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정체성 찾기와 규범의 경계 가로지르기

        문흥술(Moon, Heungsul)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여성의 정체성 찾기를 다루는 소설은 1990년대 이후 ‘남성중심주의 사회 제도, 폭력적 남성, 희생되는 여성’이라는 도식적인 서사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층위에서 여성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규범, 주체, 타자의 관계를 핵심축으로 하는 주체 형성 과정에 주목해 이들 작품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오정희의 「옛 우물」, 한강의 「몽고반점」, 주지영의 「사나사나」에 나타나는 여성 정체성 찾기를 고찰하였다. 세 작품 모두 남성/여성의 단순한 이분법적 대립구조를 넘어, 보편규범과 특수규범의 대립, 주체와 타자의 대립, 타자의 특수규범에 대한 지향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면서 「옛 우물」에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등장하지 않는 점, 「몽고반점」에서는 특수규범의 세계에 틈입하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사나사나」에서는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규범을 이동시키는 번역의 단계로 나아가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지닌다. 오정희의 「옛 우물」의 여성 ‘나’는 ‘옛 우물’로 표상되는 모성성의 세계를 특수규범으로 설정하고, 이 규범을 통해 타자로서 도구화된 ‘나’를 해체하고 새로운 ‘나’의 정체성을 확보한다. 한강의 「몽고반점」의 처제는 동물적 폭력이 난무하는 보편규범에 길들여지기를 거부하고 ‘몽고반점’으로 표상되는 특수규범을 강렬히 욕망함으로써 화석화되어 간다. 한편 ‘그’는 처제의 특수규범의 세계로 나아가는 경계선상의 주체로 등장한다. 주지영의 「사나사나」의 여성 소설가 ‘나’는 도구화된 여성 되기를 거부하고 두 명의 경계선상의 주체를 매개로 해서 ‘옹이 나무’로 표상되는 특수규범으로 나아간다. ‘나’는 ‘옹이의 언어’로 ‘옹이의 세계’를 지향하는 소설을 쓰고자 함으로써,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규범을 이동(번역)시켜 보편규범을 재정식화하는 경계선상의 주체로 질적으로 전회한다.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이러한 여성 인물 ‘나’의 등장으로, 이 작품은 현 단계 여성 정체성 찾기 소설이 나아갈 한 방향을 강렬하게 제시하게 된다. Since the 1990s, novels dealing with women’s identities have been approaching women’s problems from various levels, away from the schematic narrative structure of “male-centered social system, violent men, and victimized wo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se works,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forming a subject that has the relationship of norms, subjects, and oth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considered finding female identity of Oh Jeong-hee’s “the Old Well”, Han kang “Mongo Banjeom”, and Ju Ji-young’s “Sana Sana”. All three works commonly deal with the confrontation between universal and special norms, the confrontation between subjects and others, and the orientation of others to special norms. The difference is that “the Old Well” does not have a boundary-line subject, “Mongo Banjeom” show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aims for special norms, and “Sana Sana” show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moves special norms across the boundary. ‘I’ in “the Old Well” sets the world of motherhood which is represented as ‘Old Well’ as a special norm, and through this norm, the instrumentalized ‘I’ is dismantled and the identity of the new ‘I’ is secured. The sister-in-law of “Mongo Banjeom” refuses to be tamed by universal norms rampant in animal violence. She is becoming fossilized by intense desire for special norms represented as ‘mongolian mark’. Meanwhile, ‘he’ appears a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aims for special norms of the sister-in-law. The female novelist ‘I’ of “Sana Sana” refuses to be a tooled woman and moves on to a special norm represented by ‘knotty tree’ through the medium of two boundary-line subjects. I’m going to write a novel aimed at ‘the world of the knotty tree’ in ‘the language of knotty tree.’ Through this, I translate special norms across boundaries and turn qualitatively to a boundary-line subject that redefines the universal norms. With the advent of the female character ‘I’ who is a novelist and a translator, this work strongly suggests the direction that novels seeking female identity today will take.

