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약용의 역학관 형성에 미친 모기령의 영향

        방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8 다산학 Vol.- No.33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Mao Qiling’s influence on Tasan Jeong Yak-yong’s view of the Changes. Tasan made a fierce criticism on Mao Qiling’s theory of the interchangeability between the so-called son hexagram and the mother hexagram.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Mao Qiling’s theory has a lot of ingenious aspects. But at the same time, it has a critical problem as Tasan indicated. Nevertheless, if we take Tasan’s statement as read, there is a danger to conceal the fact that he also accommodated some parts of Mao Qiling’s theory. Mao Qiling’s influence is especially conspicuous in his tuiyi(推移) theory. Firstly, the division of 64 hexagrams into two parts of bigua(辟卦) and yangua(衍卦) is influenced by Mao Qiling because it depends on Mao Qiling’s classification of gathered(類聚) and dispersed(群分) hexagrams. Secondly, the term of the tuiyi is also commonly used both in Tasan and Mao Qiling. Thirdly, the inclusion of the xiaoguo(小過) and zhongfu(中孚) hexagrams seems to be influenced by Mao Qiling. Fourthly, Mao Qiling’s standpoint that tuiyi is the principle of linking the hexagram image with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Zhouyi(演易繫辭) is also shared by Tasan. On the other part, Tasan was hardly influenced in the case of yaobain (爻變) theory. According to Tasan’s opinion, the fundamental reason that Mao Qiling committed the fallacy lies in his ignorance about the theory of yaobian. But Tasan’s assertion that Mao Qiling was ignorant of the yaobian theory should be critcally reconsidered. Mao Qiling had the exact knowledge that the yao(爻) changes when it is laoyang or laoyin and that the previous original hexagram(本卦, bengua) is transformed into the altered hexagram(之卦, zhigua). However, he did not think that it should be the principle of linking the hexagram image with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Zhouyi. Also the fact that Mao Qiling did not include the yaobain in the five yi theory(五易說) shows that he did not regard it as the method of interpreting the words of the Zhouyi. But from Tasan’s perspective, not only the tuiyi but also the yaobain becomes the principle of linking the hexagram image with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Zhouyi. 이 논문의 목적은 다산 정약용의 역학사상의 형성에 미친 모기령의 영향을 밝히려는 데 있다. 다산은 「제모대가자모역괘도설題毛大可子母易卦圖說」에서 모기령의 자모역괘설子母易卦說이 괘변설卦變說에 큰 혼란을 일으켰다고 비난하였다. 다산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큰 틀에서 본다면 다산과 모기령의 추이설은 뚜렷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첫째, 다산이 『주역사전』에서 썼던 추이推移라는 용어도 모기령이 『중씨역』에서 이미 사용했던 용어이다. 둘째, 다산이 유취類聚와 군분群分의 관점에 의하여 역괘易卦를 벽괘辟卦과 연괘衍卦로 분류한 것도 모기령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셋째, 다산이 소과와 중부를 벽괘에 포함시킨 것도 역시 모기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모기령은 추이를 연역계사의 원리로 보았는데, 이 점에서도 다산의 견해는 모기령과 일치한다. 다산이 모기령의 추이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것과 달리 효변설에서는 모기령의 영향을 받은 바가 거의 없다. 다산은 모기령이 역사易詞 해석에서 오류를 범하게 된 근본적 원인이 그가 효변에 대해서 무지無知하였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모기령은 효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갖고 있었다. 다만 모기령은 효변을 점변占變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보았으며, 연역계사의 원리로 보지는 않았다. 모기령이 효변을 오역설五易說에 포함시키지 않았다는 것은 효변을 역사易詞 해석의 원리로 간주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산의 관점에서는 추이 뿐 아니라 효변도 역시 연역계사의 원리가 된다.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청(淸) 모기령(毛奇齡) 악론 비판: 악서고존(樂書孤存) 권6 ‘박(駁)’부를 중심으로

