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한국선시(韓國禪詩)의 발달사(發達史)

        김미선 ( Mi Seon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3 No.-

        中國에서 禪宗이 성립된 이후 독자적인 많은 문헌을 갖게 되면서부터 문학이 활짝 꽃 피웠으며, 이러한 禪 文學의 가장 중요한 분야는 禪詩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불교의 禪이 印度에서 發源하였듯이 禪詩의 연원도 인도에서 비롯되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그의 진정한 발전은 역시 중국에 와서 이루어졌음 또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中國의 선시를 受容한 한국 禪詩의 淵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禪 文學의 意味·槪念·範圍·方法論·歷史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피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중 본고에서는 禪詩의 槪念 및 韓國의 禪詩의 발달 경로에 대해 고찰하였다. 禪詩의 槪念을 통해 禪과 詩의 그 相關性을 밝혔다. 詩의 相關關係로 禪의 槪念이 文字를 떠나[不立文字] 오직 마음과 마음에 의한 전수방법[以心傳心]에서 나온 것이라면, 人間과 自我와 그 觀照에 있어서 경이의 세계를 詩的인 靈感을 통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로 禪詩이므로 相好發生論的으로 相關關係가 있음을 선시 개념에서 알 수 있었다. 또한 韓國 禪詩가 中國 禪詩를 어떻게 受容하여 發展되어 졌는가를 禪詩 發達史的 側面에서 考察하였다. 禪詩은 바로 中國的인 文化와 歷史的 背景을 바탕으로 하여 일어난 매우 뛰어난 文學思想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국의 禪詩가 中唐·晩唐에 접어들어 크게 성함을 보였고, 韓國 高麗때 慧諶이 본격적으로 受容하여 朝鮮 後期 마지막 인물로 艸衣 意恂이 등장하여 韓國 禪詩의 脈을 잇고 있음을 밝혀 냈다. 本考의 남는 과제로는 이러한 禪詩史의 産物인 高格한 禪詩作品의 世界를 後考의 課題로 期約한다. After the establishment of Zen Buddism in China, many unique literatures were generated and literature was widely flourished. The most important field of such Zen Literate is Zen Poery. just as the Zen of Buddhism was originated in India, it is certain that origin of Zen Poetry was derived from india. However, we should acknowledge that the real development of Zen Poetry was made in China.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korea Zen Poetry, accepting the Zen Poetry of China, we ne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concept, scope, methodology and history of Zen Literature in various field. Among them,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concept of Zen Poetry and the development channel of Korea Zen Poetry. As mentioned above, the issue of the subject in korean Zen poetry was clarified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and the history of developing Zen poetry was explained. we also searched that how Zen poetry has been developed in korea by accepting the chinese Zen poetry. The discussion of developing korean Zen poetry was done with the historical point. The Zen poetry could be said that it is very excellent conception in the literature occurred by chinese culture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Zen poetry had been expended during mid and late Dang kingdom in china. The chinese Zen poetry was accepted to korea by the buddhist priest Haesim in Koryo period of the old korea . It is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the korean poetry by the buddhist priest Choeui in Chosun period of the old korea. The realm of the nobel Zen poetry will also be studied in the future.

      • KCI등재

        만당(晩唐) 선시(禪詩)의 경향성 고찰

        임원빈 ( Yim Won Bi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2 No.-

        선시(禪詩)의 창작은 불교가 전래된 이후 승려들이 자신의 불교적인 깨달음 및 불교교리와 불교경전에 대한 깨달음을 시가로써 표현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당대(唐代)에 이르러 시가의 발전과 불교의 흥성으로 시(詩)와 선(禪)은 점차 융합되면서 선시 역시 발전하게 된다. 만당(晩唐)의 선시는 크게 불교색채가 농후하면서 선도(禪道)의 묘오(妙悟)를 체득한 선시와 불교적인 요소가 거의 드러나지 않으면서 시도(詩道)의 묘오(妙悟)가 체현된 선시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만당 시인들은 불교색채가 농후한 선시를 창작했다. 그러나 이들은 불교를 종교로써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로 받아들였기에, 이들의 선시는 불교적인 깊이가 깊지 않았다. 둘째, 불교적인 요소가 거의 드러나지 않는 선시들은 바로 선리(禪理)를 중시하지만 선어(禪語)를 중시하지 않는 선시이다. 이러한 선시들은 청일(淸逸)하고 담박(澹泊)하며 한가하면서도 그윽한 경계를 만들어 내고 있기에, 시적인 오묘한 경지를 잘 표현하고 있는 수준 높은 시가창작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이들이 비록 불교색채가 농후한 선시 및 그윽한 경계를 가진 선시를 창작했지만, 이들이 창작한 선시들의 내면에는 이들의 심리적 고통과 쓸쓸하고 우울한 심정이 담겨 있다. 즉, 이들이 불교에 가까이 가게 된 것은 사실상 순수한 관심과 귀의의 심리가 있었기 보다는 불교를 통해 자신들의 심리적 고통을 벗어나고자 했던 경향성이 강했다고 할 수 있다. The Zen poetry begins with the monks expressing their Buddhist enlightenment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ist scriptures and Buddhist doctrine through the poetry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By the time of the Tang Dynasty, the poetry and the Zen gradually fus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poetry and the excitement of Buddhism. So the Zen poetry also develops. The Zen poetry of the Late Tang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e Zen poetry that the Buddhist color is enriched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adoration of the Zen sect is acquired. The other is Zen poetry that embodies the enlightenment of the poetry without revealing the Buddhist elements. First of all, the poets of the Late Tang Dynasty created a rich poetry of Buddhism. However, they did not accept Buddhism as a religion, but accepted it as a social culture. Their Zen poetry was not deep in Buddhist depth. Second, the Zen poetry that embodies the enlightenment of the poetry without revealing the Buddhist elements is an expression that emphasizes the merit of the Zen sect but does not emphasize the terms of the Zen sect. These Zen poetries are creating a boundary that is fresh and refined and leisurel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high-quality poetry that expresses the poetic world well. Thirdly, although they created a rich and clear boundlessness of Buddhist color, but they express their psychic distress and lonely and depressed feelings on the inside of their Zen poetries.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y came close to Buddhism was actually a tendency to deviate from their psychological suffering through Buddhism rather than pure interest and

