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봉선사 『선요』의 본래성불 표현방식과 그 해석의 오류유형

        전재강 한국선학회 2019 한국선학 Vol.0 No.53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study on the seon master Gobong’s 『Seonyo』 and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Seonyo』. Seonyo is a representative seon textbook of Jogyejong(曹溪宗) which is based on the ideology of original Buddha. But there are still many misunderstanding Seonyo. Firstly, in the aspect of 『Seonyo』’s ideology of original Buddha, there are three kinds of method to express the ideology of original Buddha in 『Seonyo』: the descriptive expression method, the theatric expression method, the poetic expression method. The seon master Gobong expressed the ideology of original Buddha in 『Seonyo』 by using these three kinds of expressing method. Secondly, in the aspect of misunderstanding Seonyo, Anjinho(安震湖) and seon textbook of Jogyejong 『Seonyo』 made three kinds of mistakes in interpretation of Gobong’s 『Seonyo』 : truth and fault interpretation of the ideology of original Buddha, mystic interpretation of the ideology of original Buddha, misinterpretation of seon practicing process. Even though I studied the seon master Gobong’s 『Seonyo』 and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 『Seonyo』 in this research paper, there could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I will continue researching about his other works soon. 조계종에서 중시하는 『선요』의 본래성불 이념 이해를 바탕으로 안진호의 해설이나 조계종 편찬 교재 『선요』 주석에 보인 오류를 구명했다. 불교 경전의 핵심 사상이 본래 성불이며 이를 계승한 선서 역시 본래성불의 성격을 명쾌하게 보여 준다는 점을 전제했다. 이어 불경과 선서의 이념을 수용한 『선요』에서 중요한 말하기 방법을 통해 본래성불을 분명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고봉은 『선요』에서 일방적 말하기의 서술적 표현에서 약과 병, 눈동자 비유와 청산, 감탄구 ‘돌’ 등을 사용하고, 쌍방적 말하기의 극적 표현에서는 본래성불과 양변의 입장을 긴장감 있게 대화로 드러내고, 감성적 말하기의 시적 표현에서는 진흙 소, 달, 호랑이, 쇠 뱀, 금강의 눈, 곤륜산, 코끼리 백로, 금오 등 상징어와 비유어를 통해 역설적 동태를 읊는 등 세 가지 표현 방식으로 본래성불을 드러냈음을 확인하였다. 안진호 해설과 조계종 교재 『선요』 주석에서 보인 문제 중 진망적 해석, 신통적 해석의 두 경우는 선적 표현을 일반적 논리에 따라 본래성불의 살활을 진망이나 신통한 능력으로 잘못 해석한 경우가 있었고. 과정적 해석에서는 지견을 깨달음과 혼동하고, 불철저한 수행을 견성과 보임으로 해석하고, 화두삼매를 혼침과 산란으로 해석하고, 자유자재도 부정하고 향하구의 부질없음의 지적을 공부 득실로, 주객 분리 이전 근본 병을 주객이 분리 뒤의 병으로 해석하는 오류를 논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백운화상어록』의 편집 체제와 산문 서술 방식

        전재강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5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the editing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the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a prose description. This consists of two parts: A study on the editorial process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a study of the prose description. First, in the study on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wo themes to research: The outline of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the principle of the edit system. Second, regarding the prose description of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hree items to research. The first item is the fact that the oral instruction was converted into text. The second item is the fact that the one-way dharma talking has received two-way speaking. The third item is the fact that the prosaic talking has received poetic talking. Although I researched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prose description of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can be the other things to research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will continue studying other themes that are related soon. 여기서는 고려말 백운경한 선사의 어록 체제와 산문 서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는 선사의 문집이라 할 수 있는 어록 체제를 살핌으로써 유가문집과의 대비적 특징은 물론 백운 어록의 독자적 편집 원리를 발견하고 이런 형식의 기록을 통하여 지향한 의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기 위한 논의이다. 또한 어록이라는 용어 자체가 말의 기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말이 기록되면서 산문으로 서술되기 때문에 이를 말하기 측면에서 논의하여 선사 문학 자체의 역동적 입체적 성격과 그 의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어록 체제가 보인 얼개와 체제 구성의 몇 가지 원리를 논의하였다. 『백운화상어록』의 체제는 상하로 되어 있고 불경의 일반적 영향으로 상권에는 산문 중심, 하권에는 산문과 운문 문건을 함께 실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는 유가문집이 맨 앞 책에 시를, 뒤이어 산문을 배치하는 것과 달리 제자들이 백운어록의 기본 자료가 본래 가진 성격에 따라 어록을 편집, 간행한 결과였고 그의 어록은 시기적으로 봐서 석옥의 어록이나 태고 어록의 편집 체제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어록 전체 편집에는 공적인 자료를 앞에 사적인 사료를 뒤에 배치하는 선공후사의 원리, 산문을 앞에 운문을 뒤에 배치하는 선산후운의 원리, 어록 편집자가 자기 스승을 높이고 드러내는 존사현양의 원리, 또 작품이 창작된 물리적 시간 순서에 따라 작품을 배치하는 자연시간의 원리라는 네 가지 원리가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되어 편집된 결과가 바로 『백운화상어록』임을 논증했다. 다음은 산문서술 방식을 논의했다. 어록은 기본적으로 경전과 같이 말하기가 기록되어 이루어진 결과물이다. 설법이라는 교시적인 말하기를 기록하는 과정에 말하는 사람의 동작이나 말하기 행위를 드러내는 지문을 삽입하여 백운어록이 타인에 의한 기록이며 또한 교시적 말하기가 기록으로 전환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교시를 위한 설법이라는 말하기가 기본적으로 일방적 말하기이지만 그중에는 불경에 보이는 질문에 대한 긴 설명의 대답과는 달리 특정 인물과 주고받는 짧고 긴장된 대화를 지속하는 쌍방적 말하기의 현장감과 역동성을 보여주었고, 상대적으로 더 비중 있게 다루어진 산문 서술에서 빈번하게 게송과 같은 운문을 수용하여 시적 말하기의 방식을 수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불경의 방식을 따르면서도 그와는 달리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개념적 설명이 아니라 형상화하여 묘사하거나 정서적 공감을 통한 교시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기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어록 체제와 산문 서술을 살펴봤는데 백운경한의 문학에 대한 연구는 그가 선사인 만큼 그 시에서 선적 표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논의할 일이 남아 있다.

