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테마파크 이벤트프로그램 屬性의 滿足度에 관한 硏究

        朴玹祐(Park, Hyun-Woo),孫善美(Son, Seon-Mi)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08 관광산업연구 Vol.2 No.2

        In recent years, theme parks and events have become the most favorite modes of the mass tourism and leisure. This article analyses the difference from the satisfaction of event programs' attributes between visitors at two theme park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86 visitors visiting Korea's two representative theme parks regarded to lead the future industry in Korea.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Everland theme park had four more satisfied attributes: 'uniqueness of event program', 'educational achievement', ' smooth progress', and 'safety on the event zone', and Lotteworld theme park had five ones: 'interesting', 'diversity', 'contents appropriate to the event purpose', 'the events everyone can enjoy', 'information'. The findings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strength and the weakness of the two theme parks.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is field.

      • KCI등재SCOPUS
      • KCI등재

        Multi‑tissue lipotoxicity caused by high‑fat diet feeding is attenuated by the supplementation of Korean red ginseng in mice

        Seon‑A Jang,Seung Namkoong,이성률,Jin Woo Lee,Yuna Park,Gyeongseop So,Sung Hyeok Kim,Mi‑Ja Kim,Ki‑Hyo Jang,Alberto P. Avolio,Sumudu V. S. Gangoda,Hyun Jung Koo,Myung Kyum Kim,Se Chan Kang,Eun‑Hwa Sohn 대한독성 유전단백체 학회 2020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Vol.16 No.1

        Background Excessive intake of fat, one of the causes of obesity, is associated with low-grade infammation in various susceptible organs and eventually causes tissue toxicity. This study examines the multifaceted suppressive efect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KRG) on high-fat diet (HFD)-induced lipotoxicity and infammatory responses in the aorta, liver, and brain. Methods Male C57BL/6 mice were fed HFD with or without KRG for 12 weeks. The improvement efect in KRG on lipotoxicity and infammatory potential was determined in the blood and the aorta, liver, and brain tissues. Results KRG signifcantly inhibited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HMG-CoA) reductase activity by >20% in vitro. KRG supplementation suppressed HFD-associated body weight gain, lipid profle changes, and excessive fat deposition in the liver and increased leptin, insulin, and ALT levels in the blood. Infammatory markers in the aorta, liver, and brain were also signifcantly reduced by KRG treatment. 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the 15% cyclic stretch-mediated upregulation of ICAM-1 and vascular cell adhesion protein-1 (VCAM-1) expression was signifcantly attenuated in the presence of KRG. Conclusion KRG supplementation attenuates HFD-mediated body weight gain, lipid profle changes, and multi-tissue infammatory responses.

      • KCI등재

        혼합치열기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에서 Fra¨nkel functional regulator III의 치료효과

        박정아,양규호,최남기,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4

        본 연구는 혼합치열기 전치부 반대교합 어린이를 대상으로 FR III가 치아와 골격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FR III로 처치한 전치부 반대교합을 지닌 30명의 아동(평균나이 7.9 ± 1.1세 : 평균 치료기간 1.5 ± 0.8년)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에 대한 FR III의 골격적인 효과는 상악의 하방이동이며, 전방이동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하악에 미치는 FR III의 골격적인 효과는 하악의 후하방이동과 SNB의 감소이다. 3. 치아에 대한 FR III의 효과는하악전치 첨부의 후방이동과수평피개의 증가였다. 이상의 결과로 단기간의 FR III 치료는 상악골의 전방이동 촉진효과는 미미하며 상악골의 하방이동,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 수평피개 증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keletal and dental effects obtained by the Frankel functional regulator III in growing children with Class III malocclusions. Cephalometric changes in thirty children at the time of mixed dentition malocclusions(initial mean age, 7.9 ± 1.1 years; mean treatment duration. 1.5 ± 0.8 years)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keletal effects on the maxilla showed a significant downward displacement whereas forward displacement was not 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2. The skeletal effects on the mandib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ackward and downward displacement. 3. The dental eff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ackward movement in the mandibular incisor tip and increase of overjet. The results suggested that forward displacement on the maxilla was insufficient and treatment effects were caused mainly by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maxilla, back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mandible, and the increase of overjet during short period.