      • KCI등재

        『백운화상어록』의 선시 제시 국면과 선시에 나타난 대상 인식

        전재강 ( Jeon Jae-g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9 어문론총 Vol.81 No.-

        고려말 삼사의 한 사람인 백운 경한은 「직지」를 편찬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고려말 선사로서 그 본분에 충실하면서 살아간 삶의 과정을 그리 많지 않은 선시로 표현하고 있다. 그에 대한 지금까지의 관심은 인물, 사상, 사승관계, 「직지」등에 집중되어 있고 그의 문학적 업적이 갖는 비중에 비하여 문학 연구는 개괄적 수준에서 이제 시작되는 단계에 와 있다. 그래서 『백운화상어록』에 실린 경전이나 다른 인물의 선시를 비롯하여 대부분 스스로 지은 선시를 전체적으로 두 가지 방향에서 논의하였다. 하나는 그가 선시를 어떤 국면에서 제시했으며, 다른 하나는 그렇게 제시한 선시에서 중요한 시적 대상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보이는가를 논의하였다. 먼저 제시 국면에서 그는 수행, 교시, 일상이라는 크게 세 가지 현장의 역동적 국면에서 선시를 제시하였다. 수행 국면에서는 스승에게 질문하거나 자신의 간절한 마음, 생생한 깨달음을 드러낼 때 경전 게송이나 자작 선시를 제시하였고, 교시 국면에서는 설법 과정에 핵심 가르침을 드러내거나 정서적 공감을 높이기 위하여 전체 설법을 선시로 제시하였고, 일상 국면에서는 만남과 이별, 작품의 수창, 불교 의식에의 참여 등 국면에서 선시 작품을 제시하였다. 다음 선시에 나타난 인식의 중요 대상은 수행과 교시, 진리, 현실 등 네 가지로 나타났는데 전체적으로 개방적 성격을 보였다. 선 수행에서 하나만 고집하지 않고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를 모두 인정하고 교시에서 전하고 전하지 못한다는 두 입장을 모두 인정하여 개방적이었고, 진리에 대해서는 개념적 인식과 상징적 인식을 동시에 보여주어 인식이 자유로웠고, 현실에 관해서는 출가 목적인 깨달음과 일체 존재, 생사 문제를 중대한 현실로 받아들이고 출가의 목적은 생사를 해탈하는 깨달음이며 일체는 무아이고 공이며, 생사는 허망하면서도 일체가 고향이라고 하여 선적 인식을 동시에 보여 주어 인식의 개방성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그의 선시에 대한 집중적 연구와 그의 어록이 가지는 특징을 당대 다른 선사의 경우나 비슷한 시기 유교 선비들의 그것과 대비하여 그 문학을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 고루 조명할 일이 남아 있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presenting context and his awareness on object in Seon poetry in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This is consisted of two themes: The context of presenting Seon poetry and his awareness in Seon poetry in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Firstly, in the context of presenting Seon poetry in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hree sets of context: The context of practicing Dharma, The context of teaching Dharma, The context of daily life. Secondly, about his awareness on object in Seon poetry in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hree sets of awareness in his Seon poetry(禪詩). In first set, that is, practicing Dharma and teaching Dharma, he expressed two kinds of awareness about them each: Sudden enlightenment-sudden practicing Dharma and sudden enlightenment-gradual practicing Dharma, The impossibility of teaching Dharma and the possibility of teaching Dharma. In second set, that is, The Buddhist truth, he expressed two kinds of awareness about it, that is, conceptual awareness and symbolic awareness. In the third set, that is, reality, he thought that the main elements of reality consist of enlightenment, all-being, life and death. Although I researched for the presenting context and his awareness in Seon poetry in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can be the other things to study. I will continue studying the other kinds of theme being related with this contents soon.

