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암(燕巖)과 형암(炯菴)의 만남과 교유에 대하여

        권정원 ( Jung Won Kwon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2 No.-

        본고는 연암 박지원과 형암 이덕무의 만남과 교유를 통해 백탑시사 문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는 선행 작업의 일환이다. 형암 이덕무는 북학파의 일원으로 연암 박지원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두 사람의 문학관이 흡사하고 사용한 비평 용어 또한 동일한 데서 연유한 것이다. 박지원의 문학관은 `법고창신`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덕무의 문학관 또한 의고와 창신의 `절충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둘은 모두 당시 크게 유행하던 명대 전후칠자의 의고주의와 공안파의 창신주의를 절충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동일한 논리이다. 그런데 박지원이 법고창신의 문학관을 개진한 것은 1768년이고, 이덕무의 절충론은 1765년의 기록에 이미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덕무가 「영處稿自序」에서 힘주어 말한 영兒와 處女의 비평적 이미지는 박지원의 「영處稿序」에서도 그대로 반복된다. 물론 박지원의 「영처고서」는 이덕무가 연암에게 보여준 원고에 쓴 것일 터이다. 그러므로 이덕무의 문학관은 박지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 아니라 박지원을 만나기 이전에 이미 형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박지원과 이덕무의 만남은 이들이 대사동 「백탑부근」으로 이사한 1768년 이후부터 라고 한다. 박지원이 이곳으로 이사한 것은 1768년 이고, 이덕무가 대사동으로 이사한 것은 1766년 5월 27일 이었다. 그러므로 박지원이 대사동으로 이사한 이후 이들의 교유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하겠다. 하지만 1768년 이전에 이들이 만났거나 혹은 간접적으로나마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은 없는 것인가? 이덕무의 초기 교유관계는 대체로 서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덕무가 10대 시절의 대부분을 보낸 것은 그의 외숙 박순원의 집이었는데, 이덕무의 외가는 반남박씨로 박순원은 박지원과 같은 항렬을 사용하는 인척관계였다. 이덕무의 처남 백동수는 이덕무와 처남매부 사이이자 매우 절친한 친구사이였다. 그는 어린 시절 이윤영에게 『주역』을 배웠는데, 이 시기 박지원 역시 이윤영에게 주역을 배우고 있었다. 즉 1758년 무렵 백동수와 박지원의 교유가 시작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덕무가 경제적 도움을 많이 받았던 서상수 또한 1765년 이전에 박지원과 교유가 있었다. 이렇듯 이덕무 주변의 여러 인물들이 박지원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물론 당시는 嫡庶의 구분이 엄격했기에 긴밀한 교유가 이루어지지는 못했겠지만, 동시대 같은 서울 도성 내 거주했던 사람들이기에 서로 알고 지냈을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박지원과 이덕무 두 사람의 문집 어디에도 이들이 1768년 이전에 교유했다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이들이 서로를 알고 간접적으로나마 영향을 주고받았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part of a preliminary research that examines encounter and personal exchanges between Yeonam(燕巖) Park Ji-won(朴趾源) and Hyeongam(炯菴) Lee Deok-mu(李德懋) in order to understand relationships among members of the White Tower poet coterie. Hyeongam Lee Deok-mu was a member of the Northern Practical Learning School and was largely influenced by ideas of Yeonam because the two had shared views on literature and used same terms for critique. Yeonam`s philosophy of literature can be summarized as `creation of the new based on the old「法古創新」,` and that of Hyeongam can be summarized as `eclecticism「折衷論」` between classical and new style. In was in 1768 that Park Ji-won made a statement on `creation of the new based on the old` as his philosophy of literature, while Lee Deok-mu`s eclectic philosophy can be found in historical records as early as 1765. In other words, Lee`s philosophy was formed even before he met Park Ji-won. The two are known to have met sometime after 1768 when they moved to Daesa-dong(大寺洞). Is there a chance that they met earlier or wielded influence on the other indirectly? Lee Deok-mu`s initial circle of friends mostly consisted of people who were not legitimate member of their families. Lee spent most of his teenage years at Park Sun-won(朴淳源)`s house, who was his uncle on the mother`s side. The clan`s place of origin was Bannam, same with Park Ji-won, and they were distant relatives. Lee was very close with his wife`s brother Baek Dong-su(白東脩), who got acquainted with Park Ji-won around 1758. Also, Lee provided generous financial support to Seo Sang-su(徐常修), who had personal relationship with Park Ji-won before 1765. Like this, many friends of Lee Deok-mu were also acquainted with Park Ji-won.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was rather strict at the time, ex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active. However, it is not entirely impossible that certain people who lived within the realm of Seoul palace got to know one another. The exchanges between Park Ji-won and Lee Deok-mu took offwith activities of the White Tower poet coterie after 1768. Main members included Park Ji-won, lee Deok-mu, Seo Sang-su, Park Je-ga(朴齊家), Yu Deuk-gong(柳得恭) and Lee Seo-gu(李書九). They often had poem-reading meetings, drank spirits and tea, composed poem and enjoyed music and chat together. They wrote foreword and critique for one another`s writing collections. Sometimes they went on excursions to other provinces and wrote about the scenery and impression of the new place. It is reasonable to think that members of the Northern Practical Learning School influenced one another to create their own literary world rather than to insist that Park Ji-won had sole influence on all of the school members. Influence is more a result of interactive exchanges than one-sided effect.

