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퀴즈 시스템의 문제은행 구축 자동화를 위한 Deep Quiz Cropping 기술 개발

        정대욱(Dae-Wook Jeong),정문호(Mun-Ho Je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2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6

        본 논문은 온라인 퀴즈 시스템에서 핵심인 문제은행 구축 자동화를 위한 Deep Quiz Cropping 기법을 제시했다. 이것은 문제지의 스캔된 그림 파일에서 개별문제에 대한 질문영역과 선다영역을 딥러닝 기반 검출기를 통해 검출하는 것과, 문제생성을 위해 질문영역과 선다영역을 짝지우고 영역오류를 수정하는 Box Coupling으로 이루어졌다. 문제지 및 시험지를 스캔한 영상파일에 Deep Quiz Coupling 기법을 적용한 다수의 실험에서 질의영역과 선다영역을 검출하는데 있어서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We presented a method of deep quiz cropping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quiz pool in online quiz systems. The method detects question boxes and sunda boxes in images captured from test papers by a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or, and makes pairs of a question box and a sunda box by the box coupling. We applied the deep quiz cropping to images captured from test papers and achieved successful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다국적기업에서 문화적 중재자의 유형과 역할

        신진영(Shin Jin-Young) 한국인도학회 2011 印度硏究 Vol.16 No.2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내 문화적 중재자의 유형을 살펴보고 그 역할과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인도 수도권 지역에 진출한 한국 기업 3개 업체 사례를 연구한 결과, 이들 기업에는 인도인 문화적 중재자와 한국인 문화적 중재자가 존재한다는 점을 밝혔다. 인도인 문화적 중재자는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아는 인물로 인도인 직원과 한국인 주재원 간의 문화적 갈등을 중재한다. 인도 현지에서 채용된 한국인 문화적 중재자는 인도인 중재자와 유사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한국인 문화적 중재자는 문화 간 필터 역할을 통해 기업 내에서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두 종류의 문화적 중재자들은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이들은 기업 내에서 서로 다른 집단들이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영어, 한국어, 힌디 등의 3개 언어를 모두 구사할 수 있다. 둘째, 이들은 하급관리자나 사원으로 기업에서 낮은 직위에 있어 다른 직원들이 어렵지 않게 다가갈 수 있다. 기업 구성원 다수를 차지하는 인도인들은 인도인 문화적 중재자를 한국인 주재원과 회사 측의 대변자로 인식하는 반면, 한국인 문화적 중재자는 인도 직원의 대변자로 인식한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mediators in the Multinational companies. Based on the findings from fieldworks conducted in three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operat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of India, it is found that there are two categories of cultural mediators, namely Indian and Korean cultural mediators. Indian cultural mediators, who can speak Korean language and have knowledge about Korean culture, mediate culturally conflicting matters between Korean expatriates and Indian employees. Korean cultural mediators who are recruited in India assume similar roles as Indian cultural mediators. They also make the communications between two conflicting groups more smooth through their roles of cultural filtering. These two groups of cultural mediators have two characteristics in common. First, they can speak all three languages (English, Korean and Hindi) which are used in the companies by different groups in different contexts. Second, they occupy low-level positions in the companies and, as a result, other members can easily approach them. While Indian employees regard the Korean cultural mediators as their representatives, they regard the Indian cultural mediators as representatives of Korean expatriates and companies.

