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과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에 담긴 정치철학적(政治哲學的) 의미(意味)

        서근식 ( Geun Sik Se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3

        퇴계(退溪)가 끝까지 리발(理發)을 포기하지 않은 이유는 순선무악(純善無惡)한 사단(四端)을 惡할 수도 있는 칠정(七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리발(理發)을 인정함으로써 리(理)와 기(氣)가 섞이는 것을 반대한 것이다. 퇴계(退溪)는 비록 리발(理發)을 인정했지만 인간의 규범적 지향처(志向處)를 제시해 주고 있다는 데 의미(意味)가 있다. 율곡(栗谷)은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은 인심(人心)도 인간의 노력여하에 따라 도심(道心)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인간의 노력여부인 “의(意)”에 관심을 가졌던 것이다. 즉, 인욕(人欲)도 퇴계(退溪)와 같이 제거해야할 대상이 아니라고 함으로써 인욕(人欲)을 긍정하는 학자들에게 영향을 준다. 리(理)와 기(氣)기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점을 주목해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한다. 퇴계(退溪)의 정치철학(政治哲學)은 주관(主觀)的 내면성(內面性)에 기울어져 있다. 그의 순선무악(純善無惡)을 추구함은 사단(四端)을 칠정(七情)과 구분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선(善)할 수도 있고 악(惡)할 수도 있는 칠정(七情)으로부터 사단(四端)을 떨어뜨려 놓음으로써 칠정(七情)의 악(惡)함이 사단(四端)의 순선무악(純善無惡)함을 침범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였다. 율곡(栗谷)의 정치철학(政治哲學)은 객관적(客觀的) 외면성(外面性)에 기울어져 있다. 그가 인심(人心)도 도심(道心)이 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인간의 사회적 노력을 중요시한 것이다. 즉, 퇴계(退溪)와 같이 인심(人心)을 인욕(人欲)으로 여겨 배제해야할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욕(人欲)의 선(善)한 측면을 존중하고 있다. 인욕(人欲)의 선(善)한 측면을 강조하다 보면 도심(道心)으로 되는 것이다. 이것이 율곡(栗谷)의 교기질론(矯氣質論)이다. The reason why Toegye(退溪) had not given up his Lifa(理發) to the end was to protect Siduan(四端) which are pure goodness and no evil from Qiqing(七情) that may turn into evil. By acknowledging the Lifa Toegye had opposed to have Li(理) and Qi(氣) mixed together. Even though Toegye admitted Lifa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he had proposed humans` normative aiming for values. The key point of Yulgok(栗谷)` s Renxindaoxin(人心道心) is that Human Mind can be developed as Daoxin(道心) depending upon effort by humans and their works. Yulgok was interested in Yi(意), which signifies whether humans truly exert their effort to seek values. Specifically, like Toegye, Yulgok recognized that Renyu(人欲) were not the target for elimination. This then has affected those scholars who affirm Renyu. Taking notice of the point that Li and Qi are unable to be separated, Yulgok expounded Qifalichengyitushuo(氣發理乘一途說). Toegye`s political philosophy is inclined toward subjective interiority. He was able to move forward in pursuit of Chunshanmoe(純善無惡) by means of dividing Siduan and Qiqing. By separating Qiqing, which may be tagged as Goodness or as Evil, from Siduan, Toegye had completely excluded the possibility of intrusion of the evils of Qiqing in Siduan, which are pure goodness and no evil. Yulgok`s political philosophy leans toward objective externality. He argued that Renxin(人心) could be developed as Daoxin. This is because he had put emphasis on humans` social effort or work. That is to say, like Toegye, Yulgok had not regarded Renxin as Renyu that should be eliminated, but he respected an aspect of goodness of Renxin. When the aspects of goodness of Renyu are emphasized, it turns into Daoxin. This constitutes Yulgok`s Jiaoqizhilun(矯氣質論).

