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像內納入品으로 활용된 五輪塔 - 鎌倉時代(가마쿠라시대) 運慶(운케이)와 快慶(가이케이)의 활용을 중심으로

        유경택 불교미술사학회 2022 불교미술사학 Vol.33 No.-

        The gorintō (five-element stupa, 五輪塔) is a pagoda, representing the five elements of earth, water, fire, wind, and space, respectively, as a cube, sphere, pyramid, hemisphere, and jewel shape. Its concepts seemingly originate from India, but related ideas can be found in several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into Chinese around the 8th century. Thus, the gorintō concept may have circulated in China, but actual things have not been found. However, many such pagodas have been located in Japan and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pagodas, urns, relic containers, and roof tile decorations. Among these, the study focused on gorintō used as zōnai-nōnyūhin (像內納入品), examining their scriptural basis and actual specimens, along with the background and symbolism behind depositing such as objects. The five elements’ concept is found in scriptures translated or compiled by Śubhakarasiṃha (637–735) or others around him. In general, these scriptures explain that the five elements should be associated with corresponding body parts in meditative contemplation by comparing the elements with the five colors, five directions, five viscera, etc. In Japan, it seems that gorintōs were made based on such scriptures by the 11th century at the latest. Japanese scholars judge that gorintōs were used as zōnai-nōnyūhins in the late-12th century. Although it has not yet existed, scholars believe based on historical records that the earliest example is the one deposited in the Great Buddha statue at the Tōdaiji Temple (東大寺) by Chōgen (重源, 1121–1206). The first zōnai-nōnyūhins known to be deposited in Buddhist statues in Japan date from the Nara period (710–794), typically relics or Buddhist images. During the Heian period (794–1185), however, Kūkai (空海, 774–835) brought Esoteric Buddhism back to Japan, and dhāraṇī and mantras began to be used as zōnai-nōnyūhins. This trend was extended to the gatsurin (moon disk, 月輪) during the late Heian period, and esoteric objects became an important part of it. Including the gorintō as a zōnai-nōnyūhin during the Kamakura period (1185–1333) seemed to be based on this Esoteric Buddhist tradition. The artists of the Kei school (慶派) continued to enshrine such gorintōs, gradually establishing their status as representative zōnai-nōnyūhins. Based on this historical trend, the study introduced early examples of gorintōs used as zōnai-nōnyūhins and proposed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or depositing gorintōs in Buddhist images: (1) the possibility that the gorintōs used as relic containers were miniaturized even further and deposited as zōnai-nōnyūhins, (2) the symbolism of the gorintō, originally intended to represent the world, embodying a Buddhist image’s interior as a perfect space, and (3) the role of the gorintō in shōjinka (transfiguring the image into a living body of the Buddha, 生身化) given the association of the five elements with the five viscera. 五輪塔은 세상을 상징하는 地輪, 水輪, 火輪, 風輪, 空輪을 각각 四角, 三角, 圓, 半月, 團으로 표현하여 쌓아올린 탑이다. 오륜탑의 근간이 되는 개념은 인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지만, 8세기 경 중국에서 漢譯된 여러 밀교경전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한역 당시 중국에도 오륜탑의 개념이 유통되었을 것이나, 현재까지 확인된 실물사례는 없다. 대신 일본에서는 탑과 유골을 담는 납골기 뿐 아니라 소형의 사리용기, 그리고 기와 장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오륜탑이 제작되고 활용되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像內納入品으로 제작된 오륜탑에 주목해 경전적인 배경과 구체적인 사례, 그리고 상내납입품으로서 납입 배경과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五輪의 개념은 善無畏(637-735) 혹은 선무외 주변 인물들이 한역하거나 편찬한 경전에서 확인된다. 각 경전에서는 대체로 오륜을 五色, 五方, 五臟 등 다양한 개념들에 빗대어 觀想에서 각 신체 부위에 연상해야 할 것으로 설명하였다. 일본에서는 늦어도 11세기 경 이러한 경전의 지식을 바탕으로 오륜탑을 만든 것으로 보이며, 초기 작례들은 주로 지상에 세운 탑이나 납골기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일본학계에서는 오륜탑을 소형으로 제작해 상내납입품으로 활용한 것은 12세기 후반으로 추정하며, 비록 실물은 확인되지 않지만 기록을 통해 重源(조겐, 1121-1206)이 東大寺(도다이지) 대불에 납입한 오륜탑을 상 안에 안치한 오륜탑의 가장 이른 사례로 여긴다. 일본의 불상 가운데 상내납입품이 처음으로 확인되는 것은 奈良時代(나라시대, 710-794)로, 주로 사리와 불상을 안치했다. 하지만 平安時代(헤이안시대, 794-1185) 空海(구카이, 774-835)에 의해 밀교가 유입되며 다라니와 진언과 같은 새로운 밀교적인 물품이 납입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平安後期의 月輪으로 이어지며, 밀교적인 물건이 상내납입품의 중요한 요소로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鎌倉時代(가마쿠라시대, 1185-1333)에 오륜탑이 상내납입품으로 제작되고 포함된 것은 이와 같은 밀교적 전통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보이며, 重源의 주변 인물이었던 運慶(운케이, ?-1223)나 快慶(가이케이, 생몰년 미상)와 같은 慶派(게이파) 불사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작되고 안치되며 점차 일본의 대표적인 상내납입품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運慶와 快慶가 제작한 불상 안에 안치된 오륜탑의 사례들을 소개하는 한편, 상 안에 오륜탑을 납입하게 된 배경과 이유를 다음 세 가지로 추정해보았다. 이미 사리용기로 활용되었던 오륜탑이 더욱 축소되어 그대로 상내납입품으로 이식되었을 가능성, 세상을 상징하는 오륜탑의 本意가 불상 내부를 완벽한 공간으로 구현하는 상징성, 오장에 비유되는 오륜의 특성상 불상을 生身化하는 역할이 그것이다.