      • KCI등재

        趙州 「十二時歌」의 禪詩學的 특성 연구

        박규리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8 No.-

        Chao-chou’s “Shih-erh-shih-ko”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studies of Zen poetics, for it discloses the relation of his Zen enlightenment and poetic diction. As of the Zen spiritual background of the poem, ‘p’ing-ch’ang-hsin shih tao’ (平常心是道) and ‘wu-chuo’(無着) are prominent. And the reality of pu-erh (不二) and the truthfulness to wu-chuo are identified as its Zen poetic characteristics. The poem shows that his life embodied ‘chen-k’ung miao-yu’ (眞空妙有) and ‘chung-tao pu-erh’ (中道不二),demonstrating the omnipresence of truth, even in the most trivial everyday activities. What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a Zen poem is not its subject matter or style but the enlightened spiritual horizon it unfolds. Zen poetry discloses the spiritual dimension where the dualistic preconceptions and frameworks of our mind are dissolved. That is why many Zen poems are full of rhetorics of strangeness and disruption designed for that purpose. “Shih-erh-shih-ko,” however, deconstructs our preconception that Zen poetic diction is strange and disruptive. Chao-chou used ordinary vocabulary and expressed his emotions straightforwardly in the poem, making it achieve poetic reality of Zen style. This urges us to reconsider our concept of Zen poetry. What makes Zen poetry distinguished from poetry in general is not its form but its basis of complete enlightenment to the Dharma, that is,the truth of impermanence, emptiness and non-duality. Chao-chou’s “Shih-erh-shih-ko” thus makes us articulate our concept of Zen poetry all over again. 「십이시가」는 조주의 깨달음과 선어 사이의 禪詩學的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데 뿐 아니라, 당시 조주원에서 선사의 삶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유추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십이시가」에서의 조주선의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 선시학적 특성을 찾아보았다. 「십이시가」의 선사상적 배경으로는 ‘平常心是道’와 ‘無着’에 주목하고,이를 바탕으로 不二의 리얼리티와 無着의 진정성이라는 두 가지 사항을 「십이시가」의 선시학적 특성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진공묘유의 도가 일상의 삶 속에서 그대로 현현하는 立處皆眞에 있었으며, 스스로가 공겁의 주인공임을 알아차린 조주의 깨달음이 이루어낸 中道不二의 삶에서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시와 마찬가지로 선시에서도 중요한 것은 소재가 아니라, 그 시가전하는 秘意에 있다. 선시를 통해 우리가 느껴야 할 것은 시적 비유나 상징이 아니라, 주제에 대한 깊은 공감과 통찰이어야 한다. 선시의 궁극적인지향과 목표 역시 우리의 고정관념과 有爲的 사고의 틀을 타파하는 데 있다. 선시에서 주로 격외적인 표현과 상징을 쓰는 이유도 이러한 틀을 넘어선 이치를 드러내어 분별의식을 깨주고자 함이지만, 모든 깨달음의 표현이 꼭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인식 저편의 초월적 언구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짚고 넘어가야 할 과제다. 어쨌든 모든 선시가 반드시 형이상학적 비유와, 파격적 격외도리로 읊어져야 할 이유는 없다. 조주 「십이시가」는 바로 이러한 의구심에 대한 명쾌한 증명이 되는 선시의 사례다. 우리가 가졌을 기존선시에 대한 통념의 틀을 뒤엎어버리며, 새로운 선시학적 개념으로 다가오는 「십이시가」는 한 마디로 아주 쉽다. 진솔하고 담백한 禪語의 구사와 리얼리티에 입각한 솔직한 감정의 표출은 특히 기존선시에서 찾아보기 쉽지 않은 사례가 된다. 선시를 이해하는 관건은 ‘시의 이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의 이해’에 있다. 선시가 일반 시와 변별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진리에의 확철이 바탕이 되었는가, 아닌가에 달려있다고 보아야 한다. 즉, 무상, 공, 불이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노래한 시라면 시적 형식에 상관없이 ‘선시’일 수있다. 「십이시가」는 이제까지의 난해하고 격외적인 것이 선시라는 일반의‘고정관념’을 깨뜨리며 새로움과 파격의 선시학적 개념으로 다가온다. 그런의미에서 선시개념의 지평을 확대하며, 선시에 대한 근본개념을 재정립하는 데 무엇보다 「십이시가」의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깨달음을 나와 이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라 한다면, 선시란 바로그 ‘깨달음’이 어떻게 삶 속에서 현현되는지를 알려주는 절대적 언어표현수단 중 하나다. 자신과 세계의 실상을 유위와 무위, 양측을 아우르는 불이의 밝은 눈으로 읊은 노래를 선시라 할 때, 「십이시가」는 밖으로 조주의선이 궁극적으로 빚어낸 깨달음의 할이며, 안으로는 不可言說, 言語道斷의간두에서 進一步하는 한 생명의 실존의 노래인 것이다.