      • KCI등재

        화담 서경덕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이해 - 「성음해(聲音解)」와 「황극경세수해(皇極經世數解)」를 중심으로 -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9

        이 논문은 「성음해(聲音解)」·「발전성음해미진처(跋前聲音解未盡處)」와 「황극경세수해(皇極經世書)」를 통해 서경덕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이해를 살펴본 것이다. 1426년 중국으로부터 『성리대전(性理大全)』이 수입되었지만 『황극경세서』의 난해함으로 인해 『성리대전』에 실린 다른 서적들까지 이해하기 힘들었다. 이런 『황극경세서』 이해에 도움을 준 인물이 서경덕이다. 그러나 『황극경세서』 이해를 통해 서경덕은 그 자신이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당시 사람들에게 수학자로 오해 받게 되었다. 중간본 『화담집』의 「서문」을 통하여 서경덕은 성리학자로도 뛰어난 학자이지만, 『황극경세서』의 이해를 통하여 수학적으로도 뛰어난 학자 임을 알 수 있다. 이 2가지를 사실을 합쳐보아야만 서경덕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성리대전』본 『황극경세서』에는 「찬도지요(纂圖指要)」가 있어서 『황극경세서』의 전체 내용이 요약되어 있다. 서경덕의 「성음해」·「발전성음해미진처」, 「황극경세수해」, 「육십사괘방원지도해(六十四卦方圓圖解)」는 「찬도지요」의 내용을 선택하여 해설한 것이다. 또한 「성음해」와 「황극경세수해」를 바탕으로 하여 조선후기에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새롭게 이해한다든지 서양 천문학을 역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서경덕은 성리학자로 유명한 인물이다. 서경덕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해설한 『황극경세서』의 의미가 『사서대전』·『오경대전』에 담겨 있는 주희(朱熹)의 사상이 아니라, 주희와 더불어 북송(北宋)시대 다양한 인물들의 사상이 담겨있는 『성리대전』이었음을 알아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Seo Gyeong-Deok(徐敬德)'s Huanggijingshishu(『皇極經 世書』) through “Sungumhai”(「聲音解」)·“Baljeonsungumhaimichincheo”(「跋前聲音解未盡處」) and “Hwanggeukgyeongseuhae”(「皇極經世數解」). It examines understanding. In 1426, Xinglidaquan(『性理大全』) was imported from China, but due to the difficulty of Huanggijingshishu,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other books included in Xinglidaquan. Accordingly, the person who helped in understanding Huanggijingshishu was Seo Gyeong-Deok. However, through understanding Huanggijingshishu, Seo Gyeong-Deok came to be misunderstood by people at the time as a mathematician, although he did not intend to do so. Through the “Preface”(「序文」) of the intermediate version Hwadamjip(『花潭集』), it can be seen that Seo Gyeong-Deok is an outstanding Neo-Confucian scholar, but he is also an outstanding scholar mathematically through his understanding of Huanggijingshishu. Only by combining these two facts can we properly understand Seo Gyeong-Deok. Xinglidaquan(『性理大全』) this version of Huanggijingshishu has “Chandojiyo” (「纂圖指要」), which summarizes the entire contents of Huanggijingshishu. Seo Gyeong-Deok's “Sungumhai”·“Baljeonsungumhaimichincheo”, “Hwanggeukgyeongseuhae”, and “Yuksibsagwaebangwonjidohae” (「六十四卦方圓圖解」) are selected and explained contents of “Chandojiyo”. In addition, based on “Sungumhai” and “Hwanggeukgyeongseuhae”, it became the basis for a new understanding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new understanding of Western astr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epidemiology. Seo Gyeong-Deok is a famous Neo-Confucian scholar.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Seo Gyeong-Deok, the meaning of the Huanggijingshishu he expounded is not Zhu Xi(朱熹)'s thoughts contained in Sishudaquan(『四書大全』)·Wujingdaquan(『五經大全』), but the ideas of Zhu Xi along with Zhu Xi (朱熹).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it was Xinglidaquan, which contained the thoughts of various figures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 KCI등재

        성호학파에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역학(易學)의 성립과정(Ⅲ) ― 이익, 신후담의 역학에서 정약용의 역학으로 ―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3

