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재’라는 호명의 독

        박소정(Sojeong Park)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3

        본 연구는 최근 대중문화 속에서 ‘아재’ 코드가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구축 및 회복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아저씨’의 방언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지닌 아재는 최근 2∼3년 사이 온라인상에서 특정한 정체성과 코드를 포괄하는 말로 전유 및 확산되더니, 이제는 지상파 TV 프로그램에서까지도 공공연히 사용하는 유행어가 되었다. 그 과정에서 아재가 의미하는 바를 둘러싼 호명의 정치가 이루어졌고, 결과적으로 아재는 단순히 인구통계학적인 차원에서의 중년 남성(man)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의미가 뒤섞여 인식되는 특정한 형태의 남성성(masculinity)을 지칭하게 되었다. 그 남성성을 본 연구에서는 세대와 젠더의 교차점에서 고찰되어야 할 교차적 정체성으로 주목한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위기를 맞이하고 저항적 청년문화의 공백이 문제시되는 가운데, 과거의 남성 청년이던 아재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소환해낸다. 더욱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재가 소환해낸 구시대의 남성성에 청년들이 의식적으로든 부지불식간에든 동의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아재라는 호명은 오래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친근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그리고 새로운 코드인 마냥 향유하게 만듦으로써 한국의 남성 동성사회성과 젠더 위계를 공고화한다.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젠더역학과 윤리적 결함에 대해 해석하고 비판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Ajae’ code of popular culture constructs or restores hegemonic masculinity. ‘Ajae’ originally means ‘middle-aged man’, but it has been appropriated by young people of online subculture with the intention of satirizing middle-aged men. As it became a fad word, mainstream media such as terrestrial TV programs have re-appropriated the term to include different aspects of masculinity. As a result, Ajae has become a multidimensional term that requires explanation. Ajae is not just a middle aged ‘man’, but a ‘masculinity’ which should be explored at the intersection of gender discourse and generation discourse. While hegemonic masculinity is at stake and the absence of resistant youth culture is questioned, Ajae, who was a male youth in the past, summons hegemonic masculinity. What is more problematic is that there is a movement in which young people either consciously or unknowingly agree with that masculinity. The interpellation of Ajae makes old hegemonic masculinity spread as a new identity code in a friendly and safe way, thereby consolidating the homosociality of Korean men and gender hierarchy between men and wome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riticize gender dynamics and ethical flaws in this discursive process.

      • KCI등재

        PMN-PZT/Ni 자기-전기 복합체에서 단결정 압전 모드에 따른 자기장 감도 특성

        박소정 ( Sojeong Park ),( Mahesh Peddigari ),류정호 ( Jungho Ryu ) 한국센서학회 2020 센서학회지 Vol.29 No.1

        Magnetoelectric (ME) composites were designed using the PMN-PZT single crystal and Ni foils; the properties and magnetic-field sensitivities of ME composites with different piezoelectric vibration modes (i.e., 31, 32, and 36 modes that depend on the crystal orientation of the single crystal) were compared. In the off-resonance condition, the ME coupling properties of the ME composites with the 32 and 36 piezoelectric vibration mode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ME composites with the 31 piezoelectric vibration mode. However, in the resonance condition, the ME coupling properties of the ME composites were almost similar, irrespective of the piezoelectric vibration mode. Additionally, in the off-resonance condition (at 1 kHz), the magnetic-field sensitivity of the ME composites with the 36 piezoelectric vibration mode was up to 2 nT and those of the ME composites with the 31 and 32 piezoelectric vibration modes were up to 5 nT. These magnetic-field sensitivities are similar to those offered by conventional high-sensitivity magnetic-field sensors; the potential of the proposed sensor to replace costly and bulky high-sensitivity magnetic field sensors is significant.

      • KCI등재

        조영증강 초음파 진단에서 호흡에 의한 움직임 보정 기법

        박소정(SoJeong Park),이승강(Seung-Kang Lee),김호준(Ho-Jo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40 No.3

        본 연구에서는 의료 진단 초음파 진단과정에서 호흡으로 인한 흔들림 현상을 보정하는 ROI 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조영증강 초음파 진단에서 조영효과의 전이시간(transit time)은 간 섬유화 정도를 판별하는 중요한 파라미터로 사용된다. 조영증강 초음파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마이크로 버블 형태의 노이즈와 호흡에 의한 흔들림 현상은 픽셀단위의 영상처리 과정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유사도(similarity)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ROI 추적 과정에서 성능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를 위하여 초음파 진단 데이터에서 조영제 확산효과의 측정 곡선을 4개의 단계로 구분하고, 단계의 특성과 호흡주기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모멘텀 요소를 고려하여 동적 가중치를 정의하였다. 제안된 방법이 초음파 진단에서 호흡에 의한 흔들림을 보정함으로써 간 섬유화 진단과정에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I tracking method for correcting the respiratory motion in ultrasonography. The transit time of contrast-enhanced ultrasound is an important parameter to assess the stages of liver fibrosis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 Respiratory motion and micro-bubble noise in the ultrasound data may bring some difficulties in pixel-based image processing and may be the cause of performance degradation in similarity-based ROI tracking processes. We have classified the time-intensity curve into four stages and defined the dynamic weights which reflect the momentum of the respiratory motion. Through the experiments, we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liver-fibrosis assessment process by compensating the respiratory motion in ultrasonography.