      • KCI등재

        고려말 보우 관련 삼산비명 비교·검토

        김흥삼(Kim, Heung-sam) 한국역사연구회 2014 역사와 현실 Vol.- No.91

        There are three inscription materials related to Bo"wu that remain today: inscriptions from the Taego-am-bi monument, the ① ② Sana-sa-bi monument, and ③ the Soseol-am-bi monument. Their prologu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many regards. The prologue of ① described the life of Bo"wu in a fashion similar to the descriptions of other monks who lived at the time. The prologue of ② documented the foundation of the Sana-sa temple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rologue of ③ was drafted by Chan"yong and was written by Gweon Geun. ① merely mentioned Tae"go-am twice, while ② mentioned Sana-sa more than 10 times. ③ described that Bo"wu stayed at Soseol-am for a long time. In these three inscrip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Bo"wu and Shin Don are described differently as well. But in general they shared the same purpose, of widely circulating the moral of living and the mystery of the marvelous sari left after Bo wu s death.

      • KCI등재후보

        해녀소리「이어도 사나」오르프 음악놀이

        조효임 ( Hio Ihm Ch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민요 해녀소리「이어도 사나」를 학습제재로 활용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오르프 음악놀이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유치원 수업이나 초등학교의 방과후 교실, 재량학습 및 특별활동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개발에 있다. 연구 방법과 내용은 먼저 학습 제재인 제주도 해녀 소리 「이어도 사나」의 의의를 살펴본 다음, 즉흥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말리듬, 장단을 활용한 리듬 오스티나토(rhythm ostinato)와 가락 오스티나토(melody ostinato) 반주 붙이기로 다성 노래 부르기, 전통악기 소고로 합주하기, 즉흥 신체표현으로서 한삼춤사위를 활용한 춤놀이 등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통합 활동으로서 `오르프 음악놀이` 만들기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어도 사나」오르프 음악놀이의 구성은 크게 다섯 가지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전통교육을 위하여 우리의 언어와 민족의 얼이 깃들어 있는 토착민요와 전통춤 및 전통악기를 학습 제재로 하였으며, 즉흥표현 활동의 체험을 통하여 창의성과 음악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집단학습 지도방안의 모색이라는 데에 있다. This study is an approach to develop a methodology to guide the lines of lesson plans for a Korean folk song-musical, an educational resourc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s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based on an actual instances of the lectures and classes which the author presented at Korean kindergarten. Folk songs would be an excellent educational resources and learning material for understanding traditional music and traditional play culture as well. Especially, 「Ieudo sana」(Do you live in Ieudo), the Korean women diver`s song(barcarole) on Che-ju island sung and handed down throughout the entire country would be an educational resource and learning material appropriated to be developed as an `Orff musical` for group lessons, accordingly, being familiar with the rhythm and melody of Korean folk music, folk instrument and folk dance, as on unity, by utilizing the barcarole「Ieu-do sana」. The lesson plan for the Orff musical, utilizing the women diver`s song, folk instruments, such as so-go(hand drum) and folk dance 「Hansamchum」, has been established as the outcoming result of the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ation. The Orff Musical consists of 5 acts.