        성호학파에서 다산역학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성립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산의 역학은 성호와 하빈으로부터 호체와 효변의 방법을 물려받았고, 다산은 이러한 1가지 방법으로 『주역』을 아우를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역리사법이라고 하는 4가지 방법을 제시하였고, 「독역요지」를 통해 18가지 방법으로 보완하였다. 이에 다산의 역학이 성립하게 되는 과정을 차례차례 살펴보았다. 성호학파의 종장(宗匠)인 성호 이익으로부터 다산은 호체의 방법을 물려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산은 호체의 방법은 주자에게서 왔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다산의 주장은 정조의 학술정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다산은 『주역』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하빈으로부터 효변의 방법을 물려받는다. 그러나 다산은 효변을 주자의 뜻이라고 하고 있다. 이 부분은 정조의 학술정책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그런 것이다. 다산은 성호로부터는 호체의 방법을 물려받았고 하빈으로부터는 효변을 물려받았지만 다산은 역리사법이라고 하는 4가지 핵심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다산의 현대적 관점은 모기령과 비슷하게 역학사상을 전개했다는 점이 여러 연구자들에게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다산 스스로가 서하의 경학관을 비판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비슷하다고 보기 힘들다. The formation process of Dasan(茶山)`s Yi Xue(易學) in Xinghuxuepai(星湖學派) was examined. Dasan(茶山)`s Yi Xue(易學) succeeded to the methods of Huti (互體) and Yaobian(爻變) from Seong-ho(星湖) and Ha-bin(河濱), and Dasan(茶山) thought that he couldn`t cover Zhouyi(『周易』) just with this one method. So he suggested the four methods called Yilisifa(易理四法), and supplemented it with 18 methods through Duyiyaozhi(「讀易要旨」). Accordingly, the process of how Dasan(茶山)`s Yi Xue(易學) was established was examined one by one.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Huti(互體) from Seong-ho Lee Ik(星湖 李瀷), the leading master of Xinghuxuepai(星湖學派). Nevertheless, Dasan(茶山) argued that the method of Huti(互體) had been from Zhu Xi(朱子). However, this argument of Dasan(茶山)`s seems to have resulted from Zhengzu(正祖)`s academic research policy. As a way to interpret Zhouyi(『周易』),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Yaobian(爻變) from Ha-bin(河濱). However, Dasan(茶山) argued that Yaobian(爻變)was Zhu Xi(朱子)`s intention. He had no choice but this because of Zhengzu(正祖)`s academic research policy.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Huti(互體) from Seong-ho(星湖) and Yaobian(爻變) from Ha-bin(河濱), but Dasan(茶山) proposed the four key methods called Yilisifa(易理四法). Many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as for Dasan(茶山)`s modern viewpoint, Dasan(茶山) developed Yi Xue(易學) in a similar way as Xihe Mauqiling(西河毛奇齡). However, this viewpoint cannot be judged to have been similar as it was expressed when Dasan(茶山) himself criticized Xihe(西河)`s Jingxueguan(經學觀).

      • KCI등재

        퇴계 이황(退溪 李滉)의 「천명도설(天命圖說)」과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의 시작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5

        이 논문은 「천명도설」과 사단칠정논쟁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관해 살펴본 것이다. 「천명도설」은 본래 권근의 『입학도설』의 「천인심성합일지도」, 「천인심성분석지도」와 관련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이황은 『입학도설』의 내용을 「천명도설」로 대신하고자 한 것이다. 그랬던 「천명도설」은 기대승과 사단칠정논쟁을 하는 과정에서 천명(天命)이 순선(純善)하게 유행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라는 보다 광범위한 목적이 추가된다. 「천명도설」은 현재 많은 판본이 남아 있다. 왜 이렇게 많은 천명도가 그려지고 유행하였을까? 이에 대한 답은 「천명도설」이 애당초 『입학도설』과 마찬가지로 성리학을 처음배우는 초학자들이 성리학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 의해서 그려졌기 때문이다. 기대승은 사단과 칠정을 대거호언(對擧互言)하여 언급하여서는 안 된다고 비판하였다. 그렇다면 이황이 사단과 칠정을 나누어 보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 부분은 권근의 『입학도설』 「천인심성합일지도」를 보면 사단은 정(情)의 영역에 포함되어 선(善)하고 칠정은 의(意)의 영역에 포함되어 선(善)과 악(惡)이 모두 있게 된 것으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다. 이황은 리기호발설(理氣互發說)의 입장에서 리발(理發)을 인정하게 된다. 그러나 기대승이 리(理)는 정의(情意)·계탁(計度)·조작(造作)이 없다고 하여 리(理)의 능동성을 부정한다. 이황의 입장에서 리(理)의 능동성을 주장한 것은 칠정이 악(惡)으로 흐를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사단의 능동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선(善)함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In this thesis, how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and the argument over Siduanqiqinglunzheng(四端七情論爭) began was examined.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is originally known to be related to “Tianrenxinxingheyizhitu”(「天人心性合一之圖」), “Tianrenxinxingfenxizhitu”(「天人心性分析之圖」) and others in Quan Jin(權近)'s. Accordingly, Yi Hwang(李滉) wanted to replace the contents in with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Into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was the broad purpose of showing that heavenly Tianming(天命) is purely chunshan(純善) included in the process of the argument over Qi Da-sheng(奇大升) and Siduanqiqinglunzheng(四端七情論爭). At present, many editions of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have remained. Why were so many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 drawn and spread? It was becaus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was drawn from the beginning for the purpose of helping novice scholars to understand Neo-Confucianism easily like was. Qi Da-sheng(奇大升) criticized that Siduan(四端) and Qiqing(七情) should not be mentioned as Duijuhuyan(對擧互言). Then, why did Yi Hwang(李滉) separate Siduan(四端) from Qiqing(七情)? It resulted from that Siduan(四端) belongs to the area of qing(情) so is shan(善) and Qiqing(七情) belongs to the area of yi(意) so is both shan(善)and e(惡) according to “Tianrenxinxingheyizhitu”(「天人心性合一之圖」) in Quan Jin(權近)'s . Yi Hwang(李滉) came to acknowledge the generation from lifa(理發) from the stance of Liqihufashue(理氣互發說). Yet, Qi Da-sheng(奇大升) denied activity of li(理) arguing that li(理) had no emotion and qingyi(情意)·jiduo(計度)·zaozuo(造作). Yi Hwang(李滉) supported activity of li(理) in order to secure activity of Siduan(四端) regarding the situation where Qiqing(七情) can become e(惡). Through which, he tried to reserve shan(善).

