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산 원유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 지역별 · 계절별

        이현종,강국희,고준수,김영교,김영주,김종우,김현욱,박종래,유제현,윤여창,윤영호,임종우 제주대학교 농과대학 제주도축산문제연구소 1991 畜産論叢 Vol.6 No.1

        Totally 881 bulked raw milk samples were collected once a month from Oct. 1989 to Sep. 1990 at 18 districts plus 8-16 farms in the all over Korea, and general composition of raw milk were analysed for the variation and correlation in between provincial areas, districts, and collection lines of milk plant. Each components of raw milk collected in province and district were significantly differed (p<0.001), but sampling stage were not effected on the composition of milk. In the monthly variation of milk composition, all of components excepted the content of ash in raw milk were lower in July and August, and tended to increas in October to January, and significantly (0.001) greater than in July and Augu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relation between fat content and total solids or protein were 0.635, 0.135 respectively, and between protein content and total solids or SNF were 0.652, 0.742.

      • KCI등재

        Extrusion 가공처리 계분사료의 첨가수준이 재래산양의 육성능력, 영양소 소화율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창혁,라창식,고병대,박재인,임광철,신종서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2 한국축산학회지 Vol.44 No.6

        본 시험은 계분의 가축 사료화의 일환으로 계분, 옥수수 및 타피오카를 50:30:20의 비율로 혼합하여 extrusion 가공한 계분사료(EPM)의 급여수준이 반추가축의 증체량, 사료요구율, 영양소 소화율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평균체중이 10㎏ 내외의 한국재래산양 수컷 15두를 이용하여 EPM을 시험사료중에 각각 0, 10, 20, 30 및 40%씩 첨가 급여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Extrusion 가공처리 계분사료의 수분, 조지방 및 조섬유 함량는 extrusion 가공처리 전보다 각각 10.8, 0.2 및 0.5% 감소하였고, NFE는 1.7% 증가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의 596.1g/day에 비해 EPM 20 및 30% 첨가구에서 각각 620.6 및 698.5g/day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0% 첨가구에서는 590.7g/day로 감소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에서 119.8g으로 EPM 10, 20 및 30% 첨가구의 96.8, 98.3 및 108.2g/day와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EPM 40% 첨가구에서는 78.3g/day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5.01)에 비하여 EPM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EPM 40%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은 각 처리간에 큰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조섬유 소화율은 대조구의 63.7%에 비해 EPM 10, 20, 30 및 40% 첨가구에서 각각 65.3, 67.5, 70.4 및 71.8%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지방 소화율은 EPM 40% 첨가구에서 68.5%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다른 EMP 첨가구에서는 거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도체율은 대조구의 49.7%에 비해 EPM 10, 20, 30 및 40% 첨가구에서 각각 49.7, 48.3, 47.8 및 45.2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양고기중의 지방 함량은 대조구의 16.3%에 비해 EPM 첨가구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level of extruded poultry manure, corn and tapioca mixture (EPM)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ody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goats. Total 15 heads of Korean native goats (10 ㎏ B.W.)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ive treatment groups (EPM 10, 20, 30, 40% and control.) and feeding trial was done for six weeks with ad libitum. Protein level of the extrudate with poultry manure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corn supplements rate. NFE and Ca content in EPM also were functional of the tapioca supplements levels. Daily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in EPM 40%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groups. Concentrate feed intake was high in EPM 10 to 30%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Feed conversion ratio also was relatively higher in EPM groups than in the control. As EPM level increased,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proportionally decreased, but that of crude protein was enhanced. Dressed carcass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EPM level, showing control 49.7, EPM 10% 49.8, EPM 20% 48.3, EPM 30% 47.9 and EPM 40% 45.2, respectively.

      • 방사성동위원소 $^{32}P$를 이용한 멸구 류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에 관한 연구(I)

        이정운,김용헌,박중수,석순종,고현관,Lee J. O.,Kim Y. H.,Park J. S.,Seok S. J.,Goh H. G. 한국응용곤충학회 1981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0 No.2

        멸구류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법을 개발하고자 동위원소 $^{32}P$를 이용 식물체를 통하여 충체에 이행된 $^{32}P$ 방출량을 G.M. Counter로 조사하므로서 저항성 정도를 판별하기 위한 연구중 일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공시기구 개발 : 공시기구 개발을 위해 4가지 형의 기구를 공시하였는데 B,C,D형 기구는 공시법과 $^{32}P$ 용액과 분리된 시험기구로서 이중 D형이 가장 취급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32}P$의 흡즙량을 조사할 수 있었다(Fig. 1). 나. $^{32}P$의 적정량 : 식물체에 흡수시킬시 2Ml 까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흡즙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32}P$용액을 식물체가 흡수하여 차츰 적은 량으로 되어 뿌리의 활력에 따라서 개체간 흡수량의 차이가 생길 우려가 있어 $2\~3ml$의 $^{32}P$용액이 요구되었다. 의. $^{32}P$의 방사능 세기 : $0.07\~7{\mu}Ci$까지는 충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며 처리별로 각각 충분한 CPM의 방사능을 나타내었기에 $0.7{\mu}Ci$ 내외의 방사능 세기가 멸구류 검정시 효과적으로 본다. 라. 충표식방법 및 충탈피각내 잔류량 : :식물성의 흡수를 통한 표식이 효과적이었으로 충탈피각내에는 잔류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creening method of varietal resistance on the plant hoppers has generally been evaluated as a reaction of plant after infesting insects. However, feeding amount of insects to the varieties was investigated in this experiment. The new method using isotope $^{32}P$ for rice varietal resistance to plant hopper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Insects tested were caged for a few hours on the plants which had absorbed $^{32}P$ solution in small vials for $24\~48\;hours$. After feeding, insects were killed in the refrigerator with formalin solution, and then were measured by the feeding amount as a count per minute (CPM) with the G.M. Coun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pparatus of Type D(Fig. 2) was most effective and the safest among four others. 2. The optimum amount of $H_3PO_4$ solution was found to be $2\~3m1$. 3. Radioactivity of $0.7\mu\;Ci.\;^{32}P$ was sufficient to check varietal difference of feeding amount by the brown planthopper. 4. Radioisotope was found from the body of insects but not in the cuticular layer nymphs cast off.

