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황, 기대승, 송순의 사단칠정론

        남지만 ( Ji Man Na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1 No.-

        사단칠정논쟁은 16세기 성리학의 세계관에 따라 우주의 구조를 정리한 「천명도」의 작성과정에서 정지운이 사단은 ``이(理)에서 발하고 칠정은 기이서 발한다``고 한 것이 그 발단이 되었다. 이로부터 사단과 칠정이라는 감정의 이기론적 지위가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이황은 사단과 칠정을 이기(理氣)로 나누는 호발론을 주장하였다. 이황의 목적은 기질로부터 사단을 분리함으로써 절대적인 선, 순선한 감정을 설정하고, 이를 확충하는 것으로 도덕실현을 이루려는 것이다. 그 결과 사단의 선을 확실한 실천의 기준으로 삼아 칠정에 기반한 선의 실현보다 우위에 놓게 된다. 기대승은 이황의 호발설의 논리적 난점을 반박하였으나 이황의 이론이 갖는 목적을 받아들여 「사단칠정후설」과 「사단칠정총론」에서 사단이 이가 발한 것이라는 이황의 주장을 받아 들였다. 그래서 기대승의 사칠설은 복잡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송순은 이이 이전에 기발이승일도론을 수립하고 사단 칠정과 인심도심의 중절(中節) 여부라는 일원적 관점으로 파악하는 논리를 세웠다. 발출 근원의 이나 기가 문제가 되기보다는 그 정이 중절(中節) 여부를 따지게 된다. 발출 근원으로서 이(理)나 기(氣)가 문제가 되기보다는 정의 중절(中節) 여부를 따지게 된다. 사단 칠정에 관계없이 그 정(情)이 절도에 맞으면 선이요 절도에 맞지 않으면 위태롭게 되어 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송순의 이러한 논의는 사단칠정 결과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이황과 기대승이 사단 칠정의 단초를 중시한 것과 구분된다. Yi Hwang, Ki Dae-sung And Song Soon are 16C Neo-Cofucianist in Korea. He debate with Yi Hwang on the origins of moral emotions (Four Seven debate, 四七論爭). Yi hwang insists that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Sadan, 四端) is directly derived from human nature(Sung, 性),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Li, 理). And the other emotions(Chiljung, 七情) are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Ki, Chi, 氣) of the agent. Ki Dae sung, In his early doctrine, he did not approve that whole emotion which contains moral emotional beginnings is derive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He insists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so every emotion(Chiljung, 七情) is innocent at beginning point. He emphasizes the innocent originality of human emotions. His the later doctrine is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as desire,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is the realization of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is regarded as the actuality of human nature and conditions. Every man should control his emotions to observe the moral rule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can be believed to pursuit. Song Soon`s criterion is the effect and ending of emotions. In his theory, moral emotion is morally unstable when it loose moderation, and its moral value is regarded same as the non moral emotion. Every motion is good as long as it retains moderation.

