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70년대 제주도 관광개발 연계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의 건립과 위상

        김나영 역사문화학회 2024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7 No.1

        지금까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에 대해서는 ‘제주도 최초의 공립박물관’ 혹은 ‘민속자료와 자연사(동식물ㆍ지질ㆍ해양 등)를 종합 전시한 전국 유일의 박물관’이라는 점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또한 관련 학술연구로는 박물관 내부 전시콘텐츠 및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한정되어 당초 본 박물관이 지녔던 본질적인 위상과 상징성을 논하기란 다소 역부족이다. 하지만 해당 박물관 연혁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타 지역의 공립박물관과는 다른 건립 배경을 지니고 있다. 즉,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은 1960~70년대 박정희 정부의 ‘조국 근대화’와 ‘국가 주도 자립경제’의 구호 아래 제주도 관광개발의 정책적 구상과 계획의 일환으로 대두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4년 40주년 맞이하는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의 건립 연원과 관련한 일련의 제반 기록들을 면밀히 들여다봄으로써 1960~70년대 제주도 관광개발 정책 속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의 태동과 건립 경위를 추적함은 물론, 그 속에서 해당 박물관이 지닌 위상을 되짚어보았다. 그 결과 도출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은 1960~70년대 박정희 정부의 ‘조국 근대화’와 ‘국가 주도 자립경제’의 구호 아래 제주도 관광개발의 정책적 구상과 계획의 일환으로 대두되었으며, 그 시발점이자 변곡점이 되었던 것은 1961년 9월 8일 실시된 박정희 의장의 제주도 첫 내방이었다. 둘째, 1964년 제주도 지역개발을 위한 최초의 계획인 동시에 관광개발을 중점으로 한 『제주도 건설종합개발계획』 중 제주시 권역에 ‘민속관’ 건립이 처음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현재의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건립을 위한 초창기 구상을 엿볼 수 있다. 이때 1964년은 제주도내 학계 및 문화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제주도 전통문화의 발굴과 보존, 민속의 전승ㆍ계발 등 제주 향토연구의 구심점이 되는 ‘제주도 민속학회’를 비롯, 제주도 최초의 사립박물관인 ‘제주민속관’이 개관되는 등 잠재된 제주 고유의 문화유산의 가치 발굴과 보존ㆍ전승, 연구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태동하던 시기라 할 수 있겠다. 셋째,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은 1960~70년대 국내 대중관광 시대의 도래에 따른 중앙정부 주도의 특색 있는 제주도 관광개발의 활성화 사업의 하나로,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의 국비 예산을 지원받아 건립 추진되었다. 즉, 국내ㆍ외 외래객의 출입문인 제주항(濟州港) 및 제주공항과 근접한 곳에 전국적으로 유일무이(唯一無二)하게 제주도의 독특한 풍물 및 생활상을 한눈에 조감할 수 있는 ‘제주 속의 작은 제주’를 표상화 한 박물관을 건립함으로써 제주 관광의 첨병 역할 수행을 기대하였다. 이렇듯 1960년대 제주의 문화관광 개발의 첫 출발선상에서 태동된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은 건립 40년, 아니 이보다 더 긴 시간의 켜를 간직하고 있는 제주도 대표 도립박물관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하겠다. Until now, the identity of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has been focused on its status as ‘Jeju Island’s first public museum’ or ‘the only museum in the country that comprehensively exhibits folk materials and natural history (of animals and plants, geology, oceans, etc.).’ In addition, previous academic research on the museum has been limited to suggesting measures to improve exhibition content and educational programs of the museum, leaving the discussion of the museum’s original status and symbolism. However, close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museum reveals it has a different foundation background than public museums in other regions. Namely, the establishment of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emerged as a part of the policy initiatives and plan for Jeju tourism development under the slogan of ‘national modernization’ and ‘state-led self-reliant economy’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in the 1960s and 1970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origins and establishment of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within the Jeju tourism development policy of the 1960s and 1970s and review the museum’s status within it by closely examining a series of record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celebrating its 40th anniversary in 2024.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emerged as part of the policy initiatives and plans for Jeju tourism development under the slogan of ‘national modernization’ and ‘state-led self-reliant economy’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in the 1960s and 1970s, of which the starting point and inflection point was Chairman Park Chung-hee’s first visit to Jeju Island on September 8, 1961. During his inspection of Jeju Island, Chairman Park noted that Jeju has abundant tourism resources, including its undeveloped beautiful natural scenery, unique traditional culture, and unique historical sites. Accordingly, he highlighted the promise of the ‘Jeju tourism project’ and instructed to prepare a realistic plan for ‘tourism development’ as a comparative advantage project and a powerful means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to improve Jeju’s underdeveloped standard of living. It served as a beginning for Jeju tourism development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Second, in 1964, as the first initiative for Jeju Island’s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which centered on tourism development, a “folk museum” in the Jeju City area was constructed, which provided a glimpse into the early conception of the current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Afterwards, the construction of ‘museums’ and ‘folklore centers’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in annual tourism development plans led by the state, such as 〈Jeju Island Specific Area Designation (Plan)〉 in 1966, 〈10-Year Jeju Isl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and 〈Land Use Plan for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the Jeju Area〉 in 1970. In addition, a blueprint for the foundation of the current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was presented in earnest from the 〈Comprehensive Jeju Tourism Development Plan〉, established by the Blue House (Cheongwadae) Tourism Development Planning Group in 1973. It included plans to build a ‘folk museum,’ ‘botanical garden,’ and ‘folk house (土俗家)’ in ‘Samseonghyeol District (Sinsan Park area),’ which was declared as a Jeju City urban planning park district in 1952. The project was given momentum when it was confirmed and announced in February 1975 through Ministry of Construction Announcement No. 32, and the following year, in 1976,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and Park Plan〉 was established, and the construction was initiated in December...

