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문열의 『젊은날의 초상』에 나타난 욕망의 구조 -진리의 탐색과 알레고리

        강유정 ( Yu Jung Kang ) 배달말학회 2011 배달말 Vol.49 No.-

        이문열의 『젊은날의 초상』은 『하구』, 『우리 기쁜 젊은 날』, 『그 해 겨울』의 삼부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소설의 여정을 성장의 과정과 동일시 해왔다. 물론 『젊은날의 초상』의 여정은 성장과 닮아 있지만 성장이라고 단순화하기엔 부족한 부분이 있다. 성장이라는 보편적 현상으로 말할 수 없는 "나"라는 인물의 절대적 진리에 대한 결핍과 그것에 대한 탐구가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젊은날의 초상』의 주인공이 경유하는 여행지는 단순한 방랑처가 아니라 그가 찾고자 하는 절대적 진리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공간이다. 첫 번째 경유지인 『하구』에서 그는 도시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진실을 찾아 고향에 내려간다. 그에게 고향이란 훼손되지 않은 원본이었지만 그곳에 가서 직접 확인한 고향은 훼손된 원본이며 진실이 부재한 공간이다. 하구를 찾은 지 10여년이 지난 후 시점의 서술자는 과거를 돌아보며 절대적 원본으로 낭만화할 수 없었던 고향을 서술한다. 『하구』는 고향이 진리 탐색의 과정일수는 있으나 잃어버린 원본 자체가 되어 줄 수 없다는 확인의 기록이다. 그 확인은 환상의 불가능성이며 환멸과의 조우이기도 하다. 한편 『우리 기쁜 젊은 날』은 주로 대학이라는 공간에서의 진리 탐색 과정을 보여준다. <절망의 뿌리>, <길동무들>, <무엇을 할 것인가>, <주점 쩌그노트의 추억>, <사랑놀이>, <해따기>, <새지 않는 밤>, <여름의 끝>의 8개 에피소드로 구성된 『우리 기쁜 젊은 날』은 서울과 대학, 도회라는 공간에서 지식을 통해 진리를 찾는 과정과 중첩된다. 고향이 원본을 찾는 장소라면 대학은 좀 더 상징화된 진실의 공간, 지식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이 과정에서 상대적 결핍과 지식의 무력함을 발견할 뿐이다. 오히려 그는 길거리를 헤매는 고아 소년을 통해 진짜 삶을 체험하고 김형의 죽음을 겪으며 지식의 무위를 깨닫는다. 문자의 독파와 지식의 해독만으로는 진리 탐색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우리 기쁜 젊은 날』에 조형된 8가지의 에피소드들은 진리를 탐색하는 각각의 지적 포즈와 간접적 체험의 알레고리적 양식들이라고 볼 수 있다. 그가 그토록 찾아헤매던 "진리"를 발견하게 된 것은 바로 진리 찾기를 포기한 순간 마주친 창수령에서이다. 그는 절망과 환멸을 겪고 나서야 비로소 그토록 찾고자 했던 "진리"를 발견하게 된다. 발견은 절대적 미를 고스란히 재현(再現)하려는 욕망의 포기와 수긍으로 이어진다. 창수령 이전의 여로가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강박적 추구였다면 그 이후는 한계 자체를 예술적 노에마로 받아들이는 수긍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이문열의 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순도 높은 예술관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 주기도 한다. 그는 절대적 진리가 예술을 통해 이해 가능한 가시적 영역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것, 현실의 결핍과 가난의 피로를 극복할 수 있는 욕망의 절대적 대상이 바로 예술임을 말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젊은날의 초상』은 젊은 예술가의 절대적 진리에 대한 결락감과 그것에 대한 근원적 욕망의 기록이라고 볼 수 있다. From a novel of 『The Portrait of the Days of Youth』, which was the form of trilogy of 『Estuary』, 『Our happy days of youth』 and 『that year`s winter』, a character of "I" was seeking the journey to find absolute truth. In 『Estuary』, I, who have already become the past and lost the original identity, checked the absence of truth in the hometown. The narrator, staying in the current, do not represent the past and the hometown to be romantic as absolute original. In 『Estuary』, hometown was meaningful in a process of seeking the truth, but that will never become the lost original to be confirmed. In the end, what I got at the homeland was a fantastic impossibility and disillusion. Meanwhile, in 『Our happy days of youth』, it showed the process of navigating thru the truth and knowledge, which consist of 8 episodes such as "The roots of despair", "fellow travelers", "what do we do", "Pub Jjeogeunote`s memories" "the life of love", "haettagi", "tight night" and "summer`s end" which overlapped each other with process of finding the truth through knowledge in the urban, Seoul and university. Hero, "I", thru the course of this, could only find a relative deficiency of fatigue and knowledge`s helplessness. Rather, he, thru orphan boy wandering through the streets, experienced the texture of real life and knew that truth`s exploration thru knowledge is impossible with brother Kim`s death. The 8 episodes in 『Our happy days of youth』 could show an each pose to explore the truth and allegorical forms of indirect experience. Importantly, he came to find the truth, which he had tried to seek, through despair and disillusionment. Such a finding was connected with the consent and the giving up of desire trying to reproduce the absolutely untouched beauty. If previous journey of Changsuryeong ridge was the compulsive pursuit of absolute truth, the later part was in the part of convincing the acceptance of the limitations in itself as artistic noema.

