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lass-cloth/Polyester 복합 절연재료의 유전특성에 관한 연구 : 최적 제작 조건 규명 For Fabrication condition of optimum

        황영한,이종호,이규철 울산대학교 1993 공학연구논문집 Vol.24 No.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특성, 유전특성 및 전기적 측면에서 최적의 경화 조건을 규명한 다음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최적 경화 조건을 적용한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Glass-cloth/Polyester Composite Materials)의 최적 제작조건 및 계면 활성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추출할 수 있었다. (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화조건은 물성특성 및 유전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수 있엇다. (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최적의 경화조건은 120℃에서 2시간 1차 경화를 행한 후, 200℃에서 13시간 2차경화를 행한 시료에서 얻어 졌다. (3) 복합 절연재료 제작에 있어 계면 결합제의 인장특성은 약 2배 정도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 전기적 및 기계적특성의 관점에서, Glasscloth/Polyester 복합 절연재료의 최적 제작조건은 복합 절연재료를 120℃에서 2시간 1차 경화를 행한 후, 200℃에서 약 10시간 2차 경화를 행한 경우이다. The optimum curing condition of polyester resin for good mechanical, dielectric and electrical properties was investigated. With the obtained curing condition applied, the optimum fabrication condition and the effect of silane coupling agent for Glass-cloth/polyester composite materials were also studi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t is found that curing condition of polyester resin affected phys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2) The optimum conditions for fabrication of polyester resin was obtained as post-curing at 200℃ for 13 hours after curing at 120℃ for 2 hours. (3) In the fabrication of composite insulating materials, electrical propreties were improved by about 10% and mechanical tensile properties about two times in the sample with 0.2% water solution of epoxy silane coupling agent treatment as compared eith the case without epoxy silane coupling agent treatment. (4) From the view point of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ptimum conditions for fabrication of Glass-cloth/polyester composite insulating materials were found as post-curing at 200℃for about 10 hours after curing at 120℃ for 2 hours.

      • 鹽分으로 汚損된 接點의 아-크의 發生과 消滅

        황영한,이규철,이종호 울산대학교 1993 공학연구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산업체 제어기기용 전자릴레이의 접촉불량 원인중의 하나인 염분(Nacl)으로 오염된 접점의 개폐 아-크특성을 규명하고, 아울러 개폐시의 전압파형, 표면손상 형태, 마모된 표면의 성분분석, 실험회로 정수변화의 실험결과를 분석·검토하여 실부하에 사용되는 릴레이 접점의 진단 및 개선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1) 염분에 의한 접점표면의 오손에 따라 접점 개폐시의 아-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개로시의 아-크 발생 회수를 증가시키고, 개로시의 아-크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며, 흡습한 상태에서는 아-크 발생에 의해 현저한 산화물 피막을 형성시킨다. (2) 접점의 아-크 개시전압은 청정접점이 오염후 습한 접점보다 높게 나타나고, 아-크 발생시 서-지 전압의 최대치 및 아-크 지속시간은 이와 역순이다. 또한, 아-크 발생후 접점표면의 마모율은 오염후 습한접점이 청정접점보다 크게 마모되어 나타났다. (3) 개로시 접점 양단에서 발생하는 서-지 전압의 최대치와 아-크 지속시간은 접점의 부하회로의 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하며, 특히, 인덕턴스 L의 증가는 서-지 전압의 최대치 및 아-크 지속시간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4) 개로시 접점양단에 콘덴서를 투입시킴으로서, 단속 아-크를 소호시킬수 있었으며, 저항이 일정할 때, 인덕턴스 값이 클수록, 그리고 인덕턴스가 일정할 때, 저항이 적을수록 단속 아-크를 소거시키는데 콘덴서의 용량이 커짐을 알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on-off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relay contact contaminated by NaCl.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on-off voltage waveform, the contact errosion, contact surface analysis by SEM and EDAX under changed R-L-C parameter of testing circuit. After considers thrse result. We have tried to improve the diagnosis method and developed the contacts. As results. 1)The arc duration time(off) and the numbers of arc occurrence characteristics are depended on contamination degree. The contamination degree is high when the arc characteristics is high. 2)Under clean condition. Arc occurrence voltage. surge peak voltage. arc duration time and the rate of contact errosion is lower wet condition. 3)Surge peak voltage and arc duration time is depended on L parameter. When L is high, the arc characteristics is high. 4)The arc quenching characteristics is occurred at parameter C is high. When L is increased(R const.) or R is decreased(L const.), C is high to eliminate the arc.