      • KCI등재

        한국산 벼멸구 생태형의 계량형태적 분류

        Goh H. G.,R. C. Saxena,A. A. Barrion,K. M. Choi,J. W. Kim 한국응용곤충학회 199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2 No.1

        우리나라에 발생하고 있는 벼멸구 생태형의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고자 생태형 1, 2, 3의 단시형 암컷과 숫컷의 다리부분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앞다리, 가운데 다리 그리고 뒷다리의 제3부절의 형태를 51개 부위에서 조사한 다음 통계학적 분석을 위하여 정준 판별 분석법을 도입하였다. 각 생태형간의 Mahalanobis distance는 숫컷의 경우 생태형 2와 3 사이에서 가장 짧았고, 암컷은 생태형 1과 2 사이에서 가장 길었다. Scatter plot diagram상에서 각 생태 형간 분리현상이 뚜렷하여 중심점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고 각 생태형에 속하는 개체는 중심점 부근에 고르게 분포하였다. 각 생태형간의 Group membership 조사에서 암수 모두 각 생태형은 각각 동일한 생텨형을 분류되었다. Morphometric investigations of the leg characters of both sexes of brachypterous Korean N. lugens biotypes were made. Simple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three N. lugens biotypes differed from one another. The amount of variation and segregation between and among the three biotype populations were approximated by the scatter plot diagrams based on the computed discriminant scores. The variables of leg characters provided the most significant segregations of three biotype populations, thus, categorizing the three biotypes as distinct intraspecific populations of N. lugens.

      • Mating Inhibition of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 by Pheromone Mimics

        Goh, H. G.,Lee, J. O. 한국곤충학회 1984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Vol.14 No.1

        Z-9-tetradecenyl formate (TDF) and Z-11-hexa-decenyl formate (HDF) showed the potent inhibitory effect on mating of the striped rice borer under the fold conditions, when the compounds were evaporated in combination. 30mg application of microencapsulated formates at a ratio of 4.5 : 1 slightly inhibited the male orientation to pheromone trap for 5 days, whereas 30mg of two components in combination of 4.5 : 1 showed more than 90% inhibition of mating between both sexes for more than 23 days, when they were also permeated into the air from the polyethylene vials (1mg/vial).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Walker)의 Pheromone 유사물질인 Z-9-tetradecenyl formate와 Z-11-hexadecenyl formate를 이용한 교미저해효과를 구명하고자 Pheromone을 넣은 trap을 이용하여 야외에서 조사한 결과 Microencapsulation된 Formate는 30mg 산포시 처리 5일까지 교미저효과가 나타났고 Hexane으로 희석하여 Polyethylene Vial당 1mg씩 넣어 총 30mg을 처리한 경우 23일 동안 교미저해현상이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산 벼멸구 생태형의 염색체 변이

        H.G. Goh,R.C. Saxena,A.A. Barrion 한국응용곤충학회 199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1 No.4

        벼멸구 수컷 정소에서 염색체의 변이정도를 생태형 별로 관찰하였다. 세포 분열 지수는 생태형 3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생태형 1, 생태형 2이었다. Agmatoploidy, aneuploidy, 성염색체의 loose pairings과 같은 염색체의 구조적 변화는 생태형 1, 생태형 2, 생태형 3순으로 높았다. 감수분열 제1분열기 중기는 성염색체가 상염색체로부터 현격하게 분리되어 있는 세포의 수는 생태형 2에서 가장 높았다.

      • KCI등재

        한국산 벼멸구 생태형의 형태적 분류

        Goh H.G.,J.W. Kim,R.C. Saxena,A.A. Barrion,K.M. Choi 한국응용곤충학회 199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2 No.3

        벼멸구 생태형 1, 2, 3의 형태의 차이를 구별하고자 장시형과 단시형 암수를 대상으로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암컷은 생식 부위인 Abdominal lateral lobes의 좌우 부위를 비교 조사하였다. 수컷은 앞다리, 가운데 다리, 뒷다리 부절의 Unguitractor plate를 조사하였다. 생태형 2의 단시형 암컷은 Abdominal lateral lobes의 기부가 잘라진 것으로 생태형 1과 3보다 많았다. Unguitractor plate의 경우 생태형 2는 장단시형 암 수 모두 부절 안쪽으로 함입되어 있었다. Morph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abdominal lateral lobes in females and the unguitractor p plates in the tarsi of legs in male and female N. lugens among the three Korean N. lugeηs bio-types revealed that the three biotypes varied from one another. The presence of a distinct ‘cut’ on the lateral lobes in brachypterous females distinguished Biotype 2 from Biotypes 1 and 3. The highest frequency of inserted unguitractor plates in fore-and mid-tarsal segments was exhibited by Biotype 2 in both sexes of each morph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