      • KCI등재

        이덕무의 청대고증학 수용

        권정원 ( Jung Won Kwo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8

        李德懋는 조선후기 博學으로 널리 알려진 학자이다. 그의 박학적 면모는 30대 이후보이는 고증학적 성향이 농후한 저술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덕무의 학문 성향은 청대고증학의 영향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이덕무는 20대 중반에 청대고증학자 黃宗羲를 접했고, 30대 전후하여 고증학자들의 서적을 열독하였으며, 30대 중반 이후의 저술에 적극 활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에 큰 관심을 가졌고, 그들로부터 영향 받았음은 틀림없다. 하지만 이덕무가 접한 청대고증학자는 黃宗羲, 顧炎武, 毛奇齡, 朱彛尊, 徐乾學으로, 이들은 청대 초기 고증학 형성기에 활동한 학자들이다. 청대고증학의 전성기에 활동한 戴震, 錢大昕, 章學成 등에 대한 언급은 그의 문집 어디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이덕무는 청대고증학 전체의 흐름을 꿰뚫을 수 있는 입장은 아니었고, 다만 청대 초기 고증학의 일부만을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이덕무는 청대고증학자 중 顧炎武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덕무가 열독한 서목과 인용한 내용을 통해 모기령, 주이준, 서건학 등의 영향도 적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학자들은 학문적 지향과 삶의 행적이 판이하다. 顧炎武가 대명의리를 지킨 절의의 인물이자 주자 학문을 옹호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毛奇齡은 청에 벼슬한 이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명의리를 지킨 인물을 논박하기까지 했으며, 주자를 철저히 비판한 반주자학자였다. 이덕무는 대명의리와 주자 옹호적 입장을 중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령과 주이준의 박학과 고증학적 학문방법을 대단히 높이 평가하였다. 이는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을 수용함에 있어서 ‘치밀한 考據를 바탕으로 한 考證學的 학문방법’을 중요시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덕무는 유년시절부터 名物學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고, 考據.辨證을 중요시 하는 학문 자세를 지녔으며, 20대 시절에는 鄭樵와 馬端臨을 본받아 백과사전식 類書를 만들고자 기획하기도 했다. 이는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을 접하기 이전에 이미 名物度數學에의 깊은 관심과 고거.변증하는 학문방법을 가지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이덕무는 30대 전후하여 청대고증학을 수용하면서 특히 고증학적 학문방법에 깊은 공감을 보였는데, 이는 이덕무가 평소 지향하던 博學과 考據.辨證의 학문방법과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이덕무 학문의 고증학적 성향은 청대고증학의 수용만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타고난 꼼꼼함과 유년시절부터 지니고 있던 명물도수학에의 관심과 고거ㆍ변증을 좋아하던 성향이 청대고증학의 수용과 결합되어 나온 결과라 이해하는것이 타당할 것이다. Lee Deok-Mu is a scholar well known for erudi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His erudite aspect is identified in his writings with a strong documental archaeological tendency in his 30s and thereafter. Lee Deok- Mu``s academic tendency as such has been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owever, is it really so? Lee Deok-Mu encountered Hwang Jon-Hee, a scholar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 his mid-20s and enthusiastically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cluding Goh Yeom-Mu and cited the contents in his writings in his mid-30s thereafter. Therefore, the fact that Lee Deok-Mu was greatly interest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and enthusiastically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s indisputable. However,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encountered by Lee Deok-Mu were Hwang Jong-Hee, Goh Yeom-Mu, Mo Gi-Ryeong, Ju Ee- Jun, and Seo Geon-Hak who acted in the early part of the Qing Dynasty Period when documental archaeology was being formed. Mentions about Dae Jin, Jeon Dae-Heun, and Jang Hak-Seong who acted in the prime of documental archaeology in the Qing Dynasty Period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Given Lee Deok-Mu``s birth and death date, it is natural that the documental archaeology accessed by Lee Deok-Mu is part of the documental archaeology during the period of Qianlong in the early part of the Qing Dynasty Period. Therefore, although Lee Deok-Mu was greatly interest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and wanted to obtain and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e was not in a position to completely understand the stream of the entire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but could accommodate only part of the documental archaeology at the beginning of Qing Dynasty Period. Lee Deok-Mu is known to have been affected the most by Goh Yeom-Mu among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owever, though the titles of books enthusiastically read by Lee Deok-Mu and the contents cited by them,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effects of Mo Gi-Ryeong, Ju Ee-Jun, and Seo Geon-Hak were not small. However, the academic orientation and course of life of Goh Yeom-Mu /Seo Geon- Hak and those of Mo Gi-Ryeong/Ju Ee-Jun are completely different. Whereas Goh Yeom-Mu was royal to Ming Dynasty and strongly advocated neo- Confucianism, Mo Gi-Ryeong not only had been in government service for Qing Dynasty but also argued against those who were royal to Ming Dynasty and thoroughly criticized Chutzu. Despite that Lee Deok-Mu was royal to Ming Dynasty and regarded the position of advocating Chutzu as being important, he evaluated highly, the erudition and documental archaeological academic methods of Mo Gi-Ryeong and Ju Ee-Jun. This should mean that when Lee Deok-Mu was accommodating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e regarded important, the ‘documental archaeological academic methods based on elaborate historical evidence.’ It is said that Lee Deok-Mu had a habit to think over history for notes and seek for historical evidence for doubtful contents from when he was young, had wide knowledge as he read diverse books, in particular, had profound knowledge of studies of grass and trees, birds and beasts, mountains and rivers, and customs, and carefully sought for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ed when he was writing books. He planned to write encyclopedic books such as <Tongji> of Jeong Cho and, <Munheontonggo> of Ma Dan-Rim when he was you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Lee Deok-Mu already had deep interest in and affected by speciality studies before he encountered Qing Dynasty Perioddocumental archaeology. When he was accommodating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 his 30s, Lee Deok-Mu deeply sympathized with documental archaeological methods in particular probably because these methods were well consistent with erudition and the academic methods of seeking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ing that he pursued at normal times. Therefore, the documental archaeological tendency of Lee Deok-Mu``s stud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results from the combination of his meticulousness and tendency toward seeking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ing that he had from when he was young and his accommodation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rather than just a result of accommodation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 KCI등재

