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 Mn 강 주강품의 내마모성에 미치는 Ni 첨가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훈,천병욱,김성한,최창옥 ( Young Hun Lee,Byung Wook Cheon,Sung Han Kim,Chang Ock Choi ) 한국주조공학회 1992 한국주조공학회지 Vol.12 No.2

        N/A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in increase the wear resistance characteristic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Mn steel castings with an addition of Ni to 1∼4% range. The initial structure of plastic cememtite has been possible to transform perfect austenite with watertoughening treatment. Increasing Ni content, the most wear loss has shown that ore has crushed until 100㎏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ore amount at ascast, the similar tendency has shown at heat treatment. Chang of hardness has shown high values that ore has been crushed until 300㎏, both as cast and treatment added 2%Ni.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꿩(Phasianus colchicus) 비만세포의 조직화학적 특징과 미세구조

        이영훈(Young-Hoon Lee),김갑태(Gap-Tae Kim),한의혁(Eui-Hyeog Han),김형태(Hyoung Tae Kim),박병건(Byung Keon Park),이무삼(Moo Sam Lee),송창호(Chang Ho Song)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5

        꿩(Phasianus colchicus) 비만세포(mast cell)에 관한 조직화학적 특징과 미세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꿩의 혀(tongue)와 앞위(proventriculus), 돌창자(ileum), 파브리시우스주머니(fabricius bursa)의 조직을 10% 중성포르말린 용액 또는 카르노이 (Carnoy) 용액,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half-strength Karnovsky) 용액으로 각각 고정한 다음, 툴루이딘청 (toluidine blue) 또는 알시안청 (alcian blue), 콩고적 (congo red), 알칼리김자(alkaline Giemsa) 염색을 각각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비만세포를 관찰하였다. 또한 비만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부위를 절취하여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과 1% 오스뮴산으로 고정한 다음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염색을 실시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0% 중성포르말린으로 고정된 모든 조직에서 4가지 염색으로 비만세포들을 관찰할 수 없었다. 카르노이 용액으로 고정된 일부 조직에서 비만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세포의 바깥 윤곽은 뚜렷하지 않았다.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으로 고정된 모든 조직에서 염색방법에 관계없이 비만세포와 세포질내 과립들이 잘 관찰되었다. 비만세포들은 대부분 난원형이었으나 삼각형, 방추형, 부정형도 관찰되었고 이들은 손가락모양의 세포질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전자현 미경적 관찰에서 일부 비만세포에서 세포소기관들은 잘 발달되어 있었고, 세포질내 과립들은 원형 또는 부정형이었고 막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 과립안은 전자밀도가 높거나 낮은 망상형 또는 입자형, 스폰지형, 혼합형 구조들이었다. 꿩의 비만세포를 관찰하기 위 하여는 10% 중성포르말린이나 카르노이 용액을 이용한 고정 보다 절반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을 이용한 고정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describes the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ultrastructure of mast cells from tongue, proventriculus, ileum and fabricius bursa, i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 compared the stainability of 4 different methods, toluidine blue, alcian blue, congo red and alkaline Giemsa, to stain mast cell granules from fixed pheasant organs in three different fixatives,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Carnoy’s solution or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Mast cells in all experimental organs were not stained with 4 different staining methods after fixation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but well stained in fixed organs with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The mast cells had many metachromatic granules stained with toluidine blue or alkaline Giemsa and orthochromatic granules stained with alcian blue or congo red in tissues fixed in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In electron microscopy, pheasant mast cells were oval, triangular, spindle-like or irregular and had a few finger-like cytoplasmic processes. There were the membrane-bounded secretory granules and the well-developed organelles in mast cells. Internal large granules were oval or irregular, and had variable shape; some higher or lower electron density with homogeneous appearance; some had a particular appearance, and a few showed reticular or spongy-like structure. This indicates that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or Carnoy’s fixation may be inadequate for detection of mast cells in pheasant, whereas the half-strength Karnovsky’s fixation provides metachromatic or orthochromatic staining of mast cell granules.