      • KCI등재후보

        七情과 도덕성 - ‘聖人의 七情’을 중심으로

        박지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문화 Vol.0 No.20

        The Seven Feelings(七情) described in the Li yun(禮運) chapter in The Book of Rituals(禮記) are not related to morality. They are close to the senses and reactions that are based on the desires. However, i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being capable of having joy, anger, sorrow and delight(喜怒哀樂) is deemed to achieve complete harmony[和]. In this case, it will be able to indicate certain sort of morality. Based on that idea, Ki Dae-seung(奇大升1527∼1572) suggested that The Seven Feelings can realize moral values. Yi Hwang(李滉1501∼1570) contends that a source of moral values ​​exists in the mind. Since Four Clues(四端) are only considered to be moral nature which appears in the mind[理發], he does not speak of a morality in The Seven Feelings[氣發]. Yi ik(李瀷1681∼1763) makes a conclusion about 'the Seven feelings of a saint(聖人之七情)' in the activities of the Ki(氣). He says that it is defined by ‘the public private(私中之公)’. It means that morality is realized by the Seven Feelings. Shin Hudam(愼後聃1702∼1761)`s Four-Seven changes the focus of the discussions as a matter of ‘Xingming(性命)’ and ‘HyungKi(形氣)’. But ‘desire and aversion toward the moral good and evil(好善惡惡)’ are not related to the feelings of personal interests HyungKi. This is what he exactly means by the ‘the seven Public feelings(公七情)’. It means that the Seven Feelings itself is also moral. The Seven Feeling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a morality. However through discussion of the Seven feelings of a saint, it is possible to know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oral itself from moral possibilities. 七情은 『禮記』에서는 다스려야 할 욕망에 근거한 감정으로 본래 당위와 무관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中庸』은 中과 和로 性情을 설명하면서, 喜怒哀樂이 발하여 中節하면 도덕적 가치를 온전히 실현한 상태로 묘사되어 있다. 이것은 奇大升에게 氣에서 발한 칠정이라도 중절하기만 하면 四端과 다를 바 없이 도덕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된다. 반면 李滉은 인간의 감정 속에 도덕적 가치 근원이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이 도덕적인 행위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황은 확실한 도덕성을 담보하는 리에서 발한 사단에 초점을 두고 사단과 칠정을 철저히 구별하면서 도덕성을 사단에만 귀속시키기 때문에 도덕의 가능성을 칠정에서 찾지 않은 것이다. 李瀷은 성인의 칠정은 기발이라고 결론 내린다. 그러나 성인의 칠정은 공적인 칠정[私中之公]으로 규정하여 도덕성이 실현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 愼後聃의 사단칠정설은 性命[公]과 形氣[私]의 문제로 전환되는데, 善惡을 대상으로 好惡하는 경우는 형기와 관계없다고 보았다. 이것이 신후담이 말하는 공칠정으로 이러한 칠정은 그 자체가 도덕적이라는 의미가 된다. 칠정은 본래 당위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성인의 칠정에 대한 담론을 통해 ‘도덕의 가능성이 있다’(기대승)는 주장에서 ‘도덕성이 실현된다’(이익)라는 주장으로 다시 ‘칠정이 도덕적이다(신후담)’라는 주장까지 그 의미가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봉(高峰)은 퇴계(退溪)의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에 동의하였는가 - 주자어류의 사단시리지발(四端是理之發) 칠정시기지발(七情是氣之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洪正根 ( Hong Jung-geun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2 No.-

        고봉은 퇴계와 8년여에 걸쳐 사단칠정에 관한 논변을 벌였다. 최근에 성균관에서 발간한 『유교대사전』과, 민족문화추진회에서 번역한 『국역 고봉전서』에는 고봉이 퇴계의 사단칠정설에 동의하였다거나 복종하였다는 표현이 나온다. 그러나 근래에 발표된 또 다른 일부 서적과 논문들에서는 이와 달리 고봉이 퇴계의 주장을 시인하고 받아들였다고 할 수 없다거나, 퇴계에게 승복당하지 않았다는 등의 주장을 하고 있다. 상반된 의견이다. 고봉은 퇴계와 『주자어류』의 ‘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다른 입장을 취했다. 퇴계는 사단과 칠정을 엄격히 구분하는 관점을 유지하며 『주자어류』의 문장을 논변 초기부터 줄곧 긍정하였고, 고봉은 초기에는 『주자어류』의 문장에 대해 퇴계의 설과 같다고 보아 비판적으로 논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긍정하였다. 고봉은 퇴계의 해석 방법을 對說이라고 하였고, 자신의 해석 방법을 因說이라고 하였다. 퇴계는 자신의 학설을 대설이라고 하는 고봉의 견해에 대해 수긍하였다. 퇴계는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구분하듯이 사단과 칠정을 엄격히 구분해야 한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주장하였다. 이에 비해 고봉은 사단은 칠정 가운데 선한 측면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퇴계는 칠정은 기를 위주로 논해야 하므로 氣發이라고 해야 옳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주자어류」의 ‘七情是氣之發’을 긍정하였다. 