      • KCI등재

        여말선초의 濟州와 倭寇

        정영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5 No.-

        Jeju was originally called Tamraguk, and it was not until the early Goryeo Period that Gun(Commandery)/Hyeon(Prefecture) was established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were dispatched. Jeju has long been prejudiced as an “Island of barbarism” or “island of treason” even after the dispatch of local officials. Although it is located close to the southwest coast, the main stage of activities of Japanese pirates in the 14th century, there is not much feed for Japanese pirates in Jeju. It is believed that although the activities of the Japanese pirates themselves may have been small, they could not have been recorded due to their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modern Japanese scholars susp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eju people and Japanese pirate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of the Joseon Dynasty, Japanese pirates looted China while staying on Baengnyeongdo Island in Jeju, which eventually led to the Raid on Tsushima in 1419. In 1443, Japanese pirates attacked a ship on Jeju Island. It was able to arrest the culprit by the cooperation of Tsushima's chief Sou Samamori and Iki's Tokuro. The route through which Japanese pirates enter Jeju is believed to have moved along the southern coast's islands, and its entrance was Udo Island in the west. Udo, where used as a bridgehead of Japanese pirates camped in Jeju Island, the Jukdo, biyangdo (chagwido) a main road such as the neighboring island. Chagwi Island in the west may have been the gateway for the Japanese to enter the estuary of the Yangtze in China. Dumuak and Pojakin, who were from Jeju and went to land to fish and collect, carried out numerical activ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some disguised themselves as Japanese Pirates. However, this should be seen as temporary cas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not the general aspect of Jeju people. 제주는 본래 탐라국으로서 삼국시대에 신라ㆍ백제 등에 내조하였으며, 고려전기에 이르러서야 군현이 설치되고 지방관이 파견된다. 제주는 변경지역으로서 지방관이 파견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차별을 받아 왔다. 14세기 왜구의 주요활동무대인 남서해안에 가까운 위치에 있음에도 제주에는 왜구에 대한 사료는 많지 않다. 이는 왜구 활동 자체가 적었을 수도 있지만, 역사ㆍ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록으로 남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한편으로 근대 학자들에 의해 제주마 혹은 난수산의 난과 관련하여 제주민과 왜구와의 관계가 의심받기도 하였다. 일본학자들의 주장과 같이 제주민들이 증심이 되어 왜구가 일어났을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개별 사례로서 어느 정도의 제휴가 있었을 가능성 자체를 닫아둘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조선 태종 대에는 왜구가 제주에서 백령도 등지를 소굴로 삼아 체류하면서 중국을 약탈하였는데, 이는 결국 기해동정을 야기하였다. 1443년(세종 25)의 제주공선 습격사건은 對馬島主 宗貞盛와 壹岐 왜구 출신 인물인 도쿠로의 협조에 의해 주동자를 체포할 수 있었다. 이것은 조선 초 倭人 유력자에 대한 기미정책의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왜구가 제주로 들어오는 항로는 남해의 도서를 따라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그 입구는 서쪽의 우도였다. 제주에서 왜구의 교두보로 이용되었던 곳은 우도, 비양도, 죽도(차귀도) 등의 본도 인근의 섬이었다. 서쪽의 차귀도는 왜구가 중국 장강 하구지역으로 진출하는 출입구가 되기도 했을 것이다. 제주 출신으로 육지로 건너가 어로ㆍ채집을 일삼았던 두무악ㆍ포작인은 성종 대에 수적행위를 하였으며, 일부는 왜인으로 가장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제주 출신 해민들이 가지는 일반적인 양상이 아니라 성종 대에 일시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을 통해, 제주의 왜구 양상은 결국 제주의 역사적ㆍ지리적 요인에 큰 영향을 받아 육지와는 다른 전개 양상과 특징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야 말로 여말선초 왜구 양상과 한ㆍ일 관계 변화를 읽을 수 있는 단서가 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제주 화산석(火山石)을 이용한 단미(單味) 유약(釉藥) 개발 연구