      • 플라즈마 표면처리 기법에 의한 무기절연물 표면상의 젖음성 향상에 관한 연구

        이종호,엄무수,황영한 울산대학교 1994 공학연구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는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료(GFRP)의 최적제작조건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최적조건을 규명하고,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 사이의 계면현상을 표면처리 조건에 따라 각각 접촉각 변화과정을 측정하였다. GFRP의 필라(filler)표면처리는 열처리, 실란 결합제 처리, 플라즈마 처리를 했고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주위환경은 공기로 했다. 표면처리 한 무기절연물 표면에서 에폭시 수지상의 접촉각은 표면처리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고 특히, 플라즈마 처리시간과 전기로 내부 주위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플라즈마 처리시간과 전기로 내부 주위온도의 관점에서 80℃일때는 3분, 100℃일때는 4분, 120℃일때는 5분일때 접촉각 특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contact angle of phase epoxy resin on the inorganic filler(glass plate) surface treated with air plasma, we have studied about the interface between epoxy resin and glass plate as a simple model of glass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GFRP). The contact angle on the inorganic filler surface varied with surface treatment conditions . The contact angle significantly depends on plasma treating time and environment temperature of the oven. From the view point of plasma treatment condition in this work, optimum treatment time were proved as 3, 4 and 5 minutes for the treatment temperatures of 80℃, 100℃ and 120℃, respectively.

      • KCI등재

        정보이용자관점의 원칙중심회계-금융위원회의 회계감독지침이 회계정보의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

        영한 ( Young-han Lee ),안성희 ( Sung-hee Ahn ),문호 ( Mun-ho Hwang )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6

        원칙중심의 회계기준을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감독기관이 특정 회계처리지침을 발표하는 것은 원칙중심회계제도에 부합하지 않는 역행적 규제로 평가되기도 하는 한편, 회계기준의 해석과 적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게는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해줄 수 있는 긍정적 조치로 평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정보이용자의 관점에서, 투자자들은 감독기관의 회계처리지침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금융위원회가 2018년에 발표한 제약ㆍ바이오기업들에 대한 연구개발비 회계처리관련 감독지침 발표일에 해당 기업들의 주식수익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으며, 해당 감독지침을 따른 제약ㆍ바이오기업들의 회계정보가 감독지침 발표 전의 회계정보에 비해 주가관련성이 달리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감독지침 발표일(2018년 9월 19일)을 전후하여 제약ㆍ바이오기업들의 누적초과수익률은 유의한 양(+)의 값이 나타났다. 특히 연구개발비 중 자본화한 개발비의 비중이 클수록 보다 큰 시장반응이 나타났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감독지침의 발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제약ㆍ바이오기업이 감독지침에 따른 회계처리를 반영한 정보(개발비 및 경상개발비)의 주가관련성이나 이익반응계수(ERC)는 감독지침 발표 전의 회계정보와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 분석결과는 원칙중심 회계환경에서 산출된 회계정보의 회계처리 적정성 여부와 회계감독 리스크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회계감독지침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회계감독지침이 회계이익의 정보유용성이나 개발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유의하게 제고시켰다는 실증적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원칙중심 회계환경에서 규정중심 회계의 특징인 감독기관의 구체적 회계처리지침이 정보이용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그리고 회계처리지침이 회계정보의 주가관련성을 제고하는지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감독기관 회계처리지침에 대한 정책방향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investors evaluate the accounting guidelines of supervisory author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use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tock returns of those companies changed on the date of publication of the accounting supervisory guidelines announced in 2018. And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value relevance for R&D expenditures around the issuance of accounting guidelines. As a result,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was significantly positive around the supervisory guidance announcement date. In particular,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capitalized development costs among R&D expenditures, the greater the market response, which means that investors are positively evaluating the announcement of supervisory guidelin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value relevance o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ERC) for R&D expenditures was not different from before the supervision guidelines were issued. The results show that accounting guidance can reduce of the uncertainty about accounting processing and accounting supervision risks, however it does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accounting guideline enhances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about the regulators’ accounting guidance.

      • KCI등재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서 체중과 임신이 내분비 양상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

        경주(Kyung Joo Hwang),오기석(Kie Suk Oh),김세광(Sei Kwang Kim),권혁찬(Hyuck Chan Kwon),영한(Young Han Park),양정인(Jung In Yang),유희석(Hee Suk Rhyu)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3

        N/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the endocrinologic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glucose metabolism before/during pregnancy according to different body weight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Methods: 94 women dia with PCOS were evaluated through measuring serum hormone levels and oral glucose tolerance tests preconceptionally and gestationally. Results: In patients who were of normal weight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LH levels compared to those who were overweight (12.8+-0.9 Vs. 7.1+-0.8 mIU/ml, p= 0.000), and the serum levels of insuli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overweight group (7.1+-0.7 Vs. 15.2+-2.8 ulU/ml, p= 0.000). the IGFBP-I (32.8+-10.6 Vs. 8.3+-2.5 ng/ml, p=0.034) and SHBG (55.8+-4.2 Vs. 37.1+-3.1 nmol/ml, p= 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vnweight group.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before/after pregnancy showed increased frequency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 in both of the non-obese group (38.8%, 26,9%) and the obese group (64.2%, 53.9%) compared with normal populatio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n the normal weight group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androgen production is stimulated in the theca cells by abnormally high LH secretion, while in the overweight group the hyperinsulinemia state which decreases the SHBG and IGFBP-I, lead to increase biologically active hee androgens and IGF-I and increase insulin binding to its receptor. And during/before pregnancy, women with PCOS showed that incid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of non-obese and obese group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감사인 품질관리감리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한국공인회계사회의 품질관리감리를 중심으로

