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天台撰『六妙法門』의 禪定體系와 思想的 淵源 探索

        차차석 보조사상연구원 2003 보조사상 Vol.19 No.-

        I have anaIysed the system of meditation of 『六妙法門』which was written by Turn Tai, Great Zen master of Sui Dynasty, in relation with its whole composition and thought system. This book is consisted of 10 chapter and I summarized the peculiarity of each chapter. The system of thought is divided into four kinds of enlightenment, and This enlightenment looks like status quo of transition period before his 三種止觀法 has not completed yet. 三種止觀法 corresponds with 次第(by degrees), 不定(indefiniteness), 圓頓(sudden)止觀, If 次第止觀 was already fanned with 次第禪門, 不定止觀 was also formed with『六妙法門』of this research object and 圓頓止觀 was completed with 摩訶止觀, There is possibility of talking sudden enlightenment of『六妙法門』as form of transition period. From the two branch viewpoint, I approached its origin of thought. In the first place, I pay attention to which buddhist sutras and sasutras did 『六妙法門』 referred to and I try to use the text which was formed before completion of 『六妙法門』as subsidiary material. In result we know that the influence of 『Mahaprajnaparamitasutra』,『Mahaprajnaparamitasastra』,『Saddharmapundarikasutratra』,『Avatamsakasutra』in 『六妙法門』 Secondly, I paid attention to 『六妙法門』in relation with traditional Chinese thought, especially Taoism, and analysed its concrete content. In result, we know that the ascetic method of Taoism has influence on 25 Method of 『次第法門』 and the ascetic method of 『六妙法門』and Taoism's Thouths of Keep One(守一思想) also gave an effect to Tain Tai's 'one-mind' or 'one-dharma' thought. It is certain that the former had influence on the latter. Because the influx and the fixation of new culture, and the collision and conflict of new culture and old culture are the precursor of new thought's birth, Taoism in 『六妙法門』is necessary fact that indian buddhism become chinese buddhism. Simultaneously It is necessary condition to complete chinese system of ascetic exercises. I think that the system of Tian Tae's thought couldn't came to being existence without the system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 KCI등재

        천태지의의 믿음[信]관과 그 특징

        차차석,최기표 한국정토학회 2006 정토학연구 Vol.9 No.-

        천태의 믿음관은 삼제원융론에 입각한 제법실상론의 또 다른 표현이라 말할 수 있다. 그는 수행과 믿음을 일치시켜 수행 속에서 믿음을 증장시켜야 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수행을 통해 믿음의 대상인 제법실상의 세계를 통찰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믿음이란 제법실상관을 그 믿음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 불교 이래 전개된 삼보관의 범주에서 일탈해 있다. 그렇지만 일심으로 제법실상관을 파악하는 것이며, 一心의 드러남이 제법의 실상이라는 관점에서 후대의 사상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믿음의 대상을 실체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의 사상은 철저하게 무집착 공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것은 대승 제경전의 영향, 그 중에서도 반야사상의 강한 영향 속에서 그의 믿음관이 형성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다. 더하여 전통중국사상의 상호침투와 융합이란 사상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그는 믿음을 단계적으로 파악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四句分別論에 입각해 전개되고 있다. 그러면서 安心을 체득하기 위한 수행인으로 信行人과 法行人을 구분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은 因果의 구분 속에서 因이 없는 果가 있을 수 없듯이 果가 없는 因도 있을 수 없다는 사고 속에 전개되고 있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인이란 수행의 과정이라면 과란 깨달음이다. 삼승과 일승의 관계 속에선 삼승이 인이라면 일승은 과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모든 것은 계정혜 삼학으로 집약 정리된다. 融會的사고 속에서 도출된 결론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대상에 사로잡히지 않으면서도 철저하게 현실적인 실천을 요구하는 것이란 점에서 현실을 중시하는 믿음관이 나타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e view of T'ien-t'ai' s faith is said to be anotherexpression of the universal reality theory which is based on Samjae harmonization principle. T'ien-t'aitold us that our practice should be consistent with our faith, and hence we should increase faith in our practice process. He also told us that we could see through the world of universal reality, which is the object of faith, throughout our practice. The faith, what T'ien-t'ai mentioned about, took the universal reality view as the object of faith. So, his view could be departed from the scope of the traditional Triratna view which had been evolved since the early Buddhism era. Nonetheless, his views of both seeing through universalreality with one mind and revealing one mind is equivalent to find out universal reality are said to influence the thoughts of next generations. He, however, did not substantiate the object of faith. Hence, his thought firmly maintained a view of no attachment emptiness. This seemed that his faith view could be seriously affected by Prajna thought which is one of Mahayana Buddhism ideologies. Also, it seemed that his faith view might be influenced by a traditional Chinese ideology of mutual affection and harmony. And he took faith as a stepwise process view. This was explained by his four phase classification theory. He insisted a differentiation between a faith practitioner and a dharma practitioner among the Buddhism practitioners who try to experience the peaceful mind. This differentiation, however, could be depicted under a causality framework which says there is no effect without cause or no cause without effect. I would think that the cause is the practice process and the effect is theenlightenment.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conveyances and one conveyance, I would rather to say if the three conveyances are the cause, then the one conveyance is the effect. These sorts of contents, however, are concentrated and summarized into the Buddhist trivium, which consist of the practice of commandment, the practice of equanimity, and the practice of wisdom. And the Buddhist trivium could be a drawn conclusion from the logical flow of a unification process. Hence, the Buddhist trivium would reflect the faith view that takes a serious view of present realty since it rigidly requires actual practice free from the environmental obsessions.

