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부모의 공감능력이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초등교육과정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진현경,손주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1

        This study made a start fro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empathy ability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causes a positive influence on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that empathy ability should be enhanced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spent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a different cultural area from their children, can build affective sympathy through literary works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empathy ability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 in order to suggest a directivity for the positiv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effective measures for education policy targeted on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ly,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to analyze if the empathy elements in the literary work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provided support for the increase in empathy ability and it was intended to prove and analyze the influence caused by empathy ability on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The analysis result displayed that elements of empathy caus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empathy ability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empathy ability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policy for the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based on their requirements and m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is necessary for providing positive impacts to their parental rearing through enhancing their empathy ability. 본 연구는 다문화학부모의 공감능력이 자녀양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다문화학부모의 공감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자녀와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아동・청소년기를 보낸 다문화학부모가 자녀와 공유할 수 있는 초등교육과정의 문학작품을 통해 정서적・인지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문화학부모의 공감능력과 자녀양육의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다문화학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방향성과 다문화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정책의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교육과정에 해당하는 문학작품 속 공감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문학 활동 참여자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또한 다문화학부모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로 공감능력이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문학작품 속 공감요소들은 다문화학부모의 공감능력 증대에 도움을 주었으며 이는 양육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공감능력과 양육태도의 영향관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학부모 대상 교육의 방향을 수요자 입장을 고려한 교육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공감능력을 향상시켜 자녀양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경기도 다문화사업 담당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복선,박미정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argeting the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project, and also to seek for the direction and main contents of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120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Workshop for Teachers & Manag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ject in Gyeonggi-do' in December 2017, and total 76 questionnaires(63%) out of the collected 7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project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such as age,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and experience in taking charge of multicultural students as control variables.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confidence in interaction(β=.394, p<.001) and the participation in interaction(β=.248, p<.05)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order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lso, the confidence in interac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knowledge compet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β=.569, p<.001) while the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and the confidence in interac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technical compet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significance level( .05), there were no multicultural sensitivity factors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woul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of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project, and the 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with other cultures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knowledge competency and technical compet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업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다문화 교사교육 방향과 주요 내용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12월 ‘경기도 내 다문화교육 사업 담당교사 및 관리자 워크숍’에 참석한 교원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77부의 설문지 중 76부(63%)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다문화사업 담당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문화교육 역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인 연령과 다문화교육 연수, 다문화학생 담임경험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감수성의 상호작용 자신도(β=.394, p<.001), 상호작용 참여도(β=.248, p<.05) 순으로 다문화교육 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호작용 자신도는 다문화교육의 지식 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569, p<.001), 상호작용 참여도와 상호작용 자신도는 다문화교육의 기술 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의 수준 .05 기준에서 다문화교육 역량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감수성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업 담당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증진에 다문화 감수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타문화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자신감과 참여 정도가 다문화교육의 지식 역량과 기술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교육 자본화를 위한 다문화 범주화와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질적 연구

        김정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1

        This study is performed for the multi-cultural household teenagers to know how they accept multi-culture, the level of their acceptance, and the ways of educationally developing them for educational capitalization. The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with free writing technique,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s in cultural area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teenagers don't feel negative toward being categorized as multi-cultural, and the level of their accepting multi-culture is very high. To make the multi-cultural teenagers the efficient and effective educational capital, it had better to focus on their personal global links and potential assets supporting age-customized policies, instead of the present additional "multi-cultural" support, and to educate their parents with proper parental classes. At the same time it is essential to have programs for Koreans to make them global citizens to shy away from the stereotypical and one-side view against those from third countries.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출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다문화로 범주화 되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또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어느 정도이며 이들을 인적 자원으로서 교육 자본화 할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문화영역분석의 자유기술 기법과 심층면담, 관찰을 통한 분석적 귀납이 차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자신들을 ‘다문화’로 호칭하고 범주화 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이지 않았으며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통한 교육 자본화를 위해서는 다문화에 초점을 맞춘 별도의 지원보다는 개개인이 가진 글로벌 연결고리들을 활용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나이에 맞는 정책적 지원과 함께 다문화 가정을 이룬 부모들에 대한 교육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한국인 모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글로벌 시민교육이 진행되어 아직도 남아있는 출신 국에 따라 달리 바라보고 행동하는 편견과 고정관념이 사라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로 구성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화정체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승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1

        This article examines how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cultural identity affect acculturative stress of mul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1,197 multicultural students using the 5th wave (2015)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are,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is. The higher multicultural identity is,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is. On the other hand, having higher Korean culture oriented identity causes higher acculturative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policy improvements to reduce acculturative stress of mul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화정체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5차 연도(2015) 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1,197명이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외국부모문화정체성과 한국문화정체성의 통합적 형태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역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국가정체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 교양강좌 개설의 근거와 요건 탐색