      • KCI등재

        한국(韓國) 선시(禪詩)의 력사적(歷史的) 배경(背景)과 미의식(美意識)

        김미선 ( Kim Mi Seon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3

        본고는 「韓國 禪詩의 歷史的 背景과 美意識」의 고찰이다. 한국 선시의 역사적 배경과 미의식을 통시적 측면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한국 선시 미학의 특징을 밝혀내는데 있어 禪僧, 居士의 내용을 포함하여 연구의 범위로 하였다. 선행 작업으로 韓國 禪詩의 歷史的 背景에서 禪僧과 居士의 兩面을 들어 한국선시 미의식의 형성배경을 불교사와 문학사 측면에서 섭렵하고자 하였다. 중국 禪偈의 형성 배경은 初祖達摩의 安心禪法→ 二祖慧可의 懺悔禪法→ 三祖僧璨의 信心禪法→ 四祖道信의 看心禪法→ 五祖紅忍의 守心禪法→ 六祖慧能의 頓悟禪法으로 이어져 이후 古靈神贊으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중국 선종의 發達史와 함께하는 禪詩를 石屋淸珙이 우리나라 高麗 白雲景閑에게 傳法하였음을 고찰하였다. 거사 선시의 형성배경은 摩詰을 자처한 왕유가 당나라 居士 禪詩의 선구자였으며, 왕유의 禪趣的 삶은 以禪爲詩로 이후 香山居士 白居易에게로 거사 선시의 맥이 이어져, 宋代 거사선시에 이르러서는 六一居士 歐陽修, 後山居士 陳師道, 東坡居士 蘇軾에게 수용되어져 풍부한 작품을 형성하였음을 밝혔다. 이에 한국 불교사 속 선승의 선시 내용이 高麗의 眞覺慧諶, 白雲景閑, 朝鮮時代의 靑梅印悟, 震默一玉 선사의 선시에서 悟道의 美學으로 드러났으며, 한국문학사에서 거사의 선시 내용은 白雲居士 李奎報, 牧隱 李穡, 梅月堂 金時習의 작품에서 禪趣의 美意識이 그 특징으로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지면상 다루지 못한 많은 작품은 후고의 과제이며, 불교 선시연구에 대한 많은 관심을 기대한다. In oriental history(東洋史), I see Chinese and Korea have strict relationship in social and political or culture, arts, religion thought and general learning fields. In this study, I will intend to consider the Korea Zen poetry aesthetics of Chinese Zen Buddhism acceptance in context of this history. After establishing of Zen Buddhism in Chinese, there were many individual literatures and were typical Neungagyeong starting such as Geumganggyeong, Banyagyeong, Yumagyeong, Yeolbangyeong, and Daeseunggisinnon and so on, Zen literature(禪文學) had become blooming with together these Cannons. These Zen literatures`` the most important field can be chosen as Zen poetry(禪詩). Zen poetry made language letter of Zen practitioner``s practice asceticism result, and Zen Buddhism, they said ``Never set up letter`` so as ``Bulipmunza (不立文字)``. In this Bulipmunza(不立文字) meaningful intention宗旨 of Zen Buddhism, it is fit for a really difficult assignment to search for Zen language``s trace. Therefore, I considered the origin of things(淵源) in order to search Korea Zen Poetry aesthetics of acceptance in Chinese Zen Poetry. I examine the realization of nature in Zen poetry through Buddhist doctrine (法脈) of Chinese Zen Buddhism and I saw Zen Poetry of Confucianist(儒家) hidden gentry(居士) is based on thought of Zen Buddhism from Chinese Dang country poet Buddhist(詩佛) Wangyu(王維)``s acceptance course base. In this base, I post to limit the Zen aesthetics which blooms in Korea Zen Poetry and I consider as to divide into Zen Buddhist``s Odomi(悟道美) and hidden gentry``s Seonchuimi(禪趣美) and I intend to do position at the new sight of the phase which search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Zen Poetry aesthetics in Zen Buddhist and hidden gentry``s Zen Poetry.