      • KCI등재

        Yoga 철학에서의 dhyāna and āsana 그리고 좌법

        임동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오늘날, 요가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가고 있으며, 현대인에게 있어 요가는 건강을 위한 운동쯤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특히나 요즘 요가를 수련하는 일반인들은 haṭha yoga의 āsana를 요가의 전부라고 생각하고 있다. yoga는 신체를 명상에 들어갈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만들어 궁극적으로 진리에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자 과정이다. 요가의 āsana는 요가의 한 부분으로 요가의 전체는 아니며 요가의 āsana는 요가의 목표인 samāhi를 성취하는데 필요한 신체를 만들어 주는 준비 수단이자 하나의 단계인 것이다. 명상을 통해 사마디(samāhi, 삼매)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명상을 하기 위한 자세가 필요하며 yoga에서 명상 수행에 필요한 자세를 의미하는 것이 바로 아사나(āsana)즉, 좌법이다. 명상수행에 적합한 좌법은 육체와 정신적인 문제를 제거하여 요가의 목적인 해탈에 이르게 하는 수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명상은 대상을 향한 끊임없는 인식의 흐름을 뜻한다. 고전요가에서 āsana는 좌법의 의미로 사용하고 haṭha yoga는 자세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āsana의 의미가 고전요가에서 ‘좌법’의 의미에서 후대의 haṭha yoga에서는 ‘자세’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haṭha yoga의 āsana의 수련도 명상에 들어갈 수 있는 적합한 신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필요한 수련임을 알 수 있다. 고전요가와 haṭha yoga의 āsana는 결국은 명상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의 수행이 요가의 āsana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 할 수 있다. Today, Yoga has become variously modified in a number of areas and has been interpreted to exercise for about health. Especially, people who practicing Yoga think that āsana of haṭha yoga is the whole of Yoga in these days. It is a means and a process that Yoga allows you to create the optimum conditions that can enter the body in meditation reach the ultimate truth. The āsana of Yoga, is not the whole of Yoga, is only a part of that, is one of the means and a step to create and prepare the body needed to achieve the goal of yoga, samāhi. In order to obtain samādhi through meditation, the posture for meditation is necessary and the meaning of the posture for meditation is āsana, in other words, a sitting method. Suitable āsana for meditation practice is to remove the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it can be seen tha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s a means to reach the purpose liberation of yoga. Meditation means a flow of constant awareness toward the target. In classical yoga, āsana is used in the sense of sitting method and haṭha yoga is used in the sense of position.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training of haṭha yoga’s āsana is also required training to create the appropriate body for meditation. Classical yoga and haṭha yoga’s āsana is eventually preparation for meditation as practice asceticism and it can be called to go forth direction of āsana of yoga.

      • KCI우수등재