        이덕무 평점비평의 성립 배경에 대한 고찰

        권정원 ( Jung-won Kwo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7

        Lee Deok-mu(李德懋) was recognized by his contemporary writers as a brilliant critic, and Lee’s own sense of pride too was known to be great. His interest in criticism of commentaries(評點批評) in particular started from the late teens; in his 20s he was immersed in criticism of commentaries, and after the 30s he reached a peak of being a full-blown critic of commentaries, which continued to his last years. Active criticism of commentaries by Lee Deok-mu included various fields of literature such as collections of poems, chidu(尺牘), travelogues and collections of prose. There are a total of 10 works confirmed as Lee’s criticism of commentaries to date. The background of how Lee Deok-mu was able to engage in criticism of commentaries can be understood in two aspects: First, as for the domestic reason, it was active “mutual criticism”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mong the literary circle Dongin(同人). In the late Joseon Dynasty, writers of the Dongin group were very active in making books of critical commentaries(評選本) by adding scores(評點) in each others’ collections of writings. Especially with Yeonam Park Ji-won(燕巖 朴趾源) being the center of his namesake Yeonam group were critics that if one writer’s writing was released, they passed it around to write in criticism and add prefaces, and then next readers would write in additional criticism was very common, and at the center of such critical activities was Lee Deok-mu. It can be said that it was this atmosphere of the time in which Lee’s criticism of commentaries was established. Second, as for the external reason, it was Lee’s intensive reading of the Chinese book of criticism, “The Reading of the Fiction Commentary(小說評批 本)” by critic Kim Shengtan(金聖嘆) in particular, which was then famous in literary circles. Lee Deok-mu read “The Reading of the Fiction Commentary” intensively and left behind a considerable number of records on it. Of which he wrote favorable comments on Jin Shengtan’s talent and his discerning eyes for criticism. and there were also examples in which Lee quoted exact phrases of Jin’s criticism. This showed that Lee Deok-mu was quite favorable to Jin Shengtan’s criticism. Moreover, there were cases where some writers at the time evaluated that Lee Deok-mu’s writing style was criticized as the influence of Jin Shengtan, so it seems that it was true that Lee was influenced by J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Lee Deok-mu’s activities in criticism of commentaries were the result of actively embracing the atmosphere of the literary circles at the time, including intensive reading of Chinese imported books of critical scores(評點書) and Jin Shengtan``s book of commentaries from the Ming and Qing Dynasties.