      • KCI등재

        효봉선사의 선시(禪詩) 세계

        최규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3 불교문예연구 Vol.1 No.-

        본 논문의 목적은 효봉선사(曉峰, 1888~1966)의 선시 세계를 반상 합도(反常合道)와 불반상이합도(不反常以合道)라는 관점에서 살펴보 는데 있다. 효봉선사는 한국인 최초의 판사 생활을 하였으나 독립지 사에 대한 사형 언도를 내린 후 인생에 대한 회의를 절감하고 38세의 늦은 나이로 금강산 신계사 보운암에서 석두(石頭)화상을 스승으로 하여 삭발 득도하였다. 장좌불와의 용맹정진으로 일관한 무서운 난 행고행의 수행으로 43세에 금강산 법기암의 토굴에서 깨달음을 얻은 선사는 1962년 75세에 통합종단으로 출발한 조계종의 초대종정으로 추대되어 한국불교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승풍을 진작하고 헌신하다 가 79세에 입적하였다. 선사가 남종선의 법맥을 계승하여 평생을 무(無)자 화두를 들고 참 구했지만 또한 보조국사를 흠모하여 돈오점수설과 정혜쌍수설을 간 화선과 배치되지 않는다는 독특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효봉선사 선 시의 특징은 일상을 벗어나되 진리에 부합됨(反常合道)과 일상을 벗 어나지 않고 진리에 부합(不反常以合道)하는 두 면모가 동시에 나타 나고 있다. 선사의 반상합도의 선시들은 오도송이나 혹은 법거량시 에 높은 선지를 드러내거나 자연물을 이용한 강렬한 모순적 대조를 보여준다. 품격 높은 선사의 선시에서는 반상합도의 경지를 나타내 는 시문보다는 일상의 평범함과 대중들에 대한 자애로움, 그리고 당 시의 어려운 불교 상황을 맞이하여 이를 타개하기 위한 의연한 결의 가 보이는 선시들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선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불반상이합도의 선시들은 무엇보다 불 교의 현실적 발전과 또한 수행자들의 실천수행을 독려하기 위하여 깨달음의 돈점을 가리지 않고 무애하게 선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점은 결코 반상합도와 불반상이합도를 둘로 본 것이 아니라 선의 진리를 그대로 드러내기 위해 일체에 분별없이 원융무애한 선지를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선 사의 선시에 나타나는 선적 경지는 돈점으로 가름할 수 있는 것이 아 니라 이미 그 양자를 초월한 분상에서 그 양자를 마음대로 사용하는 경지에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불반상이합도의 기조를 지닌 선사의 시적 세계 를 중심으로 선자(禪者)로서의 일상생활의 평범함을 보이는 영물(詠 物)적 선시, 대중들에 대한 자비교화의 선시, 그리고 당시 불교 진흥 을 위한 실천적 선시 등으로 나누어 선사의 선사상의 특징과 수행정 진에 힘쓸 것을 강조하는 선사의 시학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Seon poetics of Seon Master Hyobong(1888-1966) in the perspective of ‘Bansang hapdo(反常合道)’and ‘Bulbansangihapdo(不反常以合道)’. Hyobong was the first Korean judge for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However, in the tenth year of his tenure, he resigned his position after being troubled with having sentenced an independence fighter to death and he came to ordain as a monk under Seon Master Seokdu at Singyesa Temple on Mt. Geumgangsan at the age of 38. Maintaining strict silence and taking no breaks to rest or walk during meditation, he finally attained enlightenment at Beopgiam Hermitage at the age of 43. In 1962, at the age of 74, he became the first Supreme Patriarch of the Unified Jogye Order and devoted himself to Korean Buddhism revival. Master Hyobong strove to inherit the spirit of the “samadhi and prajn~ asociety( Jeonghye Gyeolsa)”initiated by National Master Bojo Jinul(1158-1210). Succeeding ‘Namjongseon’(the southern seon(zen) school of Huineng, the Six the Patriarch), Hyobong understood that the investigation of‘ hwadu’in Seon Buddhism is the combined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 which is precisely in the practice of the Ganhwaseon method(Observing the hwadu). The distinguishing mark of Hyobong's Seon poetry shows two aspects:‘ Bansanghapdo’(matching with the truth though free from the ordinary) and ‘Bulbansangihapdo’(matching with the truth without being free from the ordinary). Based on ‘Bansanhapdo’, his Seon poems reveal not only the songs of enlightenment or high essence of Seon in dharma discussion but also a strong contradict contrast using the natural products. In the Seon poems of great masters are there ones concerning the everyday commonplace, the compassion toward the public and the resolu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 situation of Buddhism than the ones based on‘ Bansanghapdo’. Hyobong's Seon poems based on ‘Bansanghapdo’seem to accept the various points of Seon without any hindrance without discriminating sudden or gradual enlightenment for the sake of practical development of Buddhism and encouragement of the ascetics' discipline. This menas that ‘Bansangbapdo’and ‘Bulbansangihapdo’are not two but one and the same, which reveals the essence of Seon, Weonyung Muae(complete unobstructed interpenetration of things) without discriminating everything in order to show the truth of Seon as it is. Above all, it means that the Seon level of Seon master's poetry is not one to be measured by ‘sudden or gradual’but it is in the very level of using the both at will transcending the both. Consequently, I t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master Hyobong's Seon thought and the significance of his Seon poetics to stress the strenuous cultivation and devotion of the Way, focusing on his Seon poems based on‘ Bulbansangihapdo’ chiefly on the songs of birds, flowers, moon, trees, poems of developing people by compassion and the teaching of the Buddha-dharma, and finally practical poems for promoting Buddhism.