        김세중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22 동양음악 Vol.51 No.-

        Very little has been studied on Jeong Yak-yong’s criticism of Mao Qi-ling, an early-Qing Confucian scholar, in Chapter 6 of his Akseo gojon. The essay overviews Mao’s music theory and Jeong’s criticism of it in so far as they appear in the Gojon. By the way, the inclusion of the “advertising and criticizing” Mao in the Gojon seems absurd, because Mao’s theories, as is Jeong’s own, are nearly dogmatic and heretical, and therefore had little evil influence on their contemporary studies on music. The essa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Jeong had maintained an envious and hostile attitude towards Mao and suggests that the question be solved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investigation into Jeong’s studies of Scripts, especially of the donctrine of Change. 청(淸) 고증학자 모기령(毛奇齡, 1623~1713)의 악론(樂論)을 소개하고 비판한 악서고존(樂書孤存) 제6장은 음악학계의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분야이다. 이 글은 정약용의 소개와 비판을 중심으로 모기령 악론의 내용을 개관하고, 그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을 살펴본다. 한편 모기령 비판은 악서고존의 체재나 이 책을 저술한 뜻과 잘 어울리지 않는다. 모기령의 악론은 정약용 악론만큼이나 독단적이어서 당대 악론에 끼치는 악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 글은 경학자(經學者)로서 정약용이 모기령에 대해 ‘경쟁의식을 넘어선 반감’이 있었다는 사실을 단서로, 정약용이 모기령 비판에 지면과 노력을 할애한 이유를 ‘다산 경학 또는 역학(易學)’이라는 더 큰 맥락 안에서 찾아야 함을 향후 과제로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약용의 점서적 역학관 연구: 주희와 모기령 비교

        신원봉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4 다산학 Vol.- No.25

        Zhu Xi(朱熹) Mao Qiling(毛奇齡) and Cheong Yagyong(丁若鏞)hold the perspective that Zhouyi(The Changes of the Zhou) is a book ondivination in common. As this perspective is not often seen in the historyof Zhouyi’s thoughts, this study have emerged it as a new fl ow ofthough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ach other. For this, in ChapterII,the background of thoughts for which this perspective is establishedwas watched for. And in ChapterIII, the way of reading for Zhouyiestablished by them was watched for. And in ChapterIV, the concretecontents of divination established by them was watched for. The backgroun of Zhu Xi’s view of divination was Neo-Confucianism. From a actual perspective, he recognized that Zhouyi is a book ondivination, and expanding the principle of nature applied in divinationhe tried it to graft onto his metaphysical theory. In this course, Zhu Xiaccepted taoist’s natual perspective of Zhouyi on a grand scale. But inthe view of Mao Qiling, Zhu Xi’s study of Zhouyi was not traditional Confucianism. So, Mao Qiling tried to reestablish the original featureof Confucian Zhouyi. For this purpose, he tried to reinterpret Zhouyithrough his own ‘Five Theory for Zhouyi(五易說)’. Cheong Yagyongalso thought that Zhouyi should recover it’s original feature. But differentfrom Mao Qiling, he tried to establish coherence theory of divinationfor Zhouyi throughout the theory of ‘Five Theory for Zhouyi’. The view on Zhouyi they developed in the perspective of divination,advanced more concrete method by Cheong Yagyong. The eye-openingprogressive method by Cheong Yagyong was two aspect. The one wasnew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hang on to string to represent thethird”<掛一以象三>. And the other was that the number of Yaobian(爻變)is only one. This original view for Zhouyi can be estimated to open aNew Horizon. 주희, 모기령, 정약용은 모두 『주역』이 점서占書였다는 관점을 공유했다. 이 관점은 역학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주장을 서로 비교해 하나의 새로운 사상적 흐름으로 부각시켜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들 점서관占筮觀이 정립된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이들에 의해 새롭게 정립된 『주역』의 독법讀法을, 그리고 4장에서는 이들이 발전시킨 점서법占筮法의 구체적 내용에대해 살펴보았다. 주희 점서관의 사상적 배경은 성리학이었다. 주희는 실사구시적 측면에서 『주역』이 점서임을 확인했고, 아울러 점서적 측면에 활용된 자연의 이치를 확충해 그의 이학理學과 접목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주희는도가의 자연역自然易을 대거 수용했다. 그러나 모기령이 볼 때 주희의역학은 정통의 유가 역학이 아니었다. 모기령은 복서卜筮를 통해 유가역儒家易의 원래 모습을 재현하려 했고, 자신의 ‘오역설五易說’로 『주역』을새롭게 재해석하려 했다. 정약용 역시 『주역』이 유가역의 본래면목을회복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모기령과는 달리 효변설爻變說의 체계로써 정합적整合的인 점서관의 체계를 확립하고자 했다. 이들이 발전시킨 점서적 역학관은 정약용에 의해 구체적 점서법으로 발전되었다. 정약용에 의해 정립된 점서법의 내용 중 괄목할 만한 것은 두 가지 측면이었다. 하나는 「계사전」 설시법揲蓍法의 내용 중 “하나 를 걸어 삼재三才를 상징한다[掛一以象三]”라는 구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었다. 아울러 정약용은 각 책策에는 각기 다른 괘명卦名과 괘획卦畫이새겨져 있었다는 주장을 근거로 변효變爻의 개수가 오직 하나밖에 없다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는데, 이 견해는 역학사의 새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고문상서(古文尙書)』 논변과 주이존(朱彛尊)의 영향

