개하였으나 일본군에 의한 토벌이 본격화되면서 특히 강원도 경우 일본군 수비대 및 경찰분견소를 기습하는 형태로 투쟁형태가 변화되었다. 주제어 : 정미의병, 영동지방, 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 강릉, 해산군인

      • KCI등재후보

        향촌사회의 혁신세력 형성과정과 사회사적 의미- 조선후기 강원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

        임호민 강원사학회 2018 江原史學 Vol.0 No.31

        This paper is a study of conflicts between the old and the innovative forces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solving regional problems that emerged in the Hyangchon society of Gangneung, Gangwon Provinc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s tried to explain the historical meaning of social history. Innovation forces in hyangchon society after the 18th century do not represent only one side of the old or the new. Because both the old and the old tried to improve the old customs and the wrong management of the Hyangchon society. It is hard to see only the new direction as an innovative force. Thus, the innovation forces are those who wanted to improve the contradictions and negatives of the hyangchon society. Hanam Jae Shibi(是非), Hamhun Sau Build Shibi, Obong Seowon Uam Chubae Shibi, Dodongsa Build Shibi that occurred in Gangneung since the 18th century are understood to be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hyangchon society while accommodating social changes at the time. Furthermore, it served as a regenerative force that provided new vitality to the hyangchon society. This conflict has resulted in various chang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Gangneung Hyanggyo. The reformers were appointed to the Hyanggyo Hyangim(鄕任) and Sukjeonjee(釋奠祭) jekwan(祭官) And they allowed new people to farm the land. Shinguyoo tonghaeng jeolmok(新舊儒通行節目) and Hyanggyo jeondap ijeong jeolmok(鄕校田畓釐整節目) of the ac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hronic harm in the hyangchon society. jeolmok(節目) of the act was a relaxation of local governance in the country, which means the collapse of the hyangchon governance structure led by the residents of the land. 본 논문은 18~19세기 강원 강릉 향촌사회에서 발생된 대립과 갈등이 어떻게 해결되었고, 사회사적 측면에서 향촌사회가 어떤 양상으로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기위해 작성된 것이다. 18세기 이후 향촌사회의 혁신세력이란 구향, 신향 어느 한 쪽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구향과 신향 모두 구습과 잘못된 향촌사회 운영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신향만을 혁신세력으로 보기도 어렵다. 구향이든 신향이든 향촌사회 운영과정에서발생된 모순이나 부정적 현상들을 개선·개혁하고자 했던 사람 또는 세력을 혁신세력으로 보아야 한다. 18세기 이후 강릉에서 발생된 하남재시비, 함헌 별묘중건에 따른 이견, 오봉서원우암추배시비, 도동사 건립에 따른 이견 등은 당시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면서 향촌사회를 재조직화하는 과정으로 이해되며, 더 나아가서는 향촌사회의 새로운 활력을 넣어주는 재생력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갈등이 진행되면서 강릉향교 운영과관련하여 여러 변화들이 나타났다. 신향들에 대한 향임 차정, 향교 석전제 제관차정 시 신향들에게 제관 참여 허용, 향교 위토에 대한 관리와 운영에 있어서도기득권을 배제하고 새로운 향촌 사람들에게 위토를 경작할 수 있도록 한 조치등은 갈등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들이라 할 수 있다. 「신구유통행절목」 이후 「향교전답이정절목」이 시행된 점은 향교를 중심으로 한 재지사족들의 고질적인 폐습이개선되었으나 결과적으로는 관의 지방통치의 이완 현상이며, 재지사족 주도의 향촌지배구조의 분열을 의미한다. 19세기 강릉지역 향촌사회에 나타난 또 다른 변화 양상은 지역에 보편화된 당색, 즉 서인 노론계열과 관계없는 인물을 중심으로 사우 건립이 추진되고 있었다는점이다. 국가적으로 사우 남설에 따른 폐해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 또는 문중 중심의사우 건립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조치 속에서 강릉지방 재지사족들 특히 신향들이중심이 되어 사우 건립으로 추진하였고, 이 과정에서 향교와 협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우의 위치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러 이들이추진한 사우가 공론화 과정을 통해 건립되고 또한 제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19세기 후반 강릉지역 향촌사회에 있어서 향촌지배력의 와해 또는 분화를 의미하며, 또 향촌사회 운영 공동체가 문중을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향촌사회가 재편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강원 지역사 연구 성과 분석과 提言

        임호민,김남현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9 중앙사론 Vol.0 No.49

        Until now, the study of Gangwon area history was generally focused on studying the specificity of the area. The field of research has been concentrated in specific field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research human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lukewarm research subjects. In recent years, it is difficult to expect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crease in regional research results, as the successive generations of scholars are not cultivated smoothly. The study of Gangwon area history research should basically start from the viewpoint of publicizing and recognizing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area. Local history research is not exclusive to those who live in the area or who serve in local universities. In the 1990s, the results of Gangwon area history research have been widely published with the expansion of professional researchers. In addition, local universities, cultural institutes, and cultural organizations jointly held regular academic seminars and continued to publish research results. Therefore, Gangwon area history researchers need to analyze various causal factors in the area and expand the construction more widely, get out of the way of studying local history with limited research units. In order to overcome this phenomenon, Gangwon area history research should be pursued in the following direction. First, research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need to make efforts to ensure that the conferences are held continuously. Second,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have a firm perception that regional research is important. And it must be practiced faithfully. Third, local universities and municipalities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building a system to share local research results. The shared research results should be used as a resource for local history education.