고봉은 칠정은 리기의 발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초기에는 이러한 입장에서 『주자어류』의 ‘七情是氣之發’을 비판하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주자의 ‘七情是氣之發’을 理弱氣强의 현실을 고려한 표현이라고 보아 긍정하였다. 그러나 내적으로는 여전히 칠정은 리기의 발이라는 관점을 유지하고 있었다. ‘四端是理之發’에 대해서는 퇴계와 고봉사이에 별다른 논쟁이 없었다. 『주자어류』의 ‘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에 대한 고봉과 퇴계의 해석을 검토해 보면, 고봉은 사단은 칠정 가운데 선한 측면이라는 점과 칠정은 리기의 발이라는 주장을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견해는 퇴계의 사단칠정설과 다른 것이다. 고봉이 퇴계의 사단칠정설에 동의하였다거나 승복하였다고 보는 견해는 수정되어야 한다. Gobong and Toegye had discussed the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over eight years. Recently, it is said that Gobong agreed with or accepted Toegye's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in the Encyclopedia of Confucianism published b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in the Translation of Gobong's Whole Book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lso, when closing their discussion, Gobong wrote the Later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and the Total Doctrine of Four Foundation and Seven Feelings. In them, there is a few of sentences that Gobong seemed to accept Toegye's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On the other hand, in a few of theses recently published, there are a few opinions that Gobong neither accepted Toegye's doctrine nor he consented Toegye. Therefore, their opinions of understanding positions of the two are opposed to each other. Gobong and Toegye had their own position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Four Bases as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Seven Feelings as the Arousing of Vital Force" in Zhuziyulei. Toegye clang to the position of sharply distinguishing Four Bases from Seven Feelings and constantly accepted these sentences in Zhuziyulei. On the other hand, firstly Gobong criticized them, because he thought that they were in accordance with Toegye's doctrine, but later he agreed with them. Gobong called Toegye's method of understanding these sentences a doctrine of corresponding to them (對說), while he did his own method a doctrine of having a foundation for them (因說). Toegye agreed with Gobong's opinion that Toegye's method of understanding these sentences is a doctrine of corresponding to them. Toegye constantly argued that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were sharply distinguished, as is in the case of the human nature of original substance and that of disposition. On the other hand, Gobong had a position that Four Bases were the good side of Seven Feelings. Toegye emphasized that it was correct to say that Seven Feelings was called the arousing of vital force because they were regarded as vital force, and so accepted the doctrine of "Seven Feelings as the Arousing of Vital Force" in Zhuziyulei. Gobong emphasized that Seven Feelings were regarded as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firstly criticized the doctrine of "Seven Feelings as the Arousing of Vital Force" in Zhuziyulei, but later accepted it, in that this doctrine was an expression of considering a real situation of principle was week and vital force is strong. Nevertheless, he still maintained a view that Seven Feelings were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The two scholars had no controversy over "Four Bases as the Arousing of Principle." Considering the two scholars' opinions of "Four Bases as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Seven Feelings as the Arousing of Vital Force" in Zhuziyulei, Gobong constantly had an argument that Four Bases were the good side of Seven Feelings and Seven Feelings were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This argument is different from Toegye's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It seems to me that we have to correct such a view that Gobong agreed with or accepted Toegye's doctrine.