      • KCI등재

        니체철학에서 진리의 여성적 사랑

        이선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90

        This paper analyzes Nietzsche's critique about philosophers affection towards the truth. It explains how his affections towards the truth differ from the ones by all the other philosophers. This paper also analyzes how Nietzsche's arguments about how women's truth that are expressed through metaphors soon develops into their methods of showing the way of women’s love. This leads to the thought that the philosopher’s affections towards the truth becomes Patriarchy and starts to oppress the women's truth. Conclusionally, the method of philosophy through the feminine love of truth is to be suggested. 본 논문은 니체가 철학자들의 진리를 향한 사랑을 어떻게 비판하는지를 분석하고 이 진리를 향한 사랑과 니체의 진리에 대한 사랑이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밝힌다. 니체는 기존 철학자들의 진리를 향한 사랑이 소유욕에 의해 진리를 소유하고 지배하고자 했던 진리에 대한 권력적 사랑의 방식임을 비판하면서 진리들과 사랑을 나누는 관계 속에서 자신의 진리를 찾고자 한다. 따라서 니체의 진리에 대한 사랑은 여성들의 은유로 표현되는 진리들의 여성적 사랑의 방식을 받아들이면서 이 진리들과 사랑을 관계를 나누면서 구현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니체 철학이 기존 철학자들의 진리를 향한 사랑이 소유욕에 의해 여성적 진리를 억압하는 가부장제적 사랑임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진리들의 여성적 사랑의 방식 속에서 우정의 관계로 발전되는 철학하기의 새로운 방식을 제시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진리’ 이해의 문제에 대한 오늘날의 해석학적 흐름

