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성적 인지양식과 소비자정보 리터러시가 소비자정보혼란과 소비자선택 혼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20-3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이유림(Lee, Yu Lim),정재은(Chung, Jae-E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멀티채널 정보환경에서의 소비자혼란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정보활용역량인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와 개인의 고유한 정보처리특성인 이성적 인지양식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소비자혼란을 소비자가 정보탐색과정에서 경험하는 정보혼란과 의사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선택혼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최근 1년 이내에 노트북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전국의 20, 30대 소비자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소비자가 정보탐색과정에서 경험하는 정보혼란은 과부하혼란과 불신혼란으로 나타났으며, 구매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선택혼란은 기능혼란과 브랜드혼란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정보 리터러시는 정보탐색 목표설정역량, 정보채널 탐색역량, 그리고 정보추출 및 활용역량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이성적 인지양식을 지닌 소비자는 높은 수준의 소비자정보 리터러시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성적 인지양식이 선택혼란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드러났다. 셋째, 소비자정보 리터러시 가운데 높은 정보채널 탐색역량은 불신혼란 수준을 낮췄으나, 정보탐색 목표설정역량과 정보추출 및 활용역량이 높은 소비자는 높은 수준의 불신혼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의 세 하위역량은 모두 과부하혼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소비자정보 리터러시는 선택혼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구매할 제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혼란을 낮추기 위해서는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의 수준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정보혼란은 선택혼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성적 인지양식과 선택혼란의 관계에서 정보탐색 목표설정역량과 불신혼란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and rational thinking style on consumer confusion in multi-channel information environment. Consumer confusion is classified as information confusion and choice confus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20 of South Korean consumers, aged from 20 to 39, who had purchased laptop computer within a yea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dual-mediation model with SPSS20.0 and AMOS 22.0. First, information confusion was divided into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Also, this study found two sub-dimensions of choice confusions, functional confusion and brand confusion. Also,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consisted of define, search, and extract & use competency. Second, rational thinking style positively influenced a level of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Moreover, it influenced negatively choice confusion. Third, sub-dimensions of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were influenced differently with each other on information confusion. Consumers with high level of search competency experienced less distrust confusion and those of high define competency and extract & use competency experienced higher level of distrust confusion. Interestingly, all sub-dimensions of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had no impact on overload confusion. Forth,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negatively impacted choice confusion. Fifth, it was revealed that information confusion increased choice confus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ual-mediation effect of define competency and distrust confu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thinking style and choice confusion.