      • KCI등재

        『靑莊館全書』를 통해 재구한 李德懋 초기 삶의 궤적

        權政媛(Kwon, Jung-won)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6 No.-

        본고는 『靑莊館全書』에 수록된 작품들을 통해 이덕무 초기 삶의 궤적을 살펴보았다. 작품의 저술시기를 考究하여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작품을 통해 살필 수 있는 삶의 특징적 면모를 서술하였다. 李德懋(1741~1793)는 53년 생애를 살았는데, 그동안 71권 33책의 방대한 분량의 저술을 남겼다. 이를 통해 그의 전 생애를 살피기엔 지면상 한계가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이덕무 문학의 형성기라 할 수 있는 27세까지의 초기 삶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이덕무의 생애를 살필 수 있는 기초 자료인 <年譜>는 그의 아들 이광규에 의해 정리되었는데, 대체로 39세 검서관 벼슬을 한 이후의 삶에 대해서는 자세하지만, 그 이전 시기에 대해서는 대단히 소략하다. 그리고 이덕무는 연암일파의 일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덕무가 연암을 만난 것은 28세 때이다. 따라서 이덕무 28세 이전의 작품은 연암과 무관하게 창작된 것이고, 이는 이덕무의 문학관이 연암을 만나기 이전에 이미 형성된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덕무 문학의 형성 배경으로서의 이덕무의 삶을 살피고자 한다면, 연암을 만나기 이전 시기에 대해 보다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는 27세까지의 작품의 저술 시기를 고구하여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이를 통해 살필 수 있는 특징적인 삶의 모습을 ‘저술과 교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편의상 세 시기로 나눠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부터 19세까지로, 이덕무 저술 활동이 시작되었던 시기이다. 이덕무의 유년 시절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외숙 박순원의 집에 우거하던 시기로, 詩作이 시작되었다. 산문으로는 <鵲巢上樑文>과 <戊寅篇>이 있고, 시는 66수 정도가 있다. 저술활동을 시작하는 단계였으므로, 저술의 분량도 많지 않고 질적으로도 높은 수준의 것은 아닌 듯하다. 교유는 內弟박종산, 姨弟 여좌백, 妻男 백동좌, 백동수와 친분이 두터웠다. 둘째, 20세부터 24세까지로, 남산 아래 거주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에 이덕무의 교유와 저술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19세까지 박순원의 집에 우거하던 이덕무는 20세에 남산 아래 장흥동으로 이사를 하였다. 교유는 이웃에 거주하던 남홍래, 남명래, 정자성과 이형상, 윤가기, 이명오, 박종산, 서찬수, 이광석, 윤경지 등 詩會를 하던 문인들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들은 시회를 열고, 담론을 즐기며, 함께 유람을 하고, 서로 시문과 서문, 기문 등을 주고받는 등 교유도 확대되고, 저술 활동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셋째, 25세부터 27세까지로, 이 시기에는 저술활동이 많지 않았다. 단지 <이목구심서>와 벗들에게 보내는 척독, 그리고 약간 편의 시가 있을 뿐이었다. 이덕무는 1765년 5월 1일에 모친상을 당했는데, 그 이전부터 어머니 병간호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 따라서 목적성을 가진 전문 저술을 하는 것은 형편상 어려웠다. <이목구심서>는 듣고 보고 말하고 느낀 것을 자유롭게 쓴 글이고, 척독은 벗들에게 안부를 전하는 글이다. 그러므로 어머니를 잃고 슬픔에 빠진 이덕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저술 활동이었다고 하겠다. 하지만 <이목구심서>에서 이덕무의 일상과 독서, 그리고 벗들과의 교유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교유는 이전 벗들과 지속적으로 이어졌는데, 대부분이 서얼 문인이었다. This thesis examined the trajectory of Lee Duk~moo s early life through the work in Chungjangkwan Junseo . The period of writing of the work was investigated and listed sequentially, and the aspects of life that can be examined through the work were summarized.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early life up to the age of 27, a formative period of Lee Deok~moo s literature. First, The period of writing of the work was investigated and listed sequentially. And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life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work. Especially, I focused on his writing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work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from 17 to 19 years old. Lee Deok~moo lived in his uncle Park Soon~won s house. During this period, because of Lee Deok~moo began to write works, the amount of works was small and the level was not high. Second, from 20 to 24 years old. Lee Deok~moo lived under Namsan Mountain. During this period, His friendship and writing activities were the most active. Third, from 25 to 27 years old.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not many writing activities. There are only Yimokgusimseo(耳目口心書) and a few letters to his friends and a few poems. This is because Lee Deok~moo mother died on May 1, 1765, and he took care of his mother s illness before that. So it was difficult for him to do professional writing with a purpose. Yimokgusimseo is a record of what you hear with your ears, see with your eyes, speak with your mouth, and feel with your heart. And the letter is a message of regards to his friends. Therefore, it was the best writing activity that Lee Deok~moo could do after losing his mother. During this period, His friendship continued to be connected with his former friends, most of whom were seoeol(庶孼) writers.