      • KCI등재

        조선의 승과, 선시(選試)에 대한 고찰

        문상련(정각)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3 No.-

        조선시대 승과(僧科)인 선시(選試)가 과거(科擧)와 같은 형식으로 진행되 었음과 함께, 선시의 형식 및 혁파에 이르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승과의 경우, 생원ㆍ진사과의 예로서 『경제육전』에 따른 시재행(試才行)이 행해졌으며, 『경국대전』 「도승(度僧)」 조에 따라 『심경』, 『금강경』, 『살달타』의 송경 및 「명칭가곡」의 송(誦)을 시험해 입격자를 중격자(中格者)라 칭했다. 중격자는 정전(丁錢) 납부 후 백패(白牌)에 준하는 도첩을 발급받 았다. 도첩식 중 도첩 수급자를 학생(學生)이라 명기한 예는 도첩승이 소과(小科) 입격에 해당한 자를 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소과 입격자인 중격자는 대과에 해당하는 선시를 치렀다. 선시는 초시 를 통해 양종 각 100명씩을 뽑아 입선(入選)이라 칭했으며, 이듬해 복시 때 선종은 『전등』ㆍ『염송』을, 교종은 『화엄경』 「십지론」을 시험해 양종 각 100명 중 ⅓ 정도에 해당하는 30인씩을 대선(大選)으로 뽑았다. 이어 대선 을 대상으로 한 중시를 치러 6품에 해당하는 중덕(中德)과 7품 내지 8품 등 품계를 주었으며, 홍패식의 예에 따라 교지를 발급하였고, 중덕이 주지 로 임명될 경우 6품의 예에 따라 고신교첩을 발급했음을 서술하였다. 한편 선시 실행과 정전 납부 후 도첩을 발급한 예, 도승 자격을 양반자 제로 한정한 예는 선시가 금승(禁僧)의 예로써 시행된 것임을 말했다. 그런데 세조 연간에는 호불의 경향 속에 공사천(公私賤)에게까지 도승 자격 을 부여했으며, 승인호패법과 부역을 통해 도첩승이 증대되었던 바, 이는 이후 성종 및 연산군대에 선시 폐지 및 도첩제 정지, 양종 혁파의 빌미가 되었음을 말했다. 이후 성종 20년 도첩 발급을 금지하였고, 성종 23년 반포된 『대전속록』 에 ‘도승’ 조항이 삭제되었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 속에서도 1504년까지는 선시가 시행되었으며, 중종 즉위 2년(1507) 식년에 선시가 더이상 시행되 지 않았던 예를 기술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into the triennial examination, an examination for Buddhist monk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triennial examination was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civil examination. There was a talent test, covered Heart Sutra, Vajira Sutra, and Saldalta.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test were called pre-successful candidates of the triennial examination. The pre-successful candidates of the minor civil examination were qualified for Seonsih. In the triennial examination, the first examination was taken to select 100 entrance candidates for each Zen and Science Buddhism. In the midterm examination the following year, another round of tests was conducted to cover Jeondeungrok and Seonmunyeomsong in Zen Buddhism and Hwaeomgyeong and Sipjiron in Science Buddhism and 30 students were selected, to be called grand candidates. The grand candidates would take the final examination, after which the middle virtue equivalent to the 6th base was issued. Measures were taken to forbid certain individuals from becoming a monk including the triennial examination, the monastic identity tags issued to those who paid a sum of money for the compensation of forced military duties. King Sejo, however, granted qualification for a Buddhist monk to lowly people as well. As a result, the number of Buddhist monks with a monastic identity tag increased. This was used as a pretext to abolish the triennial examination The monastic identity tags was suspended in the 20rd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The provision of from becoming a monk was removed in Taezonsokrok promulgated in the 23th year of his reign. The triennial examination, however, lasted until 1504 even in the atmosphere of forbidding certain individuals from becoming a monk.