      • KCI등재

        소비자의 정보채널 이용유형에 따른 소비자혼란에 관한 연구

        이유림 ( Lee Yu Lim ),정재은 ( Chuang Jae Eu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복잡한 정보환경에 처한 소비자가 정보채널 이용에 따라 구매를 위해 정보를 탐색하거나 제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소비자혼란(정보혼란, 선택혼란)의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이내 노트북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 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20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2.0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SPSS 20.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군집분석, 그리고 ANOVA를 통해 분석되었다. 두 소비자혼란(정보혼란, 선택혼란)의 하위차원을 알아보고자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혼란은 과부화혼란과 불신혼란이 도출되었으며 선택혼란은 기능혼란과 브랜드혼란이 도출되었다. 정보채널 이용에 따라 소비자를 분류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비교사이트 선호형(기본형)’, ‘정보확인 선호형’, ‘소비자정보채널 선호형’, 그리고 ‘적극적 정보탐색형’의 네 유형이 도출되었다. 네 유형별로 경험하는 소비자혼란을 살펴본 결과 정보채널을 다양하고 많이 이용하는 ‘적극적 정보탐색형’의 전반적인 소비자혼란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직접 점포를 방문하거나 제품에 대한 지식을 타인에게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소비자유형이 제품의 기능에 대해 낮은 수준의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다른 소비자로부터 발생된 정보를 많이 이용하는 소비자유형이 정보에 대해 높은 불신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제공자의 특성과 정보가 유통되는 경로의 특성을 반영하여 20, 30대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라 정보탐색과 제품선택 과정에서 경험하는 소비자혼란 양상을 고찰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egment 20s and 30s consumers by usage of information channel and understand differences in consumer confusion. Based on literature, consumer confusion includes information confusion, which is experienced in process of information searching for products, and choice confusion, which is experienced in process of deciding products to buy. A survey was conducted across 320 consumers who had bought laptop computer within a year between the age of 20 and 39. SPSS Win 20.0 was used for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es. AMOS 22.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wo subdimensions of information confusion,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and two subdimensions of choice confusion, function confusion and brand confusion. Cluster analysis result based on use of 18 information channels revealed that 20s and 30s consumers were grouped into four clusters. “Preferring Information Comparing Website Consumer Group” who uses the least overall information channels experienced the least overall consumer confusion. “Preferring to Confirming Information Consumer Group” who had have processes of visiting stores or confirming information to other consumers had the least confusion from product functions. “Preferring Consumer Information Channel Consumer Group” who tended to use much information from other consumers had the most distrust confusion. “Active Information Searching Consumer Group” experienced the most overall consumer confusion.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grouped 20s and 30s consumers based on use of information channels and explored two type of consumer confusion (information confusion and choice confusion) across the groups.

      • KCI등재

        멀티정보채널 환경에서의 소비자 정보혼란과 선택혼란

        남유진,김경자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소비자혼란의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먼 저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소비자혼란 사례들을 수집하고 성인 소비자 5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여 소비자혼란수준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정보채널과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과 제품선택과정에서 모두 혼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를 각각 정보혼란과 선택혼란으로 명명하고 각각을 3개의 하위차원으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정보혼란수준은 중복혼란, 불신혼란, 과부하혼란 순으로, 선택혼란 수준은 모 호혼란, 과잉혼란, 유사혼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제품선택 단계보다 정보선택 및 활용 단계에서 더 혼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탐색 초기 단계에서 정보혼란을 느낀 소비자들은 마지막 단계인 선택단계 에서도 더 많은 혼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소비자를 위해 무작정 정보제공의 양을 늘리는 것 보다 소비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방식에 대한 고민과 정보제공 채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what and how much consumer confusion consumers had experienced under the multi-channel environment. In-depth interviews with 7 interviewees was conducted first to figure out what kinds of consumer confusions existes and next on-line survey with 581 adult consumers were conducted to validate how much consumer confusion they experienced while they search and utilize information for product purchasing.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ere confused not only during purchasing choice process (consumer choice confusion), but also during information search process(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The information confusion level in the beginning of decision making process was higher than the choice confusion level which usually happened at the final purchasing process. Most of confusion were due to the information overload, and similar, ambiguous, and untrustful information, 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and choice confu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implying confused consumers at first were more likely to be confused at the end as well.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information channel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reducing consumer confusion.