      • KCI등재

        『士小節』의 초학교재로의 변화과정 연구

        權政媛(Kwon Jung W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4 No.-

        본고는 가훈서로 저술된 『士小節』이 어떤 과정을 통해 초학교재로 자리매김했는지의 경위와 초학교재로 변화할 수 있었던 요인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덕무는 『사소절』의 저술 당시 서문을 통해 ‘자신과 집안의 법칙을 삼기 위해’ 이 책을 저술한다고 명확히 그 의도를 밝혔다. 그러므로 『사소절』은 일차적으로 이덕무와 자신의 집안사람들의 몸가짐을 경계하기 위해 썼다는 점에서 修身書라 하겠고, 조상의 뜻을 이어받아 가문 대대로 전수할 목적으로 지어졌다는 점에서는 家訓書의 성격을 가진다고 하겠다. 『사소절』에는 이덕무 자신과 집안의 수신의 도리가 담겨있을 뿐만 아니라, 이덕무가 향유했던 18세기 서울 중심의 양반 가문의 문화와 의식이 반영되어 있기도 하다. 이런 까닭에 『사소절』은 이덕무 자신과 집안사람들은 물론 같은 문화를 향유하던 주변인들 사이에서 한정적으로 읽혀졌다. 그러다가 1853년 최성환에 의해 ‘백성의 교화’의 목적으로 간행되면서 公的 성격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후 가정이나 私塾에서 집안의 아동이나 제자를 교육할 때 교재로 사용되거나, 초학교재로 제작 간행되어 판매된 경우를 드물게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공식적인 학제 내에서는 『사소절』을 교재로 채택하여 사용했다는 예시를 찾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활자본으로 간행된 이후 보다 널리 유포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졌다는 사실은 『사소절』의 활용범위가 개인에서 가정으로, 다시 사회로 확대되어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사소절』이 초학교재로의 변화를 보인 것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이었다. 이 시기는 근대계몽기라는 이름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국가의 근대화와 국민의 계몽에 힘썼던 시기였다. 국민의 계몽을 위해 보다 확대된 개념의 아동교육이 이루어졌고, 특히 ‘修身’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던 시기였다. 하지만 국민 계몽을 위한 마땅한 교재가 없었고, 새로운 교재 개발 또한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기존에 있던 유교 텍스트를 근대 계몽의 도구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졌다. 『사소절』 역시 근대계몽기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아동 계몽을 위한 수신교재로 적극 활용될 수 있었다. 이는 『사소절』이 시대적 필요성에 부합하는 체재와 내용을 갖추고 있은 데 기인한 바가 크다. 『사소절』은 대상별로 사전ㆍ부의ㆍ동규로 大分하고, 다시 항목별로 細分하고 있어서 교육대상에 따라 활용하기가 용이하고, 제목도 순번도 없이 단문으로 나열되어 있기에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재구성하기가 쉽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사소절』은 상황에 맞게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예절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수신의 지침서로서는 더없이 좋은 교재라 하겠다. 물론 分編하거나 한문에서 한글로의 문자 체계를 바꾸는 등의 재창조의 과정을 거치기도 했다. 이러한 재창조의 과정은 아동교육을 위한 노력임과 동시에 더 이상 한문이 절실하지 않았던 시대적 필요성에 의한 변화의 과정이라 하겠다. 이렇듯 『사소절』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성격 역시 변화를 겪게 되어, 18세기에 훌륭한 가훈서로 저술되었지만, 20세기 초에는 근대화 가치를 띤 것으로 재창조되어 국민의 계몽을 담당하는 초학교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how Sasojeol, a book for family disciplines, came to be used as a textbook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which factors enabled this transition. The author of the book, Lee Deok-mu, had limitations in his social status as a son of a mistress, and had been very cautious about his behaviors throughout his life. He suggested an ideal type of a noble scholar, and endeavored to live up to that standard. Sasojeol is a handbook on how to be a true scholar. In addition to principles and disciplines for self-education and for his family, the book reflects noble-class cultures and mainstream thoughts of the eighteenth century Seoul. The book was read among a small circle of people at first, Mr. Lee’s family and those who shared the same cultural setting. However, Choi Seong-hwan published the book in 1853 with a goal to enlighten Korean people, and the book acquired a wider audience of the public. Rare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the book was used as a textbook to teach young children and students, and subsequently it was published and sold as a textbook for beginners. It is hard to find records on whether Sasojeol was officially adopted as a textbook for formal education. However, the book became widely distributed and read since it was published in print, indicating that its audience grew from a small circle of families to a larger society. It was between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that ‘Sasojeol’ came to be used as a textbook for elementary education. It was a period of the so-called modern enlightenment, and great efforts were made to modernize the country and enlighten people. To this end, children’s education became more active, and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self-discipline was newly emphasized. However, adequate textbooks on enlightenment were hard to find, and it was equally hard to write new books. For this reason, in many cases, the existing Confucian texts were used for modern enlightenment. Sasojeol could be widely used as a self-discipline book for children’s enlightenment in this historical context. The book was partly refurbished, by dividing into separate chapters, or changing the letters from Chinese to Korean. This reflected both efforts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particular need of the time that no longer required use of Chinese language. Sasojeol was an excellent family discipline book written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by early twentieth century, it was newly invested with modern values, and became established as a textbook for beginners to enlighten the public.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글쓰기에 대한 사대부남성의 인식과 표기방식

        권정원(Kwon, Jung W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1 No.-

        조선시대 여성의 글쓰기[문학창작활동]에 대한 사대부남성들의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여성의 글쓰기, 즉 문자를 통한 욕망의 표출에 대한 부정이라면, 그것이 한문이든 언문이든 표기방식과 무관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의 경우는 다르다. 여성의 한문글쓰기가 ‘문학 활동 자체가 여성의 일이 아니라’는 이유로 강력하게 비난받은 것과는 달리, 여성의 언문글쓰기에 대한 제재는 거의 없었다. 이는 사대부 남성들의 한문과 언문이라는 표기방식에 대한 인식에 기인한 것이다. 한문은 중세보편문화의 상징이자, 상층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다. 사대부 남성들은 이를 통해 유교적 사상과 학문을 專有하였고, 이러한 문자사용 능력은 사회적 권위와 신분을 보장하는 상징이 되었다.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문과 언문이라는 이중 문자를 사용해야 했지만, 사대부남성들의 세계를 유지시키는 문자는 한문이었다. 사대부남성에게 언문은 ‘여항의 비속한 말’, ‘야비하고 상스러운 무익한 글자’이며 ‘한낱 신기한 기예’에 불과했다. 사대부남성에게 한문은 상층의 문화를 대변하는 우월한 것이었고, 언문은 하층의 문화를 드러내는 열등한 것이었다. 이러한 표기방식에 대한 인식은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와 맞물려 ‘남성:여성=상:하=한문:언문=우월:열등’이라는 인식을 가져왔다. 따라서 여성이 언문을 사용하여 문학 활동을 하는 것에는 거부감이 없었지만, 여성이 상층 남성의 전유물인 한문을 공유한다는 사실에 대한 불편함이 여성의 한문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여성의 한문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여성의 글쓰기 활동 자체를 제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들은 한문을 안다는 사실을 드러내길 꺼렸고, 시문 창작을 하거나 문집을 발간하더라도 죽기 전에 스스로 불태우는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 결국 사대부 남성의 여성 한문글쓰기에 대한 경계와 비판은 여성 스스로가 언문이라는 표기방식을 채택하도록 하는한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Gentry men's evaluation of women's writi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negative in general. If the negative evaluation is the negation of women's writing, that is, the expression of desires through letters, women's writing should have been evaluated regardless of transcriptional methods, that is, Chinese classics or Hangul. However, it was not the case in the reality. Unlike women's Chinese classics writing that was severly criticized for the reason that ‘Literature activities per se are none of women's business’, women's Hangul writing was hardly restrained. This is due to gentry men's perception of the transcriptional methods; Chinese classics and Hangul. Chinese classics was the symbol of medieval universal culture and an exclusive property of upper class men. Gentry men exclusively owned Confucian ideas and learning through Chinese classics and the ability to use these characters became a symbol that guaranteed social authority and status. Although they had to use two characters; Chinese classics and Hangul after the creation of the Hangul by king Sejong, the characters that maintained gentry men's world were Chinese classics. To gentry men, the Hangul was just ‘an abusive language in the country’, ‘indecent words of middle class communities’ and ‘a novel art.’ To gentry men, Chinese classics was a superior thing that represented upper class' culture and Hangul was an inferior thing that revealed lower class' culture. This perception of transcriptional methods interlocked with neo-Confucian ideology to bring about the perception that men:women=top:bottom=Chinese classics:Hangul=superior:inferior. Therefore, although there was no repulsion against women's literature activities using Hangul, gentry men's inconvenience about the fact that women shared Chinese classics that was an exclusive property of upper class men appeared as negative views of women's writing in Chinese classics. These negative views of women's writing in Chinese classics acted as a factor that restrained women's writing activities perse. Women were unwilling to reveal the fact that they knew Chinese classics and even if they created poetry and prose or published a collection of works, they were unserved in burning it before they died. Eventually, gentry men's vigilance and criticism against women's writing in Chinese classics acted as a factor that made women adopt the transcriptional method termed Hangul by themselves.