      • KCI등재

        나말여초 僧塔 塔身 神將像 연구

        姜三慧(Kang Samhye)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2

        선종 스님들의 묘탑(墓塔)으로 조성된 나말여초 대부분의 승탑 탑신에는 불교의 대표적인 외호신 중(外護神衆)인 제석(帝釋)ㆍ범천(梵天)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이 부조로 새겨져 있다.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9세기 중반에서 11세기 초반까지의 20여 작품을 볼 때, 이 시기에 세워지는 승탑에 유독 신장상이 많이 새겨지게 되는 것은 당시 선종이 융성했던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듯하다. 왜냐하면 신장상은 부처와 불법을 수호하던 역할을 맡고 있는데, 스님의 사리를 모신 탑에 이들 상들이 등장하고 있는 것은 선사의 위치가 부처와 동격으로 간주되었음을 드러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신장상 가운데 특히 제석 신앙은 고대에서부터 왕권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절대왕권을 합리화하는 배경이 되어 왕실을 중심으로 신앙되어 왔는데, 선종의 승탑에 이러한 제석과 범천, 사천왕을 표현한 것도 선사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가장 먼저 승탑에 신장상이 나타나는 것은 844년의 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 국립중앙박물관소장)인데 여기에는 사천왕상만 등장하고, 제석ㆍ범천상은 아직 등장하지 않는다. 그런데 사천왕상 중 서방 광목천상은 8세기 후반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 능지탑(陸旨塔)의 12지신상(十二支神像)의 유상(酉像, 닭)과 얼굴을 제외하면 거의 도상이 일치한다. 특히 갑옷 밑으로 늘어진 소매가 표현된 것은 승탑 사천왕상과 왕의 무덤 주위에 두르는 12지신상의 갑옷 표현에서만 등장하고 있고, 탑이나 사리기, 석등 등의 사천왕상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표현이다. 이러한 새로운 발견을 통해 승탑의 사천왕상은 8세기 왕실 조각인 12지신상을 모델로 하였을 것으로 짐작해 보았다. 또한 승탑 사천왕상이 불탑에 부조된 사천왕상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반면 왕실조각인 능묘 12지신상과 일부 공통되는 조형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승탑이 왕실의 후원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해주는 선사들의 비문과 기타 여러 사료들을 검토하였다. 즉, 승탑은 왕릉을 조영하던 석공(石工)이 왕실의 후원 아래 승탑을 조영하였을 가능성을 조형 상으로 추정하고, 전하는 선종 스님들의 비문을 통해서 왕실에서 선시들을 예우한 사실과 선종을 지원한 많은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당시 선종의 위상을 보다 분명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었으며, 또한 막연히 선종 미술을 대부분 지방 호족과 연결 짓던 기존의 시각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었다. 또한 승탑 탑신의 신장상 배치 형식을 통해 탑신 방향이 잘못 놓여져 있는 예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석천은 승탑 탑신의 팔각면 중 동쪽면에, 범천은 서쪽면에 배치되며 사천왕상은 각기 존명(尊名)에 따라 간방위(間方位)에 배치되는 일정한 형식을 보이는데,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히는 20점의 작품 중 8기의 승탑 탑신이 현재 거꾸로 놓여 있거나 정확한 방위를 향하고 있지 않았다. 그 동안 탑신 방향이 잘못 놓여 있어 도상에 혼돈을 야기시켰으나 이를 바로잡음에 따라 서방 광목천상이 일정한 시기에 탑을 지물로 들고 나타나기도 하며, 고려시대 945년경 이후의 승탑에는 모두 사천왕 지물로 활과 화살이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아 있는 선사들의 비문에는 선종 스님이 입적한 시기와 비를 세운 연대가 밝혀 있어 이들 신장상의 연대를 추정히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신장상들은 연대가 있는 나말여초 조각상으로서 신라 하대와 후삼국기, 고려 초기의 조각양식을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나말여초 승탑 신장상들을 통해 파악되는 이 시기 양식은 다음과 같이 그 흐름을 정리할 수 있다. 우선 1기(844--860년경)의 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 신장상 계열에서는 신체 비례 및 양감이 이상적이며 탄력이 느껴지는 호형(弧形)의 신체 곡선을 가지는 등 유연한 포즈를 취한다. 이것은 860년대 초까지 신라 전성기의 양식, 그중에서도 특히 8세기 말-9세기 초의 십이지상 양식의 영향을 잇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계열의 태안사 적인선사탑(泰安寺 寂忍禪師塔, 861년) 신장상에서부터 시작된 장신화(長身化) 경향은 2기(860-890년경)로 이어진다. 이 시기 쌍봉사 철감선사탑(雙峰寺 澈鑒禪師塔, 868년) . 보림사 보조선사탑(寶林寺 普照禪師塔, 880년) . 연곡사 동탑(?谷寺 東塔)신장상에서는 양감이 평판적으로 변하고 적극적으로 장식화되는 경향을 띤다. 이 시기 비교되는 작품은 867년의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상으로 소매에서 보이는 평행밀집 계단형 주름은 쌍봉사 철감 선사탑의 띠주름 갑옷과 비교된다. 이 불상의 작은 얼굴이나 대의 끝자락의 꽃장식 등에서 보이는 장식화 경향은 쌍봉사 철감선사탑 계열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발전된다. 이러한 장식화 경향 속에서도 봉암사 지증대사탑(鳳巖寺 智證大師塔, 883)신장상에서처럼 양감을 어느 정도 잃지 않는 양식이 후대 후삼국 양식으로 전해져 3기 후삼국기(890-960년경)에는 단구형(短軀形)의 신체 비례를 가지면서 얼굴 및 신체에 통통한 양감을 가진다. 또한 수철화상탑(秀澈和尙搭, 893년경, 現在 증각대 사탑으로 지정됨) 신장상에서부터 얼굴이 커지기 시작하여 3기에 해당하는 후삼국기의 상들은 대체로 얼굴이 크다. 이 시기에 보이는 단구형의 신체 비례는 940년 태조 왕건이 발원해서 만든 개태사 삼존불에서도 보이는 후삼국기의 한 양식이며, 또한 개태사 상에서 보듯이 얼굴과 손발이 커지는 경향 역시 이 시기의 양식이다. 고려 초인 4기 (970-11세기 초)에는 원통형의 밋밋한 단구형의 신체에 과장된 부피감을 보이지만, 거돈사 원공국사탑(居頓寺 圓空國師塔, 1018-1025) 신장상에 이르면 이와 같은 불안정한 양감은 사라지고 세련되고 차분한 저부조 수법이 등장하며, 신체 양감은 극도로 제한되는 반면 상호 표현에서 양감이 과도하게 몰리는 새로운 양식이 표현된다. 이러한 양식은 1010년의 명문(名文)이 있는 예천 개심사지 석탑 팔부중을 비롯하여 다수의 작품에서 보이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의 양식으로 완전히 정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적인선사탑, 증각대사탑, 보조선사탑 신장상 등에서 보이는 신라 하대 말기의 침울한 얼굴 표정과 대조적으로 수철화상탑(893년경)이나 광자대사탑(廣慈大師塔, 945-950) 신장상의 밝게 미소짓는 표정에서는 새로운 시대를 여는 기대감과 새로운 양신의 태동을 느낄 수 있다. 지역적으로 신라 하대 미술은 호남지역과, 후삼국기 및 고려 초기에는 중부지역의 미술과 관련된다. 이상과 같은 흐름을 통해서 볼 때 나말여초 신장상의 양식은 신라 중대 양식을 이어 각 시기마다 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승탑에 표현된 신장상의 조형적 분석과 관련 비문을 통해 선종이 유행했던 나말여초의 시대상을 좀더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보았다. 승탑 신장상의 양식 변화를 통해서는 나말여초 조각의 흐름을 통일신라 중대 양식의 발전선상에서 파악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승탑 조성 세력으로 왕실의 후원 가능성에 좀더 무게를 두었는데, 이는 신라 하대 양식을 일률적으로 지방 호족의 지원 아래 조성된 지방 양식으로 보는 견해에 대해, 왕실의 후원 아래 중앙 양식과의 관련 속에서 나말여초 양식 변화를 포착해 보았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mportant Buddhist tutelary deities such as Indra , Brahma and the Four Heavenly Kings were calved on most funerary monuments made for Seon Buddhist monk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On twenty such stupas from the period between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and the 11th century examined in this study. tutelary deities were carved mainly under the auspices of Sean Buddhism in this era. The first incidence where tutelary deities appeared is a stupa for Master Yeomgeo made in 844. The figure of Vir?p??k?a among the Four Heavenly Kings calved on this monument is quite similar to the figure of a chicken deity among the twelve zothac figures at the so-called Neungjit'ap in Gyeongju presumed to have been built in the late 8th century Remarkably long sleeves under the armour represented in these two monuments are not seen in any other funerary monuments. reliquaries, stone lamps: they were probably derived from the twelve zothac figures on royal tombs. This suggests that masons who worked for the construction of royal tombs were also responsible for calving monks' stupas under the patronage of the royal family This supposition is also supported by the epigraphical evidence. The inscriptions are quite helpful for dating monuments, for they usually record the dates of the death of a monk and of the erection of the monument, Thus, the tutelary deities carved on the monuments are important art historical documents for the sculptural style of the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onumen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In the first phase (c. 844-890), the proportion and three-thmensional qualities are remarkably idealized, At the same time. the bothes shaped like a bow take various pliable forms. These seem to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style of the twelve zothac figures from the period between the late 8th century and early 9th century The tendency to make bodies elongated originated in such monuments as the stupa for Master Jeogin (861) in Taean-sa and continued through the second phase (c. 860-890). During this period, as we can see in Master Cheolgam's stupa (868) in Ssangbong-sa, Master Bojo's stupa (880) in Borim-sa and the eastern stupa of Yeongok-sa, the volume was flattened and the relief became significantly decorative. Parallel stair-type folds seen on the sleeves of a Vairocana Buddha image (867) in Chukseo-sa is comparable to the folded armor in Master Cheolgam's stupa. The decorative tendency visible in a small face and floral patterns on the bottom of robe was more distinct in Master Cheolgam's stupa In Master Jijeung's stupa (883) in Bongam-sa voluminous features are retained, which show affinities with the styl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us, during the third phase (c. 890-960) the figure became short in proportion with chubby volumes of face and body. Most tutelary deities of this phase have bigger heads, the tendency that started in Master Sucheol's stupa (c. 893). In the fourth phase (970-early 11th century). which continued to early Goryeo the volumes of round and slender body were exaggerated. In Master Wongong's stupa (1018-1025) in Geodon-sa such unstable volumes were diminished as a more refined and reserved technique creating low relief appeared: as a result a new style emerged in which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except for a face. TI1is style is found in many examples such as a stone stupa at the Gaesim-sa site datable 1010 according to an inscription and d1is indicates that it was firmly established in the Goryeo period.