      • KCI등재

        성호학파(星湖學派)에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역학(易學)의 성립과정(1)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역경질서(易經疾書)』에 나타난 『주역(周易)』해석(解釋) 방법(方法)-

        서근식 ( Geun Sik Se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4

        星湖『易經疾書』의 『周易』解釋方法에 대해 살펴보았다. 星湖는 여러가지 方法으로 『周易』을 解釋하려고 하지만 그 가운데 互體가 가장 중요한 方法으로 생각하였다. 여러 이론들 가운데 爻變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爻變의 이론은 陽이 變化하여 陰이 되고 陰이 變化하여 陽이 되어 발생하는 문제 이외에 왜 爻變이 중요한 것인가에 대한 언급이 없다. 그리고 爻變은 筮法과도 관련되는데 이 부분에 관해서는 「繫辭上傳」9章의 내용밖에 없다. 「繫辭上傳」9章의 내용만으로 爻變이 중요하다고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星湖는 互體를 통해 『周易』을 아우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星湖가 적용한 互體의 핵심은 六十四卦→ 十六卦→ 四卦→ 陰陽이다. 여기서 陰陽은 乾·坤이고 四卦는 乾·坤·旣濟·未濟이고 十六卦는 乾·坤·剝·復·□·□·□·大過·漸·歸妹·騫·解·家人·□·旣濟·未濟이다. 이러한 互體이론이 『周易』의 六十四卦를 모두 아울러 설명할 수 있다고 하였다. 星湖는 互體를 『周易』을 아우를 수 있는 이론으로 생각하였다. 六十四卦→ 十六卦→ 四卦→ 陰陽은 제시하고 있다. 16卦에서 64卦를 演繹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互體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互體는 星湖가 주장한 것처럼 『周易』을 아우를 수 없었지만 뒤에 茶山이 互體를 중요한 이론으로 삼는데 기여하였다. 星湖의 易學은 茶山에게서 화려하게 꽃을 피운다. 茶山이 「貞軒墓誌銘」에쓴 글을 보면 茶山은 중국의 易學저술뿐만 아니라 星湖學派내부의 易學저술도 읽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茶山의 易理四法은 西河의 易學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지만 星湖學派내부에서 오랫동안 熟考를 거쳐 완성된 것이다. In this study, the methods to interpret Zhouyi(『周易』) in Seong-ho(星湖)``s YiJingJiShu(『易經疾書』) were examined. Seong-ho(星湖) tried to analyze Zhouyi (『周易』) in many ways, and among which, Huti(互體)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method. Among a variety of theories, Yaobian(爻變) was investigated, and the theory of Yaobian(爻變) doesn``t mention why Yaobian(爻變) is important except for the matters occurring when Yang(陽) changes into Yin(陰) and Yin(陰) into Yang(陽). And Yaobian(爻變) is also related to Shifa(筮法), and only Chapter 9 of 「Xicishangchuan(繫辭上傳)」is relevant. The contents of the Chapter 9 of 「Xicishangchuan(繫辭上傳)」are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Yaobian(爻變). Seong-ho(星湖) believed that Zhouyi(『周易』) can be covered through Huti(互 體). The key of Huti(互體) applied by Seong-ho(星湖) is 64trigrams → 16trigrams → 4trigrams → Yin(陰)Yang(陽). Here, Yin(陰) and Yang(陽) are Qian(乾) and Kun(坤), the 4trigrams are Qian(乾), Kun(坤), Jiji(旣濟), Weiji(未 濟), and the 16trigrams are Qian(乾), Kun(坤), Zong(剝), Fu(復), Quai(快), Gou (□), Yi(□), Daguo(大過), Jian(漸), Guimei(歸妹), Quan(騫), Jie(解), Jiaren(家 人), Kui(□), Jiji(旣濟), Weiji(未濟). He said this theory of Huti(互體) could explain all the 64trigrams of Zhouyi(『周易』). Seong-ho(星湖) thought of Huti(互體) as the theory which could cover Zhouyi (『周易』). It``s suggested from 64trigrams →16 trigrams →4 trigrams → Yin (陰)Yang(陽). In the process of deducting the 64trigrams from the 16ones, a normal Huti(互體) was not used. In this respect, Huti(互體) couldn’t cover Zhouyi(『周易』) as Seong-ho(星湖) argued, but later, it contributed to Dasan(茶 山)``s inclusion of Huti(互體) into one of his main theories. Seong-ho(星湖)``s diagrams displayed its highlight by Dasan(茶山). According to Dasan(茶山)``s writing in 「ZhenxuanMuzhiming(貞軒墓誌銘)」, Dasan(茶山) seems to have read not only Chinese books on diagrams but those of Xinghuxuepai(星湖 學派). Therefore, Dasan(茶山)``s Yilisifa(易理四法) was affected by Xihe(西河)``s I-xue(易學), but had been completed through long-time deliberation within Xinghuxuepai(星湖學派).