      • KCI등재

        耳溪 洪良浩 漢詩의 상하층문학 융합의 일단- 北塞문학을 중심으로 -

        權政媛(Kwon, Jung-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耳溪 洪良浩(1724~1802)는 영․정조 시대 문인으로, 內外의 고위관직을 두루 역임했던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양반관료였다. 그의 관직생활은 비교적 평탄했으나, 정조 즉위년에 홍국영의 세도정치의 횡포로 일시적인 곤경에 처한 적이 있었다. 함경도 경흥부사로 좌천되어 北塞에서 3년 동안 재임한 것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 기간 동안 홍양호는 북관의 산하 곳곳을 기행하면서 북관민의 삶을 목도하고, 그 체험을 근거로 북관 지방의 풍물과 지리, 그리고 북관민의 생활상을 담은 저술을 여러 편 남겼다. 『朔方風土記』, 『朔方風謠』, 『靑丘短曲』과 『北塞雜徭』 등이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홍양호의 경흥부사 재임 기간 중 저술했던 시문집인 『朔方風謠』, 『靑丘短曲』, 『北塞雜徭』를 포괄하여 ‘北塞문학’이라 지칭하고, 이를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홍양호의 북새문학 작품은 북새지방의 풍물과 생활상을 진솔한 필치로 노래하였다. 이를 위해 북새지방 民들이 즐겨 향유하던 민요와 민요풍의 한시는 물론이고, 상층 사대부들이 주 향유층이던 시조와 가사 등도 적극 활용하였다. 이는 홍양호 한시가 상하층 문학을 융합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상하층이 향유하던 다양한 문학 요소를 적극 수용함으로써 상층의 전유물이었던 한시는 ‘내용의 다양성과 형식의 개방성, 그리고 표현의 토속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는 한시의 제약과 한시만으로 만족할 수 없었던 문화적 결핍을 보충할 수 있었다고 하겠다. 이런 면에서 홍양호의 북새문학은 한시가 상하층의 다양한 문학 요소를 잘 수용․융합한 결과물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홍양호의 한시가 民들이 향유했던 문학 장르를 적극 수용하긴 했지만, 이는 엄연히 한시로 대변되는 상층 문학이 하층 문학의 요소를 수용하는데 불과할 뿐이다. 평생 관료로만 살았던 홍양호였기에 民을 아끼고 연민의 정을 느껴서 그들 문학과 융합하는 노력을 했다 하더라도, 이는 궁극적으로 상층문학인 한시를 쇄신하는 한 방편으로 활용됐을 뿐이었다. 결국 홍양호 한시의 이러한 노력은 한시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한 방편이었을 뿐 다양한 계층의 문화교섭을 이루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Hong Yang-ho(洪良浩) was a senior official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a typical official of the Joseon Dynasty. His office life was comparatively stabl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 he was once briefly troubled by tyranny’s Hong Kuk Young(洪國榮). He served as a GyeongHeungBusa(慶興府使) in HamGyeongDo for 3 years. However, During this time, hongyangho traveled to various parts of the city and saw the lives of the people. Based on the experience, he recorded the lives of the scenery, geography and people living in the province of hamgyeong. 『Sakbang-pungtogi(朔方風土記)』, 『Sakbang-pungyo(朔方風謠)』, 『Cheonggu-dangok(靑丘短曲)』, 『Buksae-jabyo(北塞雜徭)』 are like that. The discussion refers to 『Sakbang-pungyo(朔方風謠)』, 『Cheonggu- dangok(靑丘短曲)』, 『Bukssae-jabyo(北塞雜徭)』 as the subject of Buksae- literature(北塞文學) and has been referred to as the subject of discussion. Hongyangho(洪良浩)’s work faithfully recorded the view of the landscapes and living areas of the province of Hamgyong Province. For this purpose, the popular folk songs[民謠], Sijo(時調) and lyrics[歌詞] used by the local folk people were actively utilized. By accepting the folk elements of the rite, Hong yang-ho was able to absorb the diversity of contents and the diversity of speech and the diversity of expressions. He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hinese poetry. As a result, the literature on hongyangho literature has been estimated to have accommodated other genres of literature in the genre.