      • 高峰 奇大升의 四七說 중 ‘氣發’의 의미변화-理氣의 氣에서 氣質의 氣로-

        남지만 한국공자학회 2007 공자학 Vol.14 No.-

        Ki Dae-sung was 16C Neo-Cofucianist in Korea. He debate with Yi Hwang on the origins of moral emotions(Four Seven debate, 四七論爭). Yi hwang insists that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Sadan, 四端) is directly derived from human nature(Sung, 性),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Li, 理). And the other emotions(Chiljung, 七情) are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Ki, Chi, 氣) of the agent. Ki Dae sung, In his early doctrine, he did not approve that whole emotion which contains moral emotional beginnings is derive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He insists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so every emotion(Chiljung, 七情) is innocent at beginning point. He emphasizes the innocent originality of human emotions. The later doctrine is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as desire,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is the realization of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is regarded as the actuality of human nature and conditions. Every man should control his emotions to observe the moral rule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can be believed to pursuit. 기대승(奇大升, 호 高峰, 1527~1572)은 16세기에 활동한 성리학자이다. 그가 이황(李滉, 호 退溪, 1501~1570)과 벌인 四端七情論爭은 조선 성리학의 중요한 논쟁이다. 퇴계가 四端과 七情을 각기 理와 氣로 분속한데 대하여 고봉은 사단과 칠정을 理와 氣로 나눌 수 없다고 하였다. 사단은 순선한 理發이라 할 수 있지만 칠정은 감정 전체를 가리키기에 氣에 배속하여 사단과 대비시킬 수 없다고 한 것이다. 고봉이 「四端七情後說」과 「四端七情總論」에서 ‘사단은 理가 발한 것(四端理之發)’이고 ‘칠정은 氣가 발한 것(七情氣之發)’이라는 퇴계의 설을 받아들여 사단칠정론을 정리하고 퇴계도 고봉의 설을 받아 들여 논쟁을 끝맺는다. 고봉의 초기 사단 칠정논쟁서신에서 사용되는 ‘發’의 용례를 보면 사단이나 칠정은 발원의 측면에서 모두 理인 性에서 발원하며, 발동 발출의 측면에서는 理와 氣가 함께 발동하고, 발현할 때는 사단은 理로만, 칠정은 理와 氣로 발현하는 것으로 본다. 후기의 「四端七情後說」과 「四端七情總論」에서 칠정을 氣質에서 발하는 것으로 수정한다. 이 변화는 사단 칠정 발원처를 마음이 ‘미발 상태에 갖춰진 理인 性’의 측면에서 보았다가, 관점 변하여 氣質로 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칠정이 사단을 포함하고 있고 감정은 理와 氣기가 작용한다는 점은 일관성 있게 유지되기에, 그의 결론이 사칠설의 전반적 경향에서 크게 일탈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 KCI등재

