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상서尙書』 주석서 계열 고찰

        김문식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3 다산학 Vol.- No.23

        This paper focuses on the line and the writing time of handwritten books of Cheong Yagyong’s Shangshu commentary. I examine three types of Maessi seopyeong(梅氏書平) and two types of Sangseo gohun suryag(尙書古訓蒐略) and three types of Sangseo jiwonrog(尙書知遠錄)and one type of Yeomssi gomunsangseosojeung cho(閻氏古文尙書疏證鈔)in this paper. I compare these handwritten books with the contents of Sinjoseonsa version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one by one. On the grounds of their location or texts, I call the handwritten books Dankook University version, Yeoyudangjeonseoboyu(與猶堂全書補遺) version, Berkeley University version, Tsukuba University version,Kyujanggak version and Sinjoseonsa version. Among them, Dankook University version and Yeoyudangjeonseoboyu version were written on Cheong Yagyong’s exile place circa 1816. I think these two versions had written by Cheong himself or his pupil. Berkeley University version had written in 1827~1830. I suppose Kyujanggak version had writt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irca 1914~1915 and Tsukuba University version had rewritten in 1922 on the base of Kyujanggak version’s original script. But I can’t find out Sinjoseonsa version’s original script until now. I discover the evidence of collec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that Cheong Yagyong introduced on Jachanmyojimyeong(自撰墓誌銘)made in 1822. But I cant see the same evidence on Yeomssi gomunsang-seosojeung cho and Maessi seopyeong and Sangseo gohun included in Sinjoseonsa version Yeoyudangjeonseo, because these books were made after 1822. So I think the system of Sinjoseonsa version were designed by a scholar after Cheong Yagyong’s death. 본 논문은 현전하는 정약용의 상서 주석서 필사본의 계열 및 필사 시기를 검토한 것이다. 본고에서 필자가 검토한 필사본은 매씨서평 3종, 상서고훈수략 2종, 상서지원록 3종, 염씨고문상서소증초1종을 합하여 총 9종이며, 이를 신조선사본과 일일이 비교하였다. 상서 주석서의 필사본을 소장처나 수록된 책을 기준으로 구분하면‘단국대본’ ‘여유당전서보유본’ ‘버클리대본’ ‘츠쿠바대본’‘규장각본’ ‘신조선사본’이 있다. 필사본의 계열은 단국대본과 여유당전서보유본이 가장 빠른 시기에 작성되었고, 버클리대본, 츠쿠바대본, 규장각본, 신조선사본의 순으로 작성되었다. 단국대본과 여유당전서보유본은 고본稿本의 원본으로 1816년경 유배지에서, 버클리대본은 1827~1830년경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규장각본은 1914년~1915년경에 조선총독부 참사관분실에서 필사하였고, 츠쿠바대본은 규장각본의 저본이 된필사본을 1922년에 재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신조선사본의저본에 해당하는 필사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상서 주석서의 필사본에는 정약용이 <자찬묘지명>에서 정리한 경집經集 체제의 흔적이 남아있다. 그러나 <자찬묘지명> 이후에 작성된염씨고문상서소증초와 신조선사본에 수록된 매씨서평과 상서고훈에서는 그런 흔적이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조선사본 여유당전서 의 체제는 후대 학자들에 의해 정리된 것이다.