        박병준(Park, Byoung J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7

        모든 지식은 항상 진리를 함축하고 있어야 하지만 과연 진리가 무엇인지 규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이는 진리 개념이 갖는 중층적인 의미 때문이다. ‘진리’ 개념은 무조건적이며 절대적인 진리, 조건적이며 제한적인 상대적 진리, 존재론적 진리, 논리적 진리 등 다양하다. 또한 진리에 관한 이론에는 진리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대응 이론, 정합 이론, 실용주의 이론, 합의 이론 등 다양한 주장이 있다. 본고는 중층적이며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진리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진리 문제에 있어서 도대체 왜 해석학이 문제가 되는 것일까? 해석학은 이해의 학문이며, 모든 이해는 진리를 파악하려한다. 정신적 존재인 인간은 모든 것을 자기 안에 매개하는 본성을 지닌다. 인간의 세계는 정신에 의해 ‘매개된 직접성’의 세계요 바로 그와 같은 정신의 매개된 세계가 이해의 세계이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인간에게 이해 없는 진리란 불가능하다. 해석학적 진리는 진리의 문제가 본질적으로 이해의 문제라는 기본 입장에 근거한다. 진리와 이해 사이에 놓인 이런 필연적 관계로부터 우리는 진리가 이해되고 해석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이러한 인식은 진리의 문제를 결국 해석학적 진리의 문제로 이끈다. 우리는 하이데거(M. Heidegger)에게서 현사실적 삶의 현존재 이해와 해석에 초점을 맞춰 진리를 시간과 역사 안에서 언표된 존재 역운으로 이해하는 해석학적 진리의 단초를 발견한다. 그리고 이런 경향은 가다머(H.-G. Gadamer)를 통해 철저하게 수용된다. 하이데거와 가다머 이후 해석학적 진리의 문제는 역사성 안에서 드러나는 진리의 객관성과 이해 가능성에 대한 물음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해가 근본적으로 무제약적이며 무조건적인 존재 지평에서 이루어지는 한 진리의 문제 역시 제한된 영역을 넘어서 존재의 절대 지평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All knowledge always implies truth, bu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at truth actually is. This is because truth is a concept of multi-layered meanings and because the concepts of ‘truth’ are various. For example: unconditional and absolute truth; conditional, restrictive and relative truth; ontological truth; logical truth; and others. Moreover, there are various theoretical opinions regarding truth, dependent upon one’s point of view, such as: the correspondence theory, the coherence theory, pragmatism, the consensus theory, and others. This paper considers truth in its various multi-layered meanings from a hermeneutical point of view. Why does hermeneutics get involved in the issue of truth? Hermeneutics is the study of comprehension, and it tries to grasp the truth of all understanding. Human beings have a spiritual essence that moves them to mediate all things within themselves. Our world is the world of mediated immediacy achiev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mi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world of understanding that is achieved through the mind’s mediation. It might seem obvious, but it is impossible for humans not to be able to understand truth. Hermeneutical truth is based on the basic position that the problems of truth are fundamentally a problem of understanding. From the inevitable relationships between truth and comprehension, we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truth needs to be understood and analyzed. These realizations eventually draw problems of truth to the basic problem of hermeneutical truth.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dasein’ of ‘faktical life’, Heidegger understands hermeneutical truth in terms of the ‘destiny of being’ in time and history. Gadamer borrows this approach; and after Heidegger and Gadamer, the problems of hermeneutical truth have become questions limited to possibilities of the objectivity and comprehension of truth as manifested in history. Be that as it may, in the present author’s opinion comprehension is fundamentally and unconditionally rooted in the very ‘horizon of being’; so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ruth, not primarily from the horizon of history, but from the horizon of absolute being.

      • KCI등재

        진리교육의 문제: 비진리 인식요소에 대한 가류적 관점의 교육

        류성창 ( Josh Sung Chang Ryoo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6 No.-

        교육은 근본적으로 지식의 문제를 다루는 인간의 영역이다. 교육의 다양한 실제는 인간의 마음에, 지식의 조건 중 하나로서의 진리에 대한 특정 관점을 심어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 만약 진리에 대한 관점 중, 인식적이고 사회적인 맥락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관점이 있다면, 혹은 보다 바람직한 진리관이 있다면, 교육은 더 나은 진리에 대한 관점을 기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인식론의 전통적 조건 중의 하나인 진리조건에 대하여 간략히 검토하고, 구성적 맥락과 기능적 맥락에서 진리조건이 다루어지는 서로 다른 방식을 구분하며, 그 두 맥락에 공존하며 인식적으로 바람직한 관점인 "비진리 인식요소를 가류적으로 보는 관점"을 제시한다. 인식자가 구성적 맥락 혹은 기능적 맥락에서 진리를 다루더라도, 어느 맥락에서든지 비진리 인식요소를 가류적으로 다루어야 함을 논증하고, 비진리 인식요소조차 진리주의적 진리인 것으로 가르치고 있는 한국교육의 현실을 비판하며, 그 대안으로서 가류성의 명시, 대화적 교수 그리고 탐구물 중심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한다. Education is in essence an human endeavor of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knowledge. Diverse perspectives on truth, one of the traditional conditions for defining knowledge, could then be fostered in the minds of our learners by various shapes of educational practices. If a certain truth-related perspective is desirable, or if another undesirable, we must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matter of shaping an epistemologically and socially preferable view on truth. This article starts off with a brief introduction to the debates on the status of the truth-condition in the mainstream epistemology. It continues with categorizing the two contexts in which the truth-condition is adopted-constitutive and functional, and recommends a flexible and fallibilistic perspective as an epistemologically sound view on non-truth epistemic elements (the tools that are simplified or distorted to convey more efficiently the core traits of reality, such as symbols, laws, idealization, fictions, models, analogies, exemplification and thought experiments), whether an epistemic agents pursues knowledge in a constitutive or functional context. Then, channelling philosophical debates into meaningful implications for an educational practice, this article criticizes that the current Korean education fosters an inflexible perspective on truth, not a desirable perspective owing to the possible cognitive limitations and social maladies it engenders. Thus the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is requested to be reshaped to educate for a cognitively and socially preferable perspective on truth, a more supple one based upon fallibilism. As the practical methods of instilling the more sound perspective on truth in the minds of the young, two particular instructional principles are suggested, namely, the clarification of the fallibilistic status of non-truth epistemic elements and the preservation of free explorative learning activities.

