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 족관절 염좌에 대한 복합 침치료의 효과: 사례군 연구

        조남훈 ( Nam Hoon Cho ),김미령 ( Mi Riong Kim ),정훈 ( Hoon Jeong ),김동섭 ( Dong Sub Kim ),김은수 ( Eun Soo Kim ),박지용 ( Ji Yong Park ),박현민 ( Hyun Min Park ),이진호 ( Jin Ho Lee ),하인혁 ( In Hyuk Ha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4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combined acupuncture treatment on acute ankle sprain patients. The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15 acute ankle sprain patients who visited Jaseng Hospital of Korean Medicine from Oct. 15th, 2012 to Feb. 8th, 2013. We treated 15 patients with combined acupuncture treatment. The treatment con-sisted of Hwangrunhaedok-tang (Huanglianjiedutang) pharm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pplied to GB39, ST36 on the affected side), acupuncture (applied to TE17, SI6 on the unaffected side with Dong-Qi therapy). To assess the effect of treatment,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was appli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After first combined acupuncture treat-ment, the NRS score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8.33±0.94 to 2.26±0.44 (p<0.01). We suggested that Combined acupuncture treatment are effective and useful on acute an-kle sprain. And,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J Korean Med Rehab 2014;24(1):119-123)

      • 그룹 기여법에 의한 삼성분계의 액-액 평형 예측에 관한 연구

        鄭詳勳,申鉉心,朴東源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부설 한국자원개발연구소 1994 硏究報告 Vol.18 No.2

        The experimemtal binodal curve and tie line data were determined for ternary systems of 2-propanol-water with benzene, toluene and n-butyl acetate as solvents at 25℃. These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values predicted from UNIFAC model, using group contribution method. From these results the deviation between experimental and calculated equilibrium composition were very small, so it was proved that UNIFAC is good model to predect multicomponent equilibria.

      • Sn-xAg-0.5Cu 무연 솔더 볼의 파단특성 연구

        정종설,이용성,신기훈,정성균,장동영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SnAgCu lead-free solder balls. To estimate the effect of Ag, three types of SnAgCu balls are first prepared by varying the weight percent of Ag (1.0, 3.0, 4.0 wt%) and then analyzed by reliability tests such as thermal shock, high speed ball shear, and drop tests. Thermal shock test reveals that the higher the weight percent of Ag is, the longer the fatigue life becomes. To the contrary, high speed ball-shear test and drop test show that the shear strength and the fracture toughness of solder balls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eight percent of Ag, respectively. Reasons for these observations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in the future work.

      • BTX에 의한 2-프로판을 액-액 추출계의 상평형에 관한 연구

        鄭詳勳,申鉉心,朴東源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부설 한국자원개발연구소 1995 硏究報告 Vol.19 No.1

        The experimental binodal curves and tie line data were determined for ternary systems of 2-propanol-water with benzene, toluene and o-xylene as solvents at 25℃, and those tie line data were used to examine thermodynamic consistency. The experimental tie line data were correlated with UNIQUAC and modified UNIQUAC model and the parameters in each model and the calculated values of tie lines were predicted. The distribution curves in the equilibrium of ternary systems were determined to find the extraction effect.

      • 에스테르류에 의한 2-프로판올의 액-액 추출에 관한 연구

        鄭詳勳,申鉉心,朴東源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부설 한국자원개발연구소 1995 硏究報告 Vol.19 No.2

        The experimental binodal curves and tie-line data were determined for ternary systems of 2 propanol-water with ethylacetate, butylacetate and isoa-mylacetate as solvents at 25℃, and those tie-line data were used to examine thermodynamic consistency. The experimental tie line data were correlated with UNIQUAC and modified UNIQUAC model and the parameters in each model and the calculated values of tie line were predicted. The distribution and selectivity curves in the equilibrium of ternary systems were determined to find the extraction effect.