        신재식 ( Shin Jae-si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주자의 『古文尙書』 의혹설에 주목한다. 청나라 사행단을 통해 명말청초 경학가 朱彛尊·顧炎武·毛奇齡의 설을 접한 것이 그 계기다. 그 가운데 『古文尙書』 문제를 촉발시킨 학자는 모기령이다. 모기령의 梅?本 眞本說의 의도가 주자의 『古文尙書』 의혹설 부정에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학계에서 주자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자 지식인들은 주자 설의 초년과 만년의 차이를 파악하고 그 정설을 해명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그 과정에서 주자의 의경정신 역시 파악하고 그 학문태도를 본받는 방향으로 학술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주자 설을 부정하는 목적을 가진 모기령의 尙書說을 접한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모기령의 설에 대응하기 위하여 주자의 尙書說을 보완하고 그 타당성을 입증하려고 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주이준, 고염무, 염약거의 설을 적절한 논거로 활용한다. 특히 주이준의 尙書說은 조선후기 지식인이 주자의 『古文尙書』 의혹설에 주목하게 된 계기일 뿐만 아니라 모기령 비판의 핵심 논거로 활용된다. 서유구·성해응·정약용 등이 孔壁古文梅?進上說·孔壁古文未確認說·書序孔傳疑惑說 등 주자의 의혹설의 요지를 파악하고 이를 해명하기 위하여 『曝書亭集』 권58 <尙書古文辨>, 권59 <書論>, 『經義考』 권73~77 「書」, 권284 「承師」 4 <尙書> 등에 수록된 주이준의 설을 활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주이준의 설을 근거로 주자의 『古文尙書』 의혹설을 옹호한 사례라 할 수 있다. The starting point of the issue was because they received Zhu Yi-zun, Gu Yan-wu, Yen Juoch's views. The orthodox neo Confucian scholar though, send envoys to channel to Qing Dynasty. Among them, scholar Mo Ki-rung, triggered the matter of Guwenshangshu. Because of that intention, Mo Ki-rung insisted that meize' Guwenshangshu copy was original which was to deny orthodox Neo-Confucian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hoson Dynasty, which is selected orthodox Neo-Confucianism as ruling ideology, they thought that Mo Ki-rung's theory had an underground opinion and can not be criticised. So Korean confucianists needed to conform to Mo's opinion. that's why they tried to supplement the view about 'Guwenshangshu' to arouse suspicion and prove the validity. Along the way they adopt Zhu Yi-zun, Gu Yan-wu, Yen Juoch's theory as grounds for the argument. Especially Zhu Yi-zun's theory is served as a momentum that Korean confucianists focused on the Chu Hsi's theory of shangshu and used this as the key argument. Seo yu-gu, Seong hae-uhng and Jeong Yak-yong selected Zhu Yi-zun's theory for the justification Chu Hsi's theory. It is these cases that jung-jo period's intellectuals used Zhu Yi-zun's theory for surporting Chu Hsi's theory.

