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Non-existance Real Hypersurfaces in a Nonflat Complex Space Form with Codazzi Type of Structure Tensor Field

        임동호,김화수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純粹 및 應用數學 Vol.28 No.1

        Let M be a real hypersurface in a complex space form Mn(c), c ̸= 0. In this paper we prove that if the structure tensor field is Codazzi type, then M is a Hopf hypersurface. We characterize such Hopf hypersurfaces of Mn(c).

      • KCI등재

        Pātañjali Yoga Sūtra에 나타난 문제 제기 ― I̅śvara , Vāyu , Citta, An̊ga를 중심으로 ―

        임동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This great saint Pātañjali accepted from these texts only those essential principles which were in agreement with his own philosophical thoughts. Only these essences can be seen include in his text ‘Yoga Sūtra’. Pātañjali also accepted the Sāṅkhya metaphysical framework and synthesised it with the practical aspect of Yoga technique which was later on called Aṣṭāṅgayoga. The result of the creation of such a new indescribably fine philosophical Yoga text was that the ‘Aṣṭāṅgayoga tradition’ was established and Yoga attained a special position in the philosophical literature of India. Pātañjali has described the procedure of control of all the Vṛttis of Citta, the kriyāyoga, Aṣṭāṅgayoga, Samyamayoga, and thus guided the Yogi so as to attain the Yoga Samādi stage through his Yoga philosophy. Out of the all these various practices, ‘Aṣṭāṅgayoga’ is the most popular practice as it is very convenient and suitable for all sort of people and hence is the most useful practice for everybody. Such a way, this Yoga tradition as Aṣṭāṅgayoga which was born in the 3rd century B.C. became popular by the named Pātañjalayoga or just Yoga. It has retained more or less the some basic philosophical thought. The commentators of the Yoga Sūtra of Pātañjali tried to develop and elaborate Pātañjali's Yoga. Pātañjali is very rich and has its independent standing, there are many problems to understand it. In fact, what is required for systematizing such a discourse is clarity, precision, rigour and a few more similar things. Of course we do not want to claim that these requirements are seldom available in Pātañjali Yoga. But we do face several problems to understand even the basics of his system. So Pātañjali Yoga Sūtra come to the issues presented I̅svara, Vāyu, Citta, An̊ga, which the nature of the systemic issues raised and the interpretation is to give meaning. 위대한 성자 빠딴잘리(Pātañjali)는 인도철학서와 고대 경전들로부터 그 자신의 철학적인 사상들과 의견이 일치하는 본질적인 원리만을 받아들였다. 오직 이들 정수만이 그의 저서 ‘요가 수트라(Yoga Sūtra)’에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빠딴잘리는 상키야의 형이상학적인 토대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후에 아스탕가요가(Aṣṭāṅgayoga)라고 불리는 요가 기법의 실용적인 측면과 종합화시켰다. 그러한 새로운 형언할 수 없는 섬세한 철학적인 요가의 저작에 대한 결과로 “아스탕가 요가 전통”이 세워지고 요가가 인도의 철학적인 문학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성자 빠딴잘리는 끄리야요가(kriyāyoga)와 아스탕가요가 그리고 쌈야마요가(Samyamayoga) 등의 요가가 그의 ‘요가 철학’을 통해서 요가의 싸마디(Samādi) 단계를 얻기 위해서 인도되는 찟따(Citta)의 모든 브릿띠(Vṛtti)에 대한 제어의 과정을 서술했다. 이들 다양한 수련 중에서 “아스탕가 요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매우 적합하고 알맞은 것이기 때문에 유용한 수련법이 되었다. 이러한 형식으로 기원전 3세기에 생긴 아스탕가요가인 이 요가 전통은 ‘빠딴잘라요가(Pātañjalayoga)’혹은 ‘요가’라는 이름을 낳게 되었고 다소 동일한 기본적인 철학 사상을 보유하게 되었다. Pātañjala의 『Yoga Sūtra』의 주석가들은 빠딴잘리의 요가를 발전시키고 정밀화 시키려 노력했으며 다양한 주석들을 통하여 몇몇의 새로운 요소들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그라나 요가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수용 및 전달을 위하여 장애로 부각되고 있는 논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학자들은 현 시대에 맞게 인식론과 심리학, 형이상학에 대한 해석의 변모를 시도함으로써 어려운 철학의 체계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많은 문제들은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서 우리들을 당혹하게 만든다. 사실상 이러한 제안들에 대해 그동안 수없이 많은 논제와 논의를 거쳐 왔고 수많은 학자들이 철저히 연구하려 노력해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요가의 체계를 좀 더 잘 이해하도록 빠탄잘리(Pātañjali)의 요가 수트라(Yoga Sūtra)에 나타난 이슈와라(I̅śvara), 바유(Vāyu), 씻다(Citta), 앙가(An̊ga) 의 체계적인 문제점을 제기하고 본질을 해석하는데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 요보호아동의 보호체계 개선 방안 : 가정위탁보호제도를 중심으로