      • KCI등재
      • KCI등재

        K-뷰티의 미백 문화에 대한 인종과 젠더의 상호교차적 연구를 위한 시론

        박소정(Sojeong Park),홍석경(Seok-Kyeong 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2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한류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소위 ‘K-뷰티’라고 불리는 한국의 뷰티 문화도 반향을 얻고 있다. K-뷰티에 대해서는 주로 시장의 성과 측면에서만 조명되고 있으나, 한 사회의 뷰티 규범은 젠더 및 인종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임과 동시에 주체와 권력의 문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질적인 해석이 요구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해 본 연구는 K-뷰티의 핵심인 미백이 인종과 젠더의 차원이 교차하는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떠한 논의를 생산해내고 있는지를 최근 한국 아이돌 그룹의 미백 보정 사진을 둘러싸고 일어난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K-뷰티의 핵심적 관습으로서의 미백이 백인 모방이라고 비판하는 입장과 오히려 그러한 비판 자체가 식민제국주의적 권력임을 주장하는 입장이 맞서는 과정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적 상상력에 비판적인 재고 및 수정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더불어 논쟁이 남성 아이돌에 집중된 양상을 들여다볼 때, 백인 남성 중심의 세계 인종 및 젠더 질서 안에서 새로운 영역 및 남성성의 대안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아시아 남성을 발견할 수 있다. K-뷰티가 만들어낸 상호교차적 정체성의 수행은 향후 더 구체적인 질문을 동반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으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Hallyu, Korean beauty culture called ‘K-beauty’ is gaining its popularity. While K-beauty has proved its power via market figure, it also requires more qualitative 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eauty norm of a society i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gender and racial identity performance but also raises the issue of subject and power.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this study examines the skin-whiten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which is the core of K-beauty conventions and explores what kind of changes and challenges it produces in terms of racial and gender imagery of Asians. Recently, some international fans of K-pop have accused the photos of K-pop idols as ‘whitewashing’, but others refute this perspective as ‘yellowwashing’, thereby triggering the critical debate on the racial identity and performativity of Asians. Moreover, as whitewashing/yellowwashing debate is focused on male idols, it also raises the questions in terms of gender performativity. The soft masculinity of Korean male idols is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against toxic masculinity of western society. Thus, the intersectional identity performativity produced by K-beauty needs to be recognized as a new field of research.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한류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소위 ‘K-뷰티’라고 불리는 한국의 뷰티 문화도 반향을 얻고 있다. K-뷰티에 대해서는 주로 시장의 성과 측면에서만 조명되고 있으나, 한 사회의 뷰티 규범은 젠더 및 인종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임과 동시에 주체와 권력의 문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질적인 해석이 요구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해 본 연구는 K-뷰티의 핵심인 미백이 인종과 젠더의 차원이 교차하는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떠한 논의를 생산해내고 있는지를 최근 한국 아이돌 그룹의 미백 보정 사진을 둘러싸고 일어난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K-뷰티의 핵심적 관습으로서의 미백이 백인 모방이라고 비판하는 입장과 오히려 그러한 비판 자체가 식민제국주의적 권력임을 주장하는 입장이 맞서는 과정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적 상상력에 비판적인 재고 및 수정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더불어 논쟁이 남성 아이돌에 집중된 양상을 들여다볼 때, 백인 남성 중심의 세계 인종 및 젠더 질서 안에서 새로운 영역 및 남성성의 대안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아시아 남성을 발견할 수 있다. K-뷰티가 만들어낸 상호교차적 정체성의 수행은 향후 더 구체적인 질문을 동반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으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Hallyu, Korean beauty culture called ‘K-beauty’ is gaining its popularity. While K-beauty has proved its power via market figure, it also requires more qualitative 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eauty norm of a society i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gender and racial identity performance but also raises the issue of subject and power.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this study examines the skin-whiten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which is the core of K-beauty conventions and explores what kind of changes and challenges it produces in terms of racial and gender imagery of Asians. Recently, some international fans of K-pop have accused the photos of K-pop idols as ‘whitewashing’, but others refute this perspective as ‘yellowwashing’, thereby triggering the critical debate on the racial identity and performativity of Asians. Moreover, as whitewashing/yellowwashing debate is focused on male idols, it also raises the questions in terms of gender performativity. The soft masculinity of Korean male idols is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against toxic masculinity of western society. Thus, the intersectional identity performativity produced by K-beauty needs to be recognized as a new field of research.