      • KCI등재후보

        원굉도와 이덕무 문학이론의 同異點 고찰

        權政媛(Kwon Jung-W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조선 후기 李德懋(1741~1793)는 명말 공안파 문학이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문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문학이론에는 공안파의 문학이론이 많이 수용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조선 후기 문단의 한 단면이기도 하다. 따라서 공안파와 이덕무 문학이론의 거리를 밝히는 작업은 이덕무가 공안파 문학이론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ㆍ변용했는가를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문단에 끼친 공안파의 영향을 살피는 데도 일정 도움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공안파의 중심인물인 袁宏道(1568~1610)와 이덕무 문학이론의 상동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원굉도와 이덕무의 문학이론은 모두 ① ‘상대주의적 인식론’이 문학의 기저에 깔려있으며, ② ‘자득과 독창성’을 강조하였고, ③ ‘眞 문학’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이덕무 문학이론이 원굉도 문학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양자의 문학이론이 전적으로 동일한 것만은 아니다. 원굉도가 전적인 ‘창신론’을 강조했던 반면, 이덕무는 전후칠자의 의고와 공안파의 창신론의 ‘절충론’을 주장하였다. 즉 원굉도는 전범의 모방을 거부하고 다른 사람이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창조해내는 데 큰 의미를 두었지만, 이덕무는 전후칠자의 의고와 공안파의 창신론의 지나 친 점은 버리고 좋은 점을 취하여 이를 통합ㆍ조화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터득하여 독창적으로 창조할 것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공안파와 이덕무가 각각 창신론과 절충론을 주장함으로써, 양자가 인식했던 古ㆍ今의 가치와 개성적 문장의 의미에도 차이를 보였다. 공안파가 古의 가치보다는 今의 가치에 보다 비중을 두었기에 고전에 입각하지 않은 전혀 새로운 글을 쓸 것을 강조했던 반면, 이덕무는 古를 바탕으로 한 今의 조화를 중시하였고, 고인의 글을 바탕으로 해서 그 위에서 자기만의 개성이 발휘된 조화로운 문장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창신론과 절충론의 차이는 이덕무가 원굉도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으면 서도 원굉도 문학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했음을 보여주는 일례가 된다고 하겠다. Yi Deuk-Moo(李德懋) was one of the literary men who underwent various influence from Kong-An Pa(公安派) literature theory in the late Joseon. Although Kong-An Pa literature theory is much accommodated from his literature theory, ""Criticism accommodating"" is on the premise as its background. Trying to observe similarity and difference point between Kong-An Pa and Yi Deuk-Moo"s literature theory might be the important clue of apprehending what kind of method Yi Deuk-Moo accommodate and transfigure the Kong-An Pa"s literature theory and develop his own theory. Both Kong-An Pa and Yi Deuk-Moo"s literature theory are identical from these point. ① Relativism epistemology ② Emphasizing selfacquirement and creativity. ③ Professing realness literature, But ① the opinion against an inner-literature and ② practicing literature creation side have a difference point. Namely, Kong-An Pa considers seriously a times characteristic above all, literature was set a high value of the day, inner-literature and Song period literature, recognizes the value. On the other hand Yi Deuk-Moo consider that realness-literature is more important than times characteristic so he evaluated negatively a novel concerning the world of false and emptiness. Also in the side of practicing literature creation Kong-An Pa only emphasized Chang-Sin theory but Yi Deuk-Moo insisted Cheon-Hu-Chil-Cha"s Ue-Go(擬古) and Chang-Sin"s eclectic theory(創新) of Kong-An Pa. Moreover, this eclectic theory show that Yi Deuk-Moo was affected greatly by Kong-An Pa and it accommodated Kong-An Pa literature theory critically.