        임동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論文集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ways of improvement of family foster care system in help needed child care policy, to do so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family foster care and the situations of ongoing foster care case in Korea were shown, with this I tri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tried to show the means through the cases of America and the England. Both the America and the England foster care system give us following means, first, foster care system was influenced not by the trend of disfacilities but by the goverment's policy which focusing on the atmosphere of the family, second, detailed foster family form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client child, third, perform the strict rules when it comes to choose the foster parents and educate them by the ways of Law. through the facts of above mentioned we can get a hint to improvement for the foster care system in Korea. first, set up after watching program. second, establish care system basis on child need. third, extend service area. and keep strict rules for the foster parent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could not mention the problems of foreign foster care system.

      • KCI등재

        Yoga 철학에서의 dhyāna and āsana 그리고 좌법

        임동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오늘날, 요가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가고 있으며, 현대인에게 있어 요가는 건강을 위한 운동쯤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특히나 요즘 요가를 수련하는 일반인들은 haṭha yoga의 āsana를 요가의 전부라고 생각하고 있다. yoga는 신체를 명상에 들어갈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만들어 궁극적으로 진리에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자 과정이다. 요가의 āsana는 요가의 한 부분으로 요가의 전체는 아니며 요가의 āsana는 요가의 목표인 samāhi를 성취하는데 필요한 신체를 만들어 주는 준비 수단이자 하나의 단계인 것이다. 명상을 통해 사마디(samāhi, 삼매)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명상을 하기 위한 자세가 필요하며 yoga에서 명상 수행에 필요한 자세를 의미하는 것이 바로 아사나(āsana)즉, 좌법이다. 명상수행에 적합한 좌법은 육체와 정신적인 문제를 제거하여 요가의 목적인 해탈에 이르게 하는 수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명상은 대상을 향한 끊임없는 인식의 흐름을 뜻한다. 고전요가에서 āsana는 좌법의 의미로 사용하고 haṭha yoga는 자세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āsana의 의미가 고전요가에서 ‘좌법’의 의미에서 후대의 haṭha yoga에서는 ‘자세’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haṭha yoga의 āsana의 수련도 명상에 들어갈 수 있는 적합한 신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필요한 수련임을 알 수 있다. 고전요가와 haṭha yoga의 āsana는 결국은 명상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의 수행이 요가의 āsana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 할 수 있다. Today, Yoga has become variously modified in a number of areas and has been interpreted to exercise for about health. Especially, people who practicing Yoga think that āsana of haṭha yoga is the whole of Yoga in these days. It is a means and a process that Yoga allows you to create the optimum conditions that can enter the body in meditation reach the ultimate truth. The āsana of Yoga, is not the whole of Yoga, is only a part of that, is one of the means and a step to create and prepare the body needed to achieve the goal of yoga, samāhi. In order to obtain samādhi through meditation, the posture for meditation is necessary and the meaning of the posture for meditation is āsana, in other words, a sitting method. Suitable āsana for meditation practice is to remove the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it can be seen tha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s a means to reach the purpose liberation of yoga. Meditation means a flow of constant awareness toward the target. In classical yoga, āsana is used in the sense of sitting method and haṭha yoga is used in the sense of position.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training of haṭha yoga’s āsana is also required training to create the appropriate body for meditation. Classical yoga and haṭha yoga’s āsana is eventually preparation for meditation as practice asceticism and it can be called to go forth direction of āsana of yoga.