      • 부산 지역 대학생의 ‘ㅂ 불규칙 활용’ 양상에 대하여

        박소정(Sojeong Park),이진욱(Jinwook Lee) 한국어문교육학회 2012 어문학교육 Vol.45 No.-

        이 논문은 부산에서 태어난 부신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ㅂ 불규칙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경상도 방언은 ㅂ 불규칙 활용을 ㅂ 규칙 활용으로 한다고 알려져 있다. 부산교육대학교 학생은 초등학교 교사가 되어 초등학생을 가르친다.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표준어와 방언에 대하여 학습하게 된다. 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때 교사의 언어는 절대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상도 방언을 사용하는 예비교사를 분석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조사방법으로는 질문지법과 관찰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각 용언을 ㅂ불규칙 활용을 하는 경우와 ㅂ 불규칙 활용을 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통계를 내고, 전체적 양상, 품사별, 남녀별 양상, 부모 출신지별 양상, 음절수별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ㅂ 불규칙 활용을 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았으나 ㅂ규칙 활용을 하는 학생의 비율도 적지 않았다. 교사의 방언이 학생들을 가르칠 때 어떤 영향을 미칠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thesis is analyzing the aspect of using irregular [P]sound at the end of verbs, adverds and adjectives. And the analysis have the students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o were born in Busan as the object. Generally, regional dialect of Gyeongsang-do is known as using regular [P]sound, instead of using irregular [P]sound. The students of BN1UE will soon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teacher. Following the changed curriculum in 2011, elementary students learn about regional dialects and the standard one. The language teacher uses is absolute to students when supplying essential materials for learning it. So,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re- teachers who are using regional dialect of Gyeongsang-do. Survey used observation and question paper as its method. The way of this analysis goes like this. First, it made statistics of the verbs, adverbs and adjectives, divided as using irregular [P]sound and regular [P]sound. And then, analyzed with the aspect of overall, parts of speech, sexes, native places of parents, numbers of syllab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using irregular [P]sound was higher than regular [P]sound. But the ratio of the students using regular [P]sound was considerable. We need another following study of effects of teachers’ regional dialect when teaching.

      • KCI우수등재

        일본 내 글로벌 SVOD 서비스를 통한 한국 드라마 수용

        박소정(Sojeong Park),장인희(Inhee Jang),홍석경(Seok-Kyeong Hong) 한국언론학회 2021 한국언론학보 Vol.65 No.3

        The current popularity of Korean dramas in Japan—including Crash Landing on You (tvN, 2020), which ranked first place in the 2020 rankings of Netflix Japan—is suggesting the emergence of a 4th Hallyu in Japan, implying a change in the reception of Korean dramas among the Japanese audience.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specific aspects of this change by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Japanese audience who watch Korean dramas on Netflix. What is new about the current Hallyu phenomenon in Japan, where global SVOD platforms mediate Korean dramas? Furthermore, what significance can we interpret from thi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8 Japanese viewers of different ages and gender and observed Japanese news articles on the 4th Hallyu or Crash Landing on You. Our findings reveal that Netflix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ttracting Japanese viewers to Korean dramas as it provides the latest Korean dramas in real-time and its recommendation system prompts the audience to explore more Korean dramas. Secondly, another remarkable reason that the Japanese audience chooses Korean dramas among other various global content is the growing quality of Korean dramas. With the qualitative turn in the 2010s, Korean dramas have been gradually growing in scale and in quality through changes in production systems and with the production of Korean Netflix Originals. These changes have shifted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Japanese people have had of Korean dramas, that they mostly show old-fashioned melodramatic stories or light romantic comedies aimed primarily at the female audience. All of the interviewees had a high opinion of the current Korean dramas, saying that they are a good blend of sophisticated stories and spectacular scenes. Therefore, among Japanese viewers, Korean dramas are regarded as an outstanding form of global content rather than the content that Japanese people consume based on nostalgia or cultural proximity. Lastly, this study discusse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reception of Korean dramas by the Japanese audience. While politic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have not met a positive moment for the last several years, the reception of Korean dramas seems to promote cultural exchanges and mutual awareness in terms of cultural politic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 narratives and characters of recent Korean dramas provide progressive milestones for feminism and gender discourse in Japanese society. In conclusion, Korean dramas are shifting to a more high-quality global content that represents the future of drama production in Japan, beyond the nostalgic or romcom-style content consumed based on cultural proxim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