      • KCI등재후보

        멀티채널 환경에서의 소비자 혼란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뷰티산업을 중심으로

        유애진 ( Ae-jin Yoo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0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정보탐색 채널에 따라 소비자 혼란 수준의 차이와 뷰티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탐색 과정에서 소비자 혼란으로 인한 인지적,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정보탐색채널은 온라인채널, 오프라인채널, 중립채널로 구분하였고, 소비자 혼란은 과잉혼란, 불신혼란, 과부하혼란, 모호혼란으로 세분화하였다. 표본의 특성은 최근 6개월 이내 뷰티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거나 뷰티서비스 이용을 위해 정보탐색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의 남녀이며, 조사 기간은 2020년 8월1일부터 8월 10일 까지 10일 간 전문 서베이업체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총 360부의 설문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358부를 최종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과부하 혼란과 불신혼란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중립채널은 불신혼란과 모호혼란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보탐색 채널 별 소비자 혼란과 인지적 반응과의 관계에서는 과부하혼란과 모호 혼란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보탐색채널 별 소비자 혼란과 감정적 반응과의 관계에서는 불신혼란과 모호혼란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뷰티서비스 시장의 소비자 정보환경은 과장된 정보와 대안들 사이에서의 어려운 선택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의 혼란을 야기하는 잘못된 정보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믿을 수 있는 채널과 그렇지 않은 채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며 객관적 판단을 할 수 있는 중립적 정보채널 활성화 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nsumer confus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arch channel and the influence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caused by consumer confusion in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for using beauty services. Information search channels were divided into online channels, offline channels, and neutral channels, and consumer confusion was subdivided into excessive confusion, distrust confusion, overload confusion, and ambiguous conf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re men and women in their 20s or older who have experience in using beauty services within the last 6 months or have experience in searching information to use beauty services. It was conducted online through a company. The final analysis was 358 copies, excluding the total 360 questionnaire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belief confusion were highest in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nd the level of disbelief confusion and ambiguity confusion was highest in the neutral chann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onfusion and cognitive response by information search channel,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in overload confusion and ambiguity confusion,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onfusion and emotional response by information search channel, interaction effect were found in disbelief and ambiguity conf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 information environment in the current beauty service market faces a difficult choice between exaggerated information and alternative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reliable channels and channels that are not so that false information that causes confusion among consumers can be provided, and it is suggested to activate a neutral information channel for objective judgment.

      • KCI우수등재

        가격복잡성, 소비자혼란 및 쇼핑피로감에 기반한 온라인 호텔 예약 지연

        류팡팡(Fang-Fang Liu),설훈구(Hoon-Ku Sul) 한국관광학회 2024 관광학연구 Vol.48 No.2

        중국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호텔예약 앱들은 사용자들에게 폭넓은 숙박 옵션과 다양한 가격대를 제공하나, 가격의 복잡성과 정보 과다로 인해 사용자의 혼란을 야기하고 결정을 미루게 만들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모바일 예약 서비스 제공자들은 소비자의 혼란을 완화하고 예약 절차를 단순화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장기적인 소비자 유지를 도모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중국 모바일 호텔예약 앱 서비스 환경에서 가격복잡성, 소비자혼란, 쇼핑피로감 및 구매지연 사이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이러한 영향 관계에서 쇼핑피로감의 매개효과, 예약경험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적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국 모바일 호텔예약 앱을 이용하여 호텔을 예약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305명의 유효한 표본을 최중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국 모바일 호텔예약 앱 서비스의 가격복잡성과 소비자혼란은 모두 쇼핑피로감과 구매지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쇼핑피로감이 구매지연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가격복잡성, 소비자혼란, 및 구매지연 사이의 관계에서 쇼핑피로감이 부분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혼란과 구매지연 간의 관계에서 예약경험이 조절역할과 조절된 매개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호텔예약 앱이 가격 정보의 명확성과 비교의 용이성을 향상시켜야 하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와 신속한 반응으로 소비자의 혼란과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호텔예약 분야의 이해와 지식을 확장하고 실질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China, the rapid expansion of mobile hotel reservation apps has led to an information overload, resulting in pricing complexity, user confusion, and subsequent booking delays. In the context of mobile hotel booking app services in China,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ce complexity, consumer confusion, shopping fatigue, and purchase delay. Additionally, it also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shopping fatigue and both the moderating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reservation experience on these relationship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targeting Chinese consumers with an experience of booking hotels using mobile apps in China was carried out, and a total of 305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the price complexity and consumer confusion exerted positive impacts on shopping fatigue and purchase delay. Secondly, shopping fatigue positively impacted purchase delay. Furthermore, shopping fatigu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complexity, consumer confusion, and purchase delay. Finally, reservation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onfusion and purchase delay, serving as a moderating factor and as a moderated mediating fact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help enrich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base in the hotel reservation domain and devise practical and effective solutions to tackle related challenges.