      • KCI등재

        하악 우측 측절치에 발생한 선양 치성 종양

        박미선,박호원,서현우,이주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선양 치성 종양(adenomatoid odontogenic tumor)은 악골에 드물게 발생하는 치성 기원의 종양이다. 이전에는 법랑모세 포종(ameloblastoma)의 한 종류로 여겨졌으나 양성이며 재발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상악 견치에 호발하며 대개는 무증 상이지만 크기가 천천히 커져 무통성 종창을 일으킬 수 있다. 방사선학적으로 함치성 낭종(dentigerous cyst) 및 단방성 법 랑모세포종(unicystic ameloblastoma)과 매우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보존적인 소파술(curettage) 및 적출술(enucleation) 을 통해 치료한다. 본 증례는 하악 우측 측절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여자 환아에서 방사선 사진 검사를 통해 치아의 매복 및 병소를 확인하고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치아에는 브라켓을 부착하여 교정적 정출을 유도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선양 치성 종 양으로 확진되었으며 양호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AOT) is an infrequent odontogenic tumor which arise in the jaw. It was considered as a variant of ameloblastoma. The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is clearly benign and, in contrast to the ameloblastoma, present a very low recurrence. It most often appears in the canine region of the maxilla. The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is frequently asymptomatic, however it may cause painless swelling. The radiological findings of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frequently share characteristics of dentigerous cyst and unicystic ameloblastoma. Conservative surgical enucleation and curettage are the treatment of choice. In this case a 10-year-old child was presented with mandibular right lateral incisor in unerupted. Radiographically, the tooth was impacted and a radiolucency was seen in the area. The lesion was enuclated without extraction of the tooth. Bracket was attached on the tooth for orthodontic extrusion installed. Histopathologically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was revealed.

      • KCI등재

        콤포머의 NaOH 용액 내에서의 화학적 분해

        박미란,양규호,최남기,이영준,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2

        이상적인 수복재료는 치아의 저작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생체 적합성과 구강 내 환경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수복물이 장기간 구강 내 환경에 노출되면 수복물 표면의 마모와 변색 및 수복물 자체의 파괴가 발생될 수 있다. 콤포머도 복합 레진처럼 낮은 마모 저항성을 주요한 단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치 수복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Dyract (Dentsply, USA), Elan(Kerr, USA), F-2000(3M, USA)의 3종의 콤포머(polyacid modified resin composites)를 알칼리성 용액(0.1N NaOH)에 보관하였을 때 각 제품의 무게손실, 분해층 깊이 및 시편내에서 용출된 Si, Al과 Ba의 농도를 평가하여 제품간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고 비교를 하고자 하였다. 각 제품 당 6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무게 측정을 한 후, 0.1N NaOH용액, 3㎖에 저장하여 60℃에서 보관하였다. 2주후 제거하여 1.23% HCI로 2시간동안 중화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60℃에서 건조하였다. 분해저항성은 무게손실, 분해층 깊이 및 시편내의 Si, Al과 Ba의 농도 변화를 근거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제품의 무게 손실량은 1.43%~2.14%까지 다양하였으며 제품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각 제품의 표면하 분해층 깊이는 182.92㎛~227.70㎛였으며 제품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각 제품으로부터 용출된 Si, Al양은 각 제품마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Si는 Dyract에서 Al은 F-2000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방출되었다. 용출된 Ba양은 각 제품마다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무게 손실량과 표면하 분해층 깊이 사이의 상관 관계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64, p<0.05). 5.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0.1N NaOH용액에 보관한 후 콤포머기질과 필러사이의 결합의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기질이 소실되어 필러입자가 두드러진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필러입자의 표면은 분해에 의해 탈회된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재 유치 수복에 사용되고 있는 3종의 콤포머는 분해저항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three commercial compomers in an alkaline solution. Dyract(Dentsply). Elan(Kerr) and F-2000(3M) polyacid modified resin composites(compome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mass loss(%), degradation depth(μm) and Si, Al, Ba loss(pp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ass loss of each brand was 1.42%-2.14%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mass loss among Dyract, F2000 and Elan. 2. The degradation layer depth of each brand was 182.92-227.7μm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egradation layer depth among Dyract, F2000 and Elan.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loss and Al-loss among three compomers (p〈0.05). Si loss was the highest value in Dyract and Al loss was the highest value in F2000.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layer depth (r=0.60, p〈0.05). 5. In SEM finding, there was some destruction of compomer matrix-filler interface in post-exposure specimen to NaOH solution. As the matrix decreased, the filler particles distinguished and the periphery of the filler particles appeared whitish color due to degradation.