      • KCI등재

        역학사상(易學思想) 입장에서 본 `이견대 (利見臺)`의 의미 연구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1

        먼저 만파식적(萬波息笛)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견대(利見臺)와 만파식적은 별로 관련 없어 보이지만 만파식적이 발견되는 과정과 이견대는 서로 상관성을 보인다. 만파식적은 태극과 음양을 모두 상징하는 의미의 피리이다. 이러한 만파식적은 음양을 포함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원초적으로 이견대와 관련된다. 만약 대인을 만나지 못했을 경우를 상정해 보았다. 대인을 만나지 못했을 경우 『주역』에 비추어 보면 명이괘(明夷卦)처럼 된다. 아무리 신하로서 현명하더라도 군주가 은나라 주임금처럼 암울한 군주이면 자신의 밝음을 드러낼 수 없었다. 밝음은 현명한 군주인 무왕을 만났을 때 비로소 밖으로 드러내게 된 것이다. 대인을 만났을 경우를 건괘(乾卦)에 비교해 살펴보았다. 구이와 구오는 본래 서로 상응하는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구이에서 대인은 구오를 가리키고 구오에서 대인은 구이를 가리킨다. 이 둘이 현명함으로 상응하는 것을 보는 것이 이롭게 된다. 구이를 김유신으로 보고 구오를 문무대왕으로 보았을 때, 현명한 신하와 현명한 군주를 바라보는 것이 이롭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견대는 바닷가에서 문무대왕의 수중릉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First, Wanboxidi(萬波息笛) was examined. Lijiantai(利見臺) seems unrelated to Wanboxidi(萬波息笛), but the processes of how Wanboxidi(萬波息笛) was found and Lijiantai(利見臺) are correlated. Wanboxidi(萬波息笛) is a pipe symbolizing and meaning both Taiji(太極) and Yin(陰) and Yang(陽). This Wanboxidi(萬波息 笛) is primitively associated with Lijiantai(利見臺) in that it includes Yin(陰) and Yang(陽). The case when one cannot meet a great man was presumed. In that case, it becomes like Mingyigua(明夷卦) according to Zhouyi(『周易』). Even though one is very wise as a vassal, when a king is gloomy as King Zhou(紂), the vassal cannot show his brightness. Brightness becomes expressed to the outside at last when a vassal meets a wise king, King Wu(武). The case when one meets a great man was examined compared to Qiangua(乾卦). Jiuer(九二) and Jiuwu(九五) are originally in the relation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ccordingly, a great man in Jiuer(九二) refers to Jiuwu(九五), and that in Jiuwu(九五) means Guee. It becomes advantageous to see these two correspond with wisdom. When Jiuer(九二) is regarded as Jin Yu-xin(金庾信) and Jiuwu(九五) as King Wenwu(文武大王), it becomes beneficial to look at the wise vassal and the sensible king. That`s why Lijiantai(利見臺) faces the underwater royal tomb of King Wenwu(文武大王) from the seasho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조(正祖)의 역학사상연구(易學思想硏究) -『경사강의(經史講義)』『역경(易經)』의 문답(問答)을 중심으로-