      •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 대사 이상 정도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정인경,김성훈,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유형준,안규정,노정현,김동준,김광원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당 대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내인성 당질 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인 쿠싱증후군에서는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고 이를 보상하고자 인슐린 분비의 증가로 고인슐린혈증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와 달리 시험관내에서는 췌도세포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장시간 처리하면, 인슐린 분비 및 생합성이직접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된 바 있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아마도 말초조직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 뿐 아니라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저하가 같이 동반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고, 아직까지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쿠싱증후군을 당대사 정도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과 분비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쿠싱증후군 환자와 같은 성별 그리고 체질량지수를 갖은 1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 하였다 쿠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당대사 정도를 정상군, 내당능장애군, 그리고 당뇨병군으로 나눈 후 정맥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각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를 비교하고, 수술 후 쿠싱증후군이 완치된 상태에서 수술 전후의 당대사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1) 쿠싱증후군 환자 중 정상인은 20%, 내당능 장애는 27%, 그리고 당뇨병은 53%였다. 체질량지수, 나이, 그리고 발병 기간은 세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소변검사의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2) 정맥당부하 검사 결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Sl는쿠싱증추린」서 1.58±0.10[×10^(-4)(min^(-1)(μU/mL)^(-1)]로 정상 대조군의 3.37±0.49[×10^(-4)(min^(-1)(μU/mL)^(-1)]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나(P=0.024), 쿠싱증후군 환자 중 NGT, IGT, DM 군간에 서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SG는 정상 대조군과 쿠싱증후군 환자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쿠싱 증후군에 있어서 당대사가 악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인 AIRg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 쿠싱증후군 환자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환자중에서 당대사 상태에 따라 NGT군은 1299 (1297∼1310)(mu/g/min ×10^(-2))로 정상 대조군(368.9±98.6[mu/g/min ×10^(-2)]) 보다도 의미있게 높았고, DM군{202.2 (91.1~371.4) [mu/g/min ×10^(-2)}은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031). 5) 15명중 현재 완치 상태에 있는 6명에 대해 수술전과 후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 당대사 상태가 1명은정상, 1명은 내당능 장애, 그리고 4명은 당뇨병이었으나 수술 후 시행한 경구 당부하 검사상 모두 정상 당대사 상태를 보였다. 6) 수술 후 완치된 환자 6명에 있어 인슐린 감수성지표인 Sl는 수술전에 중앙값이 1.22[×10^(-4)(min^(-1)(μU/mL)^(-1)]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고』어 있었으나(p.0.05), 수술후 10.95 [×10^(-4)(min^(-1)(μU/mL)^(-1)]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고(P=0.0022), 인슐린 분비능을 나타내는 AIRg [mu/g/min ×10^(-2)] 값도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인슐린 분비능의 회복양상은 혈당농도에 따라 판이하게 나타나서, 정상과 내당능장애 상태에 있던 2명은 수술전에 1201 [mu/g/min ×10^(-2)]로 증가되어 있던 AIRg 값이 수술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술 전에 당뇨병 상태에 있던 4명의 경우 245.9 [mu/g/min ×10^(-2)]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고il어 있었는데 이들은 수술 후 모두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P=0.0286). 결론: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대사 이상은 80%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쿠싱증후군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이 선행됨을 시사하며, 인슐린 분비능은 당대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상 당대사군에서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정상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를 하다가 고코르티솔혈증이 심할수록 인슐린 분비능의 감소로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는 수술 후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인변화를 보였다. Background: Glucocortico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carbohydrate metabolism.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carbohydrate intolerance due to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although the exact incidence and nature of this disorder have remained unclear. Few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bout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or about the reversibility of such defects in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Methods: To assess the effect of glucocorticoid on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in Cushing's syndrom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diabetes: DM)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tolerance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sulin modified,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FSIG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urative surgery on these patients and on 15 healthy control subjects. Data were evalua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Among th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3 (20%) were NGT, 4 (27%) IGT, and 8 (53%) DM, based on OGTT. Twenty-four hour urinary free cortisol (U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2) Insulin sensitivity index (SI) of Cushing's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24),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of NGT, IGT and DM. 3) Glucose mediated glucose disposal (SG) (Ed- confirm this abbreviation; it does not seem to match the definition) of Cushing's syndr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4) Insulin secretion (AIRg) of Cushing's syndrome tended to be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Rg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p=0.0031); AIRg of D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GT. 5) After surgical treatment, parameters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were normalized in 6 cured patients; 1 with NGT, 1 with IGT, and 4 with DM, preoperatively. Median SI of all 6 pati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the normal range postoperatively p=0.0022). Median AIRg of these 6 patients was balanced around that of normal control postoperatively p=0.0286). Conclusion: Eighty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d abnormality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suli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ushing's syndrome.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NGT and IGT groups of Cushing's syndrome. As the hypercortisolemia is exacerbated, insulin secre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uses DM, suggesting that glucocorticoid has a direct or indirect toxic effect on the pancreatic beta cell (J Kor SOC Endocrinol 18:392-403, 2003).

      • KCI등재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 현황과 한국형직무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

        김정훈,박신구,김동현,김환철,임종한,이의철,이동훈,이지영 大韓産業醫學會 2009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1 No.2

        목적: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의 현황과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중소규모 사업장 83곳 근로자들에 대해 한국형 직무스트레스요인 평가도구-단축형(KOSS-SF)과 사회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정 및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이나 조퇴 경험여부 등을 묻는 구조화된 자가 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한 4,350명에 대해 최종 분석을 시행하였다.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와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 하였다. 결과: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를 한 근로자는 남자에서 7%(196명), 여자에서 8%(113명) 로 조사되었고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에서는 남, 여 모두 직무요구,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영역의 스트레스가 높은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율이 증가하였다. 결론: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와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은 남자에서는 조직체계 영역이 가장 높았고, 여자는 직장문화 영역에서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of 4,350 workers in 83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ies, and its relationship to job stress factors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each respondent's Sociodemographics, job stress, experience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Seven KOSS-SF domains of job stress were used. We estimated the relation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and job stress factor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Absence or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occurred in 7% of male workers and 8% of female work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job stress-related absence/early leave and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rewards and occupational climate. Conclusions: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is significantly attributed to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for men, and occupation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