      • KCI등재

        한중(韓中) 인물기사(人物記事)의 한 국면(局面) - ‘난리’를 기사화한 정약용(丁若鏞)과 모기령(毛奇齡)의 경우 -

        정난영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8 No.-

        본고는 당대 사회를 뒤흔들었던 사건을 취재한 記事 중 독특한 특징을 지닌 茶山 丁若鏞의 기사와 명말청 초의 인물인 毛奇齡의 기사를 비교․검토하여 각각의 양상과 그 보편적 의미를 규명하였다. 이는 아직 그 면면이 확인되지 않은 기사의 총체적 면모와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준비 작업의 일환이다. 중국의 경 우와 비교․검토를 한 것은 우리나라 기사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을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 모기령의 인물기사는 주로 당대의 전란을 통과하면서 드러난 인물의 충효열을 기록한 작품이 중심을 이 루고 있다. 또한, 작품 속에 사건에 대한 의론이 개진되는 경우가 드물고, 사건 그 자체를 곁가지 없이 있 는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다산의 기사에는 자신이 겪은 ‘辛酉邪獄’과 그로인해 파생된 사건을 통해 알게 된 인물들의 이야기가 담 겨있는데, 여기에는 모두 ‘모함’과 ‘무고’, ‘억울함’이 관통하고 있다. 또한 사건 그 자체보다는 사건이 일 어나게 된 원인에 무게중심을 싣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인생을 바꿔놓은 사건을 재조명하여 그 이 면을 드러내고 있다. 두 경우 모두 서사․서술적 측면에서 변화의 양상이 감지되는 당대 기사의 흐름에서 ‘사건 전달’이라는 기 사의 본래적 특성에 충실하여 자기시대의 사회적 이슈에서 파생된 사건들을 즉사적으로 기록하였고, 의 론이 드러나지 않는 작품이 대부분이라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그러나 모기령은 작가에게 있어 직접적일 수도 있지만 간접적으로도 볼 수 있는 ‘전란’이라는 경험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다산은 자신이 직접 겪은 일에서 양산된 일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또한 모기령은 단순히 사건을 전달하는 데 목적을 둔 데 반해, 다산은 사건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내․외부의 구분 없이 ‘기사’ 장르라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보면, 두 경우 모두 사건을 객관적으로 전달 한다는 목적 아래 기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자신의 입지를 지켜내고자 하는 인간 본능이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국경을 초월한, 기사의 보편적인 양상 중 하나로 읽혀진다. The thesis performs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writings on the incidents that jolted the contemporary society, particularly the distinctive ones by Jeong Yak-yong whose pen name was Dasan and those by Mao Qiling who lived in the late period of Ming Dynasty and in the early period of Qing Dynasty, and elucidates their aspects. And this is intended to grasp the total configur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which the details have yet to be verified. The comparative examination with the Chinese case is designed to ensure a more objective view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the incidents that took place in Korea. The historical writings by Mao Qiling focused on featuring the loyalty to the monarch and to parents that revealed itself through the contemporary wartime upheavals. Also, opinions were rarely presented on incidents in the writings, while a factual description of the incidents was provided. Dasan's historical writings include details about Shinyu Saok ('Heresy Case in Shinyu Year of 1801') that he experienced and personages that he came to know through the incidents derived from it, and they are pierced by 'slander', 'false accusation', and 'distress from innocence'. Furthermore, the center of gravity is placed not on the incident itself but on its cause, through which new light was brought on the incident that entirely changed his life, to reveal its hidden side. Both authorships are vivid recordings of incidents that derived from respective contemporary social issues and include writings mos of which don't reveal opinions. On the other hand, while Mao Qiling's writings were backgrounded by his experience of 'wartime upheavals' which could b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author, Jeong Yak-yong wrote about things that proliferated from what he was personally involved in. Furthermore, while Mao's purpose lay in presenting incidents, Jeong put his focus on narrating his case by revealing incidents. Accordingly, their descriptions are seen as diverging.