      • KCI등재

        염거화상탑과 대안사 적인선사조륜청정탑의 비교고찰

        이해주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3 南道文化硏究 Vol.- No.50

        이 글에서는 염거화상탑과 적인선사탑의 장식 문양과 건축 구조를 비교하고 변화상을살펴, 실질적으로 적인선사탑에서 신라 팔각원당형 승탑의 양식이 완성되었음을 구명하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 Ⅱ장과 Ⅲ장에서는 염거화상탑과 적인선사탑의 조형적 특징을분석했다. 염거화상탑은 기단석부터 옥개석까지 팔각 평면으로 구성됐고, 기단부에 사자상·안상·연화문, 탑신괴임석에 안상, 탑신과 옥개석에 사천왕상·문비·비천상 등이 장엄되었으며, 특히 벽체와 지붕에 목조건축 양식을 충실하게 석재로 구현해 8각당을 구현했다. 이후 건립되는 승탑들도 이러한 양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장엄조식과 구성면에서 이 승탑이 팔각원당형 양식의 시발점임을 확인했다. 적인선사탑은 선례인 염거화상탑에 비해 규모가 커졌고, 각부 장엄이 화려해지고 표현수법이 정제돼 양식상 시원 양식에서 점차 典型의 완성으로 이행되는 모습이 파악됐다. 기본적으로 염거화상탑의 구성을유지하면서도, 하대석 상면에 마련한 중대석괴임대, 상대석의 3중 앙련 장엄, 탑신괴임대의 복련문 등 염거화상탑에 비해 장식 의장이 더욱 뚜렷해졌다. Ⅳ장에서는 양 승탑에 장엄된 문양과 부재의 치석 및 결구 양상을 비교 검토했다. 이로써 사자상, 연화문, 문비형, 전각형 지붕, 사천왕상 등의 장엄조식은 대체로 염거화상탑에서 선보인 요소들이적인선사탑에서 화려해지거나 자신감 있게 새로운 시도를 감행함으로써 양식적 완성을이뤘음을 확인했다. 아울러 적인선사탑에서 명확한 의미의 중대석 받침, 상대석과 한몸으로 조형된 탑신괴임대, 탑신괴임대 상면의 복련 연화문 장엄 등의 요소들이 모두처음으로 출현해 탑신에 대한 숭앙심을 밀도 높게 표현했음을 살펴봤다. 이러한 고찰을통해, 도의선사탑은 초층 탑신에 문비와 연화문 정도가 조각되고, 석탑·석등 등 기존의조형물에서 확립된 수법을 망라하여 승탑 장르를 개시한 단계라면, 염거화상탑에서 팔각원당형 승탑 형식을 갖추고 다양한 장엄조식을 배치해 팔각원당형 승탑의 시원양식을마련했고, 적인선사탑에서 시각적·구조적 안정감을 구현해냈기에 적인선사탑에서 팔각원당형 승탑의 양식이 완성되었다고 보았다. 끝으로, 타지방에서 발생한 불교 조형물이일단 호남지역으로 유입되면 예술적으로 한 차원 격상되는 경향이 승탑뿐만 아니라 탑비와 석탑 석등의 장르에서도 검출되는 점을 언급했다. 석조 조형물에 관한 한, 정형화된기존 양식을 그대로 계승하기보다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변형을 가해 새로운 양식을창출하는 힘을 호남지역 불교문화의 저력으로 보고, 적인선사탑에서 이룬 신라 팔각원당형 승탑 양식의 완성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익산 왕궁리유적의 사찰 운영에 대한 재검토-왕궁탑 하부 유구를 중심으로-

