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과 가정생활 분야 중심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효심,허미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the famil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on multicultur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25 3th graders at “J” Elementary School in Jeju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other third graders attending the same school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famil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about six weeks from March 26, 2018 to April 30, 2018 and the comparative group, gener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 class curriculum. A preliminary survey of multicultural attitude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confirming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The result of the test was analyzed through t-verifi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to 5%.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behavioral change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behavior observation, writings about im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observed in overall attitude toward multi-culture and in all of its three sub factors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behavioral domain(p<.001), when attitude toward multi-culture was tes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has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multicultur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post means of experimental group was observed in overall attitude toward multiculture and its three sub factors(p<.001), perform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famil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post means of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has a positive effect in proving their attitude toward multiculture. Third, the qualitive analysis of student's behavior observations and their activity impression reports was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f this study for improving broad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multiculture too.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총 6주 12차시에 걸친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제주시 소재 J초등학교 3학년 1학급 학생 25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학급 학생 25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해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학급교육과정에 의한 수업을 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의 t 검증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 다문화 태도에 대한 동질성을 확인하고, 다문화 태도 관련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검사 자료에 대한 두 집단 평균점수의 비교 분석을 하였으며, 교사의 학생 행동 관찰 내용, 학생의 소감문 등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 전반적인 다문화 태도 점수 및 하위 구성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또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다문화 태도 점수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전반적인 다문화 태도 뿐 만 아니라 하위 구성요소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p<.001),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다문화 태도 점수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전반적인 다문화 태도는 물론 하위 구성요소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덧붙여 학생들의 행동관찰 내용과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역시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며 편견을 깨고 서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긍정적인 다문화 태도를 기르는 데 본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뒷받침해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 KCI등재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 오색 컬러푸드 농산물 이용을 중심으로-

        김효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the elementary cooking exercise program for creative activities curriculum focusing colorful local food especially in Jeju Island, to intensify insufficient dietary life program and promote national green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has composed of 3 areas with 22 subjects, meaning of green dietary life and practice(4 subjects), understanding and activities of agriculture and local food(8subjects), and cooking exercise program using color food in Jeju(10 subjects). Al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used for creative activities curriculum programming as a useful framework, further for related subjects,dietary coaching for school meals, and green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f every regions. 본 연구에서는 현행 학교 식생활교육을 강화함과 아울러 녹색식생활교육의 내실화 및 활성화를촉진하기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제주지역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조리실습 활동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제주지역 농업과 오색컬러푸드 농산물 관련 이론 및 체험활동 주제를 추가하여 녹색식생활교육의 핵심 내용을 습득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녹색식생활의 이해와 실천 교육’ 관련 4주제, ‘지역 농업 및 농산물에 대한 이해 및체험활동’ 관련 8주제, 그리고 ‘제주지역 오색 컬러푸드 농산물을 이용한 조리실습과 맛 체험’ 관련 10주제 등 총 3 분야 22 주제로 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활용방안을모색하였다. 제주지역 초등학교 5, 6학년용 프로그램으로 한정하였으며, 실제 적용 및 평가를 포괄하지 못한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임을 밝혀 두며, 이 틀을 토대로 제주지역 이외의 타 지역 초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비롯하여 교과관련 식생활교육 및 교과 외 급식지도와 녹색식생활교육 실시 등 여러 식생활교육 장면에서 참고와 활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노후적응과 사회적 관계망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효심 濟州敎育大學校 1993 論文集 Vol.22 No.-

        This theis is written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adjustment of the aged and used the descriptive method through references and materials relate to the adjustment of the aged.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is is : 1. concepts on aging 2. developing tasks in later life and adjustment of the eldrely 3. concepts and function of social network 4. patterns of social network of the aged 5. alternatives for ajustment of the aged It is found that social network is important factor with functions of the emotional support, role-giving, and instrumental services for the aged to solve the varied problems in later life and to help their ajustment. For the ajustment of the aged, it's very important the function of social network-their family, friends, kin, neighbor, etc.-. The aged should try to be psychologically independent and to adjust to new roles, status and altered styles of lif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network. The following approaches about the ajustment of aged from now on should be focused on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structures and functions of the social network, and influences on the adjustment in later life.