        오창윤,양형석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2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present pottery glaze with which potter can express Jeju characteristic colors and texture on ceramics, by developing single taste-glaze(glaze made only of Jeju volcanic stones) using volcanic stones that have greatly influenced on Jeju culture. JejuIsland, which was formed by several volcanic eruptions, is a mysterious, exotic volcanic island where Halla mountain, wide lava region, and more than 360 ‘orum’(parasitic volcano) are located beautifully. The volcanic eruption made Jeju covered with a lot of volcanic stones and harsh environment. However, Jeju citizens have been accustomed to this harsh environment and developed their own unique culture. Recently, Jeju culture is considered as valuable culture and many people are studying about it in various fields. In this situation, pottery industry has shown considerable research results centering on Jeju soil, Jeju onggi, but no outcome in pottery glaze.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the development of single taste-glaze and try to develop glaze which enables us to express Jeju own colors and tones. For this, this study w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selected samples among volcanic stones which covered all the area of Jeju and made them into powder. Second, I made a variety of samples using Jeju soil and conducted the process of plasticity. I conducted nine times of the process of plasticity at 10°C intervals from 1170°C to 1250 °C to find out a melting point of volcanic stone and its color and characteristics by temperature. On the basis of experiment result, I drew the optimum melting temperature by analyzing the melting condition and the color by plasticity temperature. Jeju volcanic stones, generally very dark red, show the difference of melting condition by temperature. I can make sure that volcanic stone forms glassiness in plasticity of high temperature over 1230°C. which means that Jeju volcanic itself can be made into pottery glaze. I have shown the single taste-glaze which I made can be used as pottery glaze. The prominent results of this research of developing single taste-glaze using Jeju volcanic stone are that Jeju volcanic itself can be made into pottery glaze and I presented Jeju unique culture by the single taste-glaze. However the limit of research is that I didn’t reveal the detailed ingredient of the glaze, which I will stud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제주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던 화산석(火山石)을 이용한 단미(單味) 유약(釉藥) 개발을 진행하여, 제주적인 색채와 질감 표현이 가능한 도예용 유약을 개발·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도는 여러 차례 화산폭발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한라산과 넓은 용암지대(鎔巖地帶), 크고 작은 360여개의 오름(기생화산)들이 분포해 있는 신비롭고 아름다운 화산섬이다. 화산폭발은 제주에 있어 수많은 화산석이 섬 전체를 뒤덮이게 하였고, 척박한 환경을 만든 배경이었다. 하지만 제주 사람들은 이런 단점적인 환경에 적응하며, 제주만의 독특한 문화로 발전시켜 왔다. 최근 제주의 문화는 독특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자영역인 경우 제주점토, 제주옹기를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도예용 유약의 경우 그 연구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전역을 뒤덮고 있는 화산석을 이용한 단미(單味) 유약 개발이란 범위를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주적인 색채 표현이 가능한 유약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과정은 제주전역을 뒤덮고 있는 화산석 중 시료(試料)를 선정․채취하여 분말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소지시편을 제작한 후 시유와 소성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소성과정은 화산석의 녹는점과 온도에 따른 색상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170℃부터 1250℃까지 10℃간격으로 총9회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소성(燒成)온도에 따른 용융(熔融)상태와 색채의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용융온도를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제주 화산석은 대체로 어두운 적색계열의 색상을 보여주었으며, 온도에 따라 용융상태의 차이가 나타났다. 1230℃이상의 고온 소성에서 대부분 용융되어 유리질이 형성되었고 일부 시편에서 결정이 생성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이는 제주 화산석 자체만으로도 유약 사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는 결과이다. 또한 개발한 단미(單味) 유약을 실제 작업에 적용시켜봄으로서 도예용 유약으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화산석을 이용한 단미(單味) 유약을 개발 한 본 연구는 화산석 자체만으로 유약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 점, 개발한 단미(單味) 유약으로 제주적인 특수성을 보여준 점 등이 본 연구의 성과이다.