      • KCI등재

        가장본家藏本 『상서고훈』과 『상서지원록』의 서지적 고찰

        김성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9

        본 논문은 가장본家藏本 『상서고훈』과 『상서지원록』의 특징을 서지적으로 검토하고, 그동안 보고된 활자본과 이본들을 비교하여 각 이본들의 필사 시기와 필사의 선후를 살펴본 것이다. 가장본에는 정약용이 1810년 가을에 완성한 구본舊本 『상서고훈』과1811년에 완성한 『상서지원록』, 『상서지원록』과 구본을 합치고 송대宋 代 이후 학자들의 주석을 추가하고 자신의 설을 덧붙여 1834년에 저술한 합편 『상서고훈』이 포함되어 있다. 구본과 『상서지원록』은 합편을 만들기 위한 기초 작업에 해당하는 연구로, 합편이 나온 이상 역할을 다하여 “다산에게 버림받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구본과 『상서지원록』은 정약용의 상서학尙書學이 변화 발전해 간 과정을 살필 수 있는자료로서 일정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가장본 『상서고훈』 2종과 『상서지원록』은 모두 일부만 남아 있는 결질缺帙이지만 정약용이 마지막으로 수정, 정리한 정고본定稿本으로서, 그동안 발견된 이본들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구본 『상서고훈』과 『상서지원록』은 처음 저술한 이후 계속해서 검토수정되었는데, 그것은 1834년 합편을 저술하기 직전까지 계속되었을가능성이 있다. 현전하는 이 책들의 필사본은 최후의 수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필사된 것이다. 가장본에 지시된 수정 내용 중 일부가 현전하는필사본에는 반영되지 않은 점이 그 사실을 말해 준다. 이에 비해 합편『상서고훈』에는 가장본의 수정 지시가 충실하게 반영된 점으로 보아 가장본은 정약용이 합편을 저술할 때 직접 사용한 본이라고 볼 수 있다. 수정은 내용뿐만 아니라 장정에서도 이루어졌다. 구본 『상서고훈』의표지에 있는 ‘舊本’이라는 글자는 새로운 본, 즉 합편 작성 이후에 장정을 새롭게 했거나 글자를 추가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舊本’이라는 글자는 정약용의 친필일 수도 있으나 후손이 써넣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상서지원록』 표지에는 정약용이 1821년 5월에 완성한 정자 이름을 붙인 ‘채화정집菜花亭集’이라는 제목이 씌어 있다. 이는 이 책의 장정이 그이후에 이루어졌음을 말해 준다. 구본 『상서고훈』의 필사 이본異本은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일본 쓰쿠바대학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두 이본은 가장본과 내용은 동일하나각 권의 구성이 다르게 되어 있고, 『상서』 경문經文의 서술 방식도 다르게 된 부분이 있다. 이는 이 책의 최종본인 가장본이 완성되기 전에 필사가 이루어졌음을 말해 주며, 동시에 이 이본들이 1810년에 저술한 책의 원형에 더 가까운 구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가장본 『상서지원록』은 1969년 영인 출간된 『여유당전서보유』에 수록된 본의 저본임이확실하다. 합편 『상서고훈』은 다른 필사본이 전하지 않고 1936년 신조선사에서간행한 『여유당전서』에 실린 활자본이 유일한 본이고, 그것이 정본 『상서고훈』의 저본이 되었다. 신조선사본은 출간 초기부터 오탈자 등의 오류가 제기되었다. 신조선사본의 오류는 『정본』에서 일부 교감하였으나대부분 그대로 계승되었는데, 가장본을 통해 그것을 바로잡을 수 있는길이 열렸다. This paper bibliographicall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an Family Collection’s Manuscripts of Sangseo gohun and Sangseo jiwonrok and examines the transcription period of each variant copy together with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transcription. The Tasan Family Collection’s Manuscripts consist of the old edition of Sangseo gohun, completed by Jeong “Tasan” Yakꠓyong in the fall of 1810, and Sangseo jiwonrok completed in 1811. It also contains the combined 1834 version of Sangseo gohun, which combines Sangseo jiwonrok with the old edition and has Song scholars’ annotations and his own comments. Therefore, the old edition and Sangseo jiwonrok were the groundwork to produce the combined version. Given the appearance of the combined version, one might say that it was “books abandoned by Tasan.” Still, the old edition and Sangseo jiwonrok have value as materials for examin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Jeong’s studies of Sangseo(尙書). The two family-owned editions of Sangseo gohun and Sangseo jiwonrok are odd volumes of which only parts remain, however, they are the final versions that Jeong revised and arranged and are different from the variant editions found afterward. The old editions of Sangseo gohun and Sangseo jiwonrok have been reviewed and revised since they were first written, and this is likely to have continued until the combined version was written in 1834. The manuscripts of these extant books were handwritten before the final revision was made. This is clear from the fact that some of the revisions identified in the Tasan Family Collection’s Manuscripts are not found in the existing manuscripts. On the other hand, given that the revision instructions of the Tasan Family Collection’s Manuscripts are faithfully reflected in the combined edition of Sangseo gohun, it may be inferred that the Tasan Family Collection’s Manuscripts are the ones Jeong Yakyong used when he wrote the combined edition. Revisions were made not only in the content of the book but also in the book cover. The word “Gubon”(舊本) on the cover of the old edition of Sangseo gohun should be regarded as a new edition, since it may have been that a new rendering of the book cover was made or letters were added after the combined edition was published. The letters gubon may be Jeong’s handwriting,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of his descendants wrote it. Additionally, on the cover of Sangseo jiwonrok, there is a title “Chaehwajeong-jip” written on it, named after a pavilion he completed in the fifth month of 1821. This suggests that the book cover was made after the pavilion’s completion. The variant manuscripts of the old edition of Sangseo gohun are housed in the Kyujanggak Pavil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sukuba University in Japan. The two variants have the same content as the family-owned edition but each volume is arranged differently, and the Sangseo text is described differently. This indicates that the transcription was made before the family-owned edition(the final edition) was completed. Moreover, the variants are arranged in a manner that is closer to the original form of the book written in 1810. The family-owned edition of Sangseo jiwonrok is certainly the basis of the copy in the addendum of Yeoyudangjeonseo, published photo-typographically in 1969. The combined edition Sangseo gohun has no manuscript edition and its only edition is the one published in Yeoyudangjeonseo by Shinjoseonsa in 1936. It became the basis for the original edition of Sangseo gohun. Errors such as typos were discovered in the Shinjoseonsa edition ever since its publication. Some errors in the Shinjoseonsa edition were partially revised in the original edition but most are present to this day. However, the family-owned edition gives us a chance to correct these errors.

