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독일'초등학교교육학(Grundschulpadagogik)'의 학문적 성격 :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 Die Bedeutungen und Aufgaben der ' Grundschulpadagogik ' in Korea

        정혜영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그 대상인 초등학교를 명확하게 드러내어 '초등학교 교육학'으로 규정 지음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고찰하고, 그것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은 교육개혁의 맥락 속에서 '학교교육학'의 부분영역으로 성립되었으며. '기초단계 교육학'과 '초등학교 교수학'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학문적 독자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초등학교교육학'의 연구영역들로서 초등학교이론, 초등학교 수업이론, 초등학교 특수적인 교육내용, 교사에 관련된 이론 등이 제시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서 비교연구방법, 역사연구방법, 정신과학적-해석학적 연구방법, 경험적 연구방법, 행위적 연구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 및 초등교사 양성교육 실제에 주는 의미와 과제가 시사되었다. Seit einigen Jahren wird die Diskussion u¨ber die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vielfach entwickelt. Fu¨r die Feststellung der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wird zuna¨chst eine theoretische Grundlage fu¨r die Grundschule gefordert, dafu¨r ist es notwendig, eine wissenschaftliche Disziplin u¨ber die Grundschule zu feststellen. In Deutschland wird schon die Theorie der Grundschule als ein selbststa¨ndliches Forschungsgebiet mit dem Namen der 'Grundschulpa¨dagogik' festgestellt.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den wissenschaftlichen Charakter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zu betrachten and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zu vorstellen. Diese Arbeit besteht aus den vier Kapiteln, in denen die Entstehungskontext und erziehungswissenschaftlicher Standor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wissenschaftliche Eigensta¨ndigkei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Gegenstandsbereiche und die Forschungsmethoden mit den deutschsprachlichen Fachliteraturen untersucht werden. Zum Schluβ habe ich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mit der Theorie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vorgestellt.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은혁기,이명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여년 동안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이 초등학교 상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요구나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과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들이 지난 20여년 동안 그 방향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셋째, 대표적인 학회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가 초등학교 상담 발전에 어떠한 역할을 해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넷째, 위의 세 가지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을 그동안 제시되어 온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의 초등학교 상담에 대한 인식, 요구나 기대는 그동안 발전을 하였지 만, 상담이 더 필요하고 상담할 수 있는 여건과 전문성, 행ㆍ제정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둘째, 초 등학교 상담의 발전과 그 방향에 관한 연구들 또한 지난 20여년 동안 유사하게 지적되었다. 그러나 이러 한 것은 주로 초등학교 상담교재개발과, 상담이론과 기법의 개발 등에 초점을 두어 왔으며, 이러한 것들이 현장에 있는 학생과 교사들, 학부모들에게 얼마나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는가는 것은 다시 검증할 필요 가 있다. 셋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는 그 동안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며, 이로 인하여 초등학교 상 담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이러한 발전과 함께 실제 교육현장에 있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초등학교상담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 상담 발전의 방향은 실제적인 적용이라는 현실적인 기반 위에서 검토되고 재정리하여 새롭게 전개될 초등학교 현장의 변화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For more than two decade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viewed related studies to find out how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is perceived, and what demands or expectations are. Second, we found out how represen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have presented its direction for the past 20 years or so, and thirdly, how the Korea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nd Education Association, a leading academic society, has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Fourth, based on the above three factor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roblem that has been propo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demands or expectations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by students and teachers' parents have been improving, but they lack more counseling needs and professionalism and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have also been pointed out similarly over the past two decades. However, this has mainly focused on developing counseling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s, and on developing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s, and on how substantially these have helped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on the scene should be verified again. Third, the Korea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nd Education Association has been making a lot of progress over 20 years, and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Along with these developments, development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expertise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which can be of real help to teachers and students at real educational sites. Fourth,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should be reviewed and reorganized on the realistic basis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continuously improv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new elementary school site changes.