      • KCI등재

        관음신앙의 중국적 變容과 그 문화적 특징

        차차석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8 No.-

        중국에 관음신앙이 유입된 것은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토착화 과정에서 다양한 종교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중국에 전래된 관음신앙의 문화적 변용과 그 특징을, 관음신앙과 낭낭신의 습합, 관음신앙과 善書, 관음신앙과 민속의 상관성 등으로 구분해 살펴보았으며, 그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음신앙과 낭낭신의 결합은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우선은 대륙 內地를 중심으로 길흉화복을 주재하고 자식을 관장하는 도교의 여신과 관음이 융합하여 관음낭낭이 된 점이다. 이것은 관음신앙에 중국 대중의 현실적인 소망을 해결해주는 관음으로 인식되면서 대중 속에 토착화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해안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해신인 천후낭낭이 관음과 결합하여 해신관음으로 정착하는 것이다. 해신관음은 남해대사란 명칭으로도 불렸으며, 송․원․명 시대가 되면 본말이 전도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중국의 토착신에 해당하는 해신인 천후가 관음에게 기도하여 태어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불교와 속신, 도교의 간극이 완전히 사라지고 새로운 문화형태가 발생한 것이다. 둘째 관음신앙과 善書의 유행은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중국 민중의 윤리의식을 고취하는데 일조할 뿐만 아니라 선서를 통한 求福 활동에 관음신앙이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의식은 관음신앙, 전통적인 선서의식, 밀교 등 복합적인 문화의 산물이다. 동시에 관음신앙의 유행은 의경, 영험록 등 무수하게 많은 유관 서적을 양산하게 된다. 민중구제와 윤리의식의 제고라는 차원에서 전통사상과 관음신앙이 절묘하게 융합된 문화유형이라 볼 수 있다. 셋째 관음신앙과 민속의 상관성이다. 관음신앙의 유행은 중국의 민속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것은 불교사상이 민간의 문화를 지배한 결과라 말할 수도 있지만, 서민대중의 소박한 욕망과 현실적인 소원이 불교사상과 융합해 다양한 세시풍속을 창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관음신앙이란 본래 인도에서 발생한 것이지만 완전히 중국화 되어 다양한 대중문화의 형태로 재구성된 것이다.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of China has a very long history. It had made various religion cultures in China during naturalization period. This paper considers the feature and the acculturat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hich came to China from India, on the separated aspects as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Niάng niάng shén(娘娘神, the goddess giving offspring in the taoism),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texts on the good de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folklore. The feature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Niάng niάng shén had developed in two ways. The first is that, around the interior of China, through the fusion with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the goddess who giving offspring and prosperity in the taoism had changed to Avalokitesvara-Niάng niάng. This means that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as naturalized to China after Chinese had acknowledged Avalokitesvara as the Bodhisattva who helps people's worldly wish. The second is that, around seaside and southern area of China, Tiān hóu-Niάng niάng(天后娘娘, the goddess helping a seaman and a castaway) had changed to the sea god-Avalokitesvara from the fusion with Avalokitesvara. The sea god-Avalokitesvara was also called as the master of southern sea(南海大師), and in A.D. 10-16c, a phenomenon that put the cart before the horse occurred, it was that people acknowledged that Chinese indigenous god, Tiān hóu was born from the pray to Avalokitesvara. It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buddhism, indigenous religion, and taoism disappeared completely, and a new cultural form appeared in China. Second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the publication of texts on the good deed helped to strengthen chinese people's ethics through interaction. And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had been fused with the activity for worldly prosperity through texts on the good deed. This cultural form is a complex product from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the traditional thought on the text on the good deed, and buddhist tantrism. Meanwhile, the boom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brought about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on mysterious experience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e can understand it as the new cultural form produced from traditional chinese thoughts fused with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excellently. Third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have given many influences to Chinese folklore. We can say that it is the result of buddhist domination toward Chinese people's culture, or the fusion between the Chinese common people' worldly wish and simple hope, and buddhism created different seasonal customs. Original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came about in India, after it was naturalized to China, it was recreated as different forms in popular culture of the day.