      • KCI등재
      • 틸팅시스템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한영재(Young-Jae Han),이수길(Su-Gil Lee),조정민(Jung-Min),이영훈(Young-Hun Lee),한성호(Seong-Ho Han)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철도는 안전성, 신뢰성, 에너지절약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른 교통수단과 비교하여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각광을 받아 왔다. 최근 들어서는 고속열차 뿐만 아니라 기존선을 고속으로 주행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틸팅열차에 탑재되어 있는 틸팅시스템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KCI등재

        14세 여아에서 발생한 다발성 소실성 흰 점 증후군

        김서영(Seo Young Kim),한규진(Kyu Jin Han),진선영(Sun Young Jin),이영훈(Young Hoon Lee),장영석(Young Suk Chang)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8

        목적: 14세의 어린 연령에서 발병한 다발성 소실성 흰 점 증후군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4세 여자 환자가 내원 3일 전 발생한 좌안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1주 전부터 미열을 동반한 상기도 감염증상이 있었고 좌안의 시력이 저하되었다고 하였다. 내원 당시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20/20, 좌안 20/200이었고 상대적 구심성 동공장애가 관찰되었다. 안저 검사에서 좌안 시신경유두의 부종과 함께 다수의 흰 점이 관찰되었고 Humphrey 시야검사에서 좌안의 생리적 암점이 확대되었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에서 초기와 후기에 과형광을 보이는 흰 점 부위는 인도시아닌그린혈관조영술에서는 후기에 확대된 저형광의 반점으로 관찰되었다. 특징적인 안저 및 혈관조영 소견으로 좌안의 다발성 소실성 흰 점 증후군을 진단하였다. 2주 후 좌안의 최대교정시력은 20/70으로 호전되었고, 안저의 흰 점은 대부분 소실되었으며, Humphrey 시야검사에서 좌안의 암점은 정상 크기로 감소하였다. 3개월 후, 안저의 흰 점은 이전보다 감소하였고, 좌안의 최대교정시력은 20/30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다발성 소실성 흰 점 증후군은 60대 노인까지 보고된 바가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군은 20대 후반의 젊은 여성이다. 저자들은 전형적인 다발성 소실성 흰 점 증후군의 임상양상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가장 어린 연령인 14세 여자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multiple evanescent white-dot syndrome (MEWDS) in a 14-year-old female. Case summary: A 14-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Review of systems was unremarkable except for a rec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prior to her symptoms. On examination, her visual acuity was 20/20 in the right eye and 20/200 in the left eye.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was observed. Examination of the left fundus revealed optic disc edema and multiple white dots in the posterior pole. Humphrey visual field test showed enlargement of the blind spot in the left eye. Fluorescein angiography revealed hyperfluorescence and late leakage of the white dots.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showed enlarged late hypofluorescence of the white dots. MEWDS was diagnosed and the patient was followed up with serial examinations. At a follow-up examination 2 weeks later,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improved to 20/70. The majority of white dots on fundus had disappeared and the enlarged scotoma in the left eye recovered to normal size on Humphrey visual field test. At a follow-up examination 3 months later,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improved to 20/30 and residual white dots had further disappeared. Conclusions: Cases of MEWDS have been reported in patients as old as 67 years; however, MEWDS is a rare disease and most patients are young females. The authors describe the youngest case to date in Korea of MEWDS in 14-year-old female with typi-cal clinical course.

      • KCI등재

        녹색자엽 검정종피 내도복 다수성 콩 중간모본 “중모3009호”

        한원영(Won-Young Han),김현태(Hyun-Tae Kim),고종민(Jong-Min Ko),윤홍태(Hong-Tae Yun),백인열(InYoul Baek),이병원(Byung-Won Lee),이영훈(Young-Hoon Lee),하태정(Tae-Jung Ha),신상욱(Sang-Ouk Shin),이석기(Suk-Ki Lee),정찬식(Chan-Sik Jung), 한국육종학회 2016 한국육종학회지 Vol.48 No.1

        A new soybean variety, ‘Joongmo 3009’ (Milyang 222)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12. ‘Joongmo 3009’ was released by pedigree selection from the cross between ‘Cheongja 2(Milyang 121)’ and ‘Daemangkong’. It has determinate growth habit, white flower, brown pubescence, brown pod color, green seed coat, green cotyledon, spherical seed shape, oval leaf shape and large seed size (29.3 grams per 100 seeds). It was late 16 days in maturing date than the check cultivar ‘Cheongjakong’. The average yield of ‘Joongmo 3009’ was 2.91 ton per hectare, which was higher 36 percentage than the check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carried out in three adaptable locations of Korea from 2010 to 2012. The number of breeder’s right is ‘5474’