      • KCI등재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 분류와 예측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온라인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박명숙(Park, Myungsook),최경숙(Choi, Kyoungso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소비자정보 혼란의 유형을 분류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정보탐색 가치(실용적 가치, 탐색적 가치), 소비자정보 원천(마케터 주도적 원천, 중립적 원천, 소비자 주도적 원천), 소비자정보 리터러시(과업 정의, 정보탐색, 정보 활용, 정보 종합․평가)를 중심으로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화 집단별 예측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정보탐색 시 소비자정보 혼란은 과부하 혼란과 불신 혼란으로 개념화되었으며, 이 두 개념을 중심으로 소비자정보 혼란을 유형화한 결과, 과부하 혼란과 불신 혼란이 모두 높은 혼란집단(집단 1: 35.0%), 과부하 혼란과 불신 혼란이 보통 수준을 보인 중간 혼란집단(집단 2: 39.1%), 과부하 혼란과 불신 혼란이 모두 낮은 혼란집단(집단 3: 25.9%) 세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성별과 월 소득 변수가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별 군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군집유형에 대한 예측 요인을 중간 혼란집단(집단 2)과 비교해 분석한 결과, 쾌락적 가치, 실용적 가치, 마케터 주도적 원천, 소비자 주도적 원천, 과업 정의, 정보 활용은 높은 혼란집단(집단 1)으로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실용적 가치, 중립적 원천, 과업 정의는 중간 혼란집단(집단 2)과 비교해 낮은 혼란집단(집단 3)으로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적 가치와 과업 정의는 높은 혼란집단(집단 1)과 낮은 혼란집단(집단 3)에 속할 가능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consumer types by 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on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to demonstrate predictive facto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earch value, consumer information sources, an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for each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concept of 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was divided into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the final model yielded three latent classe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The three groups included 1) a high confusion group (group 1: 35.0%) with high level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2) a medium confusion group (group 2: 39.1%) with middle level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and 3) a low confusion group (group 3: 25.9%) with low level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Seco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lassified typ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 found gender and monthly incom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for all three groups. Third,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 confusion group (group 1) compared to the medium confusion group (group 2) were hedonic value, utilitarian value, marketer-oriented sources, consumer-oriented sources, task definition, and use of information. Compared to the medium confusion group (group 2), men, utilitarian value, neutral sources, and task definition was foun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low confusion group (group 3). Utilitarian value and task definition were revealed as factors that increased the potential for inclusion in the high and low confusion groups.

      • KCI등재

        헤어미용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혼란과 구매관련 행동 연구

        김정숙(Kim, Jung Suk),김효숙(Kim, Hyo Soo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헤어미용 서비스상품을 구매하거나 이용하고자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소비자 혼란을 규명하고 정보탐색 동기와 정보탐색 유형에 따라 소비자 혼란이 구매 관련 행동과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헤어미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으로 정보탐색 경험이 있는 일반 성인 남녀이며, 2020년 9월 18일부터 9월 23일까지 유의적 표집 방법을 통해 총 57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 혼란은 과부하 혼란, 차별화 혼란, 과잉혼란, 불충분 혼란이 도출되었다. 정보탐색 동기에 따라 소비자 혼란과 구매 관련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감각적 동기가 높을수록 소비자 혼란으로 구매 포기, 구매를 미룰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정보탐색 유형에 따라 소비자 혼란과 구매 관련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과부하 혼란, 과잉혼란, 차별화 혼란의 영향력이 구매할 확률을 낮추고, 구매연기, 구매를 포기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으로 심각한 불황인 현시점에서 경영성과를 위한 방안으로 소비자 혼란의 영향력을 밝힘으로 소비자 구매행동연구를 확장, 발전시켰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consumer confusion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exploring information to purchase or use hair beauty service products and validated the relationship of consumer confusion to purchasing behavior based on information exploration motivation and type of information explor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ordinary adult men and women who have experience exploring information online or offline to use hair beauty services, and a total of 57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rough a significant sampling method from September 18 to September 23,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sumer confusion resulted in overload confusion, differentiation confusion, excess confusion, and insufficient confusio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onfusion and purchasing-related behavior, the higher the sensory motivation, the more likely it is to give up the purchase due to consumer confusion and delay the purchase.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 exploration, the influence of overloading confusion, over-confusion, and differentiation confu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onfusion and purchase-related behavior has been found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purchase, increase the likelihood of purchase postponement, and abandonment.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and develope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research by revealing the influence of consumer confusion as a way to achieve management performance at this time of severe social recession.