        전용호 ( Yong Ho Je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60 No.-

        왕궁탑(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은 석탑의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미륵사지석탑을, 옥개석의 모양이나 석부재의 조합 등에서는 부여 정림사지 석탑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탑신부나 기단 등에서는 신라전형양식의 기법도 수용하였다. 대체적으로 왕궁탑은 통일신라말~고려초에 완산주를 중심으로 한 후백제의 성립에 따라 백제 옛 영토에서 백제 양식과 신라 양식이 혼합, 절충하여 표현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고려시대 건립이 많이 된 백제, 신라양식의 절충양식에 선행되는 과도기적인 양식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왕궁탑 바로 직하에 놓여 있는 건물의 평면 형태가 탑지인 방형이 아니라 장방형(동서길이 16.85m, 남북너비 12.7m)으로 확인되었다. 오히려 탑지는 이보다 먼저 조성된 건물지3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익산 왕궁리유적의 사찰에서 왕궁탑 이전에 조성된 장방형 건물의 성격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사찰의 변화 과정에 대한 새로운 설명이 요구되었다. 왕궁탑 바로 아래 및 주변에서 확인된 유구들은 상당히 복잡하게 중복되어 있었다. 이런 요인은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사찰이 궁성의 중심공간에 그대로 자리하면서 궁성과 관련된 중심 시설을 부분적으로 파괴하고서 들어섰기 때문이다. 이들 사이의 중복관계를 살펴보면, 물과 관련된 제사 관련 시설인 선대 유구가 가장 먼저 조성되었고, 이를 부분적으로 파괴하고서 창건 가람과 관련된 탑인 건물지3이 백제말의 무왕 사후에 만들어졌다. 백제말~통일신라초에 금마에 안승의 보덕국이 운영되면서 사찰의 중심 시설인 탑 앞에 장방형 건물을 축조하여 사찰의 성격이 변화되었다. 이는 안승이 백제 왕궁으로 만들어졌다가 사찰로 변화된 ‘大官寺’에 왕궁의 상징성을 확보하여 금마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기 시도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사찰에서 탑 앞에 특수한 건물을 만들거나 탑이 소진(消盡)된 상황에서 금당 앞에 탑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궁과 관련된 장방형 건물이라는 상당히 독특한 가람 배치를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사찰의 명칭도 명문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백제말의 ‘大官寺’에서 ‘官宮寺’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통일신라말~고려초에 백제의 옛 영토에 견훤의 후백제가 들어서면서 익산 왕궁리유적의 사찰도 크게 변화된다. 기존에 사찰 중심 공간에 자리한 “장방형 건물-금당-강당(기존 강당지 남편 계단시설)”을 대대적으로 정리하여 왕궁탑과 강당지를 새롭게 건립하였다. 또한 궁궐의 담장뿐만 아니라 사찰의 담장으로도 그대로 활용된 담장에 대한 보수 및 정비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담장에서 「大官官寺」명 명문와가 다량 출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찰의 명칭도 ‘官宮寺’에서 옛날에 백제말의 사찰 명칭을 다시 찾고 이에 관청의 기능을 더하여 ‘大官官寺’로 바꿨다. 이는 백제 왕궁이 자리하고 있었던 익산 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보수 및 정비를 통하여 왕권의 정통성과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획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사찰은 “대관사(창건가람)→관궁사(중창가람)→대관관사(재건가람)”로 변화되어 운영되었다. 이외에도 익산 왕궁리유적에서는 「天戊 大作國」 명 명문와가 동측 및 남측 궁장 등에서 총 53점이 출토되었다. 여기에서 「天戊」는 後唐 明宗(명종) 때의 연호로 926~929년에 사용된 「天成」으로 읽힐 수 있어 후백제와 후당과의 교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동측 궁장을 파괴하고서 만든 고려시대 건물지에서는 월주요계(越州窯系) 완류(완類) 2점을 비롯하여 초기 청자로 볼 수 있는 청자완 편도 발견되었다. 이런 유물들은 후백제가 완산주(전주)를 중심으로 하여 성립되면서 익산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출토된 청자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최근에 진안 도통리 초기청자요지와 관련되어 남원 실상사, 익산 미륵사지, 전주 동고산성 등에서 출토된 초기 청자와의 연관성을 밝힐 수 있는 새로운 자료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follow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one pagoda in Mireuksa temple site in its shape. However, it is smaller than the stone pagoda in Mireuksa temple site and adopted the typical pagoda style of Silla 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t also shows the aspects observed in the stone pagoda in Jeongrimsa temple site. In general, Five-story pagoda in Wanggung-ri mixed and compromised the style of Baekje and that of Silla in the old territory of Baekje in accordance with the foundation of later Baekje dynasty around Wansanju from the end of Unified Silla period to early Goryeo period. It had the transitional style compromising Silla style which was built a lot during Goryeo period. However, the plane shape of a building right below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was not a square but a rectangle(16.85m from east to west, 12.7m from north to south).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wooden pagoda site would be the building site 3 made before the construction of pagoda. Then, there was the dispute on the features of a rectangular building made during the term between the construction of a wooden pagoda and that of a stone pagoda in the temple site with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And it was necessary to find out the new theory on the change of temple. The remains found right below and arou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were very complicatedly overlapped. It was because the temple in the historic site of Wanggung-ri, Iksan was built after demolishing some main facilities related to the royal palace in the center of the royal palace. For the overlapping relation between the temple site and the pagoda site, the historic site related to ancestral rites and water was firstly built in accordance with the examination on its loc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ilities in the royal palace. After partially destroying it, the building site 3, the wooden pagoda site related to the temple, was built after the death of King Mu at the end of Baekje period. As Bodeokgun by An Seung had been managed from late Baekje period to early Unified Silla period, Sarira Reliquary enshrined in the wooden pagoda which was burnt was put into the Buddhist altar after constructing the rectangular building in front of it. As the later Baekje dynasty was established by Gyeon Hwon on the previous territory of Baekje between late Unified Silla period and early Goryeo period, the temple in Wanggung-ri historic site, Iksan was significantly changed. ‘Rectangular building-Geumdang-assembly hall(steps south of the existing assembly hall)’ arrangement in the center of the temple was extensively reorganized and so the five-story stone pagoda and assembly hall were newly built. Furthermore, the wall which was for the royal palace as well as for the temple was maintained at the same time. In such environment, a number of tiles inscribed in ‘Daegwangwansa Temple’ were found on the walls. The temple was changed from ‘Gwangungsa Temple’ to its original name used during late Baekje period and renamed as ‘Daegwangwansa Temple’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as the government office. It would be a part of plan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and control power of the royal authority by extensive maintenance on Iksan area where Baekje palace was located. For Wanggung-ri historic site in Iksan, the temple was operated as changing its name from ‘Daegwansa Temple(first construction)’ through ‘Gwangungsa Temple(expansion)’ to Daegwangwansa Temple(renovation)’. 53 tiles inscribed in ‘Cheonmu Daejakguk’ were found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 in the palace in Wanggung-ri historic site, Iksan. ‘Cheonmu’ is the era name during King Myeongjong`s reign of later Tang dynasty. It could be read as ‘Cheonseong’ used between 926 and 929. It indic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 Baekje dynasty and later Tang dynasty. 2 Woljuyogye Wanryu and Cheongjawan Pyeondo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the early celadon were found on the building site during Goryeo period constructed after destroying the eastern part of the royal palace. Those remains indicated the increasing interest on Iksan at that time with the foundation of later Baekje dynasty around Wansanju(Jeonju at present). Through more careful examination on the celadon found in Wanggung-ri historic site, Iksan in the future, such celadon will be the new source to identify the correlation with the celadon in early period recently found in Silsangsa temple in Namwon, Mireuksaji temple site in Iksan, and Donggosanseong fortress in Jeonju with respect to the early celadon kiln in Dotong-ri, Jinan.