      • KCI등재

        丁若鏞, <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이상욱 한국한문학회 201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5

        Judged from our modern day perspective, classical studies in pre-modern times look vague, conservative and even anachronistic. Compared to the dynamic historical progress that modern historians have described, classical learning scholars’ fixation with the ‘classics’ appears detached from the changing realities of society. Even if somebody discovered a very important fact in the history of classical studies, we tend to ask: so what? To us, ‘the classics’ are just one of many possible canons and we regard exegeses of them as merely academic or philosophical ‘thoughts’. Although the Sangsŏ gohun was a laborious work throughout Chŏng’s life, i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scholarly attention, unlike Chŏng’s so-called ‘literary’ and ‘practical’ works. In fact, it is difficult for us to find his uniqueness here since this book was more of a compilation than an original creation. What matters here is not ‘what he thought’ but ‘how he organized’.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book’s ‘Ŭirye’ 義例, or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the meaning of Chŏng’s original conceptualization of this work, namely the ‘Retaining of the Old’ 存古, which he referred to in the preface. This ‘program’ on discourses over the Sangsŏ, a controversial issue in Confucian history, is thought to aim at not only the feasibility of reading but also carries a social dimension that was inseparable from Chŏng’s experiences, circumstances and ideals. Cai Shen 蔡沈(1167-1230) presented the “original truth” of the Old Text Documents but didn’t refer to different versions of the text. Conversely, Sun Xingyan 孫星衍(1753-1818) concentrated his efforts on restoring the “original text” using different versions, but didn’t recognize the different explanations in history. However, Chŏng tried to offer different versions of the text as well as different opinions on the text in the Sangsŏ gohun, which was made possible because he developed a system, namely Ŭirye, to discriminate and classify materials properly. Furthermore, he could make a space to state his opinions on the present based on the past by standing at the end of exegetical tradition. Chŏng suggests to us a narrow and rather troublesome way to the “original truth” of antiquity in the Sangsŏ gohun, which starts with the recognition of incomplete texts and passes through historical studies on various exegeses, rigorous comparison with textual materials and synthetic generalization. It is only upon the basis of this foundation that messages flow from the antiquity to the present. Chŏng’s so-called “Retaining the Old” was this methodological roadmap. 『尙書古訓』은 다산이 서거하기 직전 완성한 <尙書>의 주석서로, 『梅氏書平』과 함께 다산의 평생에 걸친 <尙書> 연구를 대표하는 역작이다. 『尙書古訓』 이전의 주석서에서 보이지 않는 독특한 의례를 가지고 있는데, 다산은 이런 『尙書古訓』의 구성 방식을 ‘존고’(存古)를 위한 작업이라고 밝히고 있다. 본고는 『尙書古訓』의 구성에 적용되고 있는 의례, 즉 자료의 분류․배열 방법과 원칙을 알아봄으로써, 다산이 이 저작에서 의도한 ‘존고’란 무엇인지 알아본다. 『尙書古訓』에서 자료들은 크게, 경문(經文)과 훈고 그리고 [考異], [考證], [考訂] 등의 표목 밑에 기술된 내용으로 나뉜다. 경문은 위작으로 판명된 매색본(『孔傳尙書』)을 쓰고 있는데, 확실히 위작으로 판명된 부분은 뺐으며, 정현본의 순서를 따라 배열했다. 훈고는 복생의 훈고로부터 다산 자신의 훈고까지 여러 제가들의 의견들을 제시하되, 경문에 전문적으로 행한 훈고만을 다룬다. 표목들은 <尙書> 관련 자료들을 정보의 종류에 따라 나누는 기능을 하며, 이는 범례에 제시된 순서에 의해 배열된다. 훈고와 표목 밑에 제시된 <尙書>의 이본, 제가들의 마지막에는 다산 자신의 의견들을 입증방식에 따라 세분해 기술한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첫째, 상서학의 역사적 전개를 통시적으로 보여주고, 둘째 ‘소학(小學, philology)의 도입을 통한 합리적 훈고의 확정→합리적 훈고에 근거한 해석→경전 해석에 근거한 경세론의 전개’라는 다산의 경전 연구에 있어서의 기본 방법과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본고는 다산의 『尙書古訓』이 당시에 윤리적 행위, 정치적 판단, 학술적 토론, 사고의 경로 등에서 중요한 준거가 되던 유학의 ‘이상화된 과거’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저술로 본다. 그것은 당시 사회에서 신화적으로 통용되던 전제(premise)와 의심 없이 통용되던 사고방식에 대한 도전이었으며,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합리적’ 방법론의 대안적 제시였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상서고훈』 저술과 개정 과정 연구 - 필사본의 검토를 중심으로