        서근식 ( Geun Sik Seo ) 퇴계학연구원 2013 退溪學報 Vol.133 No.-

        본 논문은 正祖의 『經史講義』가운데 『易經』에 관한 것이다. 正祖는 자신의 君師로서의 입장을 강화하기 위해 抄啓文臣제도들 실시하였다. 抄啓文臣제도를 통해 배출된 학자들은 조선후기 학계를 이끌었던 인물들임을 알 수 있다. 抄啓文臣으로 배출된 학자들을 통해 正祖는 君師로서 자신의 입장을 관철할 수 있었다. 正祖의 『經史講義』에 「序文」이나 「跋文」이 없기 때문에 『經史講義』 전체 체계를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易經』만을 살펴보면 『周易』 전체에 註釋을 붙인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의문 나는 점을 대담하는 抄啓文臣에게 묻고 있다. 따라서 『周易』 전체의 註釋이나 해석에 관한 것은 다른 서적을 참고해야 한다. 또, 『周易傳義大全』을 기본으로 하고 다른 여러 註釋들을 살펴 마땅한 註釋을 찾고 있다. 正祖는 『易傳』과 『周易本義』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周易本義』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經史講義』『易經』에서 程이와 朱熹가 충돌을 일으킨 부분이 13곳 있는데, 이 가운데 程이의 입장을 버리고 朱熹의 입장을 따른 것이 5곳이고, 朱熹의 입장을 버리고 程이의 입장을 따른 것이 2곳이라고 하고 있다. 13곳 가운데 5곳에서 朱熹의 입장을 따르고 2곳에서 程이의 입장을 따랐고, 程이의 입장은 강하게 배척했는데 朱熹의 입장에 대해서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때문에 『周易本義』를 主로 하였다고 보인다. 이점은 正祖가 朱子書를 편찬하고 朱子學을 正學으로 삼은 것과 一脈相通한다. 正祖의 『經史講義』『易經』의 특징은 첫째 朱熹의 『周易本義』위주의 취사선택을 했다는 점이고, 둘째 ``自强不息``함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고, 『周易』으로서 人事의 일을 재단하려 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YiJing(『易經』)inJingShiJiangYi(『經史講義』)by King Jeongjo(正祖). He enforced the ChaoQiWenChen(抄啓文臣) system in order to consolidate his position as a teaching king. The scholars produced through the system are found to be the figures who led the academic world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Jeongjo(正祖) could stick to his stance as a teaching king with the scholars turned out by the ChaoQiWenChen(抄啓文臣) system. As King Jeongjo`s JingShiJiangYi(『經史講義』) includes neither preface nor epilogue, it is hard to know the whole system of JingShiJiangYi(『經史講義』). Yet, in YiJing(『易經』), he asked questions to civil servants subject to the ChaoQiWenChen(抄啓文臣) system, rather than annotated the whole ZhonYi(『周易』). Therefore, with regard to the overall annotation or interpretation of ZhonYi(『周易』), other books need to be referred to. In addition, based on ZhonYiChuanYiDaQuan(『周易傳義大全』), proper annotations have been looked for by examining other different comments. Jeongjo(正祖) basically referred to YiChuan(『易傳』)andZhonYiBenYi(『周 易本義』), and buttressed ZhonYiBenYi(『周易本義』). In JingShiJiangYi(『經史講義』) YiJing(『易經』), there are 13 points where Chengyi(程이) and Zhuxi(朱熹) had a conflict. Among the conflicts, it is mentioned that there are five points where Zhuxi(朱熹) followed Zhuxi(朱熹)`s opinion and two points where Zhuxi(朱熹) accepted Zhuxi(朱熹)`s opinion. Considering the fact, ZhonYiBenYi(『周易本義』) seems to be adopted for major references. This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fact that Jeongjo(正祖) had ZhuxiShu(朱子書) compiled and made the doctrines of ZhuxiXue(朱子學) as the righ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o(正祖)`s JingShiJiangYi(『經史講義』) YiJing(『易經』) are, first, that Zhuxi(朱熹)`s ZhonYiBenYi(『周易本義』) was mainly adopted, and, second, ``ZiQiangBuXi(自强不息)`` was emphasized. Finally, ZhonYi(『周易』) was applied to human resources affairs.

