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정윤 ( Jeong Yun Park ),박현지 ( Hyeon Ji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6차년도 자료 중 외국 출신 부모를 둔 중학교 3학년 다문화 청소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의사소통 시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보다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다문화 청소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보통 수준의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를 구사하고 있었다. 다문화 청소년들은 대부분 자아존중감과 부모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가구 월평균 소득과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부모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지지는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돕기 위한 가족 관계적 측면의 접근을 제시하였고, 연구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upport on the influences of bilingual abiliti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elf-esteem using the data from the sixth wave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of the collected data are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in Korea living with their foreign paren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more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use Korean rather than the first language of their foreign parent when communicating with their foreign parent, and most of them could speak a moderate level of their foreign parent’s first language. The perception of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were highly recognized in most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as for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higher monthly income of a household is and the better they can speak their foreign parent’s first language, the higher the self-esteem is. Third, parental support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of the first language of their foreign parent and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study suggests the family-relational approach to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ome further studies.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

        조만준 ( Man-joon Ch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3

        한국 사회는 새로이 유입된 결혼이민자, 유학생, 이주 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등의 구성원들로 인해 다방면에서 사회통합과 사회 정의를 위한 다문화 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이 다문화라는 새로운 현실은 기존의 통일 담론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독교인들의 통일의식이 갈수록 약화되는 즈음에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이루는 통일 준비의 과정으로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방안을 제시해보려 한다. 2장에서는 다문화 사회와 통일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제시했다. 3장은 다문화 사회의 통일교육 담론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제시했다. 4장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현황과 분석을 통해 현주소를 진단했다. 5장은 기독교 통일교육의 대안을 제시했다.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기독교 통일교육은 지금까지의 남북 간의 적대의식과 대결의식을 극복해야 한다. 새로운 시대를 향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된다. 기독교 통일교육은 그동안 강조되었던 민족과 당위적인 측면에서 더 나아가 기독교의 본래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는 성경의 보편적 가치와 세계시민으로서의 역할, 사회적인 공감대와 사회통합을 이루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의 새로운 접근과 패러다임의 변화가 다가올 통일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 Due to the flow of immigrants including marriage migrants, foreign stude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society is facing an urgent call for multi-cultural policies aiming for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justice in many aspects. This new reality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a change in the previous discourse on unification. In the time when Christians' awareness on social unification is weakening, this study sought ways to vitaliz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process that prepares social unifi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writer suggested some practical ways to conduct Christian unification eduction. As for the structure of this paper, chapter 2 deals with the change in the previous discourse on unification as the society is becoming more multi-cultural. Chapter 3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with an analysis. Chapter 4 suggests an alternative for vitalizing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should be directed toward a path overcoming the pre-existing confront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A paradigm shift is necessary for this new era.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take a step further than the previous cause underlining ethnic ties; it should practice the universal value of the Bible, the Christians' role as a world citizen, forming a social consensus and integration. By doing so, the original callings for Christians will be achieved. It is hoped that this new approach and a paradigm shift in th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serve as a stimuli advancing the upcoming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단일민족의식이 다문화 한국사회의 인종계층화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함의

        하진기 ( Jin Kee Ha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단일민족의식에 대한 개념정리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그 유효성을 살펴 보고 보편적 다문화주의개념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인종계층화형성에 미치는 요인 및 영향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인종계층화형성이 갖고 있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한국의 단일민족의식은 근대 역사과정 속에서 한민족 사상이나 계급, 지역적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민족단결 및 민족정체성을 확립하게도 하였지만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사회로의 발전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인식의 중심에서 인종계층화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이 주창하는 다문화 주의는 다문화주의의 본래 의미를 고려함이 없이 강제동화주의 이데올로기를 다양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한국적 변형으로서 타자가 포용대상이 아니라 관리대상으로서 그리고 수동적인 객체로 전락하게 하면서 인종계층화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고에서 인종계층화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문화적 요인으로 언어, 생활방식, 관습을 사회구조적 요인으로는 인종주의와 법적 제도를 제기하였다. 또한, 서구의 보편적 다문화주의관점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인종계층화형성이 갖는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다문화 한국사회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여전히 강조되고 있는데 포용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개념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는 한국사회는 타민족에 대한 인식을 평등관점에서 출발해야 하고 이들과 관련한 다문화정책들도 포용적인 동화주의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셋째는 한국사회와 외국인 이주민집단 간의 평등적 관계에서 인종주의 및 법률 제도적 정비를 고려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ethnically ho mogeneous nationalism in multicultural society by arranging Korean soc iety's concept of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and investigate impl ications of racial stratification by reviewing factors and effects of ethni 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on racial stratification in the concept of universal multiculturalism.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of Korea established national unity and ethnic identity beyond the Korean race's thought, class, and local interests in the course of modern history, but has had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ation in the center of negative perceptions that interferes with Korean society's development into multi 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ism that Korea advocate does not con sider the original meaning of multiculturalism and is just a Korean version which just used compulsory assimilation transformation as a term called diversity. In Korean multiculturalism, other persons are subject to contr ol, not the persons to embrace. And it had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 ation as it became an passive object. In the study,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ation were raised as follows: Cultural factors are languages, lifestyles, and customs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are racism and legal systems. And from the viewpoint of Western multiculturalism, implications of racial stratification of ethnically homog eneous nationalism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thnically homo geneous nationalism has still been emphasized in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The scope of the concept needs to be enlarged from the view point of inclusive multiculturalism. Second, Korean society must start perceptions about other ethnic groups from the viewpoint of equality and multicultural policies related to them must b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inclusive assimilation. Third, institutional reorganization of racism and laws must be considered in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ociety and immigrant group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제도 및 정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미디어의 영향 중심으로