      • KCI등재

        하악에 발생한 과잉치의 치험례 : A CASE REPORT

        박정아,양규호,,최남기,김선미,장희숙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4

        과잉치는 정상치판(dental lamina)의 과도한 증식이 결과로 발생되어, 가족적 성향을 보이며, 쇄골두개이형성(Cleidocranial dysplasia), Gardner 증후군 등의 여러 질환과 관련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그 빈도는 유치열에서 0.3~0.8%, 영구치열에서 1.0~3.5% 이고, 남성에서 호발되며(2:1), 상악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9:1). 상악에서는 mesiodens라고 불리는 중절치 사이의 위치가 가장 흔한 부위이고, 그 다음은 fourth molar와 측절치 부위이다. 하악에서는 소구치 부위가 가장 흔한 부위이고 전치부위에서는 약 2%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과잉치의 만기 잔존은 치간 이개, 인접한 치아의 맹출 장애, 치근 흡수 등을 야기하고 과잉치와 관련되어 함치성 낭종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본 두 증례는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하악에 발생한 과잉치로, 하악 전치부와 소구치부에 발생한 과잉치를 발거하고 교정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Supernumerary tooth was resulted from excessive proliferation of dental lamina and associated with familial tendency and a congenital syndrome such as Cleidocranial dysostosis or Gardner's syndrome. Incidence reports identify a range of 0.3~0.8% in primary dentition. 1.0~3.5% in permanent dentistion with males being affected twice as frequently as females. maxilla nine times as frequently as mandible. The most common supernumeraty tooth is the mesiodens, which located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the next common site is the fourth molar and lateral incisors. Supernumerary teeth are uncommon in the mendible, but premolars are the most common supernumerary teeth and occurrence is very rare in the incisor region of the mandible of possibility of diastema and cruption failure displacement. rotation of the associated permanent teeth, root resorption and dentigerous cyst with presence of the supernumerary teeth. In this two case, one supernumerary tooth located in the mandibular incisor region, the other supernumerary tooth located in premolar region. We could get normal alignment of mandibular dentition by extract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 Gastric Calcifying Fibrous Tumor : A Rare Cause of Gastric Subepithelial Lesion

        박상훈;오태훈;김병규;강미선;허란;김정연 인제대학교 2011 仁濟醫學 Vol.32 No.-

        석회화 섬유종양은 원인 미상의 흔하지 않은 양성 중앙이다. 이 종양은 복강이나 복막에서 기원하는 경우가 많으나 위에서 기원한 석회화 섬유종양은 매우 드물 다. 건강검진시 위내시경에서 우연히 발견된 위 점막하 종양 평가를 위해 28세 여성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본원에서 시행한 위 내시경에서 위 중간체부에 1.2cm의 평탄한 표면의 위 점막하 종양이 관찰되었다. 초음파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점막하층에 위치한 불균질한 저에코성의 병변과 함께 종양 내부에는 음향 음영을 동반한 다수의 고 에코성의 부위가 관찰되었다. 위 점막하 중앙은 악성종양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내시경적 점막하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 검사결과 종양은 석회화률 동반하는 호산구성 콜라겐 섬유가 풍부한 위 석회화 섬유 종양으로 진단되었다. 이에 위 점막하 중앙에 관한 다른 문헌을 고찰하면서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복잡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치아의 교정적 견인

        박정아,양규호,최남기,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4

        치아종은 치성 종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종종 영구치의 매복이나 맹출지연을 유발한다. 이는 치아를 구성하는 법랑질,상아질,백악질,치수로 구성되며,형태에 따라 복합 치아종과 복잡 치아종으로 구분 된다. 복합 치아종은 다수의 작고 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며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복잡 치아종은 무정형의 치성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치아종의 약 25%를 차지하고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치아종의 병인은 확실치는 않으나 국소적인 외상,감염,유전적 요인이 관여할 것이라 추측된다. 치료는 보존적인 외과적 적출술이 추천되며 재발은 거의 없다. 다음의 두 증례는 각각 하악 제 l대구치와 하악 측절치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들로,매복치 상방의 복잡 치아종을 외과적 적출술을 시행하고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dontomas are the common type of odontogenic tumors and generally are asymptomatic and frequently lead to impaction or delayed eruption of permanent teeth. They are composed of enamel, dentin, cementurn and pulp tissue and are divided into compound and complex according to the morphology of the hard tissues, Compound odontomas consist of varying numbers of small toothlike structure and have a predilection for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s. Complex odontomas consist of an unorganized mass of odontogenic tissues and comprise approximately 25 percent of all odontomas and have a predilection for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s. The etiology of odontomas is uncertain but hypothesized to involve local trauma, infection and genetic factors. Treatment of odontoma is conservative surgical removal and are little probability of recurrence. These two cases were about the patients with delayed erup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and mandibular lateral incisor. We surgically removed odontoma, exposed impacted tooth and guided impacted tooth into normal position by orthodontic traction. At the completion of traction, the mandibular first molar and mandibular lateral incisor was positioned fairly within the arch and complications such as root resorption were not ob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