        김보름 ( Kim Boru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6 No.-

        본고의 목표는 『상서고훈(尙書古訓)』의 성립과 개정 과정을 규명하고 그 의의를 살피는 데 있다.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상서』의 원본 복원을 위해 역대의 경전과 주석에서 『상서』의 잔편(殘片)과 학설을 모으고 판별하였다. 이 책은 1810년 유배지 강진에서 편찬되었는데, 해배 뒤인 1834년에 대폭 개정되었기 때문에 그 변화의 양상이 주목된다. 『상서고훈』의 성립과 개정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필사본에 대한 문헌학적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들은 물론, 원본적 가치가 높은 2종의 새로운 『상서고훈』 필사본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필사본 상호간의 선후 관계와 전승의 계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전 필사본 중 3종은 개정 이전의 내용을 담고 있고, 1종은 개정 이후의 내용을 담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현전 필사본 중에는 1810년 본의 원형을 가진 것은 없으며, 1834년 이전에도 정약용은 몇 차례 『상서고훈』을 수정하였고, 개정본 서례(序例)에서 보이는 체재는 개정본 단계에서 정교화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서고훈』에 대한 이와 같은 문헌 검토는 향후 내용의 탐색과 심화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of writing and revising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and to examine its significance.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collected and determined the remnants and theories of the Book of Documents from the confucian classics and annotations of the past to restore the original version of it.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was first written in 1810 in Gangjin, his exile site, and revised in 1834, after being released from the exile site. In the preface to the revised version, he said that he compiled the original 6-volume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and 7-volum Discerning the Phrases of the Book of Documents, but the revised version has a total of 21 volumes. Even with simple calculation, the volum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specific process and content of the revision remained in question. In order to clarify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process of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hilological examination of its manuscripts. Therefore, in this study, not only existing materials, but also two new manuscripts of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with high original value were reviewe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urrent manuscripts and records, the original form of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which was first made during the exile, was traced, and the process of revision was elucidated. This is an independent literature review on the final scholarly achievement of Jeong Yak-yong,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and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future content exploration and in-depth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정약용 『상서고훈』의 구성 체재와 안설(案說)에 대한 고찰