        장안리 ( Ahnlee Ja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법적 제도 및 정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인식 형성에 매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과 충청권에 있는 1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 이들과 관련된 제도 및 정책들에 대한 의견, 인식 형성에 있어 매체의 영향 및 다문화공존에 대한 생각들 및 방향성을 소그룹 인터뷰(FGI)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다문화가정자녀들과 동시대에 살며 경쟁상대, 또래 집단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은 상당부분 매체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사회의 약자, 시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동일시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법적인 권한이나 의무에 있어서 특별한 혜택 없이 선주민 자녀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자신들과 “다름”에 의해 사회에서 주변화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로 거듭나는 것이 시급하며 그 해결책의 일환으로 ‘사이문화’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 ways in which nativ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their legal rights, and government policies that effect them. Specifically,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3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study asked participants how they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policy and legal right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what they make meaning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The findings show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vided perception on multicultural children. They were found to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socially marginalized minority and object of compassion because of the ways media has framed multicultural families, yet, at the same time, they were found to perceive them as their competitors because of competitive job market. In terms of perception on policy and legal rights,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multicultural children should have the same legal rights as Korean native children; equal responsibilities and benefits, no less and no more. In order to prevent multicultural children from becoming perpetual minority in Korea, participants suggested “in-between culture”, a combination of salad-bowl and melting-pot approach, which respects individual uniqueness and diversity.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기용 ( Ki Yong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며, 개발된 척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한 향후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함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전문가 검토의 과정,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본조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 확정된 430명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의 하위요인 및 설문문항은 다문화 기술(요인1, 9문항), 다문화 태도(요인2, 9문항), 다문화 지식(요인3, 6문항) 등의총 3개 하위요인과 24개 문항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둘째, 신뢰도 분석 결과에서, Cronbach’s  값이 .960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척도는 신뢰롭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잠재변인과 측정변인 간 모든 경로계수가 p=.00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C.R. 값도 1.965이상으로 적합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RMSEA=.078, IFI=.904, TLI=.901, CFI=.904로서, 모든 값이 양호한 적합도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신뢰롭고 타당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and its significance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cultiv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afterwards by verifying the developed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To attain the research goal, literature analysis, expert examination, and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employed. Especiall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430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gain detail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main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scale’s subfactors and survey questions were finally fixed as total 3 subfactors and 24 questions: multicultural skills (factor 1, 9 questions), multicultural attitudes (factor 2, 9 questions), and multicultural knowledge (factor 3, 6 question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estion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value was found to be very high as .960, so the scale of this study can be regarded reliabl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l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latent variables and measurem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000, and all the C.R. value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s higher than 1.965. Also, about the goodness-of-fit index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RMSEA=.078, IFI=.904, TLI=.901, and CFI=.904, so all the values satisfy the goodness-of-fit level favorably. In other words,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scale developed here can be considered as a tool that can meas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reliably and validly.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이중언어적응, 사회정체성과 우울