      • KCI등재

        천태 성악설의 윤리성 탐구

        차차석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2 No.-

        This thesis focused on the nature and the aim of ethics in 『觀音玄義』 and other texts by Ti’anTai, espcially around 性具性惡說 in 『觀音玄義』. In chapter 2, I explained the outline and the system of 性具性惡說. It has the system by which answer to the four key problems, and presents what the problems are. In chapter 3, I considered the nature of the ethics in 性具性惡說 through three aspects. In the first, I considered Ti’anTai’s religious point of view and the nature of ethics. It explains dynamically the world of the buddha nature beyond the relativity of the empirical world. In the second, I examined the concept of the nature(性) in the terms as like 達 and 不達. the term 達 means the action of the boddhisattva(菩薩行) that is the learning about the nature of asvabhavata(無自性性) of the empirical world, and the achievement of 慈悲 beyond the limit of it. In the third, I examined the ethics of the harmony and balance in the 性具性惡說, associated with the 十界互具說 and the 陰陽論. In chapter 4, I considered what are the logical system and the aim of the 性惡說 through two aspects. In the first, my concern is the problem of the 作意 and the 神通. The 作意 means not able to 任運無作, and to be limited by relative and adhered thought. In the second, I examined the logical system and the aim of vipasana and samhatha(止觀) which make the world of middle dharmata(中道實相) founded on the thought of 三諦圓融. Through above consideration, I brought a conclusion that Ti’anTai’s aim is the world of middle dharmata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object is not diffrent, and his concept of the absolute good is centered to the attainment and the development of middle dharmata. However Ti’anTai rejects to make the absolute good the fixed concept because everything does not have one’ s self. He says that the aim of the absolute good is not at the passive or fixed level, but at the achievement and the practice of the mahayana ethics. So we understanded that his 性惡說 reflected firmly the mahayana ethics for the salvation of people. 『관음현의』에 나타난 성악설을 중심으로 천태의 다른 저서를 참조하여 성악설에 나타난 윤리적 성격과 그 지향점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성악설의 구조와 개요를 살펴보았다. 네 가지의 핵심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이지만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일천제는 성불을 위해 性善이 있으며, 부처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性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제3장에서는 성악설이 지니는 윤리성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은 핵심 용어인 修와 性의 개념을 중심으로 천태가 추구하고자 했던 종교의 세계와 그 윤리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경험의 세계가 지니고 있는 상대성을 초월하여 불성의 세계를 역동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둘째는 達과 不達이란 용어를 중심으로 그 속에 표출되고 있는 性의 역동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達이란 상대적 세계의 무자성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제약을 넘어 자비를 완성하고자 하는 보살행을 지칭하고 있다. 셋째는 성악설에 나타난 조화와 균형의 윤리성을 십계호구설이나 음양론과 연계하여 고찰해 보았다. 『관음현의』에 나타난 성악설을 중심으로 천태의 다른 저서를 참조하여 성악설에 나타난 윤리적 성격과 그 지향점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성악설의 구조와 개요를 살펴보았다. 네 가지의 핵심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이지만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일천제는 성불을 위해 性善이 있으며, 부처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性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제3장에서는 성악설이 지니는 윤리성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은 핵심 용어인 修와 性의 개념을 중심으로 천태가 추구하고자 했던 종교의 세계와 그 윤리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경험의 세계가 지니고 있는 상대성을 초월하여 불성의 세계를 역동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둘째는 達과 不達이란 용어를 중심으로 그 속에 표출되고 있는 性의 역동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達이란 상대적 세계의 무자성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제약을 넘어 자비를 완성하고자 하는 보살행을 지칭하고 있다. 셋째는 성악설에 나타난 조화와 균형의 윤리성을 십계호구설이나 음양론과 연계하여 고찰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성악설의 논리 구조와 그 지향점이 무엇인가에 대해 두 가지 시각에서 접근했다. 첫째는 作意와 神通의 문제였다. 作意的이란 것은 任運無作하지 못한 것을 말하며, 아직도 상대적이고 고정화된 사고에 갇혀 있는 것을 지칭한다. 둘째는 삼제원융사상에 입각한 중도실상의 세계를 연출하기 위한 지관의 논리형식과 그 지향점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천태는 주객미분의 중도실상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그가 추구하는 절대선의 세계 역시 중도실상의 체득과 전개라는 차원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천태는 반야사상에서 강조하는 無自性 無執着의 공사상을 기반으로 절대선의 세계를 대상화, 객관화, 절대화하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 동시에 절대선의 경지가 수동적이고 정태적인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리이타의 대승윤리를 완성하고 실천하는데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그런 점에서 그가 말하는 性惡說에는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는 대승보살의 염원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