        박희진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requirements for designing undergraduate liberal arts courses based on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mission and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ity's mission, and explored the conditions of undergraduate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sign of undergraduat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discussions on global citizenship a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in the multicultural era were examined. Next, by examining at what level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is understood and implemented, in terms of the system, the cognitive level(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affective level(change of values ​​and attitudes through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and the practical level( solidarity and growth), a step-by-step approach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content, and a multicultural-friendly attitude of instructors and requirements for lecture culture in terms of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iv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undergraduate liberal arts courses as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시대 시민교육으로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토대로 학부 교양강좌를 설계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과 실제적 요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사명이라는 맥락에서 시민교육의 사명과 지향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강좌의 조건을 탐색해보았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강좌 설계를 위한 이론적 기초로, 다문화교육의 목표로서의 세계시민성 논의와 다문화시대 시민성 논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교육의 영역이 어떠한 차원에서 이해되고 실행되는지 검토하여, 체계의 측면에서는 인지적 차원(지식과 정보), 정의적 차원(소통, 성찰을 통한 가치와 태도변화), 실천적 차원(연대와 성장)으로 구성된 모델을, 내용적 측면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단계적 접근 모델을, 운영 측면에서는 다문화친화적 교수자의 태도와 강좌문화의 요건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다문화시대 시민교육으로서 학부 교양강좌를 설계와 개설, 실행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북아일랜드 통합교육이 한반도 평화교육에 주는 함의

        차승주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2

        As the first step to developing a Korean peninsula-type peace education model, this study looked at the case of efforts to create a culture of peace and establish peace through education,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education in Northern Ireland, despite long-standing conflicts and conflicts. Through thi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that Korea’s peace education should go in the future,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needed to build a model of ‘Korean Peninsula-style peace educ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e case of integrated education in Northern Ireland for peace edu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the socialization of division and the reproduction of division through socialization should be stopped, and the socialization of peace and the socialization of de-division should start from ‘now’ and ‘here’. Second, the integrated education movement in Northern Ireland can be evaluated as a successful case in which parents took the lead and achieved public education reform from the bottom up, in which everyone is not excluded and discriminated against for their children and the local community to which they belong. It can be seen that attempts to realize peace through education can produce meaningful results only when the capacity, passion, and will of all educational subjects, including the government, education experts, community members, parents, and students, are combined. Third, integrated education in Northern Ireland realized universal values and democratic inclusiveness pursu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UNESCO. Fourth, integrated education, which was actively encouraged to overcome a divided society due to sectarian separatism during times of conflict, not only stiffened after the signing of the peace treaty, but also lost its meaning. It can be seen that our peace education will also require changes in its goals and character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ituation, such as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or a peace treaty. 본 연구는 한반도형 평화교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오랜 시간 분쟁과 갈등을 겪었으나 교육을 통해 평화의 문화를 만들어내고 평화를 정착시키려고 노력하는 사례를 북아일랜드의 통합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평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는 한편, ‘한반도형 평화교육’ 모델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그 결과 북아일랜드의 통합교육 사례가 한반도 평화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분단의 사회화, 사회화를 통한 분단의 재생산을 멈추고 평화의 사회화, 탈분단의 사회화가 ‘지금’, ‘여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둘째, 북아일랜드의 통합교육운동은 학부모들이 전면에 나서서 내 아이를 위해, 내가 속한 지역공동체를 위해 모두가 배제되지 않고 차별받지 않는 아래로부터의 공교육 개혁을 이루어낸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교육으로 평화를 구현하려는 시도는 정부, 교육전문가, 지역사회 구성원, 학부모, 학생에 이르기까지 모든 교육 주체들의 역량과 열정, 의지가 결집되어야 비로소 의미있는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북아일랜드 통합교육은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사회가 추구하는 보편적 가치와 민주적 포용성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현했다. 넷째, 분쟁 시기에 종파분리주의로 분단된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장려되었던 통합교육이 오히려 평화협정 체결 이후에 경직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의미가 퇴색된 상황을 통해 우리의 평화교육 역시 종전선언 또는 평화협정과 같은 정세의 변동에 따라 목표와 성격의 변화가 요청될 것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KJ법을 통한 사례 연구

        박애스더,서은숙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322 middle school students’ free writing answers to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e past year according to the KJ method, thre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erived: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Educational Demand”,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367 labels. The sub-content of the groups is as follows. First, “Education Content” was largely composed of “Multicultural Acceptance Development, “Acquisi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iv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building Ability.” Seco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Negative” and “Posi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negative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xceeded the positive. Third, the “Demand fo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mand for “Enh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s a minor opinions who are “Opposing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consumers.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 간 받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유기술 답변을 질적 사례 연구방법인 KJ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내용’, ‘평가’, ‘요구’라는 총 3개 그룹이 도출되었다. 사례 수가 많은 순으로 각 그룹의 구성 내용을 보면 첫째, 교육 내용은 ‘다문화수용 태도 계발’, ‘지식 정보 습득’, ‘긍정적인 관계형성능력 함양’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육에 대한 평가는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상회하였다. 셋째, 교육에 대한 요구는‘교육의 변화’, ‘교육 기회 증진’이 도출되었고 교육의 확대를 반대한다는 소수 의견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교 다문화교육 개선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다문화교육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부모들의 다문화교육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 분석