        송영호,최영미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 adaptation and social ident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middle entry status. To do this, we used data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leased in 2015,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Tobit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data from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16.8% for general multicultural youths and 22.1% for middle-entry adolescents. In bilingual adaptation, both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middle immigrant adolescents take the largest share of Korean language (76.2% of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46.9% of middle adolescent adolescents) who are better than parents of migrant backgrounds. The level of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was 10% higher than that of middle - aged adolescents in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number of admitted middle - aged adolescents (18%) was slightly higher than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12%). The effect of social identity was positive in both general self - esteem and self - 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other words,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igratory background,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middle adolescent adolescents differed. Based on this, I suggested policy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이중언어적응 및 사회정체성과 우울 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고, 중도입국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2015년 발표한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우울 수준은 지난 1년 동안 우울을 지속적으로 2주 이상 경험한 비율은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이 16.8%, 중도입국청소년 22.1%로 중도입국 청소년이 더욱 열악하다. 이중언어적응은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과 중도입국청소년 모두 한국어를 이주배경 부모의 언어보다 잘하는 유형(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 76.2%, 중도입국청소년46.9%)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응 수준은 통합형 유형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이 중도입국 청소년보다 10% 가량 많았고, 주변화는 중도입국청소년(18.%)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12%)보다 다소 많았다. 사회정체성에 따른 영향은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은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자부심이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인 반면 중도입국 청소년은 자아존중감만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즉 이주 배경에 따른 상이한 특성으로 인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과 중도입국 청소년이 차이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로 구성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화정체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승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1

        This article examines how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cultural identity affect acculturative stress of mul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1,197 multicultural students using the 5th wave (2015)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are,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is. The higher multicultural identity is,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is. On the other hand, having higher Korean culture oriented identity causes higher acculturative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policy improvements to reduce acculturative stress of mul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화정체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5차 연도(2015) 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1,197명이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외국부모문화정체성과 한국문화정체성의 통합적 형태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역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국가정체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동향

        선곡유화,박순덕,이영선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3 다문화와 평화 Vol.7 No.2

        이 연구는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과거 10년 동안 국내 전문 학술지에 발표된 총 38편의 문헌들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 동향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 유형과 연구의 주제를 분석하고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연구결과물은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라는 동일한 연구 주제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자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비롯하여 연구가 이루어진 환경의 다양성, 측정도구의 다양성 및 각 요인간의 상호작용 효과 등은 본 연구를 통해 종합된 결과를 일반화하여 해석하는 데 있어서 제한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관한 문헌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 사회에서 요구되는 올바른 다문화 인식 및 태도 함양을 위한 대학생 대상의 연구방향을 포괄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의 유형은 대부분 조사연구였으며, 질적 연구, 문헌연구 및 실험연구는 소수였다. 조사 연구는 주로 차이 검증, 상관관계와 회귀분석 중심이었고, 다문화 인식과 태도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 등은 거의 없었다. 또한, 기존의 비교연구 대상 국가인 미국, 중국, 일본 간의 연구는 있었지만,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기타 다문화 가정 구성원의 출신국가 간과의 비교, 그리고 국가 내에서도 지역에 따른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Maddens 외(2000)가 지적한 바와 같이 국내 지역 간의 비교분석도 세분화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고 또 다문화 행동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질적 연구 수행자들이 주관적인 지각으로 심리적 영향을 미칠 경우가 있어 해석 단계에서 중립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양적 연구가 중요하다(박명희, 김경식, 2012; 주영신, 이민창, 2012)는 관점도 있으나, 양적조사를 수행한 많은 연구자들이 설문지의 결과만으로는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고 응답자들의 깊이 있는 논의들을 이끌어내는 데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다(강진구, 2008; 서현아 외, 2011; 어성연, 양정혜, 2012; 임도경, 김창숙, 2011; 최유경, 전홍주, 2011; 홍은미, 김선아, 2009). 그러므로 양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심층 인터뷰 등 질적 연구방법을 통합한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을 활용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자료를 통해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이해와 주요 변인들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 대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주제는 주로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실태 연구와 다문화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 외에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교사교육 관련 연구, 다문화 태도 측정도구 개발연구 등이었다.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개발 연구와 다문화 인식 및 태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교육과정 및 강좌는 다문화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서현아 외(2011)가 지적하듯이, 직접적인 경험으로 문화 차이에 대한 섬세한 이해를 돕고, 자신의 문화정체성에 대한 통찰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체험 중심의 다문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는 강좌와 체험 학습이 실질적으로 연계될 때 교육효과가 증진되기 때문이다(Smith et al, 2009). 한편, 다문화 인식과 태도에 대한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이 연구에서 다룬 많은 연구가 다문화 인식과 태도를 묶어서 연구를 진행되었는데, 이는 측정도구 문제와 무관하지 않다. 즉,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태도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다문화 인식과 태도를 하나의 구인으로 개념화하고 측정하여 인식과 태도 척도를 나누어 분석하기가 쉽지 않다. 이 연구가 인식과 태도를 묶어 다룬 연유도 그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추후 다문화 인식 측정도구와 다문화 태도 측정도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인식에 대한 연구와 태도에 대한 연구를 분리하여 심층적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4가지 범주(개인, 성향, 경험, 역량 요인)로 분석한 결과, 개인적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종교 등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부모의 의식이 영향을 미치며, 고학년일수록 다문화 인식 및 태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향적 요인은 일반적인 심리상태와 다문화에 관한 생각으로 편견, 가치관, 자신감 등 여러 변수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가변함으로 고차원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기초적으로 심도있게 다루어야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경험 및 교육체험요인이 가장 많은 연구에서 유의미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직접적인 다문화체험과 현장학습을 통한 다문화교육경험이 가장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역량요인은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수용성이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정적인 영향 요인으로 상호작용하는 변수로 파악되었다. 또한 역량 요인의 구성요소는 기술이나 기능적 속성을 가지고 있어, 그것을 뒷받침하는 지식과 인식의 질에 따라 수시로 상호 작용하는 후천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 지식을 근거로 하여, 정서적인 인식 및 태도와 기술 기능이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며 계속적으로 강화될 수 있는 요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다문화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요인들이 다문화 인식과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 그것이 중재요인인지, 조절요인인 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영향 요인들 간의 상호 관계도보다 심층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위하여 비슷한 또는 다른 문화권의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와의 비교를 다룬 연구나 이러한 연구에 대한 동향 연구가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을 경험하고 자란 초중등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를 탐색하고 수행된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동향을 파악하는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하고 체계적인 방법을 활용한 연구를 통해 다문화 인식과 태도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라는 주제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양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질적 연구방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면서도 심층적인 결과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다문화 인식과 태도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개념 또는 구인으로서 평가하고 변화를 살펴온 것과 달리,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태도에 대한 보다 명확한 개념 정립에 기반 하여 타당하고 신뢰로운 측정 도구가 개발되고 이를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다문화 인식과 태도를 구성하는 다양한 변인들이 파악될 수 있고, 교수적 또는 경험적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 하는데 주요 평가 도구로 활용됨으로써 다문화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factors of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toward multiculturalism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tal 38 studies were analyzed, selected from 30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3 to the present in Korea.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main research themes include exploring indicating factors of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discovering current status of those, examin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a psychometric measure of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multuculturalism. Regarding indicating factors, experiential, dispositional, personality and competence factors were the meaningful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multuculturalism.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will be provid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중학생을 중심으로