      • KCI등재

        해양관광레저도시 실현을 위한 로컬거버넌스 구축 방안

        이영훈(Lee, Young-Hoon),최종인(Choi, Jong-In),한태용(Han, Tae-Yong),최성범(Choi, Seong-Beom)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6

        The purpose of study was to suggest a strategy local governance for vitalizing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focusing on the Sea East of Gangwon Province. This study try to review the way how to build a new paradigm model of the local governance as a driving force for sustainable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development which is main goal and local governance approach which is a political procedure. It has some practical significance mean as a starting point to find alternative development for the future marine industry to consider based on a framework of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focusing on the Sea East of Gangwon Province.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the backgrounds and the needs of efficient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for local governance active by reviewing the literature. The strategies for vitalizing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were suggested as follows. This study means to the local governance impotance of an organizations partnership in leading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development as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through combination of agencies, responsibility, democracy processes, network system, and participation of capable board. to suggest marine tourism policy for more competitivenes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감자의 생육기간에 따른 치유(curing) 처리시 cork cambium층 형성능의 차이 비교

        이영훈(Young Hun Lee),한규석(Kyusuk Han),김병섭(Byung-Sup Kim),박남일(Nam Il Park),홍세진(Sae Jin Ho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본 연구는 감자의 생육기간에 따라 큐어링 처리시 suberin 생성에 의해 주피층에서 cork cambium층을 형성하여 코르크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감자 공시재료는 대서, 수미, 그리고 추백 품종이며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소재의 포장에서 80일, 90일, 그리고 100일간 재배하여 수확한 봄감자를 이용하였다. 큐어링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조건인 18°C와 RH 90% 전후에서 10일간 처리하였다. 큐어링 처리시 코르크층 형성에 대한 관찰은 육안, 해부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표피층과 괴경 조직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자 절단면에 녹말-요오드 반응시약을 처리한 후 건조시킨 절편조직이 관찰에 이용되었다. 표피조직은 표피(또는 상피, epidermis)와 주피(periderm)로 형성되어 있으며, 큐어링 처리시 보통 주피조직에 있는 형성층(cambium)에 suberin이 생성되어 코르크화(suberization)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때 Suberin은 polyaromatic(다방향족) domain과 polyalipahtic(다지방족) dom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자는 큐어링에 의해 코르크화가 진행되면 주피층에 있는 형성층의 색이 감자 점점 표피층과 유사한 갈색으로 변색되며 형성층을 구성하는 세포층이 점차 눌려지는 형태의 조직으로 변화하였다. 큐어링 처리시 80일간 생육한 감자는 3품종 모두 주피에 있는 형성층 색이 뚜렷하지 갈색으로 변화되지 않았으며 cork cambium층 형성도 일정하지 않아 주피의 코르크화가 불분명하였다. 90일간 생육한 대서, 수미, 그리고 추백 품종 모두 10일간의 큐어링 처리시 형성층의 색이 선명하게 코르크 색으로 변화하였고 형성층도 구조가 눌린 듯한 모습으로 cork cambium층 형성이 이루어진 형태로 관찰되었다. 100일간 생육한 감자 3가지 공시품종은 90일간 생육한 감자와 동일한 큐어링 효과가 관찰되었다. 대서 품종은 일반적으로 110일 정도 생육기간을 거치는 중생종에 속하나 봄감자로 재배시 생육 90일 정도에 수확한다. 수미와 추백 품종은 각각 조생종과 극조생종으로 생육기간은 90일 전후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18°C와 RH 90% 이상의 조건으로 10일간 큐어링 처리시 3가지 공시 품종의 감자는 수령이 90일 이상 되면 큐어링에 의한 코르크층 형성능이 갖추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80일 생육 감자의 큐어링 처리가 불분명한 원인은 생육기간이 짧아 조직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일조와 관수 등 재배환경도 감자 생육에 영향을 미치므로 생육조건에 따른 큐어링에 의한 코르크층 형성능에 대한 연구도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