      • KCI등재

        관음종의 개창 조사 태허의 법통 인식과 그 특징

        차차석 한국선학회 2015 한국선학 Vol.41 No.-

        이 논문은 관음종을 개창한 태허의 법통에 대한 인식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려는 작업이다. 그런 점에 대한 태허의 내면을 고찰할 수 있는 자료는 그의 육필원고인 『해동천태법화종법맥소고』가 있다. 이 원고에 의하면 태허는 영산정토에서 발원한 법화사상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중국천태종의 전통을 인정하고, 그 사상적 테두리 안에서 발아하여 꽃피운 해동 출신의 천태법화사상가들의 정신을 계승한다고 선언한다. 중국 천태종의 정신을 계승하면서도 해동 천태종의 독자적 자긍심과 창의성을 십분 인정하고 존중하고자 하는 의지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따라서 대각국사를 해동천태종의 종조로 추존하고, 그 이래의 법통을 설정한다. 해동천태종의 전통을 고찰하고 그 사자상승의 관계를 존중하는 것은 단순한 답습에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민족적 자존과 창의성을 존중하고 계승하되, 시대에 맞는 재해석과 실천의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던 점이다. 『불종대의』나 『해동천태법화종법맥소고』, 기타 유관 서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태허의 의식 속에는 민족과 평화, 시대적 변화의 수용과 중생구제라는 관념이 팽배되어 있다. 태허와 같이 지적 탐구심과 철저한 사회의식을 소유한 사람에겐 새로운 방법론의 개발이나 구원론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라면, 그래서 장점이 있거나 필요하다면 민족이나 지역을 초월하여 다양한 사상을 스펀지처럼 흡수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흡수를 하되 완전하게 소화하여 자기만의 스타일로 재창출하여 보여준다는 점이다. 태허의 법화천태사상이 일본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 같으면서도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는 점이 바로 그렇다. 온고이지신은 했으되 독창적이고 대승적이란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또한 그의 법통 의식 속에는 출가자 중심이 아닌 사부대중이 함께 하는 종단을 지향해야만 한다는 의식이 함유되어 있다. 사부대중이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완수할 때, 개인과 국가 내지 불교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이 있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태허의 접근방법은 매우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란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태허는 종파를 초월하여 정근하고 수행하여 겨레의 눈과 등불과 그리고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고 권유한다. 자리이타의 대승불교이념을 완성하는 것은 수행의 완성과 자비의 실현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개인과 사회의 구원을 동시에 완성하는 것이다. This dissertation is the work to look over what the recognition on buddhist doctrine of Taeheo who established Gwaneumjong was. There is ‘Haedong Cheontae Beophwajong Beopmaek Sogo’, his handwritten manuscript, when it comes to the source which I could have a consideration into Taeheo’s inner side from that point of view. Based on his manuscript, he declared that he conceded the tradition of Chinese Cheontai Order that was developed based on Beophwa thought which wished to be born into Yeongsan Jeongto, and succeeded the spirit of Cheontai Beophwa thought which was from Haedong germinating and blooming in its ideological boundary. Succeeding its spirit of the Cheontai Order in China, it obviously revealed the will to completely acknowledge and respect the independent pride and creativity of Haedong Cheontaejong. So, it honored the national preceptor, Daegak, as the founder of Haedong Cheontaejong, and set up its buddhist doctrine from him. To have a consideration into the tradition of Haedong Cheontaejong, and respect the relationship handing down buddhist dharma from a teacher to a student, there was not on the simple old tradition. He saw that a reinterpretation