        『게란다상히타』 Gheraṇḍasaṃhitā의 요가 자세(āsana)에 대한 일고찰-『하타프라디피카』Haṭhapradīpikā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재민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Today, it is estimated that two million people practice yoga. But most of them just exercise bodily postures (āsanas). To recover the fundamental thought of yoga, namely liberation, traditional yoga which is the root of modern postural yoga has to be understood first. Especially, āsanas of Haṭha Yoga should be comprehended in detail. For this, I compared āsanas of Gheraṇḍasaṃhitā (GhS; 32 āsanas included) with those of Haṭhapradīpikā (HP; 15 āsanas included) in this paper. Along with Śivasaṃhitā, these two texts consist of three main representative works of Haṭha Yoga. In Chapter Two, I studied differences of four āsanas (bhadrāsana, dhanurāsana, vīrāsana, matsyendrāsana), which are called by the same names but have different methods to do, through aphorisms in two texts and pictures of those āsanas. And then uttānakūrmāsana and siṃhāsana are examined. These two āsanas have a same name and (almost) same ways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two texts. In particular, HP and Jyotsnā have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siṃhāsana than GhS do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is āsana more deeply. Siddhāsana and padmāsana are dealt lastly. These two āsanas appear to have the same practice method in two texts. However, HP also introduces other ways to practice them which belong to other schools. Through this, those two āsanas can be comprehended more widely. In Chapter Three, I carry Saṃskṛta-Korean translations of aphorisms of āsanas in GhS's Chapter Two that do not appear in HP. This will be meaningful because the translation of GhS based on saṃskṛta texts has yet to be published. 현재 국내에서 2백만 명 가량의 사람들이 요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그 요가는 대부분 신체 동작(āsana)을 중심으로 한다. 요가가 궁극적으로 추구했던 정신의 회복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첫 단계로서 현대 요가 동작(āsana)의 뿌리인 전통 요가, 특히 하타 요가(Haṭha Yoga)의 요가 자세(āsana)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하타 요가의 주요 3종 문헌 중 요가 자세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은 Gheraṇḍasaṃhitā(이하 GhS; 32종)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Haṭhapradīpikā(이하 HP; 15종)에 나타난 것들을 각각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두 문헌에 나타난 요가 자세들 중 먼저 명칭은 같지만 행법이 다른 네 종류 즉 행운, 활, 영웅, 맛시옌드라에 대해 송들의 내용과 더불어 자세의 사진/그림을 통해서 양자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누운 거북 자세와 사자좌를 다루었다. 이것들은 두 문헌에서 명칭이 같고 행법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사자좌의 경우는 HP의 설명과 이 문헌의 주석서인 Jyotsnā의 설명이 상대적으로 자세하여서 GhS의 내용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룬 달인좌, 연화좌는 두 문헌 모두 동일한 행법인데, HP에서는 다른 전통의 행법도 소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요가 자세를 더 넓게 볼 수 있었다. 제3장에 GhS의 ‘제2장 요가 자세’ 중 HP와 겹치지 않는 것 즉 GhS에만 서술되어 있는 17종에 대한 원전(梵本)의 번역문을 실었다. 아직 국내에서 GhS의 요가 자세에 대한 원전 번역이 없기에 이 또한 작으나마 의미 있는 연구 작업이라 생각되어서이다. 이상의 연구가 하타 요가 문헌들에 나타난 전통적인 요가 자세들을 보다 폭넓고 상세하게 이해하는 데, 더불어 전통적인 요가의 근본 정신, 원래 요가가 추구했던 궁극적 목표를 되살리는 데 미약하나마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 KCI등재