        김성재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8

        본고의 목적은 정약용의 『상서고훈』의 구성 체재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상서고훈』의 번역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상서고훈』은 크게 ‘경문’ ‘고훈’ ‘표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표지’는 다시 分類標識와 案說標識로 나누어진다. 분류표지는 논하고자 하는 주제에 따라 다시 ‘考異’ ‘考誤’ ‘考證’ ‘考訂’ ‘考辨’으로 구분된다. ‘고이’는 『상서』를 직접 인용한 여러 전적에서 現傳하는 경문과 글자를 다르게 쓴 내용을 다룬 것으로 字學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다. ‘고오’는 한대 학자들의 『상서』 이해에 대한 오류를 밝힌 내용이다. ‘고증’은 역대 전적에서 『상서』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알려 준다. ‘고정’에서는 서로 다른 고훈의 是非를 논하고, ‘고변’에서는 『상서』의 내용 중 논란의 소지가 있는 내용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이 각각의 내용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부분 앞에는 논하는 내용과 논술 방법에 따라 ‘鏞案’ ‘案’ ‘辨曰’ ‘訂曰’ ‘議曰’ ‘論曰’ ‘駁曰’이라는 안설표지를 붙여 표시하였다. 이 안설표지는 고훈을 비롯한 위 5개의 분류표지에 모두 부여된다. 이러한 『상서고훈』의 체재는 다산의 경학 연구 방법을 가시적으로 구현한 것이며, 동시에 연구자들에게 이 텍스트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이용하도록 이끌어주는 指南의 기능도 한다. 本稿的目的在于了解丁若镛的『尙书古训』的构成体裁。该研究是为了翻译『尙书古训』而进行的基础作业。 『尙书古训』大体上分为‘经文’、‘古训’、‘标识’等叁个部分。‘标识’又分为分类标识与案说标識。分类标识则根据议论主题而分为‘考异’、‘考误’、‘考证’、‘考订’、‘考辨’。‘考异’将涉及关于直接引用『尙书』的多数典籍当中与现传的经文所使用的汉字不同的相关内容包含着对字学研究者有用的信息。‘考误’将涉及汉代学者对『尙书』的理解存在误区的内容。‘考证’将介绍历代典籍如何运用『尙书』的相关内容。‘考订’将对不同古训的是非进行议论‘考辨’则集中探讨『尙书』内容当中存在争议的部分。关于各个内容表明自身意见的前头将根据内容及论述方法而标註‘镛案’、‘案’、‘辨曰’、‘订曰’、‘议曰’、‘論曰’、‘驳曰’等案说标识。此案说标识将适用于如古训及上述5个分类标识。 这种『尙书古训』的体裁宏观地体现了茶山的经学研究方法同时还起到指南的功能使得研究者更有效而系统化地利用该文本。

      • KCI등재

        정약용의 『상서(尙書)』 백편 이해

        김문식 ( Moon Sik Kim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본고는 정약용이 1834년에 작성한 『상서고훈(尙書古訓)』 「상서서(尙書序)」에 나타나는 『상서』 백편에 대한 이해 방식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약용의 『상서』 연구는 유배기와 해배기로 구분할 수 있다. 유배기의 연구는 『매시서평(梅氏書平)』 『고훈수략(古訓蒐略)』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으로 나타나는데, 『상서』 백편의 서문인 「서서(書序)」에 대한 연구는 경문(經文)이 전해지는 58편의 서문과 고훈(古訓)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간략하게 밝히는 수준이었다. 해배기의 연구는 『상서고훈』 「상서서」로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는 『상서』 백편의 서문 전체와 그 고훈을 모았다. 정약용이 이용한 자료에는 유교 경전과 한대 학자인 정현(鄭玄)의 주석,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청대 학자인 모기령(毛奇齡)과 염약거(閻若據)의 연구와 자신의 저작인 『매씨서평』과 『상서지원록』의 성과가 반영되었다. 정약용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상서』 백편의 순서를 바로잡고, 매색(梅穡)을 비롯한 후대 학자들이 원문을 변개(變改)한 부분을 일일이 찾아서 논증했다. 정약용은 『상서』 연구를 통해 공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서서」의 원형을 복원하고, 고훈을 통해 그 의미를 밝히려 하였는데, 특히 옛 기록의 원형을 찾아 복원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약용은 『상서』 연구의 목적을 옛 것을 제대로 알아 현실에 적용시키는데 두었는데, 이는 경학 연구를 통해 유교 경전에 나타나는 경세학의 이념과 모범적 해결 방안을 찾아내는 방식이었다. 필자는 정약용이 「상서서」를 연구한 목적도 이와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Classic of History) 100 Chapters appeared in Shangshuguxun(Classic of History`s Old Commentary). Jeong`s research of Shangshu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one is the time he was exiled to Gangjin area, he gathered old commentaries of Shangshu 58 chapters handed down until today and made a brief mentions of his opinion. The second one is the time after coming back to his hometown, he gathered old commentaries of the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totally. His data came from Han and Tang Dynasty`s commentaries to Qing dynasty`s commentary and his own book. Jeong, Yakyong corrected the order of Shangshu 100 Chapters and made clear the texts of preface one by one which were changed by the younger scholar like Meize. Jeong did his best to restore the original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an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preface. Jeong, Yakyong`s prospect of studying Shangshu was to know ancient system accurately and to apply the system to the real life. When Jeong studied the confucian classics, he made efforts to discover the idea or the solution which could solve the real problems. I think Jeong`s prospect of studying the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was the same.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춘추학과 경학방법론-『춘추고징』을 중심으로-