        퇴계 이황(退溪 李滉)의 「천명도설(天命圖說)」과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의 시작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5

        이 논문은 「천명도설」과 사단칠정논쟁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관해 살펴본 것이다. 「천명도설」은 본래 권근의 『입학도설』의 「천인심성합일지도」, 「천인심성분석지도」와 관련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이황은 『입학도설』의 내용을 「천명도설」로 대신하고자 한 것이다. 그랬던 「천명도설」은 기대승과 사단칠정논쟁을 하는 과정에서 천명(天命)이 순선(純善)하게 유행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라는 보다 광범위한 목적이 추가된다. 「천명도설」은 현재 많은 판본이 남아 있다. 왜 이렇게 많은 천명도가 그려지고 유행하였을까? 이에 대한 답은 「천명도설」이 애당초 『입학도설』과 마찬가지로 성리학을 처음배우는 초학자들이 성리학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 의해서 그려졌기 때문이다. 기대승은 사단과 칠정을 대거호언(對擧互言)하여 언급하여서는 안 된다고 비판하였다. 그렇다면 이황이 사단과 칠정을 나누어 보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 부분은 권근의 『입학도설』 「천인심성합일지도」를 보면 사단은 정(情)의 영역에 포함되어 선(善)하고 칠정은 의(意)의 영역에 포함되어 선(善)과 악(惡)이 모두 있게 된 것으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다. 이황은 리기호발설(理氣互發說)의 입장에서 리발(理發)을 인정하게 된다. 그러나 기대승이 리(理)는 정의(情意)·계탁(計度)·조작(造作)이 없다고 하여 리(理)의 능동성을 부정한다. 이황의 입장에서 리(理)의 능동성을 주장한 것은 칠정이 악(惡)으로 흐를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사단의 능동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선(善)함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In this thesis, how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and the argument over Siduanqiqinglunzheng(四端七情論爭) began was examined.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is originally known to be related to “Tianrenxinxingheyizhitu”(「天人心性合一之圖」), “Tianrenxinxingfenxizhitu”(「天人心性分析之圖」) and others in Quan Jin(權近)'s. Accordingly, Yi Hwang(李滉) wanted to replace the contents in with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Into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was the broad purpose of showing that heavenly Tianming(天命) is purely chunshan(純善) included in the process of the argument over Qi Da-sheng(奇大升) and Siduanqiqinglunzheng(四端七情論爭). At present, many editions of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have remained. Why were so many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 drawn and spread? It was becaus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was drawn from the beginning for the purpose of helping novice scholars to understand Neo-Confucianism easily like was. Qi Da-sheng(奇大升) criticized that Siduan(四端) and Qiqing(七情) should not be mentioned as Duijuhuyan(對擧互言). Then, why did Yi Hwang(李滉) separate Siduan(四端) from Qiqing(七情)? It resulted from that Siduan(四端) belongs to the area of qing(情) so is shan(善) and Qiqing(七情) belongs to the area of yi(意) so is both shan(善)and e(惡) according to “Tianrenxinxingheyizhitu”(「天人心性合一之圖」) in Quan Jin(權近)'s . Yi Hwang(李滉) came to acknowledge the generation from lifa(理發) from the stance of Liqihufashue(理氣互發說). Yet, Qi Da-sheng(奇大升) denied activity of li(理) arguing that li(理) had no emotion and qingyi(情意)·jiduo(計度)·zaozuo(造作). Yi Hwang(李滉) supported activity of li(理) in order to secure activity of Siduan(四端) regarding the situation where Qiqing(七情) can become e(惡). Through which, he tried to reserve shan(善).