        문호,권수영,영한 韓國公認會計士會 2011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3 No.2

        우리나라의 회계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서 지난 2007년부터 감사인에 대한 품질관리감리제도가 본격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감사인 품질관리감리가 새로운 회계감독제도로서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품질관리감리가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을 적정하게 평가하고 있는지, 품질관리감리결과에 따른 사후조치가 회계법인의 감사품질 향상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공인회계사회의 품질관리감리를 수감한 30개 중·소형회계법인 등이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수행한 외부감사업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생액의 질을 감사품질의 대용변수로 이용한 분석에서 품질관리감리결과가 우수한 회계법인일수록 감사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관리감리가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을 식별·평가함에 있어 유효한 제도임을 시사한다. 둘째, 품질관리감리결과를 감리대상(품질관리제도부문, 개별감사업무부문)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품질관리제도부문의 감리결과는 회계법인의 감사품질 차이를 유의하게 식별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별감사업무부문의 감리결과는 감사품질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이 전반적인 품질관리제도에 의해 결정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셋째, 품질관리감리를 수감한 중·소형회계법인과 대형회계법인(Big 4)의 감사품질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Big 4의 감사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질관리제도를 잘 갖추고 있는 회계법인은 Big 4에 못지않은 감사품질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형 회계법인이라 하더라도 품질관리제도를 적정하게 갖추면 Big 4에 버금가는 감사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품질관리감리를 수감하기 이전과 이후기간의 감사품질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이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관리감리에 따른 사후조치가 강제성이 없는 개선권고에 그치고 있어 실질적인 감사품질의 향상을 이끌어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나라의 회계감독제도는 기존의 감사보고서감리에서 점차 감사인 품질관리감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간의 연구들이 이러한 변화흐름을 개념적으로만 논의한 것에 비해 본 연구는 감사인 품질관리감리의 실효성을 분석한 첫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적 의미가 있다. 아울러 새로운 회계감독방향으로서 품질관리감리가 지지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감독당국의 정책 의사결정에도 유의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ollowing a series of accounting scandals, such as Enron and Worldcom, there has been a world-wide movement to reform the statutory supervisory system for the audit firms. Correspondingly, in Korea, the regulators have adopted Quality Control Review (QCR) program for the audit firms in 2007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counting transparency. Recently, the gradual induction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 on Auditing (New ISA) has radically changed the accounting environment. In response to this environmental change, several prior studies argue that the statutory inspection of audit firms has to place more weight on QCR which is characterized by ex-ante approach for ruling the auditors (Lim et al 2009; Jung et al 2009; Kwon et al 2010). Despite the importance of QCR, however, it has not been documented whether the QCR is an effective mechanism to evaluate the auditors' audit quality. We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QCR that is performed by KICPA.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audit quality of accounting firms is properly evaluated by QCR. Also, we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QCR in improving the audit quality of audit firms. To conduct our test, we collect KICPA's QCR scores for the 30 small and middle size audit firms during 2007-2008. Then, we partitioned the audit firms into 2 groups based on the QCR scores: that is, high quality (HQ) groups and low quality (LQ) groups. Also, to proxy the audit quality, we use performance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PMDA) which is suggested by Kothari et al. (2005), accruals quality (AQ) which is suggested by Dechow and Dichev (2002) and McNichols (2002), and degree of conservatism (DC) which is suggested by Ball and Shivakumar (2005). Our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audit quality of HQ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Q group.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QCR is an effective mechanism in identifying the audit quality of audit firms. Second, separating the QCR scores into Quality Management System Review (QMSR) scores and Individual Audit Engagement Review (IAER) scores, we show that while QMSR is effective in evaluating the audit quality of audit firms, IAER is not.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audit quality of audit firms is determined by the overall quality management system rather than by individual audit engagement Third, comparing the audit quality of small and middle size audit firms to the audit quality of Big 4, we find that the audit quality of Big 4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small and middle size audit firms. However, we show that the small and middle size audit firms whose QCR scores are high have the audit quality which is comparable to the audit quality of Big 4. This finding provides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even the small and middle size audit firms can have the superior audit quality when they maintain a desirable quality control system. Lastly, we show that the QCR is insufficient to improve the audit quality due to the weakness in follow-up steps. This result stresses that the follow-up actions of QCR have to be reinforced in the direction of virtually improving the audit quality. This study is subject to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is paper covers relatively short period due to the recent enforcement of QCR. Second, our sample size is relatively small. Despite this weakness, our research is the first one which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QCR in Korea. We demonstrate that the QCR can be an effective mechanism to evaluate the audit quality of audit firms. Moreover, we suggest that in oder to improve the audit quality, the implementations of follow-up actions of QCR have to be strengthened. We expect that our research might provide the useful implications to the regul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