      • KCI등재

        佛敎塔의 구조와 탑돌이에 대한 고찰 - 불교탑돌이의 형성배경과 동아시아적인 변화를 중심으로 -

        염중섭(자현)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7 No.-

        탑돌이는 靈山齋·水陸齋·燃燈祭와 더불어, 한국불교의 무형문화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불교문화이다. 그럼에도 탑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된 것이 없다. 현대는 문화가 힘이 되는 사회이다. 그러므로 탑돌이에 관한 연구는 오늘날 매우 중요하고도 절실한 시대과제라고 하겠다. 탑돌이는 탑에 대한 예경방식이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반드시 탑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져야만 한다. 불교탑은 불교 발생이전의 인도배경문화에서 비롯된 것이, 불교적인 관점의 변용을 거쳐 수용된 것이다. 붓다는 인도탑과는 달리 불 교탑에 있어서 建塔의 대상을 尊崇의 대상으로만 제한하고, 탑의 위치를 4거리 중앙에 두며 장엄의 비중을 확대한다. 이는 인도탑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탑돌이와 같은 예경의식이 강조될 수 있는 측면이, 불교탑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탑에 대한 예경방식인 탑돌이는, 유목문화에서 오른쪽으로 돌면서 존중을 표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탑돌이 역시, 불교 이전의 선행하던 가치를 불교가 수용한 것이다. 그러나 인도탑의 건립대상은 반드시 기릴만한 대상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인도탑에는 항상 탑돌이와 같은 예경의식이 수반되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불교탑과 같은 경우는 건탑대상을 제한함으로 인하여, 모든 불교탑이 예경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모든 불교탑에는 탑돌이가 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불교 안에서, 탑돌이문화가 활발하게 발전된다는 것 을 의미한다. 인도불교의 탑과 탑돌이는, 동아시아로의 불교 동점과 더불어 중국문화권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그 결과 탑은 중국 전통의 明堂건축과 관련된 형태로 변모하고, 탑돌이 역시 辟邪의 색채를 입은 燃燈탑돌이가 주류가 된다. 그러나 연 등탑돌이는 燈이라는 속성상 밤에만 제한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탑돌이의 범주 안에 포함되는 측면일 뿐 ‘탑돌이 =연등탑돌이’가 되는 것은 아니다. Tabdori(go-round Pagoda) is a world-wide Buddhist culture and a typical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Korean Buddhism along with Yeongsanje(靈山齋), Suryugje(水陸齋) and Yeondeungje(燃燈祭). Despite the fact, the studies on Tabdori are very scanty. The modern age is the society where the culture becomes a power. Therefore, the study on Tabdori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of this age. Tabdori is a method to show the respect and honor toward the pagoda. Therefore, the consideration on the pagoda or Buddhist tower should be made first before the study. Buddhist tower was originated from the Indian culture even before the beginning of Buddhism. It was accepted by Buddhism after the modificationaccording to the Buddhist perspectives. Unlike the cases of Indian towers, Buddha limited the objects for construction of Buddhist tower to those of respect and honor, expanding the weight of grandeur by setting the tower at the center of a cross road. It means that the Buddhist tower has relatively greater respects to emphasize the respect and honor rituals like Tabdori than Indian tower. Tabdori as a respect and honor ritual toward the tower came from the custom to express the respect by turning around to the right in the nomadic culture. This Tabdori was also a pre-Buddhism custom that was accepted by Buddhism. In case of Indian tower, it was not built only for the objects of respect and honor. This means that Indian tower did not accompany the rites of respect and honor such as Tabdori at all times. But, in case of Buddhist tower, the objects for its construction were limited and therefore all the Buddhist towers became the object of respect and honor. This means that Tabdori can be made for all Buddhist towers. This kind of change promoted the active development of Tabdori culture in Buddhism. Tower of Indian Buddhism and Tabdori suffered great changes in the Chinese cultural zone when the Buddhism was propagated to East Asia. In the process, the pagoda came to be connected with traditional Myeo-ngdang (lucky site) construction in China, and the Yeondeung(燃燈, lantern) Tabdori with the light of evil repelling became the main trend of Tabdori. But, as the Yeondeung Tabdori can be made only at night thanks to the character of lantern, Yeondeung Tabdori cannot be identified with Tabdori itself but is just included in the scope of Tabdori.