        전성건 ( Jeon Sung-k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0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춘추고징』의 역사적 의미를 탐구해보고, 그의 경학방법론을 체계화해보려는 시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춘추고징』은 춘추시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산의 주석 작업의 결과물이기는 하지만, 『춘추』라는 서물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아니라, 왕조례 가운데 제례와 상례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고증에 방점을 두고 진행된 것이다. 이를 통해 그의 경학저술의 지향점이 왕조례를 포함한 국가례에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춘추고징』은 다산의 경학방법론의 시각에서 볼 때, 『상서고훈』과 짝을 이루어 살펴봐야 하는 작품이다. 『춘추고징』은 성현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고, 『상서고훈』은 성현의 말씀을 기록한 것으로, 각각이 고증과 훈고에 무게중심을 두고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고훈과 고증은 좁은 의미에서 일종의 주석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그의 문헌학 전체 가운데 일부이기는 하지만 핵심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을 명실상부한 조선왕조의 체제개혁가로 부를 수 있다면, 그의 저술 『춘추고징』은 그의 경세학저술의 대표격인 『경세유표』로 이어지는 대표적 경학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hunchugojing written by Jeong, Yak-yong and systemizes his methodology of the chinese classics. The book is the commentary work on the historical fact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is is not focusing on the Chunchu itself but practicing ancestral and funeral rites in the dynasty. Therefore, Dasan said, “This Book has final target on the ritual system.” To sum up, this book ascertains historical truths of Chunchu and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then current rites. Comparing Chunchugojing with Sangseogohun, we can verify his methodology of the chinese classics more cleary. While Sangseogohun which is on the teaching of the sages is the work obtained through the exegetical studies, Chunchugojing which is on the ritual practicing of the sages is the work obtained through the documental archaeology. Consequentially, Chunchugojing is the annotated book of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ritual practicing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n it, Dasan will find old proprieties for the Joseon dynasty’s reformation and development. In this regard, he must be a restoration man but also a reformer in the way that eastern thinkers usually seek old future for the present.