      • 함석헌의 생명학적 진리

        이기상(Lee, Ki-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6 철학과 문화 Vol.12 No.-

        통상적으로‘진리’는‘사태와 지성의 일치’로 정의된다. 그리고 그 의미는 인간 지성이 사태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발언내용이 실제의 사태와 일치할 때 그 진술(명제)은 참 또는 진리라는 뜻이다. 이것을 우리는 인식론적 진리라고 명명할 수 있다. 그런데 한글말에서‘참’이라고 말해지는 진리의 근원적 의미는 이러한 명제(발언)나 인식차원의 참(진리)이 아니다. 한글말의‘참-거짓’은 본디 ‘속이 들어차 있음-속이 빈 껍데기’라는 근본의미에서 유래했다. 여기서의 진리 모형은 그 생활세계적 배경이 농경문화임을 지시한다. 쌀이나 보리 같은 곡식낟알이 알갱이가 들어찼는가 아니면 속이 빈 쭉쟁이인가에 따라 참과 거짓이 갈라진다. 이러한 한국의 독특한 진리개념을 우리는 서양의 인식론적 진리와 대비시켜 생명학적 진리라고 이름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우리는 함석헌이 풀어보이는 생명의 진리, 삶의 진리를 살펴보도록 한다. Gewö hnlich wird die Wahrheit als adaequatio rei et intellectus, nä mlich Ü berinstimmung zwischen Sache und Verstand. Dies bedeudet, daß eine Aussage mit der Sache ü bereinstimmt, ü ber die sie gemacht wird. Solche Wahrheit kann eine erkenntnistheoretische Wahrheit genannt werden. Aber wenn ein Koreaner von etwas ‘wahr’ sagt, damit meint er nicht in erkenntnistheoretischem Sinne, seine Aussage mit jenem etwas ü bereinstimme, sondern dies ihm viel angehe, d.h. es für ihn sehr vielbedeutend sei. Im Koreanischen bedeutet das Wortpaar ‘Tcham-Geozit[참-거짓]’ (‘wahr-falsch’) ursprü nglich ‘inhaltsvoll[fruchtsvoll]-inhaltsleer’,‘Korn-Schote’. Das koreanische Wahrheitsparadigma nimmt seinen Ursprung in einer Ackerbau-Kultur. Wir kö nnen diese Wahrheit eine biozentrische Wahrheit im Unterschied zu erkenntnistheoretischer nennen. In diesem Aufsatz untersuchen wir die Interpretation von Ham Seokhyeon ü ber die Wahrheit des Lebens, die in koreanischer Lebenswelt waltet.

      • 하이데거의 실존적 진리개념에 대해서

        박찬국 ( Park Chan-koo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6 존재론 연구 Vol.13 No.-