      • KCI등재

        퇴계 만년정론을 중심으로 본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논쟁

        안영상(安泳翔)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5 No.-

        이 글은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논쟁에서 퇴계가 논쟁의 마지막 부분에서 퇴계가 고봉의 설을 승인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퇴계는 사단은 리지발 칠정은 기지발이라는 도식을 견지하였다. 그리고 논쟁이 진행되면서 고봉도 리지발과 기지발을 인정하면서도 리지발을 사단과 중절한 칠정으로 기지발을 부중절한 칠정으로 보면서, 여전히 중절한 칠정과 사단은 같다고 하여 퇴계의 설에 반대하였다. 그런데 고봉은 이 논쟁이 끝날 무렵 사단 리지발은 확충해야 하고 칠정 기지발은 중절해야한다고 하여 퇴계의 설을 인정하는 태도를 취하면서도 리지발은 사단과 중절한 칠정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런데 여기에 대하여 퇴계는 사단과 중절한 칠정을 다 같이 리지발로 볼 수 있다는 고봉의 논리를 승인하는 것 같은 대답을 하였는데, 이것은 사단과 칠정의 엄격한 분리를 주장했던 기존의 그의 주장과 다른 것이다. 이것이 후대학자들은 많은 영향을 끼친 퇴계 만년정론이다. 이 글은 이것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그 실질적인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Lee Whang(李滉 Toegye; 1501~1570) approving these of Gidaeseoung(奇大升 Gobong; 1527~1572) in last part of their four-seven debate, even though it is generally known that Gidaeseoung gave up Lee Whang. In fact, in the process of this debate, Lee Whang keeps on insisting that Sadan (four beginnings; 四端) is Ligibal(issuance of Li 理之發), though Chiljeong(seven emotions; 七情) is Qigibal(issuance of Qi; 氣之發). Gidaeseoung also referred to Ligibal and Qigibal, which is different from meaning of Lee Whang's mentioning. Gidaeseoung's mentioning Ligibal is the regulation of Chiljeong(七情之中節) which is same meaning of Sadan, Qigibal is irregulation of Chiljeong. By the way, in the last part of this debate, Gidaeseoung send Lee Whang equivocal conclusion that Sadan is Ligibal for needing to expand moral emotion, Chiljeong is Qigibal for needing to regulate general emotion which is apt to falling evil, on the other hand with not giving up previous these he insist that Sadan is only the regulation of Chiljeong. After Lee Whang receiving Gidaeseoung's this letter, he reply to Gidaeseoung that he has mistakable possibility in mentioning that especially sage's regulation of Chiljeong is not Ligibal. This implies to agrement to Gidaeseoung's these and being different from Lee Whang himself's previous these. It is called Treatise on Last Theory of Toegye which impacted on later scholar of Toegye's school.

      • KCI등재

        퇴계 호발설의 ‘七情氣發’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

        남지만(Nam, Ji-Man)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3

        본 논문에서 필자는 기대승이 사칠논쟁에서 퇴계의 호발설에 대한 비판한 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대승의 사단칠정설의 변화를 밝혔다. 1566년 이전의 사칠설을 고봉의 초기설로 볼 수 있다. 이때의 고봉은 모든 감정을 천명지성에서 발원한 것으로 보아 모두 리발에 해당한다고 여겼다. 칠정을 천명지성에서 발원하여 나오는 것이라 하여 기발이라고만 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1566년, 기대승은 「사단칠정후설」, 「사단칠정총론」에서 칠정의 경우 감정 발현의 결과가 리와 기 두 측면으로 나타나는데, 리와 기 두 측면이 있다는 것을 기발이라고 할 수 있다고 후퇴한다. 그는 이렇게 순선한 사단에 대하여 선악이 모두 있는 칠정을 기발이라고 하는 것을, 기질지성이 리와 기를 모두 포함하기는 하지만 이를 본연지성에 대비하여 ‘기’ 또는 ‘기질’이라 지칭하는 것과 같은 용법이라고 설명한다. 사칠논쟁의 결론부에서 고봉과 퇴계가 합의한 리발 기발의 구분은 존재론적 구분이 아닌 가치론적 구분이다. 이들이 합의한 호발설은 리기의 발출과정에서 각기 발하는 것이 주장한 것이 아니라 리기가 섞여 있으면서 감정의 의미와 내용에 따라 구분하여 수양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고봉이 초기에 퇴계의 호발설을 반대한 것은 감정을 리와 기 두 측면으로 나누면, 理와 氣가 대등한 것으로 여겨져 세계의 근원적 가치는 理라는 것이 가려질 뿐 아니라, 예컨대 칠정 속의 理와 같은 현실에서의 理가 유명무실해질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고봉은 사단의 리발에 대해 반대한 것이 아니라 칠정의 기발에 반대한 것이다. 그러나 논쟁이 진행되고 퇴계의 견해를 이해하고 수용하게 됨에 따라, 실천적 관점에서 四端理發, 七情氣發의 구분을 수용하게 된다. 그럼에도 고봉설은 칠정도 리발이라는 七情理發說의 경향이 있는데 이는 조선후기 한주 이진상계열설과도 유사하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고봉의 성리설에 대해 기를 중시했다는 기존의 평가는 문제가 있으며 오히려 퇴계처럼 리를 중시한 성리설의 계열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monstrate, in accordance with fundamental intention of Kobong Ki Dae-sung(1527-1572)’s philosophy and the critics on the doctrine of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七情) of Toegye Yi Hwang(1501-1570). Kobong'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is output of Four Seven debate(四七論爭). In this debate, Kobong was a challenger to Toegye. Researches on Four Seven debate(四七論爭) so far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Toegye Yi hwang’s theory. The whole and true aspect of the debate is illustrated when the theory of Kobong is equally illuminated. Toegye argues that moral emotions are the only important and meaningful realization of Li(理). He insists that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四端) is directly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性),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Li, 理). Toegye's theory insists that feeings(七情)are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氣) of the body. In his early doctrine, Kobong did not approve Toegye's thesis that feeling is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氣) of the body. He insists that whole emotion and feeling is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so every emotion(Chiljung, 七情) is innocent and moral it self at beginning point. He emphasizes the innocent originality of human emotions. He thought that every feeling and emotion is the realization of Li. No one is seperated from the Moral origin, Li. In his view the Unverse is the exact realization of Li. He emphasized the realization of Li not Ki. Kobong's theory is that the origin and beginning point of all emotions is Li. So Kobong didn't approve that all emotional expression is the realization of Li. The good emotional expressions is the only the realization of Li. He worried that people could misunderstand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as moral origin itself, Li. In his view, the emotional circumstances is not the origin of morality but expressional moments that realize the morality. So people should distinguish the good expressional moments and bad expressional moments from the feeling. In his later theory Kobong approve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Only the moral emotion is the secure realizations of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He considered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as the unsecure actuality of human nature. So every man should control his emotions to observe the moral rule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can be believed to pursuit. So Kobong's later theory resembled Toegye's theory.