      • KCI등재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

        강수경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7 No.-

        이 글은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에 대해서 다룬다. 여기서 제주물은 상수도 시설 이전 제주 사람들이 이용하였던 물을 통칭한다. 곧 용천수, 봉천수, 우물, 빗물의 활용과 관련 있다. 제주물에 대한 인문적 관점의 연구는 용천수를 중심으로 다소 이루어진 바 있으나 폭넓게 전개되지는 못하였다. 제주물은 제주의 역사와 삶의 원천 이었다. 제주 사람들이 물을 생산하고 관리하며 이용하는 양상은 민속문화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제주물의 폭넓은 연구를 지향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제주물의 이용 양상에 대해서 용천수, 봉천수, 우물, 빗물 받기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해안에서는 주로 용천수를 중심으로 물의 이용이 이루어지고, 중산 간에서는 봉천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외에도 가정에 우물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었고, 빗물조차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제주물의 이용 양상을 바탕으로 명칭의 형성, 용도의 구분, 형태와 구조 등의 민속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제주물은 마을의 지형과 지질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민속지식과 기술을 동원한 총체적인 산물이다. 제주물은 곧 마을의 고유자원이며, 화산섬 제주가 이룩한 물문화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use and folk perception of Jejumul. Here, Jejumul refers to the water that Jeju people used before the water supply facilities. it is related to the use of spring water, Bongcheonsu, well and rainwater. Studies from the humanistic point of view on Jejumul have been conducted centering on spring water, but it has not been widely developed. Jejumul was the source of Jeju’s history and life. The pattern of Jeju people producing, managing and using water is also a folk culture. Therefore, in this paper, I intend to pursue a wide range of research on Jejumul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usage and folk perceptions of Jejumul. In this paper, first I examined the pattern of usage of Jejumul by dividing it into spring water, Bongcheonsu, well and a collecting rain water. In the coastal areas, water was mainly used with spring water and Bongcheonsu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where families prepared well and rainwater is even used actively. Based on these usage patterns of Jejumul, I looked at folk perceptions such as the formation of names, classification of uses, forms and structure. Jejumul is overall a comprehensive product with folk knowledge and technolog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topography and geology of the village. Jejumul is a unique resource of the village and a water culture established by Jeju, a volcanic island.