      • KCI등재
      • KCI등재

        인도의 독립적 여신신앙과 여성

        류경희(Ryu Kyoung-Hee)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2

        이 논문은 인도의 독립적 여신인 두르가와 깔리신앙에 초점을 맞추 어 강력한 여신신화와 신앙이 제시하는 독립적 여성정체성이 인도여성들의 실제 지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가 하는 문제를 주로 현지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해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신신화 속의 강력한 여성상이 실제 신앙 속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고 이러한 신앙이 실제 여성지위와는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가 하는 문제를 (1) 독립적 여신인 두르가와 깔리신앙의 실제 양태(2) 여신의 강력함에 대한 인도인들(종교전문가, 일반신도, 전문학자들)의 실제 인식과 여성성과의 연관성 (3) 여신숭배의 목적 등 세 주제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결론에서 과연 강력한 여신신앙과 여성의 실질적인 지위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하는 문제를 논의한다. 현지조사연구는 깔리의 신앙중심지인 동인도의 꼴까따, 북인도의 두르가신앙 중심지 중 한 곳인 바라나시 그리고 바라나시 근교의 중요한 여신신앙 중심지인 빈다챨 등에서 이루어졌다. 이들 지역의 여러 계층과 연령의 남여 모두 신화에서 묘사되고 있는 독립적 여신의 강력함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인식은 독립적 여신이 인간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해주고 온갖 위험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해 주는 존재라는 믿음에서 비롯되는 것일 뿐 그것이 곧바로 일반여성의 강력함이나 독립성에 대한 인식으로 연결되고 있지는 않았다. 즉 독립적 여신을 남신과 특별히 구분해 인식하고 있지는 않았고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남여의 구분이 아니라 인간을 보호하고 인간의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독립적 여신의 능력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런 현지조사 결과를 근거로 이 논문은 적어도 현 시점에서 인도의 독립적 여신신앙과 그것이 제공하는 강력한 여성정체성이 인도여성의 사회적 삶과 갖는 관계는 매우 약하며 인도여성의 독립적 의식을 고취하고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해왔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결론 짓는다. 그리고 그 주요 이유로 인도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롤모델로 기능해 온 것은 남성에 순종적이고 의존적인 여성정체성이고 독립적 여성정체성은 신앙의 차원에서만 작용해 온 점을 들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인도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최근 서구의 일부 페미니스트들이 강력한 여신상징이나 신화를 여성문제와 연결지어 해석하고 활용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 접근방법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논의한다. 즉 서구의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페미니즘운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구문화에는 없는 강력한 여신상징이나 신화를 다른 문화의 신화에서 빌려오거나 아니면 새롭게 창조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상당한 한계를 갖는다고 지적한다. 또 이 문제와 관련하여 여신신화나 신앙에 대한 연구가 신화텍스트및 2차 자료 분석에만 국한될 경우 그것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간과함으로써 실제와는 상당히 다른 왜곡된 이해와 해석을 낳을 수 있는 위험을 지적하고 신화의 살아 있는 역동성과 실제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면 텍스트와 더불어 현장에서의 참여관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identity of woman which powerful goddess myth and faith offer and the actual status of women focusing on the independent goddess, Durga and Kali worship in India by mainly using field work. This study`s concrete concerns are how the powerful and independent image of woman in goddess myths is reflected on the real goddess worship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is worship has with the status of women. These concerns are dealt by analyzing (1) the real worship of Durga and Kali, (2)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perception of powerfulness of independent goddess and the feminity. (3) the purposes of goddess worship. Basing on this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powerful goddess worship and the status of Indian women is discussed in conclusion. Fieldwork areas are a center of Kali worship, Kolkata in west Bengal, one of Durga worship centers in north India, Varanasi and the other goddess worship center, Vindyachal near Varanasi. In these areas, we could find all female and male interviewers perceive well the powerfulness of Durga and Kali in myths and faith. But this perception was not connected to the perception of powerfulness and independence of women. It only came from the belief that these goddesses resolve human problems and protect human being from all kinds of dangerous situations. They did not perceive god and goddess separately. The important point for them is not the strongness of women but the power of goddess to protect man and solve man`s problems. Based on this result of fieldwork,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independent goddess worship and it`s powerful female identity has nothing with the social life of Indian women and it does not to enhance independent consciousness and to raise social status of Indian women. This article presents that the main reason of this is the perception of independent goddess and it`s powerful female identity only operates within the level of faith and it is the dependent female identity(Pativrata) to have played as a social role model for Indian women. And this article also raises some doubts and discusses about the western feminist`s approach to use powerful goddess images and myths like Kali to try to establish a strong female identity and to raise women`s status.