      • KCI등재

        명말청초 문학과 북학파 문학의 변별점 - 연암 박지원과 형암 이덕무를 중심으로

        朴在慶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7 No.-

        본고에서는 연암 박지원과 형암 이덕무를 중심으로 18세기 북학파가 보인 문학양상이 명말청초의 그것과 어떤 변별점을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의명분과 경세의식이 두드러지게 대두된다는 점을 ‘모기령’의 비판적 태도와 문학인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모기령의 변절과 주자비판에 대한 비판적 입장과는 별개로 그의 경학과 학문적 성과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조선 문인들의 독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주자학의 논리에 배치된다고 무조건적으로 비난하던 이전 문인들의 경향과 달리, 배울 점이 있다면 어떤 대상이든 간에 감상적인 평가와 별개로 배우고 활용할 수 있다는 북학파의 합리주의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춘추대의를 중시하는 것과 경세의식을 중시하는 부분이 만나 북학파에게 있어 새로운 의식을 배태하게 하는데 그것이 바로 ‘실질적 명분론’이다. 그 결과, 연암일파는 명말청초 문학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냉정한 비판적 태도를 갖게 되었다. 그것이 그들이 명말청초 문학과 구분되는 점이다. 이것은 주관적인 자신의 취향에 따른 호오선택이 아닌 객관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암일파의 문학비평론 기준을 엿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그래서 그들이 구현한 ‘실사구시의 글쓰기’는 청초 실학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조선만의 특색을 잃지 않고 있다. 같은 경세의식에 대한 강조도 문학론으로 확장하지 않은 중국 실학의 것에 비해 조선은 그것이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경향으로 일체화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포착되어 설명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그러한 경향이 실질적 명분론을 비롯, 구체적인 북학에 대한 주장이나 경제와 관련된 정책의 제시는 물론이고 문학의 효용론적 관점을 강조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연암일파의 사고 전반에 깔려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 전범이라고 보아야 그 전모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manuscript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18C Bukhak-pa's literature aspect and late Ming Dynasty and early Ch'ing Dynasty's. As a result, Mo gi-ryung(毛奇齡)'s critical attitude and realization about literature confirmed that the justification and awareness of administration were on the rise. Apart from Mo gi-ryung's apostasy and critical attitude to criticize ChuHsi(朱子), Korean literary society in late Chosun Dynasty distinctively conceded his study of Chinese classics and academic performance. Different from the writers who unconditionally criticized anti-Chutzu, Bukhak-pa's rationalism turned out to be separate sentimental estimation and studying no matter what it is if there are something to learn. This way of thinking mixed considering the justification as well as considering awareness of administration, and it cause Bukhak-pa to germinate new consciousness which is called ‘Actual justice’. Consequently, Yeon-am faction had specific and objective critical attitude about late Ming Dynasty and early Ch'ing Dynasty literature. This fact distinguish them from late Ming Dynasty and early Ch'ing Dynasty literature. It offers Yeon-am factions' literature-criticism criterion since they attempted to approach objectively, not by one's subjective preference. Therefore, emprical tradition writing that they pictured looks similar to writing of early Ch'ing Dynasty's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but they kept Chosun's characteristic. About the same emphasis in administration should be explained differently that Chosun’s tendency was to integrate with literary theory unlike Silhak in China.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the whole picture by regarding these tendency as a new type of writing in general Yeon-am faction's thought including actual justice, opinions of specific Bukhak, an economic policy, and even emphasizing pragmatic 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이덕무의 청대고증학 수용