and a practical way for the time should be suggested, respecting and succeeding our ethnic pride and creativity, As it is like we know through ‘Buljongdaeui’ or ‘Haedong Cheontae Beophwajong Beopmaek Sogo’, and other related books, in Taeheo’s consciousness, the conception on accepting chronological change and saving sentient beings was overflowed. To suggest a development of new methodology or soteriology for the persons who have intellectual inquiring minds and thorough social consciousness like Taeheo, if there is or needs a positive point, it may absorb various ideas like a sponge transcending people or regions. But, it should show a recreation in its own style absorbing and completely digesting them. It is right that Taeheo’s Beophwa Cheontae thought showed its creativity having an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Although it kept its old tradition and developed new way, it is hard to deny when it comes to the creative and Mahayana points,. And also, in Taeheo’s buddhist doctrinal consciousness, the national independence was embedded. However, such a consciousness can be considered as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not the consciousness of division, from the influence of Gyeong’un Wongi. Gyeong’un Wongi was the representative of Imjejong which was established opposing to Wonjong in 1911. Wonjong(圓宗) was born because there needed the organization which could cope actively with a chronological change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Wonjong’s spasmodic movement had a chance of an ethnically strong sect’s appearance in the world of Korean Buddhism. As Taeheo became a monk under Gyeong’un Wongi, the supreme master of Imjejong, as his teacher, it may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ethnical consciousness by Gyeong'un Wongi was embedded to him naturally. And also, in his buddhist doctrinal consciousness, the thought that it’s not only focusing on monks, but also all the people in Buddhism should be participated in Buddhist sect was contained. He had the firm belief that it might be possible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 nation, and Buddhism, when the buddhist believers in all the 4 parts were playing their roles faithfully. From this point, I could find out that Taeheo Sunim’s approaching method was very reasonable and rational. Moreover, he recommended that it should be an eye, a lamp, and a guide of people by transcending religious sects, reciting a name of bodhisattvas, and practicing. To complete the Mahayana buddhist ideology of Jaririta(自利利他, Good for me and you) is the completion of practice and realization of love. It is to achieve the salvation of person and society simultaneously. The challenges to harm an intrinsic value of life are in various aspects. As much as they are, it's hard to deny the reality which selfish ideas run into an extreme. But from Taeheo’s point of view, I cannot say that the urgent time when wants the teaching of Bulipjong doesn’t come to. The consciousness to return a personal completion into a social completion is embedded.