      • KCI등재

        익산 왕궁리유적의 사찰 운영에 대한 재검토 - 왕궁탑 하부 유구를 중심으로 -

        전용호 호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60 No.-

        왕궁탑(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은 석탑의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미륵사지석탑을, 옥개석의 모양이나 석부재의 조합 등에서는 부여 정림사지 석탑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탑신부나 기단 등에서는 신라전형양식의 기법도 수용하였다. 대체적으로 왕궁탑은 통일신라말~고려초에 완산주를 중심으로 한 후백제의 성립에 따라 백제 옛 영토에서 백제 양식과 신라 양식이 혼합, 절충하여 표현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고려시대 건립이 많이 된 백제, 신라양식의 절충양식에 선행되는 과도기적인 양식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왕궁탑 바로 직하에 놓여 있는 건물의 평면 형태가 탑지인 방형이 아니라 장방형(동서길이 16.85m, 남북너비 12.7m)으로 확인되었다. 오히려 탑지는 이보다 먼저 조성된 건물지3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익산 왕궁리유적의 사찰에서 왕궁탑 이전에 조성된 장방형 건물의 성격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사찰의 변화 과정에 대한 새로운 설명이 요구되었다. 왕궁탑 바로 아래 및 주변에서 확인된 유구들은 상당히 복잡하게 중복되어 있었다. 이런 요인은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사찰이 궁성의 중심공간에 그대로 자리하면서 궁성과 관련된 중심 시설을 부분적으로 파괴하고서 들어섰기 때문이다. 이들 사이의 중복관계를 살펴보면, 물과 관련된 제사 관련 시설인 선대 유구가 가장 먼저 조성되었고, 이를 부분적으로 파괴하고서 창건 가람과 관련된 탑인 건물지3이 백제말의 무왕 사후에 만들어졌다. 백제말~통일신라초에 금마에 안승의 보덕국이 운영되면서 사찰의 중심 시설인 탑 앞에 장방형 건물을 축조하여 사찰의 성격이 변화되었다. 이는 안승이 백제 왕궁으로 만들어졌다가 사찰로 변화된 ‘大官寺’에 왕궁의 상징성을 확보하여 금마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기 시도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사찰에서 탑 앞에 특수한 건물을 만들거나 탑이 소진(消盡)된 상황에서 금당 앞에 탑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궁과 관련된 장방형 건물이라는 상당히 독특한 가람 배치를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사찰의 명칭도 명문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백제말의 ‘大官寺’에서 ‘官宮寺’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통일신라말~고려초에 백제의 옛 영토에 견훤의 후백제가 들어서면서 익산 왕궁리유적의 사찰도 크게 변화된다. 기존에 사찰 중심 공간에 자리한 “장방형 건물-금당-강당(기존 강당지 남편 계단시설)”을 대대적으로 정리하여 왕궁탑과 강당지를 새롭게 건립하였다. 또한 궁궐의 담장뿐만 아니라 사찰의 담장으로도 그대로 활용된 담장에 대한 보수 및 정비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담장에서 「大官官寺」명 명문와가 다량 출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찰의 명칭도 ‘官宮寺’에서 옛날에 백제말의 사찰 명칭을 다시 찾고 이에 관청의 기능을 더하여 ‘大官官寺’로 바꿨다. 이는 백제 왕궁이 자리하고 있었던 익산 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보수 및 정비를 통하여 왕권의 정통성과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획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사찰은 “대관사(창건가람)→관궁사(중창가람)→대관관사(재건가람)”로 변화되어 운영되었다. 이외에도 익산 왕궁리유적에서는 「天戊 大作」 명 명문와가 동측 및 남측 궁장 등에서 총 53점이 출토되었다. 여기에서 「天戊」는 後 ...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follow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one pagoda in Mireuksa temple site in its shape. However, it is smaller than the stone pagoda in Mireuksa temple site and adopted the typical pagoda style of Silla 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t also shows the aspects observed in the stone pagoda in Jeongrimsa temple site. In general, Five-story pagoda in Wanggung-ri mixed and compromised the style of Baekje and that of Silla in the old territory of Baekje in accordance with the foundation of later Baekje dynasty around Wansanju from the end of Unified Silla period to early Goryeo period. It had the transitional style compromising Silla style which was built a lot during Goryeo period. However, the plane shape of a building right below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was not a square but a rectangle(16.85m from east to west, 12.7m from north to south).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wooden pagoda site would be the building site 3 made before the construction of pagoda. Then, there was the dispute on the features of a rectangular building made during the term between the construction of a wooden pagoda and that of a stone pagoda in the temple site with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And it was necessary to find out the new theory on the change of temple. The remains found right below and arou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were very complicatedly overlapped. It was because the temple in the historic site of Wanggung-ri, Iksan was built after demolishing some main facilities related to the royal palace in the center of the royal palace. For the overlapping relation between the temple site and the pagoda site, the historic site related to ancestral rites and water was firstly built in accordance with the examination on its loc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ilities in the royal palace. After partially destroying it, the building site 3, the wooden pagoda site related to the temple, was built after the death of King Mu at the end of Baekje period. As Bodeokgun by An Seung had been managed from late Baekje period to early Unified Silla period, Sarira Reliquary enshrined in the wooden pagoda which was burnt was put into the Buddhist altar after constructing the rectangular building in front of it. As the later Baekje dynasty was established by Gyeon Hwon on the previous territory of Baekje between late Unified Silla period and early Goryeo period, the temple in Wanggung-ri historic site, Iksan was significantly changed. ‘Rectangular building-Geumdang-assembly hall(steps south of the existing assembly hall)’ arrangement in the center of the temple was extensively reorganized and so the five-story stone pagoda and assembly hall were newly built. Furthermore, the wall which was for the royal palace as well as for the temple was maintained at the same time. In such environment, a number of tiles inscribed in ‘Daegwangwansa Temple’ were found on the walls. The temple was changed from ‘Gwangungsa Temple’ to its original name used during late Baekje period and renamed as ‘Daegwangwansa Temple’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as the government office. It would be a part of plan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and control power of the royal authority by extensive maintenance on Iksan area where Baekje palace was located. For Wanggung-ri historic site in Iksan, the temple was operated as changing its name from ‘Daegwansa Temple(first construction)’ through ‘Gwangungsa Temple(expansion)’ to Daegwangwansa Temple(renovation)’. 53 tiles inscribed in ‘Cheonmu Daejakguk’ were found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 in the palace in Wanggung-ri historic site, Iksan. ‘Cheonmu’ is the era name during King Myeongjong’s reign of later Tang dynasty. It could be read as ‘Cheonseong’ used between 926 and 929. It indic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 Baekje dynasty and later Tang dynasty. 2 Wolj...

      • KCI등재

        탑의 조형성을 형상화한 도자조형 연구 -탑과 연구작품의 수직구조를 중심으로-

        이훈기 ( Lee Hun K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수직적 구조인 탑의 조형성을 형상화한 도자조형에 대한 연구이다. 탑의 형태적 특성과 내재된 의미를 역사적 고찰을 통해 탐색하고, 탑의 제작기법과 연구자의 제작기법을 비교분석하여 대형 도자조형의 새로운 제작기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탑은 인간의 발원심에서 시작되어 제작되었다. 불교에서 탑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안녕과 사후의 평안에 대한 염원을 경배하는 대상물의 하나로 발전해왔다. 탑의 형태적 특징은 수직적 구조물의 형상으로, 탑신부는 홀수층으로 탑의 외형은 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 짝수로 이루어져있다. 이를 통해 탑의 형태가 음양오행의 의미를 상징하고 있음을 알아볼 수 있었다. 연구자의 도자조형물과 석탑의 제작방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하단인 기단부에서 상단으로 쌓아 완성되는 제작기법의 유사함을 발견하였고, 점토와 석재의 물성차이로 인한 제작기법의 차이점도 분석하였다. 현대 도자조형작업에서 작품이 커질수록 건조 균열과 소성 균열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 도자작업에서의 문제 개선을 위한 제작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작품의 하단부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제작방법으로 가변틀 기법을 연구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의 가변틀 방식과 기존의 석고틀 방식을 혼용 또는 단독으로 제작한 조형물들에서 대형 도자조형물의 물리적 한계로 빈번히 나타나는 건조 수축과 소성 수축으로 인한 균열의 정도가 현격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자는 탑의 형태와 근간을 이루는 수직적 도자 조형물의 제작을 통해 탑에 내재된 정신적 지향점이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 추구하는 주제의식과의 유사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온 탑의 조형성이 연구자의 대형 도자 조형물의 조형성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on ceramic sculpture embodying formativeness of pagoda which is a vertic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nd inherent meanings of pagoda through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to seek a new technique in making large-scale ceramic sculptur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duction techniques. Pagoda was built originally from human being's dearest wish. In Buddism, pagoda has developed as an object of worship by men longing for welfare in the uncertain future and peace after death. Regarding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pagoda is a vertical structure which consists of odd number-story main body wherein each story is quadrilateral or octagonal. It is found that pagoda represents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in its form. Regarding production techniques, the comparative analysis reveals similarities in a manner that both pagoda and the researcher's sculptures are completed by piling up from the base and differences originated from properties of matter, that is, stone and clay. In the contemporary ceramic artwork, dessication cracks and plasticity cracks can be increased as the size of sculpture gets lager.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oduction method to resolve such problem. The researcher studies a technique to disperse the weight concentrated on the lower section of the sculpture and produces artworks through his own variable mold technique. As a result, the researcher was able to eliminate cracks on the sculptures on which the researchers' variable mold is singularly used and is mixed wih gypsum mold. Meanwhile, the researcher studies parallels between inherent directivity of pagoda and thematic consciousness pursued in his vertical art form reaching up toward the heavens. The vertical formativeness of pagoda has association with the formativeness of large-scale ceramic sculptures produced by the researcher.