        서양 전통 형이상학의 주요한 물음 중의 하나는 판단과 대상 사이의 일치, 즉 진리가 어떻게 가능하냐는 물음이었다. 서양형이상학은 판단을 통해서 존재자의 진리가 발견된다고 생각하면서 판단을 그러한 물음, 즉 진리문제를 해명하는 실마리로 삼았다. 이에 대해서 하이데거에 의하면 존재자는 판단을 통해서가 아니라 존재자들에 대한 실천적 교섭을 통해서 발견된다. 그리고 판단을 통해서 존재자를 발견하는 것은 실천적 교섭을 통해서 존재자 자체가 이미 발견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판단은 이렇게 일차적으로 존재자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은 진리란 무엇이며 진리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해서 가능한가라는 물음의 실마리가 될 수는 없다. 현존재는 항상 존재자에 대한 판단적, 혹은 술어적 규정 이전에 존재자와 실천적으로 관계하면서 존재자를 발견하고 있는 것이며, 이렇게 발견된 진리에 판단의 진리가 근거하고 있는 한 그것은 판단의 진리보다 근원적인 진리가 된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판단과 존재자가 일치하는 가능성에 대한 진리 문제를 판단이 근거하는 선술어적 진리의 가능성의 근거를 물음으로써 해명하려고 한다. 그리고 하이데거는 이러한 선술어적 진리를 가능하게 하는 궁극적 근거를 현존재의 ‘이해와 심정성 그리고 말’을 통해서 형성되는 현존재의 개시성(Erschlossenheit)에서 찾고 있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가 진리문제에 대한 해명에서 후설의 지향성 개념이 차지하는 의의와 한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가 그리고 하이데거가 후설의 지향성 개념을 어떻게 발전시키면서 진리문제의 심층에 도달하고 있는 가를 드러내려고 했다. Eine Hauptfrage der abendländischen tradionellen Metaphysik war die Frage, wie die Übereinstimmung zwischen dem Urteil und dem Gegenstand, d.h. die Wahrheit möglich ist. Die Metaphysik nahm das Urteil als den Leitfaden fur die Erörterung der Wahrheitsfrage, denn sie dachte, daß der Ort der Wahrheit das Urteil ist, während bei Heidegger das Seiende primär nicht durch das Urteil, sondern durch den Umgang mit dem Seienden entdeckt wird. Das Urteil ist fundiert auf der vorprädikative Wahrheit, die durch den Umgang mit dem Seienden entdeckt wird. Diese vorprädikative Wahrheit ist urspruglicher als die prädikative Wahrheit, die durch das Urteil entdeckt wird. Heidegger versucht also die Frage uber die Möglichkeit der Übereinstimmung zwischen dem Urteil und dem Gegenstand dadurch zu erörtern, daß er nach dem Grund der Ermöglichung der vorprädikativen Wahrheit fragt. Nach Heidegger ist der letzte Grund der Ermöglichung dieser vorprädikativen Wahrheit in der Erschlossenheit des Daseins, die durch das Verstehen, die Befindlichkeit und die Rede gebildet wird. Diese Arbeit versuchte zu zeigen, wie Heidegger den husserlschen Begriff der Intentionalität entwickelt und den tiefe Schicht des Wahrheitsproblems erreicht.