        권정원 ( Jung Won Kwo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8

        李德懋는 조선후기 博學으로 널리 알려진 학자이다. 그의 박학적 면모는 30대 이후보이는 고증학적 성향이 농후한 저술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덕무의 학문 성향은 청대고증학의 영향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이덕무는 20대 중반에 청대고증학자 黃宗羲를 접했고, 30대 전후하여 고증학자들의 서적을 열독하였으며, 30대 중반 이후의 저술에 적극 활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에 큰 관심을 가졌고, 그들로부터 영향 받았음은 틀림없다. 하지만 이덕무가 접한 청대고증학자는 黃宗羲, 顧炎武, 毛奇齡, 朱彛尊, 徐乾學으로, 이들은 청대 초기 고증학 형성기에 활동한 학자들이다. 청대고증학의 전성기에 활동한 戴震, 錢大昕, 章學成 등에 대한 언급은 그의 문집 어디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이덕무는 청대고증학 전체의 흐름을 꿰뚫을 수 있는 입장은 아니었고, 다만 청대 초기 고증학의 일부만을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이덕무는 청대고증학자 중 顧炎武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덕무가 열독한 서목과 인용한 내용을 통해 모기령, 주이준, 서건학 등의 영향도 적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학자들은 학문적 지향과 삶의 행적이 판이하다. 顧炎武가 대명의리를 지킨 절의의 인물이자 주자 학문을 옹호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毛奇齡은 청에 벼슬한 이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명의리를 지킨 인물을 논박하기까지 했으며, 주자를 철저히 비판한 반주자학자였다. 이덕무는 대명의리와 주자 옹호적 입장을 중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령과 주이준의 박학과 고증학적 학문방법을 대단히 높이 평가하였다. 이는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을 수용함에 있어서 ‘치밀한 考據를 바탕으로 한 考證學的 학문방법’을 중요시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덕무는 유년시절부터 名物學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고, 考據.辨證을 중요시 하는 학문 자세를 지녔으며, 20대 시절에는 鄭樵와 馬端臨을 본받아 백과사전식 類書를 만들고자 기획하기도 했다. 이는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을 접하기 이전에 이미 名物度數學에의 깊은 관심과 고거.변증하는 학문방법을 가지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이덕무는 30대 전후하여 청대고증학을 수용하면서 특히 고증학적 학문방법에 깊은 공감을 보였는데, 이는 이덕무가 평소 지향하던 博學과 考據.辨證의 학문방법과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이덕무 학문의 고증학적 성향은 청대고증학의 수용만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타고난 꼼꼼함과 유년시절부터 지니고 있던 명물도수학에의 관심과 고거ㆍ변증을 좋아하던 성향이 청대고증학의 수용과 결합되어 나온 결과라 이해하는것이 타당할 것이다. Lee Deok-Mu is a scholar well known for erudi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His erudite aspect is identified in his writings with a strong documental archaeological tendency in his 30s and thereafter. Lee Deok- Mu``s academic tendency as such has been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owever, is it really so? Lee Deok-Mu encountered Hwang Jon-Hee, a scholar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 his mid-20s and enthusiastically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cluding Goh Yeom-Mu and cited the contents in his writings in his mid-30s thereafter. Therefore, the fact that Lee Deok-Mu was greatly interest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and enthusiastically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s indisputable. However,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encountered by Lee Deok-Mu were Hwang Jong-Hee, Goh Yeom-Mu, Mo Gi-Ryeong, Ju Ee- Jun, and Seo Geon-Hak who acted in the early part of the Qing Dynasty Period when documental archaeology was being formed. Mentions about Dae Jin, Jeon Dae-Heun, and Jang Hak-Seong who acted in the prime of documental archaeology in the Qing Dynasty Period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Given Lee Deok-Mu``s birth and death date, it is natural that the documental archaeology accessed by Lee Deok-Mu is part of the documental archaeology during the period of Qianlong in the early part of the Qing Dynasty Period. Therefore, although Lee Deok-Mu was greatly interest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and wanted to obtain and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e was not in a position to completely understand the stream of the entire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but could accommodate only part of the documental archaeology at the beginning of Qing Dynasty Period. Lee Deok-Mu is known to have been affected the most by Goh Yeom-Mu among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owever, though the titles of books enthusiastically read by Lee Deok-Mu and the contents cited by them,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effects of Mo Gi-Ryeong, Ju Ee-Jun, and Seo Geon-Hak were not small. However, the academic orientation and course of life of Goh Yeom-Mu /Seo Geon- Hak and those of Mo Gi-Ryeong/Ju Ee-Jun are completely different. Whereas Goh Yeom-Mu was royal to Ming Dynasty and strongly advocated neo- Confucianism, Mo Gi-Ryeong not only had been in government service for Qing Dynasty but also argued against those who were royal to Ming Dynasty and thoroughly criticized Chutzu. Despite that Lee Deok-Mu was royal to Ming Dynasty and regarded the position of advocating Chutzu as being important, he evaluated highly, the erudition and documental archaeological academic methods of Mo Gi-Ryeong and Ju Ee-Jun. This should mean that when Lee Deok-Mu was accommodating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e regarded important, the ‘documental archaeological academic methods based on elaborate historical evidence.’ It is said that Lee Deok-Mu had a habit to think over history for notes and seek for historical evidence for doubtful contents from when he was young, had wide knowledge as he read diverse books, in particular, had profound knowledge of studies of grass and trees, birds and beasts, mountains and rivers, and customs, and carefully sought for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ed when he was writing books. He planned to write encyclopedic books such as <Tongji> of Jeong Cho and, <Munheontonggo> of Ma Dan-Rim when he was you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Lee Deok-Mu already had deep interest in and affected by speciality studies before he encountered Qing Dynasty Perioddocumental archaeology. When he was accommodating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 his 30s, Lee Deok-Mu deeply sympathized with documental archaeological methods in particular probably because these methods were well consistent with erudition and the academic methods of seeking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ing that he pursued at normal times. Therefore, the documental archaeological tendency of Lee Deok-Mu``s stud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results from the combination of his meticulousness and tendency toward seeking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ing that he had from when he was young and his accommodation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rather than just a result of accommodation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 KCI등재

        특집 : 다산학(茶山學)의 경학적 원류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점사(占辭) 해석(解釋) 연구(硏究) -주희(朱熹), 모기령(毛奇齡), 정약용(丁若鏞)을 중심으로