      • KCI등재후보

        사상체질(四象體質)과 트리도샤(Tridosha) 비교

        임동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8 No.-

        Nature of awareness about health in current society has been further heightened by interest in natural healing medicine as well as that of inner health is starting from a stable and balanced world. Ayurveda means ‘science of life' and the Chinese medicine, ie thought Medicine(四象醫學) the person having genetic characteristics, mental and physical harmon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of the individual, socie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in a theory of conscious human harmony, etc. can be considered as forward-looking human-centered alternative medicine. Sieving classification of Ayurveda has much in common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deas. Oriental Medicine Ayurveda is and both based on natural philosophy(ohjuyoung, 2004), humans are part of nature and has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not only look for the harmony and balance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classification of human beings each constitution. Thought Medicine(四象醫學) ether of the universe as seen in Ayurveda as a cosmic interrelationship of wood(木), fire(火), clay(土), gold(金), water 水) in the five elements(space, ether, Akasha; akasha), earth(地, Premier TV; prthivi), water(水, cut; into five elements of vavu); jala), fire(火, LCA; tejas), wind(風, Bayu Analysis and. These particular elements are reported to exhibit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s through a bonding process it has its own power. The Lunar Chinese Taeyang(太陰), Soyang(少陰) the constitution, Taeeum(太陽), Soeumin(小陽), which are classified into four constitutions, in Ayurveda Vata, Fatah, kappa and in separating the individual sieved into three types. The constitution and as ever(四象體質) Shah also of the tree of Ayurveda(Tridosha) and Oriental medicine is rooted in a long history to establish their own unique medical system generates a Mac yieoohgo of traditional medicine, the two are mutual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there are many closely associated in common. Tree of(四象體質) and Indian Ayurveda and Chinese medicine constitution and body of recent heightened interest in alternative therapies also by Shah(Tridosha) at the time of the relevant body that is being converted to classify Ayurveda and Chinese medicine(medical thought(四象醫學) What that says you can see the jinindago significant. 건강에 관한 인식의 성향이 현대사회에서는 내면적 심신세계의 안정과 균형조화가 우선시 되고 있다는 점과 더불어 자연 치유적인 의학에 대한 관심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생명의 과학’을 의미하는 아유르베다(Ayurveda)와 한의학의 한 분야인 사상의학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보는데 사람이 지니는 유전적인 특성, 정신과 육체의 조화, 개체에 따른 반응의 차이, 사회와 자연 환경 속에서의 인간의 조화 등을 중요시하는 이론(이용대 등, 2014)으로 미래지향적인 대체의학으로 발전시킬 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Ayurveda의 체질분류는 한의학의 사상의학에서 보는 사상체질 분류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한의학과 Ayurveda는 모두 자연적 철학관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오주영, 2004), 인간도 자연의 일부로 주위 환경과의 조화 및 균형이 건강과 아주 밀접하므로 인간을 각각의 체질로 분류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 우주를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다섯 가지 요소의 상호관계로 보는 것과 같이 Ayurveda에서도 우주를 에테르(공간, ether, 아카샤; akasha), 지(地, 프르티비; prthivi), 수(水, 잘라; jala), 화(火, 테자스; tejas), 풍(風, 바유; vavu)의 다섯 가지 요소로 해석하며. 이들 특정요소는 고유한 힘을 갖고 있어 결합과정을 거쳐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장영혜, 2008). 한의학에서는 체질을 태음(太陰), 소음(少陰), 태양(太陽), 소양(小陽) 네 가지 체질로 분류하고 있는 반면, Ayurveda에서는 바타(Vatta), 파타(Pitta), 카파(Kapha)의 세 가지 성분으로 개인 체질을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이 Ayurveda의 트리도샤(Tridosha)와 한의학의 사상체질(四象體質)은 오랜 역사에 뿌리를 두고 독자적이고 체계적인 독특한 의학체계를 성립시켜 그 전통의 맥을 이어오고 있어, 이 둘은 상호간의 문화적 견지에서 볼 때 긴밀히 연관된 공통점이 많다. 최근 대체요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어 체질과 체형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킨 한의학의 사상체질과 인도 Ayurveda의 트리도샤(Tridosha)도 체형분류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Ayurveda와 한의학의 사상의학과 연관성을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자극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에 따른 유아의 운동능력과 주의 집중력의 차이

        임동호,이소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using visual stimulation smart devices on the athletic performance and attention -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The physical activity using visual stimulation smart device was applied to the infant. The pre - and post -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inf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pecifically, the ability of the infant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using the visual stimulation smart device was improved by sit-up bending and centering ability. Also, physical activity using visual stimulation smart device helped to improve attention of infant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physical activity affect both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thletic ability and concentration of children more effective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by teaching the contents using various contents that can motivate the infant rather than the same teaching method.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이 유아의 신체 및 정신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시각자극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을 유아에게 적용하였고 실험전보다 실험 후에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운동능력평가에서 높아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각자극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앉아서 윗몸 굽히기와 한 발로 중심잡기 능력이 좋아졌다. 또한 시각자극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유아들의 운동능력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시각자극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이 필요하다. 즉, 정보통신기술(ICT)과 체육활동이 유아에 신체적 발달과 인지적 발달에 모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