      • KCI등재

        점포속성에서 야기된 혼란, 조절초점, 관여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 감정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신종국,오미옥,이지윤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점포속성에서 야기되는 혼란을 유사혼란, 과잉혼란, 모호혼란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혼란이 소비자 감정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혼란을 지각한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과 관여도 수준에 따라 혼란 지각과 소비자 감정 반응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고자 부산․경남 소재의 대학생 및 직장인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소비자가 혼란을 높게 지각할수록 후회와 분노의 감정 반응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향상초점의 소비자들은 혼란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력이,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혼란이 후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관여도가 높을 때보다 관여도가 낮을 때 혼란수준의 고저에 따른 소비자 감정 반응의 차이가 더 두드러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매환경에서의 소비자 혼란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소매 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The diversified store attributes do not always have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The confusion caused by the various store attributes is regarded as one of the reasons why they can't complete the transaction in the stores. We tr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usion caused by the store attributes and consumers’ emotional reactions such as regret and anger in this study. And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motivational disposition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First, it is figured out that the similarity confusion, overload confusion, and ambiguity confusion caused by the store attributes hav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regret and anger. Second, the effect of the confusion on regret is greater in the customers with prevention focus than with promotion focus while the effect of the confusion on anger is greater in the customers with promotion focus than with prevention focus. Third, the effect of the confusion on consumers’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is greater in the customers with high involvement level than with low involvement level.