      •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연구동향 분석

        신원섭,박형민,김남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이 연구는 1970년에 설립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50년 역사를 정리하고 반추함으로써 학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학술지인 ‘초등과학교육’ 1권(1983년)부터 39권 2호(2021년 2월호)까지 1,018개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과학교육 1권(1983)부터 6권(1987년)은 초등과학교육 총서 1집(輯)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7권부터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메타 분석은 1) 연구자 수(단독, 2인, 3인, 4인 이상), 2)연구 종류(순수, 학위, 연구지원, 기타), 3)1저자 정보(학생, 교사, 교수, 교육기관, 기타), 4)교신저자 지역(교신저자 표기 없을 경우 1저자 기준), 5)연구대상(학생, 예비교사, 교사, 교사+학생, 예비교사+교사, 교과서, 교육과정, 기타), 6) 연구 분야(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학문간 융합, 과학교육 전반, 영역 융합, 기타), 7) 연구방법(조사, 실험, 개발, 문헌, 기타), 자료 분석방법(양적기술, 양적통계, 질적, 혼합, 기타), 8) 효과 검증(지식, 탐구, 태도, 지식+탐구, 지식+태도, 탐구+태도, 지식+탐구+태도, 창의성, 창의성+α, 기타)으로 총 8개의 기준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술지의 제목표기, 저자표기, 교신저자, 요약, 편집 등의 논문 체제의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과학교육의 연도별 연구동향을 분석을 바탕으로 본 학술지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이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troduc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for those who teach Korean to KSL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th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rograms in the non-curricular course, and the cases of the KSL Korean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operation cases of a ‘Korean class’, and mainly talks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his is to inform the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ility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take charge of Korean clas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educational case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ntion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for teachers at a time whe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논하고 KSL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한국어교육강좌의 운영 현황 및 비교과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 그리고KSL 한국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KSL 한국어교육의 현황의 경우,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급’의 개념과 유형, 운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러한 ‘한국어 학급’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운영방법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강사 외에도 현직 초중등고등학교의 교사가 한국어 학급을 맡아 학급을 운영하고한국어를 가르치게 되는 사례가 늘면서, 현직 교사의 한국어교육 능력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직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의일환으로 본고에 논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게 되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영어교육 전문성 인식 연구

        송미사 ( Mi Sa Song ),정혜영 ( Hye Young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고자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초등교사 영어교육 전문성 구성요소’를 언어적 유창성, 수업계획, 실천, 지식, 전문성 발달 노력의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어교육 경력 1~3년, 4~6년, 7~18년, 9~30년, 31년 이상으로 나누고 각 경력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의 경력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의 시각’에서 ‘학생의 상황과 눈높이’에서 수업을 바라본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초등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영어교육 중심’에서 ‘초등교육 중심’이 된다. 셋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을 위한 방법으로 초등 영어과를 기반으로 한 연구 활동 및 교사 간의 공식적, 비공식적 상호교류는 매우 중요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교사들의 경력에 따라 영어 교육 전문성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각 경력별 특징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t aspects of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n the good English teaching at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five developmental stage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s. For the research, total of 15 elementary teachers having English teaching experiences at school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depth.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English teaching at elementary school were found as follows. First, as they``re having more teaching experiences their conceptions of good English teaching had been changed from teachers`` to children``s viewpoints. They attempted expanding and transferring the content from their focus on the English curriculum itself to more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curriculum in general when they taught English. And it was very important and critical for teachers to involve in research activities and formal and informal mutual interchange among teachers since it helped to improve their English expertis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reflecting upon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English teaching expertise they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areas of linguistic proficiency, lesson planning, teaching practice, knowledge, and staff development. It needs to provide the customized programs of staff development for teachers reflecting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English teaching expertise and to have further research on the area.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 KCI등재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 분석 연구 -대구와 밴쿠버 지역을 중심으로-

        조영남 ( Young Nam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세계 각국은 정보화 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정보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들 모두 ICT 활용교육을 잘 인지하고 있으나, 캐나다 교사들의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CT 활용교육에 대한 연수에서는 연수 경험은 한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수 회수는 반대로 나타났다. 양국 교사들 모두 ICT 활용교육 시 가장 필요한 매체로 인터넷을 선택하였으며, 주로 교과지도에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의 교사들은 ICT 활용 수업의 장단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서로 유사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한국의 교사들은 유용성과 실제적인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반면, 캐나다의 교사들은 윤리성과 인간적인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양국 모두 대부분의 가정에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으며, 인터넷 접속 시 한국 학생들은 게임을 가장 많이 하는 반면, 캐나다 학생들은 숙제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학생들 모두 신세대의 하위문화인 채팅어와 이모티콘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국 학생들 모두 ICT 활용교육 시 가장 필요한 매체로 인터넷을 선택하였다. 양국의 초등학생들은 ICT 활용 수업의 장, 단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서로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의 초등학생들은 실제적인 측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반면, 캐나다의 초등학생들은 정보화 마인드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ractice of ICT using education in Korea and Canada. ICT using education means to teach how to collect, analyze, and use information needed b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ffectivel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Canada, they almo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CT using education but Canadian teachers recognize higher than Korean teachers. Korean teachers have more experience in in-service education but Canadian teachers` frequency of in-service education are higher than Korean teachers. They choose the internet as the most useful media in ICT using education. They mainly use ICT to teaching They have similar point of view on the advantage, disadvantage, and improvement method of ICT using education. But Korean teachers have more concern in practical aspects but Canadian teachers have more concern in ethical aspects.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Canada, they almost have computer connected internet at home. For Korean students, the main reason for using internet is to play game, but for Canadian students, doing homework is the main reason for using internet. They use various chatting languages and emoticon as a sub-culture of new generation. Similar to teachers, they also choose the internet as the most useful media in ICT using education. They have similar point of view on the advantage, disadvantage, and improvement method of ICT using education. But Korean students have more concern in practical aspects but Canadian students have more concern in informational mind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