      • KCI등재

        주자학(朱子學)에서 본 퇴계(退溪)와 고봉(高峯)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沈桃姬 ( Sim Do-hee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7 No.-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四端七情’ 논쟁의 핵심은 도덕에 있어서 감정의 역할과 위치를 어떻게 자리매김하는가에 있었다. 두 사람은 논쟁을 하면서 자기주장의 근거를 모두 주자학에서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논쟁의 가장 핵심이 되었던 문제, 세 가지를 중심으로 두 사람의 관점을 비교하고, 주자학으로 돌아가 그 문제가 왜 발생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사단과 칠정은 인간의 감정으로 동일한 ‘情’의 범주에 속한다. 그런데 출처와 내용이 다른 사단과 칠정을 정의 범주에 넣다보니 이황은 사단과 칠정을 나누어보았고, 기대승은 사단을 칠정에 포함시켜 보았다. 두 사람의 이러한 견해 차이는 결국 주자학에서 그 둘의 관계를 분명하게 규명하지 않았고, 사단과 칠정에 대한 가치관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둘째, 이황은 사단과 칠정을 나누고 또 사단을 ‘理’, 칠정을 ‘氣’로 분속시키면서 그것의 근거를 천지지성과 기질지성의 관계에서 찾았다. 그런데 주자학에서 천지지성은 리로, 기질지성은 리와 기의 합으로 환원된다. 따라서 기대승의 비판처럼 이황은 사단과 칠정을 각각 리와 기로 분속시켜서는 안 된다. 하지만 주자학은 천지지성과 기질지성의 두 성을 설정하였고, 리기의 관계 또한 ‘不相離’ ‘不相雜’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해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셋째, 사단과 칠정을 ‘리기론’으로 환원하면서 이황은 ‘理氣互發論’을 주장하였고, 기대승은 ‘理氣兼發論’을 주장하였다. 주자학에서 리와 기의 관계는 ‘동정하게 하는 자’와 ‘동정하는 자’의 관계이다. 즉 리는 형이상의 본체로 기를 작용하게 하는 것이지 리 자체가 직접적인 운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볼 때 기대승은 태극의 流行論的관점을 충족시키고 있지만, 이황은 리의 직접적인 운동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주자학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논의를 종합하면, 기대승은 주자학의 기본 명제인 ‘리기’의 불가분리성을 만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단과 칠정의 범주에 대한 분석과 성에 대한 이해가 주자학의 심성론 체계와 부합하고 있다. 그에 비해 이황이 같은 정인 사단과 칠정을 굳이 나누어 보고, 그것의 ‘所從來’ ‘所指’ ‘所重’에 따라 각각 리와 기로 분속시킨 것은 주자학과 정합적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그렇지만 이황이 정인 사단과 칠정을 나누면서 성인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관계와 유비시킨 것이나 ‘리’의 직접적인 운동을 주장한 것은 주자학의 발전사에서 보면 새로운 발상이다. 그리고 그것이 이후 한국 주자학이 중국 주자학과 다른 차별성을 갖게 된 점이기도 하다. The core of Four-Seven debate is to identify what is role of emotion and where is position of it. Both Yi Hwang and Gi Daeseung secure each of grounds of assertions in Zhuzix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ir viewpoints focused three issues of debate and is to investigate the debate in perspective of Zhuzixue. First,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re human emotions and belong to same category of emotions. Yi Hwang regards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s the bifurcated, Gi Daeseung sees that four clues is included in seven emotions. The difference occurs because Zhu-zi clearly did not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cond, Yi Hwang divides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nd asserts that four clues belong to Li, seven emotions belong to Qi. Its ground found relationship between inherent nature and physical nature. In the Zhuzixue, inherent nature was restored to Li, physical nature was done to the sum of Li and Qi. Thus, like Gi Daeseung’s criticism, each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do not belong to Li and Qi. Zhuzixue sets two nature of inherent nature and physical nature. If so, however, it is discrepant from ‘human nature is principle’. Relationship of Li and Qi has an inherent contradiction. Third, Yi Hwang asserted ‘theory of mutual occurrence of Li and Qi’, and Gi Daeseung argued ‘theory of combined occurrence of Li and Qi’ as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is revivified as theory of LiQi. Relationship of Li and Qi is it of ‘unmoved mover’ and ‘the moved’ in the Zhuzixue. Li is metaphysical noumenon and moves Qi, but Li itself directly does not move. Gi Daeseung satisfies circulation of Taiji, but Yi Hwang’s theory of ‘unmoved mover’ of Li essentially differs with Zhuzixue. Gi Daeseung not only satisfies ‘not being separate’ of ‘Li and Qi’ which is elementary proposition of Zhuzixue, but also analysis of category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nd understanding of nature corresponds with theory of mind-nature of Zhuzixue. On the other hand, Yi Hwang divides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nd he asserts each of sojonglae differs. His assertion, Li directly moves, differs with Zhuzixue. four-seven debate theoretically intensifies Zhuzixue, and it is the beginning which has difference between Korean Zhuzixue and Chinese it.