        하타요가(haṭhayoga) 전통에서의 84좌법(āsana)설

        박영길(Park Young-Gil) 한국인도학회 2010 印度硏究 Vol.15 No.1

        하타요가 문헌에 따르면 좌법( sana)의 수는 840만개이지만 중요시되는 것은 ‘쉬바가 선별한 84개의 좌법’이다. 쉬바가 84개의 좌법을 선별했다는 것은 고락샤나타 이래 17세기 문헌까지 거의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내용으로 사실상 하타요가의 전통적 가르침으로 전수되고 있다.하지만 전통적인 하타요가 문헌에서 84좌법이 설명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84좌법의 목록조차 열거되지 않았다는 것은 역설적이다. 여기서 ‘쉬바의 84좌법설’의 실체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과연 84좌법은 실제로 존재했던 것인가, 아니면 84는 하나의 신비로운 숫자에 불과한 것인가? 하타요가 문헌은 좌법의 유용성을 설명하는 데 많은 정성을 기울였을 것 같지만 9-12세기의 고락샤나타의 작품들을 비롯해 「쉬바상히따」, 「요가샤스뜨라」등 14세기 이전의 문헌에서 언급된 좌법 수는 4개를 넘지 않는다. 그 이후의 대중적인 문헌인 「요가야갸왈까」가 8개, 그리고 하타요가의 체계를 완성한 「하타(요가)쁘라디삐까」가 비교적 많은 15개의 좌법을 설명하고 있을 뿐이며, 17세기 문헌으로 다양한 수행법을 제시하는 「게란다상히따」가 이례적으로 많은 좌법을 설명하지만 그 수는 32개를 넘지 않는다. 비록 하타요가 문헌이 ‘쉬바의 84좌법’을 언급하지만 문맥과 정황상 강조되는 것은 ‘840만개의 좌법 중에서 쉬바가 84개를 선별했다’는 것이 아니라, ‘쉬바가 선별한 84좌법 중에서도 4개의 좌법, 특히 달인좌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고락샤나타 이후의 하타요가 문헌이 달인좌를 강조하는 이유는 하타요가의 핵심 수련법인 조식(pr???y?ma)과 무드라(mudr?)가 회음의 압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한편 17-18세기에 성립된 문헌들은 그 이전의 문헌과 확연히 구별될 정도로 다양한 좌법을 설명하며, 84좌법의 실체도 「하타라뜨나왈리」와 「조가쁘라디빠까」에서 등장한다. 하지만 이 시기의 문헌에 언급된 84좌법이 ‘84좌법의 실체에 대한 문헌적 증거’가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것은 일차적으로 두 문헌에 각각 열거된 84좌법의 목록이 서로 이질적이어서 오히려 ‘84좌법의 원본’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두 문헌의 84좌법(중복을 제외하면 약 150개의 좌법)은 전대의 좌법 전통과도 이질적인데, 이것이 암시하는 것은 두 문헌의 좌법이 하타요가의 좌법전통을 계승한 것이 아니라 그 당시 해당 지역에서 유행했던 좌법상을 반영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좌법설명에 인색했던 전통적인 하타요가 문헌에 비추어 볼 때 좌법사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며, 아마 이 시기부터 좌법이 하타요가의 외형적 전형으로 인식되는 데 기여했을 것이다. According to Gorak?an?tha, the founder of Ha?hayoga, there are 8,400,000 ?sanas. This number is mentioned in the ?ivasa?hit?, Ghera??asa?hit?, and Yoga??stra as well as in the Gorak?a?ataka. But this is only a symbolic number, not an actual reference to teachings. Most Hathayoga texts, including the Gorak?a?ataka mention that ?iva had selected 84 among those 8,400,000 ?sanas. This reference occurs not only in early texts like the Gorak?a?ataka, and the ?ivasa?hit?, but also in the classic Ha?hayogaprad?pik? and the later Ghera??asa?hit?, and the 17th century Commentary to the Yogas?tra, the Yogasiddh?ntacandrik?. Despite that, and paradoxically, there are no authoritative texts of ha?hayoga explaining these 84 ?sanas. For example, there are 1 or 2 ?sanas explained in the Gorak?a?ataka and the Yoga??stra, 4 in the ?ivasa?hit?, 8 in the Yogay?jnavalkya, and only 15 even in the Ha?hayogaprad?pik?. The 17th c. text Ghera??asa?hit? which, in contrast to previous texts, explains more ?sanas, still only explains no more than 32 of them. Thus only can only raise doubts as to whether ?iva's 84 ?sanas actually existed, or whether the number 84 is, as in the teachings of Hinduism, Buddhism, Jainism, and even the ?j?vikas, merely a mystical number symbolizing perfection. This paper examines the kind and number of ?sanas in classical hatha yoga texts, ?aiva, Jaina, K??ikha??a, to see whether the 84 ?sanas actually exist or not. Although there are 8,400,000 ?sanas, only 84 were selected by ?iva, of which 4 (Siddh?sana, Padm?sana, Si?h?sana, and V?r?sana) are explained. Among these 4 ?sanas, the Siddh?snana figures prominently. In other words, hathayoga texts mentioning ?iva's 84 ?sanas actually view the Siddh?sana as the most important one. The 84 ?sanas occur concretely in the Ha?haratn?val?, and the Jogaprad?pak? (17-18th c.). But the explanations thereof are completely different in these two texts. Probably this means that no single Ur-text describing the prototype of the 84 ?sanas ever existed. Thus the 84 ?sanas in the Ha?haratn?val?, and Jogaprad?pak? are a new creation, probably in order to secure authority for later teachings, and the fact that the two texts provide completely different explanations is due to local differences concerning the ?sanas that gained popularity. At any rate, this means that no single Ur-text describing the prototype of the 84 ?sanas ever existed. Although the 84 ?sanas described in these two tex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show what kind of ?sanas were popular in the 17-18th centuries. This represents a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sanas, especially if we compare it with earlier hatha yoga texts who refrained from providing concrete explanations of ?sanas. Thus, these two texts became representative for describing concrete hatha yoga ?sanas.