      • KCI등재

        일반논문 : 제주의 바람: 공동자원론적 관리 방식

        최현 ( Hyun Choe ),김선필 ( Seon Pil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6

        이 논문은 바람이라는 공동자원이 제주에서 사유화되는 과정과 이에 대한 반작용이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고, 제주의 바람과 공동자원론 간의 상호관계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공동자원론에 입각한 제주 바람의 공공적 관리방식을 모색하려고 했다. 예로부터 바람은 제주도민들에게 고난과 역경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오늘날에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경제재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제주도에 풍력발전단지가 들어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풍력발전개발과정 가운데 불거진 여러 가지 사회적 갈등은 제주사회가 제주의 바람이 지닌 공동자원적 속성에 주목하도록 만들었으며, 이는 제주의 바람을 공공의 자원으로 규정하는 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풍력발전에 관해 독점적인 권한을 갖게 된 제주도청은 풍력발전지구 선정과정 가운데 자본에 유리한 행정적 조치들을 빈번하게 시행하고, 풍력발전개발에 따른 이익을 도민사회에 환원할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제주사회 전반에 바람자원의 사유화에 대한 우려를 낳게 하고 있다. 이 논문은 공동자원론이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논리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또한 제주의 바람 사례가 공동자원론에 주는 함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검토했다. 이를 통해 공동자원론은 제주의 바람의 공공적관리가 정당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공동자원 개념은 제주의 바람과 제주도민의 역사적.지리적 관련성을 수용하고 바람에 의해 제주도민들이 겪는 피해에 따른 도민들의 특별한 권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변형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제주의 바람 사례는 공동자원 관리가 왜 반드시 협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보여준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processes of privatization of the wind as a common pool resource(CPR) and the countermovement in Jeju. It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nd in Jeju and the CPR theory, in order to seek a way to manage publicly the wind in Jeju. The people have regarded the strong wind harmful from old times in Jeju. Today, however, they start to recognize that the wind is an economic good to generate electric power. However, there are various social conflict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wind farms are built. Therefore, the people made the rule that defines the wind as a CPR and let the Provincial Government manage it in Jeju. However, Jeju Provincial Government unfairly assignes the rights to build wind farms to big companies and invokes public discontent. This situation suggests as the followings. (1) The CRP Theory is applicable to the wind in Jeju. (2) The concept of CRPs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allow the privilege to the local people who suffer from the CRP like the wind. (3) It is necessary to connect CPR Theory to governance theory.

      • KCI등재

        현용준의 제주도 무속 연구 전개와 성과

        강소전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This paper sums up the study of Hyun Yongjoon on shamanism in Jeju Island. He has made significant achievements as a pioneer in this area despite numerous difficulties he faced while doing his research. His research subjects are largely divided into shamans, spirits, shamanic rituals, shaman clothes, and shamanic tools. His work has been compiled into his representative works. Jejudomusokjaryosajeon(제주도무속자료사전) is one of his representative collections on the shamanic rituals in Jeju. Jejudomusokyeongu(제주도무속연구) is academic research results. Jejudomusokyeongu(제주도무속연구) and Jejudomusokjaryosajeon(제주도무속자료사전) are his two representative research collections. Not only are there some subjects he has neither yet dealt with nor fully covered, but also several errors are found in his works. There are as many challenges as there are his academic achievements. For example, studies on shamans require more attentions to gongsipuri and mengdu. In the case of studies on shamanic rituals, it is important to refine the criteria and details he has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and techniques. It is required that more detailed studies be carried out on shamanic tools such as shamanic instruments. Progress must be made with his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To this end, local journals and ethnography on shamanism, which can be recognized by academia, should continue to be published, and training should be undertaken for scholars in related fields. Comparative research is also important. 이 글은 현용준의 제주도 무속 연구를 다루었다. 그는 제주도 무속 연구를 본격적으로 개척한 선구자이다. 여러모로 조사현실과 조사장비가 녹록치 않았던 시절에 그가 이루어낸 성과는 놀랍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연구 내용은 크게 심방, 신령(神靈), 무의(巫儀), 무장(巫裝)과 무구(巫具)로 나눌 수 있다. 현용준의 연구결과는 몇몇 대표 저작에서 집대성되었다. 『제주도무속자료사전』은 본풀이를 포함하여 제주도 무속의례 자료를 전반적으로 다루어 수록한 대표적 자료집이다. 한국에서 지역 무속지의 전형을 이룬 사례라고 할만하다. 『제주도 무속 연구』는 『제주도무속자료사전』과 한 쌍을 이루는 학술 연구서이다.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은 『제주도 무속 연구』에서 다룬 내용들을 제외하고 그가 1960년대부터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썼던 여러 글들을 한데 모아놓은 저작이다. 현용준이 미처 다루지 못하였거나 미진하였던 주제와 나름의 오류도 여럿 있다. 그의 학문적 성과가 쌓인 만큼 과제도 늘게 마련이다. 이를테면 심방 연구에서는 공시풀이와 멩두를 들 수 있다. 무의 연구에서는 형식과 테크닉이라고 분류한 기준과 내용을 다시 새롭게 정리해 볼 필요도 있다. 무악기(연물) 같은 무구 연구에서도 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용준의 성과를 이으면서도 제주도 무속 연구를 더욱 진척시키기 위해서는 세 가지 측면에서 관심이 필요하다. 첫째, 완성도 높은 제주도 무속지의 지속적인 발간이 필요하다. 둘째, 제주도 무속의 근원적 고찰이 필요하며 비교연구까지 나아가야 한다. 셋째, 학문후속세대의 양성도 이루어져야 한다. 주제어 : 제주도, 무속,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제주도 무속 연구