        이상진,장인실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2

        This study aims to hav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ies by analyzing parent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ies and factors affecting them based on the 9th data of the 1st MAPS. To this end, we analyzed how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perceive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among the first data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eferred to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so that they were not revealed to be multicultural,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eferred to selectively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their family conditions, and self-esteem,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academic background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suggests tha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careful not to reveal the fact that they are “multicultural” when suppor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the future, and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 지원정책에 대한 다문화가정 학부모들의 인식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 다문화교육 지원정책 수립 시 방향성에 시사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 9차 데이터 중 다문화가정 학부모가 다문화교육 지원정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 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학부모들은 다문화교육 정책 지원 시 다문화가정임이 드러나지 않게 지원해주길 선호하였으며 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학부모들은 다문화교육 정책 지원 시 전체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지원하기보다 가정형편을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교육 정책 지원 시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다문화가정’이라는 사실이 드러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과 다문화가정의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이중언어적응, 사회정체성과 우울

        송영호,최영미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 adaptation and social ident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middle entry status. To do this, we used data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leased in 2015,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Tobit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data from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16.8% for general multicultural youths and 22.1% for middle-entry adolescents. In bilingual adaptation, both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middle immigrant adolescents take the largest share of Korean language (76.2% of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46.9% of middle adolescent adolescents) who are better than parents of migrant backgrounds. The level of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was 10% higher than that of middle - aged adolescents in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number of admitted middle - aged adolescents (18%) was slightly higher than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12%). The effect of social identity was positive in both general self - esteem and self - 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other words,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igratory background,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middle adolescent adolescents differed. Based on this, I suggested policy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이중언어적응 및 사회정체성과 우울 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고, 중도입국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2015년 발표한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우울 수준은 지난 1년 동안 우울을 지속적으로 2주 이상 경험한 비율은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이 16.8%, 중도입국청소년 22.1%로 중도입국 청소년이 더욱 열악하다. 이중언어적응은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과 중도입국청소년 모두 한국어를 이주배경 부모의 언어보다 잘하는 유형(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 76.2%, 중도입국청소년46.9%)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응 수준은 통합형 유형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이 중도입국 청소년보다 10% 가량 많았고, 주변화는 중도입국청소년(18.%)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12%)보다 다소 많았다. 사회정체성에 따른 영향은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은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자부심이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인 반면 중도입국 청소년은 자아존중감만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즉 이주 배경에 따른 상이한 특성으로 인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과 중도입국 청소년이 차이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포상담당관의 봉사경험에 나타난 다문화인식에 관한 연구

        최원희,박미숙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coordinators’ multiclutural awareness on their service experience and to provide the plan for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y. For this, this study did in-depth interview with six award coordinators and analyzed their experience in terms of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cognition, emotion, and ac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ward coordinators were aware of multicultural youths through their service. As multicultural youths were in the marginalized environments, they were recognized as being familiar with the donation. Second, the award coordinators had empathy with and interacted with the multlcultural youths. They played the parental roles and found their strengths. Third, the award coordinators changed their won actions for multicultural youths. They understood the youths and provided the useful information for the youths and their parents. Based on thes results, this study provided the plan to enhance multicultural awarness and competency. This study expects that the opportunity to enhance multicultural awarness and competency will be extend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청소년포상제 포상담당관이 다문화청소년과 함께한 봉사활동에 나타난 다문화인식의 변화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상담당관의 다문화역량 증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포상담당관 6명을 심층인터뷰하고 이를 다문화인식의 인지적인 측면과 공감적인 측면, 행동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포상담당관들은 포상제 활동을 통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해 새롭게 인지하게 되었다. 다문화청소년들은 부모와 사회에서 소외되고 불안한 환경에 놓여 있어 자기주도활동이 안되고, 받는 것에 익숙해져 있는 아이들로 인식되었다. 둘째, 포상담당관들은 다문화청소년들을 공감하며 포상제 활동을 통해 상호작용하였다. 이들은 자기주도활동을 위해 부모역할을 하거나 다문화청소년의 강점을 찾아 지지해주어 마음의 교감을 이루며 활동을 지속하였다. 셋째, 포상담당관들은 포상제 활동을 통해 다문화청소년들을 위한 행동의 변화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이해하게 되고 이들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찾아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부모에게 전달해 주고 포상제 운영의 변화를 촉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포상담당관의 다문화인식 및 다문화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포상담당관은 물론 다양한 분야에서 다문화인식을 확대하고 다문화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