      • KCI우수등재

        학명 선사 선시의 중층적 이념 체계와 역동적 작품 구조

        전재강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200

        여기서는 근현대 대표적 선승인 학명 선사의 선시를 논의하였다. 학명에 대해서는 그 인물이나 선농일치 운동, 불교 가사 문학 등에 대한 논의가 기존 연구의 중심을 이루었다. 문학사적으로 학명 문학의 중요한 축의 하나이면서도 기존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그의 선시를 이념 체계와 작품 구조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념 체계에서 학명은 그의 선시에 본래성불을 기층 이념으로, 수행성불을 표층이념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비중에 있어서는 선시 작품에서 본래성불 이념을 주로 나타내고 일부 작품에서 수행성불의 이념을 나타냈다. 부처가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어 처음으로 부처가 된 과정까지가 수행성불이라면 수행을 통하여 성불하고 나서 일체 중생이 모두 부처라는 것을 발견한 내용은 본래성불이라고 할 수 있다. 학명의 선시에 나타난 이념은 부처가 수행성불을 통하여 이미 입증한 본래성불을 바탕으로 수행에 나아가는 과정을 보임으로써 본래성불을 기층이념으로, 수행성불을 표층이념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출가자를 중심 대상으로 하는 학명의 선시는 고려 말에 확립된 선시의 전통을 계승한 측면이 더 강하고 당대 현실 문제나 수행성불은 자신의 가사를 통하여 주로 나타냈다. 같은 시대 경허선사나 한용운의 선시가 세속의 일상적 정서를 많이 표현하면서 표층이념인 수행성불을 상대적으로 더 강조한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작품의 구조에서 학명의 선시는 이원적 대대 구조(對待構造)와 일원적 원융 구조(圓融構造)라는 양면적 성격을 보여 주었다. 생사와 열반, 이 언덕과 저 언덕과 같은 대립 구조는 부차적으로 나타나고 단순한 대상들이 마주하는 내용이 작품의 중심을 이루고 있어서 그의 작품은 행의 구조나 시상 전개에서 대대 구조를 주로 보여 주고 있었다. 또한 대대의 대상들이 하나로 통합되는 현상을 역시 보여 주어 일원적 원융 구조를 행 안에서나 작품 내 행과 행의 전개과정에서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 같이 낱낱의 시적 대상을 드러내는 방식과 여럿을 양자 또는 일원적으로 통합하는 방식은 같은 작품 안에 함께 사용되면서 상호 융통하는 역동적 흐름을 보이고 있었다. 다양한 대대의 대상이 일원적 원융한 상태로 통합되기도 하고, 통합된 일원적 상태에서 다시 낱낱의 다양한 대상으로 분리되는 상호 침투와 분화의 양상이 나타났고, 여기서 더욱 나아간 것은 대대와 원융이 공재(共在)하는 현상을 기발한 표현으로 묘사해 내고 있어서 학명의 선시는 시상 전개 방식에서 입체적이고 역동적 성격을 핵심적 특징으로 가지게 되었다. 대대에서 원융으로, 원융에서 대대로, 대대와 원융의 변증법적 통합을 이미지의 배치를 통해 모두 보여 주고 있어서 선시의 높은 경지를 보여주었다. 학명 선시 분석을 통하여 본래성불의 이념을 선시로 표현할 경우에는 대립이 아니라 대대와 원융의 구조가 작품의 핵심 표현 방식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런 면모는 학명 자신의 가사나 경허와 한용운의 선시가 상대적으로 대립적인 면을 강조하여 현실을 반영하는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난 것과는 다른 것이었다. 근현대 가장 선두를 보이는 선사 학명의 선시를 살폈는데 그 뒤를 이은 만공이나 한암과 같은 대표적 선승들의 선시를 더 논의하여 근현대 선사들의 선시문학의 전체적 흐름을 구명하고 자리매김할 일이 남아 있다.