      •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결속도 연구 : 제주시 아동을 대상으로

        김효심 濟州敎育大學校 1997 論文集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general trends of the communication types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 and to analyze communication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their cohesion. Subjects were 294 children of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Cheju and they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 The results are as follow ; Children needed more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especially with their fathers. The children's perception of the cohesion with their par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time per a day, perception of communication time, communication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overall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ncrease family cohesion is the efferts of family members themselves and educational programs improving the family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식생활교육프로그램이 예비초등교사의 식생활교육과 식생활능력 및 농업소양 평가에 미치는 효과

        김효심,김종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식생활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식생활교육, 식생활능력, 농업소양의 평가점수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J교대 2학년생 102명을 대상으로 2015학년도 2학기 동안 실시하였고, 자기보고식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C용 SPSS 패키지프로그램에 의한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예비초등교사의 식생활교육 평가 점수의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p<.001), 하위 영역인 정의적 영역(태도-관심), 인지적 영역(지식-이해), 기능적 영역(참여-실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식생활능력 평가점수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p<.001), 식품선택, 식사준비, 영양관리, 지속가능한 식생활, 자기평가 등 5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식생활교육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농업소양 평가점수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p<.001), 농업의 이해와 농업과 식품 하위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질적 평가를 위해 분석한 예비초등교사의 주관적 진술 또한 예비초등교사 대상 식생활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식생활교육과 식생활능력, 농업소양 평가 점수의 향상 효과를 재확인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improving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evaluating scores of dietary life education, food literacy, and agricultural literacy. It was applied to 102 2nd-year students in the course of Practical Arts EducationⅡ during second semester in 2015. It was used to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levels of dietary life education, food literacy, and agricultural literacy through pre-post test. It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 t- test of PC SPS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pre-post scores of total dietary life education and 3 sub-areas of an affective domain(attitude-interest), a cognitive domain(knowledge - understanding), a skill area(participation - practice)(p<.05). Secondly,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results between pre-post scores of total food literacy and 5 sub-areas of food choices, meal preparation, nutrition management, sustainable eating habits, self-evaluation too(p<.05). Third, it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results between pre-post scores of total agricultural literacy and 2 sub-areas of agricultural understanding, ​​agriculture and food(p<.05). Finally, it was qualitatively supported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education, food literacy, and agricultural literacy in this study by focusing and classifying their subjective expression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실과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김효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 실과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실과 교육내용에 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2009(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가정생활’ 및 ‘기술의 세계’ 교육내용 영역 24개 항목을 중심으로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및 교사 자신이 가진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기초로 보리치(Borich)의 요구도 산출 공식을 이용하여 실과 교육내용에 관한 교육요구도를 계산해 내었다. SPSS 18.0 for Windows Packages를 이용하여 290명의 초등교사에게서 얻은 설문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사는 ‘기술의 세계’ 영역보다 ‘가정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해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과 교육내용 항목들 전반에 걸쳐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수준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가정생활’ 영역의 ‘생활 속 헝겊 용품 만들기’ 교육내용이 전체 1순위 그리고 ‘기술의 세계’ 영역의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교육내용이 2순위였다. 2. 실과 교육내용 항목들에 대해 초등교사 자신의 보유 능력에 대해서도 대체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비해 낮았으며 ‘가정생활’ 영역보다 ‘기술의 세계’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해서 자신의 능력이 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낮은 점수가 나온 항목은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와 ‘생활 속의 식물 가꾸기’였다. 3. 교육요구도 산출 결과, ‘기술의 세계’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나 전체 1위부터 7위까지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 ‘생활 속의 식물 가꾸기’, ‘동․식물 자원과 환경’,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 ‘멀티미디어 자료 만들기와 이용’,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기술과 발명의 기초’ 순으로 이어졌고, 그 다음이 ‘가정생활’ 영역의 ‘생활 속 헝겊 용품 만들기’ 내용으로 전체 교육요구도 순위는 8위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E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24 education contents about ‘home life’ and ‘world of technology’ in Revised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2009(2011) by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of the perception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RCL)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present competence level(PC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of 290 cases and processed by SPSS 18.0 for Windows Packag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competence level(RCL) about items of 'home lif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world of technolog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making cloth items in our life'(1st), 'making inventive products in our life'(2nd)). 2. Their present competence level(PCL) about items of 'world of technolog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home lif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animal caring in daily life'(1st), 'plant gardening in daily life'(2nd)). 3. Their educational needs(EN)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appeared higher in items of 'world of technology' than in 'home life'. Seven in the head ranks in order among all items became clear to 'animal caring in daily life', 'plant gardening in daily life', ‘animal/plant resources and environment’, ‘informational instrument and cyberspace’, ‘making and using of multimedia materials’, ‘making inventive products’, and ‘the basis of technology and invention' of 'world of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making cloth items in our life' of 'home life' took the 8th place among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