        김영우 ( Young Woo Kim ) 한국실학학회 2011 한국실학연구 Vol.0 No.21

        『春秋左氏傳』에 나오는 관점(官占) 사례는 『주역』의 해석 방법을 밝히는 데 중요한 경전적 전거가 된다. 주희, 모기령, 정약용 세 사람은 모두 『주역』의 기원을 점서(占筮)에 있다고 파악하고, 『춘추좌씨전』의 관점 사례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주희는 『춘추좌씨전』을 근거로 ``변하는 효[變占]가 발생했을 때 점을 어떻게 판단하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해명하여 이를 『역학계몽』에 수록하였다. 모기령은『춘추점서서(春秋占筮書)』라는 독립 저술을 남길 정도로 관점 사례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그는 이 책에서 변점(變占)의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주역』의 괘효사가 이역(移易)의 원리에 의해 편집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그는 『주역』은 주대의 문왕이 추이(推移)의 방법에 의해 새롭게 편집한 책이라는 관점에서 주희의 변점(變占)에 대해 비판한다. 정약용은 『춘추좌씨전』의 관점(官占) 사례에서 그의 독창적 역학 이론인 효변(爻變)을 체계화할 계기를 마련한다. 정약용은 모기령의 추이를 수용하지만, 효사의 해석에 있어서는 추이와는 별도로 효변을 적용하여 해석해야 한다는 원칙론을 수립한다. 효변이야말로 정약용 역 해석의 가장 특징적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서(卜筮)로서의 『주역』과 경서(經書)로서의 『주역』의 의미를 포괄하고자 했던 다산 역학의 성격을 대표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xample official divination (guan dian 官占) in Spring and Autumn Period Annals with Commentary of Zuo (SACZ, hereafter)is equipped of a significant referential value in understanding divination signs in The Changes of the Zhou. Zhu Xi recovered the ways to determine the divination signs when there emerges changes in line statement (yaoci) based on SACZ, and thereby stated in his book Englihtenment in Study of Changes (易學啓蒙). The reason for such a recovery started from the belief that The Changes of the Zhou should be interpreted from its origin. Mao Qiling (毛奇齡), while acknowledging the origin of the Changes starts from the actual practice of prediction bu shi (卜筮), still criticized Zhu Xi`s theory of bian zhan (變占)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King Wen of Zhou dynasty who newly edited The Changes of the Zhou via tui yi (推移). Tasan Chong Yag-yong adopts Mao`s method of tui yi on the one hand, while arguing for additional application of changes of line ao bian (爻變). Here, Tasan does not see the line ao as referring to one line of a divination (trigram), but understands that a change in one line transforms the whole divination into another one. Tasan is thus proposing, through the new findings in SACZ, the unique method of interpreting the line statement of The Changes of the Zhou in a consistent way.

      • KCI등재

        윤행임尹行恁의 청대淸代 초기 고증학考證學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

        남윤덕(南潤德)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3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1762~1801)은 18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학자이자, 관료문인의 한 사람으로 정조正祖의 신임이 두터웠던 인물이다. 윤행임의 청대 고증학考證學에 대한 인식은 어디까지나 주자학朱子學을 청대 고증학으로부터 지키고 발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를 통해 그는 중앙학계의 대표적 문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한 인물로 평가 받는다. 윤행임은 방법론적 고증과 주자학을 수용한 고염무顧炎武의 고증적 학풍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주자학을 배척한 모기령毛奇齡으로 대표되는 청대 고증학자와 관련 학설들은 강하게 비판하고 경계하였다. 윤행임의 모기령 비판의 쟁점은 주자학을 정면으로 공박한 것에 있다. 그러나 윤행임의 청대 고증학에 대한 인식은 주로 고염무, 모기령 등과 같이 청대 초기 고증학자들과 『일지록日知錄』 등과 같은 청대 초기 저서들에 편중된 언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윤행임이 지은 『서사고전서간명목록후書四庫全書簡明目錄後』의 내용 또한 주자학을 비판한 초기 고증학자와 그 관련저서의 평가가 중심이다. 이것은 청대 중기 이후 고증학과 관련 학자들의 전반적인 학풍을 온전히 인지하지 못한 제한적 양상이며, 윤행임의 청대 고증학에 대한 인식적 특징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청대 고증학에 대한 당시 18세기 후반 조선학계의 학술적 일면一面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산 효변설의 역학사적 검토