      • KCI등재

        大芚寺 禪僧의 詩世界

        김미선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This literature looked into Cho Ui(1786~1866) and Seok Jeon(1864~1940) among the Zen master's poem world of Daedun Buddhist temple. Daedun Buddhist temple occupied a place of Buddhism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is temple produced thirteen numbers of multiful Zen masters and instructors in denomination. Thus this temple occupied conversion to Buddhism of the main branch of a family in Korea Buddhism. And there took up self-discipline place of Zen meditation which has led large stream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delivery space of Zen poetry. Most of Zen masters of Daedun Buddhist temple trained in nature, investigated of a Zen reason profoundly, and evoked a poetic sentiment. Zen master's enlightenment through the self-discipline is Bullibmunja(不立文字). But because of only Bullimunja(不離文字) proceed a stage of Bullibmunja, a stage of morality through the enlightenment was expressed as Zen poetry, and this succeeded to the very a vein in Zen poetry of Korea. This literature looked into how develope a Zen master's poetry world of Daedun Buddhist temple in a Zen poetry of Korea. Above all, I looked into a formative background of Zen poem of Daedun Buddhist temple in the Zen master's the universal puls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Korea Zen poetry. After this I investigated Cho Ui and Seok Jeon's Zen poetry. The last time, I studied how a Zen master's poetry world had a influence on later ages, and investigated wherever was his works in history of Zen poetry of Korea. 본 고는 조선후기 불교문학의 한 자리를 매김하고 있는 대둔사 선승의 시세계에서 艸衣(1786-1866)와 石顚(1864-1940)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둔사는 13大宗師와 13大講師를 배출해낸 한국불교 종통의 귀의처로서 조선시대 불교의 큰 흐름을 주도한 禪修行處요 禪詩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대둔사 선승들은 대부분의 삶을 자연 속에 묻혀 修行하고 심오한 禪理를 탐구하며 詩心을 불러 일으켰음을 볼 수 있었다. 대둔사 선승의 선수행에서 깨달음의 세계는 不立文字이지만 不離文字만이 불립문자의 경지로 갈 수 있기에 그 悟道의 경지를 선시로 빚어낸 것이 바로 한국 선시의 맥을 계승 발전 시켜냈다.이에 고려때 慧諶의 선시가 비로소 출현하여 그 맥을 이어 조선 후기 대둔사 시승이 한국 선시를 계승하였음을 본고에서는 대둔사 13대강사 중 한 사람인 艸衣와 초의의 선시의 맥을 이은 石顚의 시세계를 통하여 한국선시의 흐름 속에서의 대둔사 선승의 시세계를 살폈다.이러한 대둔사 선승에서는 초의가 한국불교의 선시를 이어받아 이후 梵海 覺岸石顚 映湖萬海 龍雲 등 후대 詩僧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줌으로써 한국 禪詩史를 포함한 佛家文學 및 韓國漢詩史에 끼친 영향과 그 詩史的 位相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잇었다. 따라서 대둔사 선승의 禪詩는 우리나라 선시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은 물론이다.또한 본 논고에서는 禪的 사유가 성녕한 한국선시에서 대둔사 선승의 시세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왔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선행 작업으로 대둔사 선시의 형성배경으로 대둔사 선승의 법맥 및 한국선시 발달과정을 고찰함에 본격적으로 대둔사 선승의 대표적 禪詩人인 초의와 석전의 작품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대둔사 선승의 시세계가 후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논의하여 韓國 禪詩史에 어떠한 位相을 차지하고 있는가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백운 경한 초록 「직지」에 실린 선시의 제시 맥락과 표현 원리

        전재강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7 No.-

        백운 경한의 「직지」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가 자료 주변적인 것이라서 「직지」에 실린 작품 자체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다고 보고 여기서는 이 자료에 실린 선시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선시가 제시되는 맥락을 전체적으로 논의하고 이러한 맥락에서 제시된 선시를 몇 가지 표현원리의 기준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선시의 제시 맥락은 대략 세 묶음의 여섯 가지로 나타났다. 여섯 가지 맥락을 종합해 보면 인도에서 시법과 전법을 통하여 내려온 법을 중국에서 이를 이어서 다시 구현하기 위해서는 출가, 수행, 오도, 교시의 과정을 철저히 거쳐야 한다는 은연중 교시적 의미가 드러난다. 이는 「직지」가 전체적으로는 교시를 위하여 마련된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 인도에서 유구하게 이어져 온 법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킬 것인가의 방안을 「직지」하권에서 네 가지의 구체적 맥락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품 제시의 맥락이 다르면 거기 따라 제시된 선시의 성격도 다르게 나타났고 그런 성격은 곧 표현 원리에 의하여 좌우되었다. 역설과 부정의 표현 원리가 우세한 선시는 주로 시법과 전법, 오도의 문맥에서 제시된 작품이었고 대비와 비유의 표현원리가 우세한 선시는 출가와 수행의 맥락에서 제시된 작품이었고 명령과 설의의 표현원리가 우세한 선시는 교시의 맥락에서 제시된 작품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Seon poetry(禪詩) in the Baekwoon’s 『Jikji(直旨)』. This is consisted of two themes: The context of quoted Seon poetry in the Baekwoon’s 『Jikji(直旨)』and The principle of expression of the Seon poetry(禪詩) in the Baekwoon’s 『Jikji(直旨)』. Firstly, in the context of quoted Seon poetry in the Baekwoon’s 『Jikji(直旨)』, there are three sets of context, specifically six pieces of context: The context of showing Dharma and delivering Dharma, The context of joining the sangha and practicing Dharma, The context of getting sudden enlightenment and teaching Dharma. Secondly, in the principle of expression of the Seon poetry(禪詩) in the Baekwoon’s 『Jikji(直旨)』, there are three sets of the principle of expression of the Seon poetry(禪詩), specifically six pieces of expression principle of the Seon poetry(禪詩): The principle of paradox and negation, The principle of contrast and figure of speech, The principle of commanding and ironic question Although the Seon poetry(禪詩) in the Baekwoon’s 『Jikji(直旨)』 in two aspects, there can be the other thing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will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kinds of theme being related with this contents s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