      • KCI등재

        싯다아사나(Siddhāsana)에 대한 통합적 이해

        서봉기(Seo, Bong-Ki)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9 No.1

        이 글은 싯다아사나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사나가 몸의 다리나팔, 몸통의 모양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는 것과 달리, 경전 속에 나타난 싯다아사나는 겉으로 드러난 몸의 자세로만으로는 완전한 이해가 불가능할 정도로 여러 수련법들이 긴밀하게 복합되어 있다. ‘다리모양과 관련된 설명과 움직이지 않고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아사나의 범주에 포함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더하여 ‘턱을 가슴에 확고하게 붙이는’ 잘란다라 반다의 설명은 반다의 행법과 결합한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 ‘감관을 통제’ 하는 쁘라티아하라 수행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두 눈썹 사이에 시선을 집중’하는 드리시티 행법은 집중과 명상에 관련된 수련법으로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싯다아사나의 통합적 설명은 하타요가의 수행법 자체가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의지하고 서로의 토대가 되면서 각각의 행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러한 싯다아사나를 이루는 각각의 수련법이 모여서 통합적인 작용을 행함으로써 요가의 궁극의 목적인 해탈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그 한 예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o integrated understanding on the siddh?sana. Generally, unlike asana is described focusing on the shape of the body like legs and arms, as siddh?sana appeared in the scriptures is very complex and closely related with several practice,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by the outward body posture alone. Generally, ‘maintaining posture without moving and the description associated with the shape of the legs’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sana. Additionally, the description of jalandhara bandha, ‘attaching firmly the chin to the chest’, is seems to be combined with bandha practice, and furthermore, is possible understanding of praty?hara practice. Dristy practice,‘gazing between the eyebrow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ultivation of concentration and meditation. The integrated description of siddh?sana reveal that alone hatha yoga practice cannot exist itself, but depend on each other and form the basis of each other. As each practice comprising siddh?sana done integrated working together, practitioner can reach on liberation. This is an example.

      • KCI등재

        힌디어 해학극으로 본 근대 희곡의 형성 과정: 『베다의 희생은 희생이 아닐세』의 풍자와 계몽담론을 중심으로

        김용정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2

        The modern Hindi prose as a genre was created and differentiated during the 19th century. Hindi drama was first formed during this period, and Hindi Prahāsana became the most popular literary genre for writers. Medieval literary genres were not able to capture national consciousness and new awareness of the age which was aroused during Cultural Revival (navajāgraṇa) in northwestern India. As the need for a new form of literature to express nai cetanā increased, modern Hindi Prahāsana emerged as a refined literary genr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ndi drama and the discourse and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re of Prahāsana and the enlightenment discourse in order to examine if and how nai cetanā influence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Prahāsana as a new literary genre. In the mid-19th century, new awareness raised among Hindi writers was the enlightenment discourse. Thereby the genre of Prahāsana likewise expressed the enlightenment discourse of the time. By analyzing the Prahāsana, Vaidikī hiṃsā hiṃsā na bhavatī, this study illustrates the manner in which it highlights religious hypocrisy, social injustice, satirizes the leader’s incompetence and the evils of British rule. Through satire, Prahāsana achieved the purpose of social purification, the new role of modern literature. Additionally, it served as a public sphere that raised public awareness of religious and social reforms and colonial rul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wareness of the age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odern Hindi literary gen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literary history.