      • KCI등재후보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편찬 『濟州島俚謠』의 민요 수록 양상과 『濟州島の民謠』와의 비교 검토

        이승준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This study compares Aspects of 『Jejudo-riyo(濟州島俚謠)』’s Folk Songs by Takahashi-Doru(高橋亨) with 『Folk Songs of Jejudo(濟州島 の民謠)』. Th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Jejudo-riyo』 compiled through the Jejudo Folk Songs survey in 1929. 『Jejudo-riyo』 is all 16 pages. And 11 Jejudo Folk Songs are included. Folk songs and classifications of 『Jejudo-riyo』 influenced 『Folk Songs of Jejudo』, a compilation of research on folk songs of Takahashi-Doru. Therefore, comparing it with 『Folk Songs of Jejudo』 is an understandable standard for his research on Jejudo folk songs. He basically understood Jejudo folk songs as women's songs. This perspective had a influence on 『Jejudo-riyo』's folk songs being published in 『Folk Songs of Jejudo』. In the process, folk songs that were only included in 『Jejudo-riyo』 included.. This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source of Jejudo folk songs. 본고의 목적은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7~1967) 편찬 『濟州島俚謠』의 민요 수록양상과 구성 체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아울러 『濟州島の民謠』와의 비교를 토대로 민요집으로서 『濟州島俚謠』의 위상을 점검하고자 한다. 일제 식민지 일본인 학자 다카하시 도루에 의해 편찬된 『濟州島俚謠』에는 1929년 제주도 민요 현지 조사를 통해 채록한 민요가 수록되어 있다. 『 濟州島俚謠』는 동경대학교 오구라문고에 소장된 민요집으로서 현재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에서 온라인 서비스 중이다. 총 1책 16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주 민요 11편이 확인된다. 민요는 한글과 일본어를 병기하되, 한글 표기는 민요를 최대한 전사한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한글 표기에는 쉼표와 맞춤표가 확인되는데, 이는 사설의 의미 단위와 음보 단위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어 표기는 민요의 의미를 최대한 밝혀 적었으며 의역한 사례도 상당수 확인된다. 『濟州島俚謠』에 수록된 제명은 전승된 것이 아니라 작품 분류를 염두 하여 편찬자가 작명한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시론적 분류 체계도 확인된다. 『濟州島俚謠』의 수록 민요와 분류 체계는 훗날 다카하시 도루의 민요 연구를 집대성한 『濟州島の民謠』 편찬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濟州島の民謠』와의 비교 작업은 다카하시도루의 제주 민요 연구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는 기본적으로 제주 민요를 여성의 노래로 이해하였는데, 이는 『濟州島俚謠』 소재 민요의 『濟州島の民謠』 수록 방향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과정에서 『濟州島の民謠』를 편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濟州島俚謠』에만 수록된 민요가 확인되는바, 제주 민요의 각편 자료로서도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제주어를 이용한 제주서체 개발