      • KCI등재

        관음보살의 천태선적 이해

        차차석,서규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7 불교문예연구 Vol.0 No.9

        이 논문은 관음신앙에 대한 천태의 선적 이해를 분석해 정리한 것이다. 동북아 불교신앙의 중요한 형태 중의 하나인 관음신앙은 중국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수용되었다. 외재적이며 초월적 존재로 대중적 지지를 받았으며, 중국에 토착화하여 낭랑신앙이나 해신신앙으로 자리잡기도 했다. 그러나 천 태지의는 이러한 종교적 관념에 동의하지 않았다. 관음을 수행적으로 이해 하고자 했다. 관음을 천태신앙의 독특한 수행방식인 관법으로 이해하고자 한 것은 법 화경에 대한 그의 주석인 법화문구이며, 이 책의 「석관세음보살보문품」 에서 십쌍과 오척으로 관음보살을 해석하면서 특유의 관법에 의거한 관음보 살의 해석이 등장한다. 이들 중에서 본 논문은 오척을 중심으로 관법에 의 거한 관음보살의 해석을 분석해 정리하고자 한다. 「석관세음보살보문품」의 오척에선 관세음이란 단어를 축자적으로 한 글자 씩 해석하고 있으며, 이 경우 관이란 글자를 관법에 의거해 이해하고자 한 다. 즉, 석관(析觀), 체관(體觀), 차제관(次第觀), 원관(圓觀)이란 의미로 해 석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법은 결국 천태의 일심삼관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본고는 일심삼관의 구체적인 고찰을 통해 관세음의 관을 관법으로 해석하고 자 한 천태의 의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관세음의 관이란 글자를 일심삼관이란 관법의 수행으로 이해하고 자 한 근본적인 이유는, 일심삼관이란 수행이 마음의 번뇌 망상을 제거하는 것에서 출발해서 중생을 제도하는 일로 확장된다는 점이다. 또한 일심삼관 의 수행을 통해 현실에 매몰되지 않고, 현실과 본질의 세계가 실상의 세계 임을 인식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은 바로 ‘다양한 세상의 근기를 관찰하고 적절하게 응병여약(應病與藥)’하는 관세음의 속성과 형식적으로 상통하는 점이 있다. 결국 관음은 종교적 수행의 완성이며, 자기의지의 절대 적 실현을 의미한다. 따라서 천태는 관음을 객관화하지 않고, 주체적이며 자 기실현의 완결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arrange the Tientai-Seon understanding concerning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one of the important types of Noth-East Buddhist beliefs, was variously accepted by Chinese. And then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as recognized as a transcendental being and was also supported by the people, and finally it was indigenous to China. And then, it was established as Niάng niάng belief or Sea-god belief. But Tientai Zhiyi did not agree with this religious idea but tried to understand Avalokitesvara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e. Tientai Zhiyi tried to understand Avalokitesvara in unique insight, one of peculiar practice of Tientai belief and the basic of it was Beophwamungu, the comments of the Lotus Sutra. In SeokGwanseumbosalbomunpm,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is interpreted in 'Sipssang' and 'Ocheok' and in unique contemplation.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interpreter and analyz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focusing on 'Ocheok' based on insight. In 'Ocheok' of SeokGwanseumbosalbomunpum, Gwanseum is interpreted in word for word. In this case, 'Gwan' is understood based on insight: Geungwan, Chegwan, Chajegwan, and Wongwan. This insight (Gwanbeop) means Ilsimsamgwan of Tientai. Actually, Tientai interpreted 'Gwan' of 'Gwanseum' in Gwanbeop through the concrete investigation of Ilsimsamgwan. Hence, in this paper, I essayed to examine Tientai's intention like that. The fundamental reason why he tried to understand 'Gwan' of 'Gwanseum' in Gwanbeop practice of Ilsimsamgwan is that the practice of Ilsimsamgwan starts from the eradication of delusion and it comes to be extended into saving sentient beings. In addition, through the practice of Ilsimsamgwan, we don't become absorbed in the reality of life it, rather we come to realize that the world of real and essence is one of the real aspect. This fac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attribute of Gwanseum who contemplates the real state of different world and makes out a good prescription. Eventually, Gwaneum is both the completion of religious practice and the absolute realization of self-will. Therefore,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ientai doesn't objectify Gwaneum but consider it the completion of subjective self-re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