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상생활 환경에서의 소화기 비치 실태와 소화기 인식에 관한 연구

        이원주,권신영,이창섭 한국화재소방학회 2015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9 No.6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for fire safety education and to discuss the current issues of fireextinguisher training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only 52.1% of homes have a fire extinguisher,whereas over 93% of public and private work places (e.g., schools and businesses) have a fire extinguisher. Approximately90% of the survey participants had fire extinguisher training experience. However, only 65.8% of the public andprivate work places conducted fire extinguisher training regularly. 42.5% of survey participants had not been trained in thepast year. In the survey result on fire extinguisher knowledge, participants showed a score of 3.95/5.00 for how to use afire extinguisher and a score of 3.00/5.00 for the meaning of the ABC ratings of fire extinguishers. An independent T-testshowed that the “the installation of fire extinguishers in the house” and “regular fire safety education in your group” haveinfluences on the “the knowledge of fire extinguishers” (p < .05). 본 논문은 우리나라 성인남녀의 일상생활의 소화기 비치실태 및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화재안전교육에서 소화기 부분에 대한 교육 방향 및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소화기비치 현황에서 연구 대상자의 47.9%는 가정에서 소화기를 비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생활공간(학교, 직장등)은 93.2%가 소화기를 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기 교육 경험에서 연구 대상자의 약 90%는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공간(학교, 직장 등)에서 정기적인 소방교육은 65.8%만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1년 동안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을 한 번도 받지 못한 사람들은 42.5%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기 지식분야에서 연구 대상자는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해 평균 3.95점/5.00점의 점수를 보여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는 반면 ABC 소화기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 평균 3.00점/5.00점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가정에서의 소화기 비치 현황’ 및 ‘현재 생활 영역에서 정기적 소방안전교육의 실시’는 ‘소화기 지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더하여 연구대상자의 ‘최근 1년 동안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횟수’와 ‘소화기 지식’에 대한 연관성을 보기 위해서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 = 30.45, p < .05).

      • KCI등재

        의용소방대원과 자원봉사자의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연구: 세종특별자치시 거주 주민을 중심으로

        이원주,이창섭 한국화재소방학회 2017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1 No.2

        This study compared the activities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volunteer firefighters and general volunteers in Sejong City. For this purpose, 112 volunteer firefighters and 227 general volunteers working in Sejong City were surveyed. In thequestionnair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motivation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rewards and the dependentvariable was the activities satisfaction.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data in questionnaire design was analyzed by the SPSS20.0 win program. The factor of the motivat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ward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on the activities satisfaction of volunteer firefighters and general volunteers (<0.05). The activities satisfaction of the volunteerfirefighters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the motivations, rewar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satisfaction ofthe general volunteers was influenced in order of the motivat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wards. 본 논문은 의용소방대의 의용소방대원과 자원봉사센터에 등록된 자원봉사자의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및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세종특별자치시라는 한정된 범위를 적용하고 의용소방대의 의용소방대원 112명과 자원봉사센터에 등록된 자원봉사자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구사회학적특징을 통제변인으로, 참여동기, 대인관계, 인정 및 보상을 독립변인으로, 그리고 활동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으로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참여동기, 대인관계,인정 및 보상 요인은 의용소방대원과 자원봉사자의 활동만족도에 유의확률 0.05 이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의용소방대원은 참여동기>인정 및 보상>대인관계의 순서로, 그리고 자원봉사자는 참여동기>대인관계>인정 및 보상의 순서로 활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용소방대원의 활동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의용소방대원과 사회복지 분야의 자원봉사자가 느끼는 활동만족도는 서로 다른 영향 요인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의용소방대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은 사회복지 분야의활성화 정책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어야 하다. 특히, 참여동기, 대인관계, 인정 및 보상 요인 중 참여동기와 인정및 보상 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 먼저 기획되고 실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아파트 피난계단에 적치된 장애물의 실태와 입주민의 피난계단 관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이원주,이창섭,이기영 한국화재소방학회 2017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1 No.1

        본 논문은 아파트 화재에서 재실자의 피난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유성구에 위치한 183개 아파트 단지의 3,056개 피난계단 층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입주민 183명을상대로 소방안전교육경험, 피난계단에 대한 안전관리인식, 그리고 소방안전인식에 대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연구대상물 3,056개 피난계단 층 중 1,916층에 장애물이 방치되어 62.7% 장애물 형성율을 나타내었다. 소방안전교육경험은 연구대상자의 83.1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피난계단에 대한 안전관리인식은 평균3.84±0.75%를 보였으며, 소방안전인식은 평균 3.49±0.61%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연구대상자는 대부분 소방안전교육을 받았고, 피난계단의 안전관리에 대한 방법은 이해하고 있지만, 안전관리에 대한 행동의 실천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은 피난계단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행동의 실천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소방안전교육을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제도와 그 교육에서 피난계단의 관리에 대한 교육내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evacuation stability of residents in apartment fire. For this purpose, the actualcondition survey about the obstacles was conducted on 3,056 escape stairs in the 183 apartments.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he residents of apartments about their experience of fire safety education,perception on safety management of escape stairs, and perception on fire safety.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we confirmedthat the obstacles were formed in the 1,916 escape stairs among the 3,056 escape stairs of the 183 apartments (percent ofbarricades in escape stairs: 62.70%). Furthermore, it showed that fire safety education experience was found to be 83.10%of subject. The perception on safety management of the subjects in the escape step and the perception on fire safety were3.84±0.75%, and 3.49±0.61, respectively. In the results, most of the subjects had a fire safety education and knew how tosafety management the escape stairs but, the practice of the safety management action was low. Based on the results in thepaper, the policy proposal is that the fire safety education is emphasized to change from the perception to action.

      • KCI등재
      • KCI등재

        In Memory of Professor Soon Bong Suh

        이원주,김민지,방용준 대한의진균학회 2018 대한의진균학회지 Vol.23 No.3

        A dermatologist, Professor Soon Bong Suh was a pioneer and great scholar of Korean medical mycology. He received his doctoral degree from th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dissertation "Study of dermatophyte infection in Korea", a significant work on medical mycology. He continued to publish many reports on medical mycology, especially in the area of dermatophytoses. He also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Mycology to build a network among mycologists, to communicate information on research work, and to encourage mycologists' research. Professor Suh will be remembered as a distinguished teacher and researcher in the field of medical myc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