      • KCI등재후보

        우빠사냐(upāsana)와 박띠(bhakti) 의미

        장지영(Jang, Ji Young) 한국요가학회 2021 요가학연구 Vol.- No.26

        인도 사회에서는 신의 존재에 대한 물음과 인간의 유한함을 극복하고자 하는 믿음 그리고 행위(수행)들을 제시하는 박띠(bhakti) 사상이 있다. 박띠는 베다 시대의 이전부터 거슬러 올라가는데, 『리그베다』(Ṛgveda)에서 박띠의 어근은 ‘bhaj’(바즈)가 발견된다는 점에서 제기되기도 한다. 이와 비슷한 용어로 우빠니샤드(Upaniṣads)에서의 명상과 숭배라는 의미를 지닌 ‘우빠사냐(upāsana)’를 통해서도 박띠의 기원을 유추하기도 한다. 우빠사냐는 upa-√ās를 어근으로 갖는 동사의 활용 형태들과 함께 쓰여 ‘섬기다, 칭송하다, 숭배하다’ 는 것1)인데, 의미가 확대되어 ‘명상 혹은 숭배’의 의미로 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박띠는 √bhj(바즈) 라는 어근으로 ‘숭배하다, 참여하다, 경배하다. 나누다’ 와 ‘사랑, 헌신, 경배’ 등 다양한 의미들을 가지며 주로 헌신과 사랑으로 번역하여 사용한다. 우빠니샤드에서의 이 둘의 용어는 외적 대상의 집중의 형태인 명상 즉 숭배의 의미를 갖고 브라흐만(Brahman)과 아뜨만(Ātman)의 동일함이라는 결과를 지향하다면, 우빠니샤드 이후 서사문학인 『바가바드 기따』(Bhagavad Gītā)에서는 신과 인간의 관계적 측면이 중요해지면서 박띠요가(Bhakti yoga)를 통한 신에게 절대적인 봉헌과 신에 대한 사랑의 삶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에 논자는 인도의 주요 경전인 우빠니샤드와 『바가바드 기따』 문헌을 통해서 이 둘의 용어가 갖고 있는 의미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In Indian society, there are bhakti ideas that suggest the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God, the belief in overcoming the finiteness of man, and the actions (performance). The year of the gourd dates back to the time of the Vedas, and in “Rig-veda”, the root of the gourd is also raised in the sense that “baj” is found. In a similar term, the origin of the zodiac is also inferred through “upāsana,” which means meditation and worship in Upanisad. Upasana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usage forms of verbs that have upa-√ās as a root, meaning ‘worship, meditation’, but it can be implied mainly as meditation or worship. And the year of the gourd is the root of the word bhj, ‘to worship, to participate, to worship. It has various meanings such as ‘sharing’ and ‘love, dedication, worship’ and is mainly translated into devotion and love If the terms in the Upanisad are aimed at the result of meditation, the meaning of worship, which is a form of concentration of extrinsic objects, and the identification of Brāhman and Ātman, In the epic literature “Bhagavad Gita” after Upanisad, the life of devotion and love for God through Bhakti Yoga is more emphasiz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is important. In response, confucius wants to summarize the concept of the belt through the meanings of the terms in India’s major scriptures, “Upanisad and Bhagavad Gītā.

      • 도암만 사내호 방류에 의한 담수 확산범위 예측에 관한 연구

        김종구(Jong Gu Kim),김동명(Dong-Myung Kim) 한국생태공학회 2022 한국생태공학회지 Vol.9 No.1

        To estimation of effect by water discharge from Sanae reservoir in Doam bay, we were conducted to field survey and numerical simulation. In field sequence survey, physical effects by water discharge from Sanae reservoir appeared clearly at discharge early, and decreased greatly since 2 tidal period. Flow pattern of flood tide to calculated by hydrodynamic model was appeared to inflow through two channel, Maryang~Gogeumdo and Wando~Gogeumdo. Flow pattern of ebb tide showed reverse pattern to flood tide. The residual current, which were obtained by intergrating the simulated tidal currents over 1 tidal cycle, showed more than 10cm/sec at interval sea of Maryang and Gogeumdo. And the front sea of Sanae reservoir appeared fewer than 5 cm/sec. The range of salinity decrease by numerical simulation appeared extensively when ebb tide than flood tide. When water discharge increased 30% of total reservoir capacity, freshwater Diffusion area was shown to inner area in Doam bay. And when water discharge increased 50%, effect area extended to Maryang sea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