      • KCI등재

        퇴계 이황의 『계몽전의(啓蒙傳疑)』에서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의 의미 연구

        서근식 ( Seo Geun-sik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5 No.-

        이 논문은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과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의 관련성과 이황(李滉)의 『계몽전의(啓蒙傳疑)』에 보이는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의 납갑법(納甲法)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주희의 『역학계몽』과 『주역참동계고이』는 모두 채원정(蔡元定)과 함께 연구하여 완성된 저술이다. 주희는 『역학계몽』에서 채원정이 말한 ‘천지의 이치[理]는 하나이다.’라는 논리로 『주역참동계』를 주석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렇지만 이황은 사화기(士禍期)라는 여건상 『주역참동계』를 주석할 수 없었으므로 이를 『계몽전의』 속에 담아내고 있다. 이황은 『계몽전의』에서 납갑법을 곳곳에서 설명하고 있다. 내용을 보면 『주역참동계』의 월체납갑법(月體納甲法)을 소개 하고 사람들이 잘 모르는 내용까지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그림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황의 『계몽전의』는 『주역참동계』가 본래 연단서(鍊丹書)임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주희가 『주역참동계고이』에서 내단(內丹)을 긍정하고 외단(外丹)을 비판했던 것을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다. 또한 『계몽전의』에서는 주희의 제자들이 주석한 내용이라도 주희와 다른 견해면 잘잘못을 논하고 있으며, 납갑설은 주희가 주석했던 『주역참동계고이』의 견해를 그대로 따르고 있으므로 잘잘못을 논할 필요가 없었다. 이황이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주희와 같이 ‘천지의 이치[理]는 하나이다.’라는 사실을 믿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Zhu Xi(朱熹)’s Yixueqimeng (『易學啓蒙』) and Zhouyicantonggikaoyi(『周易參同契考異』), and Najiafa(納甲法) of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shown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Both of Zhu Xi(朱熹)’s Yixueqimeng(『易學啓蒙』) and Zhouyicantonggikaoyi(『周易參同契考異』) were completed when he was studying with Cai Yuan-Ding(蔡元定). In Yixueqimeng(『易學啓蒙』), Zhu Xi(朱熹) prepared the ground on which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could be annotated with the logic that ‘the Reason[理] of all of the world is one[天地의 理는 하나]’ argued by Cai Yuan-Ding(蔡元定). Yet, because Yi Huang(李滉) couldn’t annotate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in the given situation of Shihuoqi (士禍期), he put it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Yi Huang(李滉) explained the Najiafa(納甲法) in many parts. He introduced Yuetinajiafa(月體納甲法) of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gave a detailed account of what people didn’t know well, and used pictures, too. Yi Huang(李滉)’s Qimengchuanyi(『啓蒙傳疑』) didn’t take it consideration that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had been Liandanshu(鍊丹書), which showed that Yi Huang(李滉) accepted it as it was that Zhu Xi(朱熹) had affirmed Neidan(內丹) and criticized Waidan(外丹) in Zhouyicantonggikaoyi(『周易參同契考異』). In addition,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even the right and wrong of the annotations of Zhu Xi(朱熹)’s disciples were discussed if they had had different opinions from those of Zhu Xi(朱熹). Regarding the Najiafa(納甲法), Yi Huang(李滉) accepted the opinion of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that Zhu Xi(朱熹) had annotated as it was, so there was no use to discuss its right and wrong. Yi Huang(李滉) could do this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reason[理] of all of the world is one[天地의 理는 하나]’ as Zhu Xi(朱熹) had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