        이창일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5 다산학 Vol.- No.26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its meaning of yaobian, which is one of Yoklisabop, namely Four Core Methods of interpreting Zhouyi, established by Cheong Yagyong, in Yi learning. The originality of Tasan’s Yi learning seems to be found in the deep¬ening of recognition on the method of interpreting Zhouyi with yaobian theory. But It has been predominatingly evaluated that Tasan’s yaobian theory is not the universal method to interpret Zhouyi, because of only the method of his own. On this issue, looking into the yaobian appearing in the excavated Materials from chinese tomb and the past literatures, we could admit the yaobian to be a universal method to interpret Zhouyi, and Tasan’s method to find it also could be evidenced as a universal one. We find the evidences of yaobian from hexagrams composed of numbers in the excavated Materials, intensively implying the traces of yaobian. Subsequently, we gather the historical evidences that yaobian theory in ZuozhuanThe Commentary of Zou is connected to the Silk- Manuscript Yi from Ma Wang Dui, and once more to Jia Yi賈誼 and Jing Fang京房. Also, we examine the yaobian theorists, explaining concretely Du Jie都絜, Shen Hai沈該 and Zhuzi朱子 in Song dy¬nasty; Chen Yingrun陳應潤 in Yuan dynasty; Huang Daozhou黃道周 in Ming dynasty; Bao Yi包儀, Mao Quiling毛奇齡 in Qing dynasty. Although yaobian theory is not consciously passed down from age to age, it has the synchronic universality naturally draw from the in¬vestigation on Old Classics relevant to Yi. It is to say th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of Yi Learning on yaobian theorists is to find the yaobian method wit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Yi left in Old Classics and decisively apply it to the interpretation of Yi. It can be said that Tasan’s yaobian theory has the synchronic univer¬sality, it result from careful study and research on Old Classic relevant to Yi. Furthermore, Tasan’s yaobian theory has characteristics, which gives an important position to it, as distinct from other yaobian theorists. Tasan’s yaobian theory gives unique and twofold position to yaobian, which is included as one of the Four Core Methods and at the same time transcends them, and makes the Four Core Methods a organized system. It could be said that this is because yaobian is extreme expres-sion of Yi’s authentic thoughts what is called changes.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이 수립한 주역해석의 방법인 역리사법 가운데 효변爻變의 역학사적 전개와 그 의미에 대해서 탐색한 것이다. 다산 역학의 독창성은 효변의 해석방법에 대한 인식의 심화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다산의 효변설은 다산의 독자적인 고안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해석방법이 아니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이에 대해 주역 관련 출토문물과 역대의 문헌에 등장하는 효변설을 추적하면 효변설이 보편적인 주역 해석 방법이라는 증거를 찾을 수 있고 이를 발견한 다산의 주역 해석 방법 역시 보편적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출토문물에서 효변을 강하게 암시하는 증거들을 숫자괘를 통해서 탐색한다. 이어서 『좌전左傳』의 효변설이 백서본주역에 연결되고 이러한 효변설이 기원전 가의賈誼와 경방京房에게 계승되고 있는 역사적 증거를 모아보았다. 또한 송대의 도결都絜, 심해沈該, 주자朱子, 원대의 진응윤陳應潤, 명대의 황도주黃道周, 청대의 포의包儀, 모기령毛奇齡 등의 효변설을 살펴보았다. 비록 효변설은 의식적 계승 관계를 통해 전승된 것이 아니지만 고경古經에 대한 탐구에서부터 자연스럽게 도출되는 공시적 보편성을 가진 것이다. 효변론자들의 역학사적 의의는 있는 그대로의 주역을 이해하기 위해 고경에 잔존한 주역의 특징을 연구하다가 효변을 발견하고 이를 심화하여 주역 해석에 과감하게 적용했다는 데 있다. 이러한 효변의 역사 속에서 다산의 효변설은 공시적 보편성을 가진 것으로서 고경에 대한 투철한 연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다산의 효변설은 이전의 효변론자들과 구별되게 효변의 지위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고 있다. 효변설은 핵심적인 주역해석 방법들인 사법 가운데 하나에 포함되면서 동시에 그것들을 초월하여 사법을 하나의 유기적 구조로 만드는 독특한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효변이 변화라는 주역의 본래적인 사상의 지극한 표현이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