        고창균 ( Chang Gyun K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7 No.-

        현존하는 제주어의 특징을 찾아 한글자모의 기원인 가림토문자에서 부터 아래아의 훈민정음, 광개토대왕비문, 광개토대왕비문의 특징을 살린 평보 서희환의 서예한글, 추사 김정희의 제주 유배 시에 완성된 작품들을 토대로 서체의 특징들을 고찰하였고, 제주의 자연환경과 문화풍습과 어우러진 제주의 이미지를 담은 서체를 개발하기 위해 제주화산섬에 산재해 있는 현무암이야말로 제주인의 강인함을 표현할 수 있는 좋은 소재로 제주 상징서체에 현무암의 이미지 질감을 표현하여 ‘제주 현무암체’로 만들었다. 지정서체인 돋움체는 ‘제주 하르방체’로 네이밍하였는데 그 특징은 제주의 소중한 문화유산의 하나인 ‘정낭’의 정주석과 정주목을 표현하였고, 바탕체인 ‘제주 은갈치체’는 제주의 초가형태의 특징과 가로줄기의 첫 부분과 맺음 부분의 세리프는 제주의 억새와 은갈치의 부드러움을 서체에 담았다. To develop a font representing image of natural environment,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Jeju Island, we have reviewed diverse calligraphic designs from Garimto letters, Hunminjeongeum, the monumental inscription of Gwanggaeto the Great, calligraphic designs of (Pyeongbo) Seo Heehwan and calligraphic works of (Chusa) Kim Jeong-hui made during his exile in Jeju Island. We find that basaltic rock scattered around the island is an ideal material for the new font which can depict the toughness and tenacity of Jeju people. Based on such diverse elements and texture of basaltic rocks, we make a font called `Jeju Hyunmooam.` The default sans-serif typeis named as `Jeju Harubang,` which illustrates the Jeongjusek and Jeongjumok of `Jeongrang,` one of prestigious cultural heritage of Jeju. The serif type is called `Jeju Eungalchi,` which represents smooth lines of a local straw-roofed house, as well as softness of silver grass and hairtail fish on serifs at the starting / ending points of horizontal lines.

      • KCI등재후보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지도 조사

        진순실,김효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6개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수준 및 거주 지역과 성별에 따른 집단간 인지도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바른 이해와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나아가 제주 향토음식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SS 18.0을 이용하여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와 맨-휘트니(Mann-Whiteny) U-test를 이용하여 집단 간의 평균 순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 향토음식 중 매우 높은 인지도 수준을 보인 음식은 배추김치, 고등어구이, 무김치, 보리밥 순이며, 인지도가 가장 낮은 음식은 후식·간식류의 쉰다리, 오메기술, 마늘엿, 감주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거주 지역에 따른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음식은 밥·죽·한 그릇 음식 중 녹두죽, 전복죽, 보말죽, 국·찌개 종류 중 호박잎국, 보말국, 톳냉국, 반찬 종류 중 양애무침, 자리구이, 옥돔구이, 저장식품류 중 자리젓과 장아찌류의 마농지, 반치지, 깻잎장아찌, 양애간지, 후식·간식 종류 중 지름떡과 호박엿이었다.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음식은 밥·죽·한 그릇 음식 중 감자밥과 닭죽, 국·찌개 종류 중 소라물회, 반찬 종류 중 오징어적, 고사리무침, 고등어구이, 장어구이, 저장식품류 중 자리젓과 깻잎장아찌, 배추김치이며 후식·간식 종류 중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음식은 없었다.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지도 수준은 저장 식품과 후식·간식종류의 음식에서 특히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거주지역별 인지도는 농촌 학생 집단이 도시 학생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남,녀 학생 성별 간 인지도는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level about native local foods in Jeju and to analyze dif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groups by their residential area and sex.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surveying the 5th and 6th graders in Jeju, and 271 questionnaires were incoded from 277.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Mann-Whiteny U-test as inferential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analyze data by SPSS 18.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regard of recogni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native local foods in Jeju, it was very high in Baechu-Kimchi(M=4.82), Kodeunguh-Gui(M=4.36), Mu-Kimchi(M=4.33), Bori-Bap(M=4.31) between the main dishes, and very low in Syindari(M=1.54), Omegi-Sul(M=1.58), Maneul-Yeot(M=1.64), Gamju(M=1.68) between the deserts and snack.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students in Nokdu-Juk(p=.000), Jeonbok-Juk(p=.009), and Bomal-Juk(p=.004) among types of rice, gruel and one-dish meals, Hobakip-Guk(p=.000), Bomal-Guk(p=.036), and Totnaeng-Guk(p=.026) among types of soup and stew, Yangae-Muchim(p=.001), Jari-Gui(p=.024), and Okdom-Gui(p=.002) among types of side dishes, Jari-Jeot(p=.000), Manongji(p=.000), Banchiji(p=.001), Ggaeip-Jangaji(p=.006), and Yangaeji(p=.005) among types of preserved food, Jireum-Ddeok(p=.021) and Hobak-Yeot(p=.041) among types of preserved food.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amja-Bap(p=.050) and Dak-Juk(p=.013) among types of rice, gruel and one-dish meals, Sora-Mulwhoe(p=.037) among types of soup and stew, Ojingeo-Jeok(p=.026), Kosari-Muchim(p=.033), Kodeunguh-Gui(p=.044) and Jangeo-Gui(p=.044) among types of side dishes, Jari-Jeot(p=.016), Ggaeipjangaji(p=.006) and Baechu-Kimchi(p=.013) among types of reserved food, whil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was observed among types of desserts and snacks.