        박정윤 ( Jeong Yun Park ),채지은 ( Ji Eun Chae ),조몽적 ( Mengdi Zha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2

        최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안정적인 학교적응을 돕고자 다문화가정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 규모, 본인과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 정도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통제, 활력성, 호기심, 대인관계, 낙관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통제, 활력성, 대인관계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자아탄력성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school adaptation to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is emphasized recent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chool adaptation to help stabl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5th year data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y group in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ea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live,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of themselves and their foreign parent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foreign parents. Seco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ontrol, vitality,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ptimism, which are sub-factors of self-resilience. Third, the lower the level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vit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is a lower factor of ego-resilience, the better school adaptation. In addition,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as the highest in ego-resilience, followed by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thesis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to help th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suggested suggestions for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nd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관련 학술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장영은,성미영,장문수,김성석,임아름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3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known to have difficulty in language development such as lower level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ability because their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years is influenced by non-Korean parents. Therefore, more research interest on language development and educ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Korean ability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interest in languag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academia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systematic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We conducted a word cloud analysis focusing on research types, topics, and research methods based on 113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0 to 2018. As a result, first, the number of studies in the period showed an increase and decrease over time but an slight overall decrease. Second, most of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re is a lack of language development studies for toddlers who are experiencing rapid developmental periods. Third, research on multicultural preschoolers was mainly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on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for further research on multicultural preschool language developme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ademic research trends, it was confirmed that policy research related to language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lagged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olicy research focusing on language education and programs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helped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literatures in language development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vided the future direction in research in Korean education for the children.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닌 부모의 영향을 받아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음운인식능력이 낮고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능력이 낮은 등의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 교육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라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학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대한 관심을 이와 관련한 연구결과가 체계적으로 축적되고 있는지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를 주제로 한 113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연구유형, 그리고 연구방법을 축으로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해당기간 연구의 편수는 증감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대다수의 연구가 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급격한 발달시기를 경험하는 영아기에 대한 언어발달 연구는 부족하여 영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 유아 관련 연구가 양적연구 위주로 실시되었는데, 다문화 유아 언어발달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해서는 질적 연구를 더 수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술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와 관련된 정책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교육과 각종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는 정책연구의 확대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의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언어발달 현황을 파악하고 언어발달 지원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