      • KCI등재

        『법화경』 「견보탑품」에 나오는 寶塔의 상징성 고찰

        차차석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5 No.-

        『법화경』의 「견보탑품」에는 땅속에서 솟아나와 허공에 머물러 있는 보탑이 나온다. 본고는 그 寶 塔의 상징성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내용을 요약하자면, 첫째 사상적인 차원에서는 『바가바드기 타』와 같은 인도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지만 그것을 불교적인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있다는 점 이다. 둘째 대지를 뚫고 보탑이 솟아나왔다는 점에서 많은 사상가들은 大地를 心地, 無明, 삼계육도의 범속 함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보탑이 허공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법신불이 시공을 초월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하거나 대상의식을 탈각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셋째 중국을 대표하는 법화사상가인 천태, 길장, 규기는 중국 전통의 체용론을 응용하여 방편과 진실 이란 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불타가 구원의 주체이며, 그 구원이 시공을 초월해 존재해야 한다는 점에서 접근하고 있지만 세밀한 입장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도 사실 이다. 넷째 사리탑과 달리 보탑 속에 다보여래가 앉아 있으며, 나아가 석가불과 한 자리에 앉게 된다는 이불 병좌는 초기불교에서 중시한 ‘법의 상속’과 교단의 정통성 계승이란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과 거불과 현재불의 통일 내지 통합을 통해 기존교단을 포용하고, 새로운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는 법화불 교의 사상적 경향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적어도 새로운 불교운동인 법화불교가 지 향하는 방향을 불타론과 결부시켜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견보탑품」의 내용은 인도의 전통신화 내지 사상, 초기불교의 교단 상황, 그리고 법화운 동가들의 종교적 의지가 융합되어 있다. 그런 만큼 신화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이 농후해 이해하기 어려 운 점도 있지만 인도의 문화, 사상적 배경과 불교교단의 전개라는 점을 감안하면 보탑이 지니는 다양 한 상징성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그것도 법화불교가 지향하는 방향을 분명하게 알려주고 있다. There is the story on a stupa in the sky which is aroused from a place on the earth in the chapter apparition of a stupa in the Lotus sutra. This paper’ aim is the consideration 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tupa. To sum up, the first, in the point of thought, the story on the stupa may be able to be seen as the effect of Indian thought, but it is reinterpreted in buddhist view point. The thinking that Dharmakaya (the body of truth, or Buddha) is in the stupa, not sarira(Sacred relics of the Buddha), which is resulted from the effect of absolute monism of Brahmanism made the object for the salvation and devotion of Buddhism something transcendental and monistic. The second, many thinkers have desired to interpretate the earth as the mind-ground, the ignorance(avidya), and the mediocrity of the world in the reason that the stupa was aroused from the earth. And, from the fact that the stupa is in the sky, they understood dharmakaya-buddha is transcendental to time and space, and free from objective consciousness. The way to read the text as above made the symbolic meaning more important than a reading literally, and have opened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different interpretations The third, three representative thinkers on the Lotus sutra in China as Tientai, Jizang, and Kuiji showed the tendency of reading the story on the stupa in the point of the skilful device(upaya) and the truth through traditional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 in China. They are similar to the point that Buddha is a main agent of the salvation,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a detailed analysis. In such detailed point, Tientai interprets the stupa in the sky as the dharmakaya in the state of the factual reality(dharmata), but Jizang emphasizes, on the ground of logical analysis, that dharmakaya is the true nature of the Middle Way. The thinkers above interpret the voice from the stupa also in the point of the skilful device(upaya) and the truth, but we can also interpret it as a inner voice by buddhist strong faith and practice will, as it were, a voice of faith and a great aspiration in Mahaprajnaparamita Shastra. The fourth, we can understand that the sitting of the Buddha of abundant treasure(Prabhutaratna) in the stupa diffrently with sarira stupa in which there is sarira, buddha's bone. and the sitting together of Sakyamuni and Prabhutaratna shows the transmission of Dharma and the succession of the legitimacy of buddhist order which are putted emphasis on in early buddhism. And we can say that the unity of the past-buddha with the present-buddha symbolizes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e Lotus sutra philosophy that desired to accept old buddhist order, and aim new buddhist value. The chapter apparition of a stupa involves the traditional myths and thoughts in India, the circumstance of early buddhist order, and a religious faith of the Lotus sutra thought activists. So although we would be not able to understand the story, because of symbolic and mythical expressions of it. but we can read the symbolism of the stupa in it in the point of the background of Indian culture and thoughts, and the development of buddhist order.

      • KCI등재후보

        圓覺寺13層塔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남동신(南東信) 국립중앙박물관 2021 미술자료 Vol.- No.100