      • KCI등재

        멀티채널환경의 정보탐색과 소비자 혼란에 대한 연구 - 뷰티서비스를 중심으로 -

        김경인 ( Kyoung-i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뷰티분야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뷰티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탐색 욕구 증가로 인해 온라인,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다양한 채널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은 소비자들에게 높은 파급력을 보이고 있으나 다양한 채널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보가 혼재해 있는 상태이며, 구매와 관련되어 쏟아내는 많은 정보는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적 접근으로 인해 소비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멀티채널 환경에서 뷰티디자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소비자 혼란 요인에 따라 나타나는 소비자 반응의 양상을 파악함으로서 멀티채널 환경에서 뷰티 서비스 소비자 혼란에 대한 원인 규명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뷰티서비스 관련 정보탐색의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의 남녀이며, 최근 경험했던 뷰티 서비스, 뷰티 제품 등에 대한 정보탐색 과정을 떠올리며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361명을 최종 분석하였으며, 뷰티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혼란의 하위요인과 긍정감정과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뷰티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혼란은 과잉혼란, 불신혼란, 과부하혼란, 유사혼란, 중복혼란, 모호혼란으로 세분화되었다. 뷰티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혼란의 하위요인과 감정적 반응과의 영향 관계에서는 과잉혼란과 과부하 혼란, 모호혼란은 집중이 어렵거나 짜증스러운 감정을 증가시키는 정(+)적인 영향 관계를 보였으며, 불신혼란, 유사혼란, 중복혼란은 감정적 반응과 부(-)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결론 뷰티디자인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혼란의 하위요인과 인지적 반응과의 영향 관계에서는 과부하 혼란의 경우 혼란스러웠지만 더 좋은 정보를 찾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과 신중한 선택을 해야겠다는 인지적 반응을 상승시키는 정(+)적인 영향 관계를 보였으며, 유사혼란, 중복혼란, 모호 혼란을 느낀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이 감소하는 부(-)적인 영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뷰티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혼란 유발을 방지하는 메뉴 개발 등 소비자들의 호의적 반응 구축을 위한 뷰티분야 마케팅에 전략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e information provided by various channels, online and offline, is highly influential to consumers due to gr owing social interest in the beauty sector and consumers' des ire to explore information about beauty services. However, the information provided by various channels is mixed with positive or negative information, and much of the information poured out in relation to purchases is causing consumer confusion due to the strategic approach to attract customer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s of consumer response resulting from consumer confusion to explore beauty design in this multi-channel environment, suggesting ways to reduce consumer confusion about beauty services in a multi-channel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older who had experience using beauty design services and Information Retrieva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conducted a self-introduction survey, recalling the process of information exploration on beauty design-related products or beauty design services that they recently experienced. A total of 361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and the research mode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consumer of beauty design services confusion and the positive emotions. Result Consumer confusion of beauty design was subdivided into overconfusion, disbelief, overload confusion, similar confusion, duplicate confusion, and ambigu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and emotional responses of beauty design services consumer confusion, over confusion, overload confusion, and ambiguity showed positive (+) influences that increase feelings that are difficult to concentrate on, similar confusion, and overlapping confusion showed emotional response and negative (-)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and cognitive responses of beauty design consumer confusion has shown positive (+) relationships that increase the expectation that overload confusion would find better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response to careful selection, while mitigating confusion, duplication, and confusio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and cognitive responses to beauty design services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that increased the expectation that overloaded confusion would find better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response of careful choice, while similar confusion, overlapping confusion and confusion were seen as negative (-).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a strategic method for marketing in the beauty sector to build favorable responses from consumers, such as developing menus to prevent consumer confusion over beauty services.

      • KCI등재후보

        『순자(荀子)』를 통해 본 공동체 혼란의 원인과 해결

        배기호(Bae, Ki-H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1 No.-

        순자는 전국시대(戰國時代)라는 자신이 처한 현실을 혼란으로 파악하고 그 원인과 해결책을 치열하게 찾아 헤맸다. 지금도 물질만능주의, 능력우선주의, 믿음과 배려의 실종, 현명한 지도자의 부재 등으로 인한 혼란의 시기다. 도덕 윤리가 땅에 떨어지고 사람의 가치가 돈이나 지위로 환산되는 시대는 때를 막론하고 혼란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혼란의 시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서로의 부족함을 채우면서 존재 의미를 갖는 운명공동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순자』를 통해 본 문제 의식과 그 해결책이 현재의 혼란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순자는 공동체 혼란의 원인을 사람의 ‘속’에서 찾았고, 사람의 ‘속’은 스스로 혼란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에 예치(禮治) 등을 통한 ‘겉’에서부터 ‘속’으로의 긍정적 변화를 꾀해야 함을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순자는 정치 주체의 역할과 영향력을 중요하게 여겼으므로 혼란의 최종적 해결은 ‘위’와 ‘아래’라는 정치 주체의 현실적인 재정립을 통해 완성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결국 공동체 혼란의 원인도, 혼란을 극복할 주체도 사람인 것이다. Xun-zi understood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was in a state of disorganization and tried to find the reasons and solutions. This is also a time of disorganization caused by mammonism, meritocracy, etc. Nowadays, moral values are not as important as money and status. people have to work together to solve this social chaos. Because they share the same destiny. This study examines the Xun-zi"s awareness and solution will be able to become an alternative to solve the chaos. Xun-zi thought inside of human is responsible for social chaos. But it is lacking in ability to overcome that state. So it should begin to change inside from outside using the rules of Li(禮). Xun-zi considered political role and influence are very important. Consequentially, final Solution can be accomplished through reestablish the political role of inside and outside. The reason and solution of disorganization both depend on hu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