      • KCI등재

        丁若鏞의 三代 田賦論: 三代 ‘二元的 田賦論’의 논정 과정을 중심으로

        윤석호 진단학회 2019 진단학보 Vol.- No.132

        Dasan Jeong Yak-Yong proposed state reformation plans which were ideologically and methodologically based on Old Law implemented in Three Periods of Xia, Yin, Zhou. This study focused on the Jeon-Bu[田賦] system, and aimed specifically at demonstrating the process of Dasan’s argumentation on the Jeon-Bu[田賦] system in Three Periods of Xia, Yin, Zhou. and revealing its features. Various Confucian scriptures described in common that farmland was the major subject to tax, but expressed different aspects about the non-farm tax. For example, Mencius regarded receiving only land tax as the ideal tax system, on the other hand, Zhou-li described various names of tax which can be assumed non-farm tax. Moreover, Shang Shu’s Yu Gong graded nine Ju(州)‘s Jeon(田) and Bu(賦) separately, but did not really explain the meaning of Jeon and Bu. The older Confucian scholars were commonly regarded that there was only land tax, or that even if non-farm tax was there, it could not be a separated tax system independent from land. Accordingly, they regarded Jeon as the land’s grade, and Bu as the land tax amount’s or whole taxes amount’s grade. It reveals that they regarded production in Three Periods was depended entirely on agriculture, and tax system was unified into land tax. However, Dasan argued dualistic tax system in Sangseo-jiwonrog(『尙書知遠錄』), expressing Jeon as land tax amount’s grade and Bu as non-farm taxes amount’s grade. After that, he realized Se(稅) was different from Jeon, and wrote it on the headnote of Sangseo-jiwonrog(『尙書知遠錄』). Dasan’s perception of dualistic tax system in Three Periods was systemized based on Zhou-li’s Nine-Bu(9賦). He argued that all adults in Wanggi(王畿) had own job, and had an common obligation to pay taxes, namely Teakjoen(宅田)-Buga(夫家)-Oksok(屋粟). Furthermore, some jobs that produced a lot of added value were imposed additional tax such as Guansi’s Bu(關市之賦) and Santeak’s Bu(山澤之賦). Also in such perception, he reinterpreted Jeon, Se, Bu’s examples in Confucian scriptures. Dasan’s dualistic tax system in Three Periods was founded on the principle of specialization of Nine-Jobs(9職), which was a strong reflection of realistic goals. In other words, to reform the reality, he kept trying to demonstrate and find the ideal model in Confucian academic system. Therefore, Dasan’s dualistic tax system in Three Periods can be evaluated the highest reform’s measure can be derived based on the Confucian scriptures. 다산 경세학의 이념적․방법론적 토대는 三代의 古法이었으며, 삼대의 田賦는 토지제도와 더불어 다산 경세학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산이 經學史的 전통 하에서 三代的 田賦의 古法을 논정해갔던 과정과 그 讀法의 原理를 해명하고자 했다. 유교 경전에서는 공히 農地와 田租가 수취의 주요한 부과대상이자 稅目임을 밝혔다. 그러나 농지 외를 대상으로 한 세목의 존재에 대해서는 經義가 다소 상이한데, 『孟子』가 오직 助法 하의 田租만 수취하는 것을 善政의 방도로 제시했던 한편으로, 『周禮』는 농지 외의 부과대상과 田租 외의 세목을 추정케 하는 다양한 賦稅의 양상을 전한다. 더욱이 『尙書』 「禹貢」에서는 9州마다 ‘田’과 ‘賦’의 등급을 별도로 매겼는데, 정작 ‘田’과 ‘賦’의 세법적 함의는 명시하지 않았다. 先儒는 대체로 삼대에는 田租 이외의 수취가 없었다거나, 있었다 하더라도 고유한 부과대상을 지닌 독립된 수취체계로는 간주하지 않았다. 이에 「禹貢」에서의 ‘田’을 농지의 등급으로, ‘賦’는 田租 혹은 田租를 중심으로 한 수취 총액의 등급으로 독해했다. 당시의 생산과 사회구성이 농업에 전적으로 의존했으며, 따라서 田賦의 체계 역시 田租를 중심으로 일원화되었다고 본 것이다. 이와 달리 다산은 『尙書知遠錄』에서 삼대의 ‘二元的 田賦論’을 제시했다. 「禹貢」의 ‘田’과 ‘賦’를 각각 田租와 田租 외의 세목으로 이원화한 것으로, 이로써 삼대에 농지 외를 대상으로 한 수취가 田租로부터 독립된 체계를 이루었다고 간주했다. 하지만 이 시기의 다산은 『周禮』 9賦 각각의 부과대상과 세목을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못하고 있었다. 다만 변화의 단초가 『尙書知遠錄』의 頭注에서 확인되는데, ‘田’과 ‘稅’를 田租로 등치했던 본문의 견해와 달리 ‘稅’를 ‘賦’로 간주했다. 이는 ‘賦’의 체계와 경전적 용례에 대한 다산의 탐구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稅’의 세목을 9賦 내에서 비정하지는 못했다. 二元的 田賦論의 체계는 『經世遺表』에 이르러 확립되었다. 다산은 『周禮』에서의 ‘9賦’를 용도에 따른 재원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만든 범주로 보았고, 따라서 기내 전역에서는 지역적 편차없이 동질의 수취제도가 시행되었다고 했다. 이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9職에게 보편적으로 수취되는 부세로서 宅田-夫家-屋粟이며, 그 명목은 각각 가호세-인구세-직업세에 해당한다. 한편 특정 직사에게만 부과된 세목도 상정했는데, 바로 關市之賦와 山澤之賦이다. 다산은 이를 농자의 田租에 비견했는데, 자생을 넘어서는 수준의 부가가치가 생산되는 직사에게 이에 대한 별도의 수취가 있었다고 본 것이다. 이로써 다산은 삼대에 독자적인 부과대상 하의 다양한 세목이 존재했고, 보편과 특수의 세목이 조화를 이루며 균평한 수취가 달성되었다고 보았다. 이같은 독법은 당시의 산업이 ‘9職의 專業’에 도달했다는 전제 하에서 구축된 것이었다. 즉 삼대 기내의 모든 민인이 재산-인구-직업에 대한 수취를 부담할 정도의 경제적 토대, 즉 專業으로서의 직업을 가지고 있었음을 상정한 것이다. 또한 다산은 이러한 원리 하에서 『尙書』와 『周禮』, 『春秋』 등의 경의를 재해석했고, 이에 부합하지 않는 『孟子』의 경의를 기각했다. 이처럼 다산은 9職의 專業이라는 三代的 理想을 유교의 학문 ...