        본고는 원각사탑에 대한 지난 백 년간의 근대 학설사를 층수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성찰하 였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근대 개항기에 조선을 여행한 서양인들이 종래 한성의 ‘非美’내지는 흉물로 간주되던 원각사탑을 한성의 ‘奇觀’내지 ‘偉觀’으로 재발견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들 은 불탑에 관한 예비지식이 거의 없는 서양 출신이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원각사탑에 대하여 객관 적인 견문기를 남길 수 있었는바, 그들이 접촉한 조선 지식인들을 통하여 대체로 13층설을 받아들 였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대한제국 선포 이후 일인 관변학자들이 원각사탑을 본격적으로 학술 조 사하고, 일제식민기 동안 조선총독부가 원각사탑을 문화재로서 관리하는 과정 및 그 문제점을 언급 하였다. 특히 지난 100여 년 동안 원각사탑 층수 문제에 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세키노 타 다시(關野 貞)의 학설이 10층설에서 13층설로, 다시 다층설로 변하는 문제를 집중 조명하였다. 마지 막으로 제Ⅳ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62년까지 원각사탑에 대한 인식이 다층설에서 10층설로 바 뀐 경과를 정리하되, 선행하는 일제식민기 조선 지식인들의 인식이 13층설 일변도였음을 특기해두 었다. 다만 1962년 이후 지금까지 원각사탑에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성과가 적지않이 발표되었지만, 층수에 관한 한 대부분 1962년에 확정된 10층설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따로 정리하지 않았다. 학설사 검토의 결과, 원각사탑이 13층탑으로서 건립되었다는 근거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일제 시기는 물론 해방 이후 지금까지 백 년이 넘도록 13층설은 단 한 번도 공인받지 못하였으며, 학계에 서 층수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각사탑과 경천사탑이 10층 탑이라는 현재의 통설은, 백 년 전에 세키노 타다시(關野 貞)가 최초로 주창하였다. 세키노는 원각사 에 남아있는 「원각사비」가 글자를 거의 판독할 수 없을 정도로 마멸이 심하였기 때문에 원각사탑의 현상만 건축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10층탑이라고 주장하였다. 공교롭게도 그 직후에 발견된 『속동 문선』에 실린 「원각사비」에서 ‘탑 13층을 세웠다.’라는 구절이 확인되었다. 또한 15세기 후반 왕명으 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한 편찬자들도 원각사탑의 모범인 경천사탑 또한 ‘13층탑’임을 분명히 인식 하고 있었다. 특히 원각사탑 건립 직후 왕명으로 건립된 「원각사비」는 세키노의 10층설이 전제에 오류가 있음 을 명백히 보여준다. 세키노는,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 올려져 있어서, 세상 사람들이 13층탑 이라고 불렀다.’라고 하였는데, 「원각사비」는 세조가 처음부터 13층탑으로서 원각사탑을 건립하였음 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다만 이례적이게도 13층탑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을 올린 형태로 조성 하였을 따름이다. 그렇다면 세조는 왜 13층탑을 세웠으며, 왜 그것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라는 이례적인 국문초록 52 美術資料 제100호 2021 형태로 구현하였는가? 세조가 원각사13층탑을 건립한 의도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먼저 원각사탑의 정체를 파악해야 하는바, 그 첫 단추는 원래의 명칭을 회복하는 데 있다. 필자는 전제의 오류 위에 구축된 세키노의 10층설―나아가 절충적인 다층설―은 이제 폐기하고, 「원각사비」에서 말하는 13층 설을 복원할 것을 촉구한다.

      • KCI등재

        황토현 ‘갑오동학혁명기념탑’과 동학농민혁명 상징 기념탑에 대한 일고-대안적 동학농민혁명 상징물 재고를 위해서-

        김인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7

        As a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museum, modern history displays would be able to herald universal stories in exhibition. Because modern history in Korea has a fact that regulation power in realistic. With this, examining Gabo Donghak revolution monument in Hwangtohyun and symbolized monuments for Donghak revolution & contemporary outdoor displays in museum are quite meaningful. In many of symbolized facilities, Gabo Donghak revolution monument in Hwangtohyun is the earliest in history. In July, 1963. Promotion committee for construction were established and monument buit in rate. This monument had a totally different progression of procedure. This Gabo Donghak revolution monument were built in Hwangtohyun where had a nature of history. So far, memorials for Donghak peasantry movement are monument, cenotaph, the boundaries of grave, birthplace. While, Donghak movement monument in Hwangtohyun were built by preparatory committee and the Gonju diocese in Cheondogyo. The specialty for this is that it emphasized 5ㆍ16 military revolution & the October Revitalizing Reforms. Gabo Donghak revolution centennial monument is specialized by non-political issues. This is differ from two other Donghak revolution monuments. Also, Donghak revolution monuments in Baeksan is symbolized by three different huge stone but the place where it built is dissimilar. Additionally, Moomyung-Donghak peasantry monument were raised by citizen with different symbolism. In addition, Donghak peasantry monument in Changheung were built by Changheung residents but it is authority prestige. As studied previously, most of Donghak peasantry memorial artifects were built in intense. It is fact that this projected a shadow of actual political issues. The problem is that when we build this kind of monument, should not focus on outdoor displays where is able to hold large spaces. From now on, establishing Donghak peasantry monument, agreement from nation, citizen, and local should be required. All of monuments are possessed these people. Additionally, Donghak peasantry memorials is not reflection of modern history but the spirit of the times. Future monuments is not only consider economic effect but also surroundings and brand new ideas should be considered with educational fact. Participatory exhibit is also reconsidered. 박물관 교육학적인 차원에서 볼 때, 한국현대사 전시물은 전시의 보편적인 내용을 그 어떤 전시물 보다 적극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것은 현대사라는 현실적 규정력 때문이다. 이런 차원에서 볼 때 황토현의 ‘갑오동학혁명기념탑’과 동학농민혁명 상징 기념탑과 주요 현대사 박물관의 옥외 전시물을 살펴보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다. ‘갑오동학혁명기념탑’은 상징적 시설물 가운데 역사적으로 가장 빠르다. 1963년 7월 건립추진위원회가 만들어지고 빠른 속도로 기념탑이 설치되었다. 다른 기념비와 상징물이 만들어지는 것과 다른 진행 절차를 밟아 ‘갑오동학혁명기념탑’은 조성되었다고 보인다. 이 ‘갑오동학혁명기념탑’은 황토현 전적지에 건립되어 역사성이 있는 장소를 선택한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지금까지 동학농민혁명 관련 각종 기념물로는 기념탑, 위령탑, 묘역, 생가, 추모비, 전투지 등이 확인된다. 이 가운데 동학혁명군위령탑은 ‘동학혁명군위령탑 건립준비위원회’가 주도해 건립되었고, 천도교 공주교구가 주도했다. 여기에서는 5ㆍ16과 10월 유신을 부각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갑오동학혁명 100주년 기념탑’은 다른 전술한 동학농민혁명 관련 기념과 위령하는 두 탑과 달리 정치적 경향성이 노골적이지 않다. 또한 백산의 갑오동학혁명 기념탑은 세 개의 대형 석재로 상징성을 부각하고 있으나 세워진 현장은 접근성이 떨어진다. 아울러 무명동학농민군위령탑은 시민들이 주도하여 세워졌고, 이에 따라 상징성을 달리 가져가고 있다. 또한 장흥읍 충렬리 천관마을 동학농민혁명 기념탑은 장흥군민들의 후원 속에 추진위원회가 주도하여 설립되었으나 권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런가 하면 2000년대의 삼례봉기 역사광장은 역사기념 공간과 조형물을 조성하여 기념비적 공간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본고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학농민혁명 관련 기념물은 민족 기념물 가운데 절대 다수이고 집중적으로 건설되었다. 이러한 내용은 현실 정치와 깊은 관계 속에서 조성되어졌던 것이 사실이다. 문제는 동학농민혁명 기념물을 설립할 때 넓은 야외 전시 공간을 적극 활용하는 데만 그쳐서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향후 동학농민혁명 상징물 건립에서는 국민적, 시민적, 지역민의 합의가 우선적이어야 한다. 이를 향유하는 주체가 바로 보통 시민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동학농민혁명 기념물은 단순 현대사의 반영이 아닌 시대정신을 구현해야 한다. 나아가 미래의 동학농민혁명 기념물은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주변의 환경과 결합된 새로운 발상의 전환에 기초한 교육적 요소가 들어간 시설이 되어야 한다. 특히 여기에서는 체험형 공간의 조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