      • KCI등재후보

        오사카 이쿠노쿠 지역 재일제주인의 제주방언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김보향 ( Bo Hyang Kim ) 영주어문학회 2014 영주어문 Vol.28 No.-

        오사카 이쿠노쿠는 많은 제주 사람들이 모여 생활해 온 대표적인 곳으로 일본으로 이주한 제주 사람들은 정착 초기부터 같은 고향 사람들과 사회를 형성 고향을 재현하며 생활해 왔다. 모어를 습득한 후 일본으로 건너간 제주 사람들은 일본으로 이주해 가면서 자신들의 언어까지도 고스란히 가지고 가서 일본에서 생활해 왔다. 이들은 상황에 따라 제주방언과 일본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이중 언어 화자이다. 그리고 제주방언과 일본어가 섞인 혼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지역에 제주방언이 보존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지 확인하고자, 이중 언어 사회에서 재일제주인의 언어 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언어 태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 방언인 제주방언이 해외 이민 사회에서 지속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그것은 제주방언이 세대 간의 전승이 이루어지지 않아 2세대 이후에서는 제주방언이 일본어로 교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이민 역사 100년 동안 재일제주인 사회에서 제주방언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재일제주인이 집단을 이루어 생활해 왔고 일본과의 정식적인 교류가 끊겼던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많은 제주방언 화자들이 유입되면서 언어 집단이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이민 1세들이 생을 달리하여 그 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일상생활어로 제주방언은 설 자리를 잃었고, 다만 제주 출신자들 간의 친목, 유대감을 유지시켜주는 언어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다. Ikuno-ku, one of the wards of Osaka, is a representative place where a number of Jeju people have lived together, reenacting their hometown by creating a community with those from the same homeland since the early stage of their settlement. Jeju people who had acquired Jeju dialect before emigrating to Japan brought their own language with them as it was, and have settled in the region. They are bilingual speakers who choose either Jeju dialect or Japanese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Or, they use elements from the two languages in the same sentence. Previous reports suggest that Jeju dialect has been preserved in the said region. This document has examined whether the preservation is sustainable, how Jeju people make their language choices, and what language attitudes they have. The document has concluded that chances appear to be slim that local Jeju dialect will remain in the Korean communities abroad. The reason is because Jeju dialect is not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s, and is replaced with Japanese, starting with the third generation immigrants. Jeju dialect managed to remain in the immigrant communities in its century-old history as the Jeju people have lived in groups and the region saw a continuous inflow of many Jeju dialect speakers even during the period when psychological exchange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were suspended. The number of first generation immigrants is decreasing as many of them have passed away. Therefore, Jeju dialect lost its status as a daily spoken language, but only serves as a language to maintain the friendship and fellowship among those people from Je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