      • KCI등재

        태고 보우와 석옥 청공 선시의 비교 연구

        전재강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2 No.-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study the Seon poetry of Taegobowu and Seogogcheonggong comparatively in three aspects. The first aspect is about the basic ideology of their poetry, the second aspect is about the rhetoric of their poetry, the third aspect is about the realistic context in their poetry. Firstly, in the aspect of the basic ideology of their poetry, they has the thought of original Buddha in their poetry in common.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rhetoric of their poetry, they used the paradox and symbolic as the main rhetoric of their poetry in common. But Taegobowu was different from Seogogcheonggong: Taegobowu was using the paradox and symbolic by referring patriarch and explaining his life, not likely Seogogcheonggong was using the paradox and symbolic by describing his life only. Thirdly, in the aspect of the realistic context in their poetry, Taegobowu was different from Seogogcheonggong: Taegobowu expressed the realistic context of his monk life, Korea kingdom and Won kingdom unlikely Seogogcheonggong only expressed the realistic context of his monk life in their poetry,Even though I studied the Seon poetry of Taegobowu and Seogogcheonggong comparatively in three aspects in this research paper, there could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structure of Seon master Taegobowu and Seogogcheonggong's Seon poetry next time in the near future, 고려말 태고보우와 원나라 석옥청공 두 사람은 같은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일생동안 선 수행으로 일관했고 사제 관계를 맺고 법을 주고받았으며 수많은 시 작품을 남겼다는 점에서 비교 연구의 가치를 충분히 가진다고 보아 두 사람의 선시를 비교하는 논의를 진행했다. 두 인물의 시가 가진 사상적 기반이 무엇인가? 사상적 기반이 선시로 어떻게 표현되었는가? 그리고 작품에 나타난 구체적 현실 문맥은 어떠한가를 차례로 살폈다. 사상적 기반에서는 선의 핵심 이념인 본래 성불 사상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를 선시로 표현할 때에는 역설과 상징이라는 같은 수사를 구사하면서도 태고는 선의 역사적 중요 인물과 그들의 행적을 인용하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석옥은 자신의 생활 자체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작품 안에 나타난 현실 문맥은 태고는 수행처, 고려의 정치 현실, 원나라의 정치 현실까지 모두 반영하였고 석옥은 수행처의 현실만 반영하여 역시 다르게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 KCI등재

        대혜 『서장』에 나타난 알음알이의 체계적 성격과 다면적 제시 맥락

        전재강 한국선학회 2018 한국선학 Vol.0 No.51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study Aleomali in Daehuei 『Seojang』 in two aspects. The first aspect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leomali in Daehuei 『Seojang』, the second aspect is about the context of Aleomali in Daehuei 『Seojang』. Firstly, in the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leomali in Daehuei 『Seojang』, there are two kind of Aleomali: the unrestricted meaning of Aleomali and the restricted meaning of Aleomali. The unrestricted meaning of Aleomali consis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inking, Buddha and Seon master’s whole teaching, The restricted meaning of Aleomali consis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inking only. Totally his theory structure of Aleomali is based on The unrestricted meaning of Aleomali,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context of Aleomali presentation in Daehuei 『Seojang』, there are three kinds of context: the context of daily life, the context of Buddhist ascetic practice, the context of teaching Seon Buddhism. The Aleomalis which presened in the specific context are based on the restricted meaning of Aleomali. Even though I studied the definition of Aleomali and the context of Aleomali presentation in Daehuei 『Seojang』 in two aspects in this research paper, there could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about his other works in the near future. 기존 연구는 화두참구상의 지해, 초기불교의 사대·오온, 십이처, 십팔계의 삼과법, 유식의 제6, 7, 8식, 4조 도신 이후 조사가르침, 일체 불교교설 등을 알음알이로 보았는데 여기서는 논의된 알음알이 전체를 광의의 알음알이, 그 중 헤아림이 사용된 초기 불교의 삼과법, 유식의 제6,7,8식, 화두 참구상 사량분별, 묵조의 쉬어감을 협의의 알음알이로 정의하였다. 『서장』은 초기불교 삼과법은 물론 불교교설까지 환으로 보는 입장이 깔려 있어 광의의 알음알이 체계에 기초하고 구체적 표현 맥락에는 협의의 알음알이가 사용되었다. 일상 맥락에서는 이둔(利鈍)이라는 자기 능력과 세속 환경, 문장과 명예와 부귀에 골몰하며, 수행중 일반 불교수행에서는 참선보다 염불과 참회, 간경공부가 빠르고 효과적이라 보며, 간경과 분석하는 찬고지(鑽古紙), 학습과 수행을 구분하고, 묵조수행에서는 고요와 시끄러움 중 고요를 선택하여 쉬기 좋아하며, 고요에서 나타나는 망상, 간화선 수행에서는 간화선 10종병 중 수신인에 따라 다른 항목, 포교맥락에서는 깨달은 뒤 고귀함에 빠지며, 교화할 때 명예와 이익을 추구하며, 간화선지도에 본분선이나 노파선의 어느 한 입장에 집착하는 등의 알음알이가 각각 제시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