      • KCI등재후보

        하이데거의 실존적 진리개념에 대해서

        박찬국 한국하이데거학회 2006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3

        <Zusammenfassung> Hedeggers existentialer Wahrheitsbegriff Park, Chan-kook Eine Hauptfrage der abendländischen tradionellen Metaphysik war die Frage, wie die Übereinstimmung zwischen dem Urteil und dem Gegenstand, d.h. die Wahrheit möglich ist. Die Metaphysik nahm das Urteil als den Leitfaden f̂ür die Erörterung der Wahrheitsfrage, denn sie dachte, daß der Ort der Wahrheit das Urteil ist, ŵährend bei Heidegger das Seiende primär nicht durch das Urteil, sondern durch den Umgang mit dem Seienden entdeckt wird. Das Urteil ist fundiert auf der vorprädikative Wahrheit, die durch den Umgang mit dem Seienden entdeckt wird. Diese vorprädikative Wahrheit ist ursprüglicher als die prädikative Wahrheit, die durch das Urteil entdeckt wird. Heidegger versucht also die Frage über die Möglichkeit der Übereinstimmung zwischen dem Urteil und dem Gegenstand dadurch zu erörtern, daß er nach dem Grund der Er- möglichung der vorprädikativen Wahrheit fragt. Nach Heidegger ist der letzte Grund der Ermöglichung dieser vorprädikativen Wahrheit in der Erschlossenheit des Daseins, die durch das Verstehen, die Befindlichkeit und die Rede gebildet wird. Diese Arbeit versuchte zu zeigen, wie Heidegger den husserlschen Begriff der Intentionalität entwickelt und den tiefe Schicht des Wahrheitsproblems erreicht. 문】서양 전통 형이상학의 주요한 물음 중의 하나는 판단과 대상 사이의 일치, 즉 진리가 어떻게 가능하냐는 물음이었다. 서양형이상학은 판단을 통해서 존재자의 진리가 발견된다고 생각하면서 판단을 그러한 물음, 즉 진리문제를 해명하는 실마리로 삼았다. 이에 대해서 하이데거에 의하면 존재자는 판단을 통해서가 아니라 존재자들에 대한 실천적 교섭을 통해서 발견된다. 그리고 판단을 통해서 존재자를 발견하는 것은 실천적 교섭을 통해서 존재자 자체가 이미 발견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판단은 이렇게 일차적으로 존재자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은 진리란 무엇이며 진리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해서 가능한가라는 물음의 실마리가 될 수는 없다.현존재는 항상 존재자에 대한 판단적, 혹은 술어적 규정 이전에 존재자와 실천적으로 관계하면서 존재자를 발견하고 있는 것이며, 이렇게 발견된 진리에 판단의 진리가 근거하고 있는 한 그것은 판단의 진리보다 근원적인 진리가 된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판단과 존재자가 일치하는 가능성에 대한 진리 문제를 판단이 근거하는 선술어적 진리의 가능성의 근거를 물음으로써 해명하려고 한다. 그리고 하이데거는 이러한 선술어적 진리를 가능하게 하는 궁극적 근거를 현존재의 ‘이해와 심정성 그리고 말’을 통해서 형성되는 현존재의 개시성(Erschlossenheit)에서 찾고 있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가 진리문제에 대한 해명에서 후설의 지향성 개념이 차지하는 의의와 한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가 그리고 하이데거가 후설의 지향성 개념을 어떻게 발전시키면서 진리문제의 심층에 도달하고 있는가를 드러내려고 했다.

      • 진리 인식에 있어서 합리론과 경험론 : 一圓相 진리와 四恩의 구조 인식을 중심으로

        박상권 한국원불교학회 2002 圓佛敎學 Vol.8 No.-

        종교는 본질적으로 절대의 진리를 신앙하며, 그러한 신앙을 바탕으로 생활 속에서 진리적인 삶을 구현하도록 이끌어준다. 소태산은 이러한 종교의 본질에 충실하도록 진리적 종교의 신앙을 주창하면서 일원상의 진리를 천명하였다. 그리고 일원상의 진리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서술하여 새 종교의 중심교리로 삼았다. 그러나 진리에 대한 서술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면 여전히 맹목적인 신앙에 머물고 말 것이다. 인간이 어떤 사상이나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는 직접 경험을 통해 이해하는 방법과 이성적 사유에 의한 이해의 두 가지 방법에 의존해왔다. 종교의 진리도 이러한 이해의 방법을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원불교의 중심교리인 일원상의 진리와 그 내역으로 밝힌 사은 교리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험적 인식과 합리적 인식의 방법론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철학적 인식론 체계인 합리론과 경험론을 인식의 도구로 삼아 소태산이 주창한 진리를 바르게 이해하자는 의도로 연구되었다. 그리하여 모르고 신앙하는 맹신으로부터 진리적 종교의 신앙으로 나아가는데 일조를 하기 위함이다. Rationalism and Empiricism in Understanding of Truth: Focusing on Understanding of Structure of Il-Won Sang Truth and the Four Grace. Religions originally tend to believe in an absolute truth. Based on the faith, the religions help people realize a religious truth in their lives. Sotaesan (the founder of Won-Buddhism) announced the faith of truthful religion based on the truth of llwonsang in order to fulfil this goal of religion. However, unless we do not fully understand the descriptions about the truth, the religious faith is likely to be limited to a blind faith. There are two types of epistemological methods which we, human beings, have used to understand certain thoughts or phenomena: through direct experience or through rational inference. The same methods of epistemology would be used for understanding of religious truth. Therefore, the empiricism and rationalism are needed to fully understand the truth of Ilwonsang and the four graces which are Won-Buddhism's fundamental principle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ccurately analyze Sotaesan's truth based on those rational and empirical ways of epistemology. It also purports to provide a right faith in truthful religion rather than a blind faith.