      • KCI등재

        湛軒 洪大容의 學問觀

        權政媛(Kwon, Jung W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본고는 湛軒 洪大容(1731-1783)의 학문관을 고찰하였다. 홍대용은 洛論의 宗匠이었던 渼湖 金元行(1702-1772)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기에, 그의 학문관은 낙론적심성론을 바탕으로 성립하였다. 홍대용은 心性만을 학문 대상으로 삼던 기존의 성리학적 학문경향에서 벗어나 객관적 事物을 학문 대상으로 삼았고, 특히 人物性同의 이론을 논리적 기초로 하여 人物均의 논리를 끌어냄으로서 利用對象物로서의 物이라는 새로운 物論에까지 나아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낙론적심성론이 김원행 문하에 있던 학자들의 상수학 연구 분위기와 명물도수지학을 중요시한 노론계의 학문취향, 천문학에 관심이 많았던 부친의 지원과 집안의 분위기 등과 맞물려 實用과 實境의 정신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학문을 함에 있어서도 관념위주의 지식을 추구하기 보다는 일상생활에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실천 중시의 학문사상은 日用當行之事와 末節에의 추구로 이어졌다. 홍대용이 학문하는 목적은 바로 ‘진리를 밝혀 일에 실천’하는 것이었다. 학문을 지식의 추구에 만족하지 않고 지식을 활용하여 보다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데 까지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문의 범위 역시 실제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律學이나 數學·科學 등 다방면에까지 확대되었다. 홍대용은 학문 방법에서도 실천적 체험을 강조했는데, 이는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문을 함에 있어서 비판적 자세를 가지고 의문을 제기할 것[疑問提起], 둘째 마음을 전일하게 하여 깊이 궁구하는 자세를 가질 것[專一窮究], 셋째 자신의 마음으로 남의 뜻을 헤아릴 줄 알 것[以意逆志], 넷째 공평무사한 눈으로 다른 사상의 장점을 두루 받아들여야 할 것[公觀倂受]이 그것이다. 결과적으로, 홍대용은 위대한 학자이나 학문만을 추구한 학자는 아니었다. 다방면의 학문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통달하는데 노력하였고, 이렇게 얻어진 지식을 아는 것에 머물지 않고 현실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하고자 노력한 실천가였다고 하겠다. Hong, Daeyong (1731~1783) is a practical scientist who represents the Study of the North along with Park, Jiwon in Youngjo and Jeongjo period in Chosun Dynasty. His view of learning was established based on Nakron and Human Nature Theory. Therefore, he escaped from the existing Sung Confucianism that only focused on human nature, and also looked into concrete objects. Especially, he accepted Inmulseongdong Theory and spread the Study of the North that claimed to learn Chung’s advanced culture. He took a serious view of practice rather than ideology. This practice-focused view of learning led to Ilyongdanghaeng (one should do whatever that has to be done in a day) and small things. The purpose of Hong’s learning was ‘to find out the truth and use it practically’. He claimed that learning should not stay as knowledge itself but it should be utilized so that people can live a better life. Therefore, his view of learning spread into law, mathematics, and science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Hong emphasized practical experience in way learning. The four ways of learning are; first, one should have critical attitude and always question everything in learning, second, one should spend all his mind in learning and study thoroughly, third, one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others by oneself, and fourth, one should accept strengths of other view of learning with fairness and impartiality. In conclusion, Hong was a great scholar, but not a scholar who only pursued knowledge. He had interest in various types of knowledge and tried to master them. He did not stop at acquiring knowledge. He was a practitioner who tried to solve problems in real life by utilizing knowledge.

      • KCI등재

        李德懋의 『靑莊館全書』 편집상의 오류에 대한 고찰

        權政媛 ( Kwon Jung-won )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0

        李德懋는 조선후기 박학으로 널리 알려진 문인으로, 평생을 서적에 몰두한 독서광이었다. 그의 문집 『청장관전서』는 총 71권 32책의 방대한 분량으로, 그의 평생 著作의 기록이자 讀書記이기도 하다. 이는 이덕무의 삶과 사상, 학문과 문학의 대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일 뿐 아니라, 당대 문단에 새롭게 유입된 明末 淸初 서적의 유입과 文風의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계에서 일찍부터 관심을 받아 影印·國譯되었고, 연구 성과 또한 상당하다. 『靑莊館全書』는 이덕무의 아들 李光葵에 의해 편집·편찬되었다. 이덕무의 문집이 처음 간행된 것은 사후 정조의 명에 의해서 尹行恁의 주관 하에 이뤄졌다. 이때 간행된 것이 『雅亭遺稿』로, 총 8권 4책이다. 하지만 이것은 이덕무 저작의 1/10 정도에 불과하였고, 나머지 50여 권은 본가에 소장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광규는 『아정유고』 간행 이후 집에 보관되어 있던 이덕무의 저작을 손수 수집하여 ‘순차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고, 10여 년의 노력 끝에 『청장관전서』를 완성하였다. 그리고는 완성된 원고를 李畹秀에게 교정을 부탁하였고, 이원수의 주도 하에 교정 및 필사 작업이 진행되었다. 그런데 필사 작업에는 20여 명이 투입되었고, 기간 또한 1년여 시간 밖에 걸리지 않았다. 따라서 문집 분량의 방대함에 비해 교정·필사가 단기간에 이뤄졌기에 편찬 과정에서 편집 및 기록상의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충분하였다. 본고는 『청장관전서』 속 오류를 검토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먼저 편집상의 오류로 1)현재 널리 유통되는 4종의 판본을 비교해서 구성과 체재의 차이의 원인을 밝히고 수정 보완할 자료를 제공하였다. 2)『嬰處詩稿』와 『刊本雅亭遺稿』에 수록된 시와 척독의 배열이 편집의도와는 달리 시기가 뒤섞인 정황이 보이는데, 저술 시기를 밝힘으로써 오해의 여지를 줄였다. 그리고 기록상의 오류로 「연보」에 보이는 일자 표기의 誤記를 바로잡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청장관전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연구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Lee Deok-moo(李德懋) was a writer widely known for his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e was a lifelong reading book buff. His collection of writings, 『Chungjangkwan Jeonseo(靑莊館全書)』 was translated into Korean as early as possible by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accumulated considerably accumulated significantly. 『Chungjangkwan Jeonseo』 was edited and published by his son Lee Kwang-gyu after Lee Deok-moo's death. However, the volume of the work was very large and the transcription was short, so errors could occur. This paper finds errors in the contents of the 『Chungjangkwan Jeonseo』 and corrected them. First of all, poems and Chuck-Dok(尺牘) included in 『Yeongcheosigo(嬰處詩稿)』 and 『Ganbon Ajeongyugo(刊本雅正遺稿)』 were intended to be arranged by time, but they were actually not arranged in a mixture of periods. So, he revealed the time of writing and reduced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Second, It found errors to the period of writing in annual report and corrected them.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help more accurate research on Lee Deok-moo and 『Chungjangkwan Jeonseo』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