      • KCI등재

        丁若鏞 鄕遂論의 추이와 그 함의

        윤석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This paper aims to substantiate Jeong Yak-yong’s view of Hyangsu-System under comparison with senior Confucian scholars. The characteristics can be arranged into six categories. First, Hyangsu-System was most detailed in Zhou-li, with no stipulation about the character and the location of Hyang and Su. Second, Jung Hyun regarded the character of Hyang as agricultural zone, and its location as 100 Li (里) from the palace. He thought that Six-Army (六軍) would be taken out of the Six-Hyang (鄕)’s people. Such interpretation is closely linked to the regional division of the governing method in Kinae (畿內) into Feudalism and Bureaucracy. Third, Jeong Yak-yong systematically presented the theory on Hyangsu-System in Sangseo jiwonrog, and regarded the character of Hyang as non-agricultural zone, and its location as the inside of the Capital, which was a key point that has not changed since then. Fourth, from Gyeong’se yupyo to Sangseo gohun (1834), Jeong Yak-yong’s theory on Hyangsu-System has changed consistently with three trends. That is, the expansion of areas where Six-Army (六軍) were conscripted, bureaucratic domination everywhere in Kinae,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building the Capital into all kinds of Eup (邑). Fifth, Dasan’s theory on Hyangsu-System very similar whith his final theory was founded in Gyeong’se yupyo and the letters to Sin Jak (申綽) Sixth, Jeong Yak-yong’s multi-kinds of theories on Hyangsu-System all appeared in Gyeong’se yupyo. It means that he began to write Gyeong’se yupyo under the opinion about Old-Law (古法) detailed in Sangseo gohun, and revised it several times to reflect the changing views. 본 논문은 유교 경전에서 전하는 鄕遂制의 원형과 이에 대한 先儒의 일반적 독법, 그리고 이를 비판하며 제기된 丁若鏞의 鄕遂論과 그 만년에까지의 변화과정을 계기적으로 논증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그 특징은 여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周禮』는 향수제의 실상을 가장 자세히 전하고 있는데, 鄕과 遂의 성격과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둘째, 鄭玄은 향을 농업지대로, 그 위치를 왕성으로부터의 100里로 간주했다. 그리고 6향의 가호로부터 6軍이 징발된다고 했다. 이와 같은 讀法은 기내를 천자의 관료에의한 통치지역과 봉건으로 양분했던 견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셋째, 정약용은 『尙書知遠錄』에서 향수론을 처음으로 체계화했다. 그는 향을 비농업지대로서 도성 내부로 위치한다고 보았는데, 이는 이후에도 변치 않았던 핵심 논지였다. 넷째, 『經世遺表』에서부터 만년의 『尙書古訓』에 이르기까지 정약용의 향수론은 변화했다. 그 주요한 추이는 3가지로, 親兵 징발지역의 확대, 기내봉건의 부정에 기초한 官 守 방식의 일원화, 모든 도읍에서 ‘營國’의 원리와 ‘6鄕⋅6遂’의 보편화이다. 다섯째, 『經世遺表』에는 『尙書知遠錄』 단계의 향수론에서부터 『尙書古訓』 단계의 향수론에 이르기까지의 다층적인 변화상이 확인된다. 한편 신작과의 서신에서 표명된 향수론은 다산 최종의 향수론으로 이행하기 직전의 견해로 보인다. 이로써 볼 때, 『經世 遺表』는 『尙書知遠錄』 시기의 古法 이해 하에서 착수되어, 신작과의 서신 이후에까지수정된 것으로 이해된다. 뿐만 아니라 다산은 초기의 향수론에 근거하여 〈典堵司〉의도성개혁안을 마련했으며, 이후 향수론의 변화에 따라 수정된 도성개혁안을 〈匠人營國 圖〉에서 개진했다. 그리고 〈장인영국도〉에서의 가호편제방식은 〈敎民之法〉과 〈科擧之 規〉 등에서 제기된 교선개혁안의 제도적 토대가 되었다. 여섯째, 『經世遺表』에 피력된 다층의 향수론은 『經世遺表』가 다산의 견해변화에 따라 수정[혹은 가필]되었음을 보여주는 주요한 내용적 증거이다. 그리고 『經世遺表』의집필과정에 대한 이같은 추정은 향후 『經世遺表』(김영호 소장본)의 서지적 분석을 통해보다 명확히 논증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