      • 존재론적 진리에 대하여

        박찬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진리는 보통 인식진리와 존재진리, 즉 논리적 진리와 존재론적 진리로 나뉜다. 이 논문은 존재론적 진리의 의미를 밝히려는 노력의 시작이다. 우선 플라톤의 선의 이데아와 진리의 관계, 그 다음에 신플라톤주의의 정신(nous)=진리를 확인한다. 다음으 로 중세의 일반적인 진리정의인 `사물과 지성의 일치”의 통상적인 의미를 분석한 후에 안셀무스의 `정신으로만 파악 가능한 올바름”이라는 유명한 진리규정의 의미도 파헤쳐본다. 초월자 가운데 하나가 진(verum)이므로 이 진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인 식진리와 구별되는 광의의 존재진리의 의미에서 실천적 진리, 종교적 진리도 언급된다. 끝으로 진리의 순수 우리말인 ‘참’은 ‘본질충족’임을 확인하고 참된 사람은 참 생명을 깨닫고 닮으려는 사람이며 불립문자의 자세에서 지행합일하고 무실역행하는 사람임을 강조한다.

      • KCI등재

        바오로에게 계시된 진리에 관한 의미론적 분석

        염철호(Youm, Cheol Ho)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91

        바오로 서간에서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느님의 구원 계획과 역사를 지시하며, 지식, 지혜, (하느님의) 뜻, 말씀, 복음, 의로움과 동의 관계에 있다. 이 어휘들은 모두 진리와 동의어로서 하느님의 구원 계획과 역사를 의미하는데, 진리는 하느님의 계획이 확실히 이루어진다는 점에 강조점을 두는 표현이다. 이 진리는 창조 이전부터 종말 이후와 관련된 모든 이를 위한 하느님의 영원한 계획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보편성과 영원성을 지닌다. 하지만 진리는 신비에 감추어져 있으며 역사 안에서 계시를 통하여 계속 드러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선택받은 믿는 이들에게만 드러나는 것이기에 차별성과 시간성을 지닌다. 이로 인해 진리의 보편성과 영원성이 훼손되는 듯 보이나, 이는 진리가 인간에게 파악되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특성일 뿐이다. 곧 진리는 하느님과 관련되어 있기에 보편성, 영원성 등을 지니지만, 인간이 진리를 파악하는 작업은 언제나 차별성과 시간성을 지닐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바오로 서간에서의 진리 개념으로는 구약 성경의 에메트라는 개념을 발견할 수 있다. 곧 진리는 하느님이 당신의 의로움으로 인해 당신의 계획과 약속에 충실한 모습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표현이며, 동시에 하느님의 약속에 충실한 인간의 충실함을 표현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바오로 진리관의 핵심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있으며, 바오로에게 이것이 진리의 절대적 기준이다. 바오로는 복음 선포라는 목적을 위해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진 이들이라 하더라도 그들이 예수를 주님으로 고백하기만 한다면 유연한 태도를 취한다. 이로 인해 생겨나는 진리에 대한 다양한 표현과 해석은 서로 상보적 역할을 하며, 이는 절대적 진리를 좀 더 풍성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In the Pauline letters truth denotes the divine plan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Here, various synonyms of truth are found. For example, we see words such as knowledge, wisdom, divine will, word, gospel and righteousness. All these words refer to the divine plan and salvific history and each one highlights one particular aspect. Truth highlights that the divine plan comes true in history. Truth includes the divine pla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ime and is concerned with the fate of all human beings and the whole world. Truth is said to be universal and eternal. However, truth is concealed as a mystery and is revealed step by step throughout history by divine revelation to all those chosen who believe that Jesus is Christ and the son of God. Truth, then, seems discriminating and temporal. Damage could be done to its universality and permanence. However, it could be said that its discriminating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are not its own characteristics but appear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truth. In addition, the Pauline truth is influenced by a Jewish word ‘emet’, which means both the royalty of God to his own plan and the faithfulness of human beings to God’s plan. Finally, the core of truth in Paul is Jesus Christ who is the absolute principle of truth. Paul has a flexible attitude towards other viewpoints as long as they adhere to the belief that Jesus is Lord and furthers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His other expressions and interpretations of truth function in a complementary way and help us understand truth more abund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