      • KCI등재

        힌두 지참금 관습의 구조적 성격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1

        힌두 지참금 관습은 가족과 친족, 마을생활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 브라민 중심의 이데올로기 등뿐 아니라, 전반적인 인도 사회의 변화와 근대화 과정, 카스트 집단들 간의 신분상승 경쟁 등, 인도 사회와 문화의 밑바탕을 이루는 제도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원형적인 제도이다. 브라민의 혼인에서 깐야단 의식과 함께 지참금을 건네는 관습은 역사적으로 뿌리가 깊지만, 오늘날 ‘지참금 살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전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소위 ‘악의 지참금’의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다. 이러한 현상은 시장화폐경제의 확산과 자본주의의 발달, 농업을 비롯한 다른 분야의 경제적 발전, 그리고 조직화된 부문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의 증가 등을 토대로 하여 널리 확산되었으며, 특히 경제적 기회가 확대되는 1980년대 이후 더욱 심각해지는 양상을 띠고 있다. 카스트 내혼제의 원칙에 따라 행해지는 혼인은 원칙적으로 동등혼 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여자를 주는 쪽 집단이 여자를 받는 쪽 집단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불평등 관계는 혼인이 지속되는 동안 각종 의례 때마다 신부 쪽에서 신랑 쪽으로 일방적으로 건네지는 선물들을 통해 물질적으로 표현된다. 지위가 같던 두 친족집단이혼인을 한 후 불평등한 관계로 바뀌고 이 관계가 지속되는 것은, 브라민의 이상적인 혼인 형태라고 규정된 깐야단 혼인과 밀접히 관련된다. 마누법전에는 생리를 시작했는데도 결혼시키지 않은 딸을 둔 브라민은 딸이 생리를 할 때마다 살인과 마찬가지 죄를 짓는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렇게 본다면 딸을 받아주는 사위는 장인이 엄청난 죄를 짓지 않도록 구제해주는 은인이기 때문에 신과 마찬가지로 경배해야 할 대상이 된다. 즉 신랑 쪽 집단은 신부 쪽 집단에게 은혜를 베푸는 우월한 입장으로서, 경배를 받을 자격이 있을 뿐 아니라 깐야단과 함께 따라오는 온갖 종류의 선물을 받을 권리도 아울러 갖는 것이다. 힌두의 결혼식은 가족-친족집단의 지위와 관계망을 공개적으로 과시하고 확인하는 중요한 기회이다. 지참금은 자기 집단의 사회적 지위와 명예, 위신 등을 계산하고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일 뿐 아니라, 동시에 기존의 위계서열을 새롭게 평가-판단하고 재해석할 기회를 제공하는 첨예한 경쟁과 협상의 장이기도 하다. 카스트 집단들 간의 관계에서, 그리고 같은 카스트의 여러 친족집단들 간의 관계에서 지참금이 담당하는 이러한 구조적 기능에 주목한다면, 1980년대 이후 여성운동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지참금 반대운동에서 주장하는 남녀불평등과 여성 차별이라는 틀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지참금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힌두이즘과 카스트 제도에서 지참금 관습이 갖는 의미와 더불어, 현대 인도 사회 전반에 걸친 거시적인 변화의 경향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Dowry practice among the Hindus can be regarded as an 'archetypal institution' which has deep-rooted relationships not only with caste, kinship, family, village life, Brahmanic ideology, etc., but also with the macro processes of change in Indian society at large. Although kanyadan marriage and dowry practice have a long history among the brahmins and upper castes, the so-called 'dowry evil' is a relatively modern phenomena which became all pervasive social problem only after the modernization of Indian society, with the penetration and expansion of monetary and market economy,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industry and agriculture, and the rapid growth of organized sector in recent times. In theory, marriage among the Hindus is expected to be an isogamy because of the principle of jati endogamy. But in practice, the wife-givers are regarded as definitely inferior to the wife-takers, and this inferiority is expressed materially as the continuous flow of numerous gifts from the bride's side to the groom's as long as the marriage relationship continues. The logic of this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wife-givers and the wife-takers originating from marriage is provided by the kanyadan ideology in Hinduism. According to the Manusmrti, a brahmin who keeps an unmarried daughter after puberty amounts to monthly committing as grave a sin as the murder of a child! In this regard, the man who takes a daughter as his legitimate bride from her father should be regarded by the latter as a divine saviour like god, and deserves utmost respect and dan without any obligation to reciprocate. At the same time, marriage among the Hindus is an all-important opportunity through which the socio-religious, politico-economic status and networks of one's family and kinship group are publicly displayed, contested, and confirmed by others. In this cultural setting, dowry is not only the most effective and conspicuous instrument in asserting the status, honour and prestige of the concerned marriage parties, but also an intensively competitive arena in which the present hierarchical structure is interpreted anew through complex processes of acute negotiation and competition. If we keep in mind thi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owry practice among the Hindus, we can understand the inherent limitations of main slogans of anti-dowry campaigns targeting gender inequaliti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Indian society. I argue that in order to correctly tackle the 'dowry evil', we must go deeper and try to understand it in relation with Hinduism and caste system as well as the general changes in contemporary Indi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