      • 한국 성이학(性理學) 칠정이발설(七情理發說)의 계보 상에서의 응와 이원조(凝窩 李源朝)

        이상하 ( Sang Ha Yi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9 No.-

        한국 성리학에서 主理論의 絶頂을 이룬 것은 七情理發說이며, 당대 학계에 큰 파문을 일으켰던 寒洲 李震相의 心卽理說도 그 핵심은 필경 칠정이발설에 있다. 퇴계의 학설을 계승한 영남학파에서는 葛庵 李玄逸 이후 대체로 갈암의 설을 遵奉하여 四端을 理發, 七情을 氣發로 정의하였다.그러나 영남학파의 일각에서는 이미 갈암 이전부터 칠정이발설을 주장하는 학자가 있었으니, 바로 西厓 柳成龍의 제자인 愚伏 鄭經世이다. 우복 이후로는 우복의 六世孫인 立齋 鄭宗魯가 가정의 학설을 이었고, 한편 우복의 스승인 大山 李象靖도 사실상 七情理發과 같은 설을 보인다. 凝窩 李源祚는 스승인 입재의 설을 이어서 칠정이발을 주장하였다. 이들이 칠정이발의 근거로 제시하는 것은 퇴계의 心統性情中圖이다.응와는 ≪중용≫의 해석 등에서 철저한 主理論을 보여 七情理發의 논리적 근거에서 한주와 견해가 일치하는 곳이 있다. 그러나 응와는 한주가 心卽理說을 주장하는 것을 반대하였는데 이는 心說의 차이와 학문성향에서 기인한다. 특히 心說은 七情理發說의 가장 중요한 논리적 근거가 되는데 이 心說의 차이가 결국 七情理發의 실제 내용의 차이를 낳는다. 그러나 응와의 七情理發은 聖人의 경지에 한정한 것으로, 理發을 모든 情의 본연으로 본 한주의 七情理發과 다르다. 응와의 칠정이발은 본성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본성을 회복한 성인의 경지에 한정하였고, 한주의 칠정이발은 心의 用의 본모습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응와는 퇴계학파 전통의 心合理氣를 遵奉하였으며, 한주가 사용하는 竪看橫看倒看三看에 의거하지 않고 퇴계학파 일반이 사용하는 渾淪看分開看에 의거하여 四七理氣說을 전개한다. 응와는 혼륜간에 의거하기 때문에 氣를 떠나서 七情 내지 心을 말할 수 없고, 한주는 竪看에 의거하기 때문에 七情도 본연은 理發이라고 주장할 수 있었다.응와의 심설은 合理氣를 중시했지만, 活看하여 理發과 氣發을 모두 인정했다는 점에서 會通論에 가까우며, 이러한 점에서는 寒洲의 심설과 상통하는 면이 있다.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는, 주리설이 주자의 정설임을 주장하기 위하여 先儒의 학설을 조목별로 모으고 心卽氣說을 비판하는 등 논변과 저술에 주력하는 한주의 학문 태도를 비판하고 실제의 敬 공부와 실행에 힘쓰라고 권하는 응와의 글을 인용하면서 “이원조는 성리론에 가치를 두지 않았는데, 아마 흥미를 가지지 않았던 듯하다.” 하였는데, 필자는 이 견해에 대체로 찬동한다. 그러나 다카하시 도오루가 “이진상은 이원조의 학설을 계승하면서도 실제는 오히려 유치명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하였는데,攀 ≪조선의 유학≫ 다카하시 도우로 지음 조남호 옮김. 조합공동체 소나무 1999년 12월. 131쪽.攀攀 이는 사실과 다르다. 한주의 성리설은 정재 유치명에게 영향을 받은 것이 없으며, 오히려 견해가 상반되는 곳이 보인다.응와는 성리설을 따로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각 학파의 저술들을 두루 읽고 나름대로 비평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미루어 볼 때 응와는 성리설에 관심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성리설은 대체를 파악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실행을 중시했던 듯하다.응와의 七情理發說은 우복 정경세입재 정종로로 이어지는 것을 받아서 한주에게 전하여 主理說의 절정이라 할 心卽理說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퇴계의 사칠론 변화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상현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9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이황이 기대승과의 사단칠정논쟁을 진행하면서 자신의 초기 입장을 변화시켰다’는 최근의 몇몇 연구 결과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황의 초기 입장이 기대승의 비판을 거치면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면밀히 분석해야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어렵다. 이황과 기대승이 주고받은 편지의 분량이 매우 많은 데다, 심오한 성리학적 개념들과 문장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황은 문맥에 따라 성리학적 용어들을 다의적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사단칠정론과 관련된 핵심 주장을 관점에 따라 중층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황의 편지를 온전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용어의 다의성과 관점의 중층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이황의 사단칠정론 변화 유무를 검토할 것이다. 먼저, 사단칠정논쟁의 단초가 된 주장인 “사단발어리, 칠정발어기”(四端發於理, 七情發於氣)에 담긴 이황의 의도와 이황이 이러한 주장을 통해 무엇을 드러내고자 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의도와 내용이 과연 논쟁 중에 변화되었는지에 관해 분석할 것이다. 주장을 펼친 당사자의 의도를 모르고서는 결코 그 주장에 담긴 의미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리와 관련하여 사용된 ‘발’(發)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이황은 시종 사단칠정과 관련된 자신의 견해를 펼칠 때 핵심 용어를 ‘발’과 연결하여 표현했으므로 발의 의미를 정확히 분석하지 않고서는 그 견해가 일관되게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결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 사단칠정론에 담긴 칠정관을 분석할 것이다. 기대승의 비판이 집중되었던 곳이 바로 이황의 칠정관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그 만큼 이황이 자신의 칠정관을 논쟁의 말미에서 변화시켰다는 혐의가 강하게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사단과 칠정의 선악문제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사단의 선과 중절한 칠정의 선이 같은지 다른지의 문제, 사단도 부중절한 경우가 있는지 없는지 관한 문제를 살피지 않고서는 사단칠정논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이황이 비록 기대승과의 논쟁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였지만, 그 의미만은 일관되게 유지하였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ritical view of some recent studies that Yi Hwang changed his earlier position in the course of the debate of sadanchiljeong(四端七情). To carry out this purpose, we must carefully analyze Yi Hwang's initial position and how it develops over the course of the debate of sadanchiljeong. But this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letter exchanged between Yi Hwang and Gi Dae-seung is very large in volume, and consists of profound concepts and sentences about the Neo- Confucianism. Therefore, in order to fully analyze Yi Hwang’s letter, we must consider the ambiguity of the term and the middle layer of the point of view. This study will examine whether Yi Hwang’s the theory of sadanchiljeong(四端七情) has changed in four main aspects as follows: First, we will analyze Yi Hwang’s intentions in the “sadanbaleoli, chiljeongbaleogi”(四端發於理, 七情發於氣) and what Yi Hwang wanted to reveal through these arguments, and whether such intentions and contents have changed in the course of the debate. Second, we will analyze the meaning of ‘bal’(發) used in relation to Li(理). Third, we will analyze the meaning of Chiljeong(七情) contained in the theory of sadanchiljeong(四端七情). Finally, we will review the good and bad issues of sadan and Chiljeong. Through these studies, we will reveal that although Yi Hwang expressed his position in various ways during the debate of sadanchiljeong, he kept his meaning consis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