      • KCI등재후보

        근·현대 강릉 중심부 공간 활용 추이와 그 요인

        임호민 강원사학회 2017 江原史學 Vol.0 No.29

        The first, contents of this study are status survey about the cultural heritages dead or existing in Gangneung Central Division in modern times. The Second, writen want to know on the process and actual condition of the Jijeong-myeon, district rearrangement and urban planning at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Third, I want to look at the changes of public institutions like hospital and school, etc. on the fringe of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 in the central part of Gangneung. This thesis want to seek search the causality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utilization and change form through examination and review about the deconstruction causes of traditional government buildings, construction form of new public building, trend of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central part of Gangneung in modern times. Pre-democratic period, the government district of Gangneung was performed to the central function of administrative services Since it was intensively deployed to the administration and public agencies.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dismantled since the 1930s, the traditional office districts has continued uninterrupted to the function of the city. However, traditional office buildings have gradually collapsed due to urban planning, urban population growth, and road development. In 1955, Gangneung County was raised in Gangneung City, where it was virtually demolished when the new Gangneung City Hall was renovated. However, the inner city of Gangneung is still performing important functions. The reason is that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play a key role. 본 연구는 첫째, 근대 이전 강릉 중심부에 설치되었던 문화유산 중 소실되었거나 현존하는 것들에 대한 현황 조사와 정리를 하는 것이다. 둘째, 일제강점기 추진되었던 지정면, 시구개정 그리고 도시계획에 있어서 강릉에서의 추진과정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셋째, 강릉 중심부에 있었던 행정기관 주변부에 있었던 병원, 학교 등과 같은 공공기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사와 검토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전통 관아 건축의 해체 배경, 신규 공공건물의 신축 과정 등에 따른 강릉 중심부의 공간 구성의 추이, 그리고 근·현대 강릉 중심부의 공간 활용과 변화 양상에 대한 특성과 인과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전근대 시기 강릉의 읍치지역은 행정 서비스의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근·현대에도 행정 및 공공기관이 집중적으로 배치되면서 행정, 교육, 치안, 사법, 금융 등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관아들이 193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해체되었음에도 도심의 기능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으나 도심 지역의 인구 증가와 교통 통신의 발달로 인한 도로의 개설 등과 같은 도시계획이 구체화되면서 그나마 유지되던 전통적인 관아 건축물들은 서서히 해체되었다. 1955년 강릉군이 강릉시로 승격되면서 새로운 강릉시 청사를 신축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대부분 해체되었다. 현재 강릉의 도심지 기능이 시 전역으로 분산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강릉은 전근대 시기 읍치의 중심지였던 중심부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대체로 행정 기능은 분산되었지만, 금융, 상업, 의료 등과 같은 지역민들의 삶과 본 연구는 첫째, 근대 이전 강릉 중심부에 설치되었던 문화유산 중 소실되었거나 현존하는 것들에 대한 현황 조사와 정리를 하는 것이다. 둘째, 일제강점기 추진되었던 지정면, 시구개정 그리고 도시계획에 있어서 강릉에서의 추진과정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셋째, 강릉 중심부에 있었던 행정기관 주변부에 있었던 병원, 학교 등과 같은 공공기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사와 검토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전통 관아 건축의 해체 배경, 신규 공공건물의 신축 과정 등에 따른 강릉 중심부의 공간 구성의 추이, 그리고 근·현대 강릉 중심부의 공간 활용과 변화 양상에 대한 특성과 인과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전근대 시기 강릉의 읍치지역은 행정 서비스의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근·현대에도 행정 및 공공기관이 집중적으로 배치되면서 행정, 교육, 치안, 사법, 금융 등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관아들이 193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해체되었음에도 도심의 기능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으나 도심 지역의 인구 증가와 교통 통신의 발달로 인한 도로의 개설 등과 같은 도시계획이 구체화되면서 그나마 유지되던 전통적인 관아 건축물들은 서서히 해체되었다. 1955년 강릉군이 강릉시로 승격되면서 새로운 강릉시 청사를 신축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대부분 해체되었다. 현재 강릉의 도심지 기능이 시 전역으로 분산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강릉은 전근대 시기 읍치의 중심지였던 중심부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대체로 행정 기능은 분산되었지만, 금융, 상업, 의료 등과 같은 지역민들의 삶과 본 연구는 첫째, 근대 이전 강릉 중심부에 설치되었던 문화유산 중 소실되었거나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