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연복합산화물 음극활물질과 리튬이차전지 특성

        황민지,이원재,도칠훈,손영국,Hwang, Min Ji,Lee, Won Jae,Doh, Chil Hoon,Son, Yeong Guk 한국전기화학회 2013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6 No.2

        현재 리튬이온전지의 음극활물질로 사용하는 흑연은 이론 비용량이 372 mAh/g이고 진밀도는 2.2 g/ml이다. 현재의 상용 리튬이차전지보다 더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는 전지의 개발을 위해 기존의 흑연을 대체하기 위한 신소재로서 실리콘과 주석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아연도 가능성 있는 후보 재료의 하나이다. 아연재료의 이론 비용량과 진밀도는 412 mAh/g과 7.14 g/ml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듐과 니켈을 포함하는 아연계 재료를 합성하고자 하였으며, 균질한 혼합 조성을 얻고자 금속 이온의 sol을 제조하고 gel화하여 소결제조 함으로써 화학적 분산으로 균질한 혼합조성을 가지는 아연계 재료를 제조하고 아연계 음극활물질의 리튬이차전지의 1차 방전 비용량은 910 mAh/g이고 31회, 62회에서는 365 mAh/g, 78 mAh/g의 높은 비용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1차 Ah 효율은 45%였으며, 2회 부터는 정량적인 효율을 나타내었다. 낮은 초기 Ah 효율을 높이고자 리튬 금속을 전극에 부착함으로써 비가역 비용량을 해소 할 수 있었다. Graphite is a commercial anode material to have the specific capacity of 372 mAh/g and the true density of 2.2 g/ml. Many effort had been pouring to find out the better material than graphite. Good candidates are silicon, tin, etc. Zinc is also a plausible candidate to have the specific capacity of 412 mAh/g and the true density of 7.14 g/ml. In this study, the Zn based anode material including indium and nickel as minor additives was synthesised. In order to get the homogeneouly mixed Zn-In-Ni composite material, the sol-gel method was used. The anode prepared by Zn-In-Ni composite material has the $1^{st}$ specific capacity of 910 mAh/g. Through prolonged charge-discharge cycling, the specific capacities were reduced to 365 (at $31^{st}$ cycle) and 378 mAh/g (at $62^{th}$ cycle). The $1^{st}$ Ah efficiency was 45% and Ah efficiencies were exhibited at the prolonged cycle.

      • KCI등재

        지역사회 경증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인지요인과의 상관관계

        황민지(Hwang, Min-Ji),방요순(Bang, Yo-Soon) 한국노년교육학회 2020 노년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경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인지기능의 감소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고, 두 변인 간의 관련성을 밝혀냄으로서 지역사회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치료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 내 거주하는 경증 치매노인 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LOTCA-G 평가도구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MBI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인지기능의 7가지 하위영역은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일상생활활동의 10가지 하위영역 또한 인지기능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령화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치매의 주된 증상은 인지기능의 저하이다. 이러한 인지기능의 저하는 일상과 관련된 활동에 독립적 참여와 관련이 높은 요인일 뿐만 아니라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을 유지하고 보다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의 중재계획 수립 및 실행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cognitive therapy in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by confirming declines in their cognitive function and changes in their abilities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through an objective evaluation and by identifying the link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this e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volving 91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who resided in G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for the geriatric population was used to assess the subjects’cognitive functions,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was employed to measure their levels of independence in ADLs. As a result, the subjec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of the seven subdomains of cognitive function and independence in ADLs. In addi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each of the ten subdomains of ADLs and cognitive function. This suggests that the variables of cognitive function and independence in ADLs in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have direct or indirect impacts on each other. and dementia’s primary symptom is cognitive decline. This cognitive decline is a factor that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dependent participation in daily living-related activities. It can also be highly influential on the ability to maintai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s well as quality of life.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intervention plan for ADLs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경남 청양 풋고추농가 소득 안정화 방안

        황민지(Min-Ji Hwang),정호중(Ho-Jung Jeong),조재환(Jae-Hwan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논문은 청양 풋고추 재배농가의 실질 소득과 순수익의 불안정 요인을 경영비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또한 역준이상수요체계에 따른 가격신축성 분석을 통하여 출하조절에 따른 가격안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영비 분석에 따른 농가의 소득 불안정 요인으로는 기후변화로 인해 예기치 못한 영농광열비 부담 가중과, 특정시점의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폭락 등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말하는 가격폭락은 월별 가격의 변화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청양 풋고추 농가소득 불안정의 요인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가격 및 규모신축성 분석을 한 결과, 청양 풋고추에 국한하여 출하량을 연간 1% 축소할 경우 2.21%의 가격 상승으로 연간 농가판매 총수입이 1.21%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동절기에 출하량을 감소시켜 농가수취가격을 지지하는 방안이 농가소득안정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특히 경남지역의 청양 풋고추는 시장점유율이 82.5%로 매우 높은 편이므로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생산자단체를 결성하여 출하량 조절을 한다면 효과적으로 가격 및 소득의 안정을 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stability factor of real income and net profits of Chung-yang Green Pepper Farm through an analysis of the operating costs.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a plan for stabilizing the price by shipment adjustments resulting from an analysis of the price elasticity by A Linear Approximated Inverse Almost Ideal Demand System (LA/IAIDS). The income instability factor of the farm based on an analysis of the operating costs was attributed to the unexpected loading of utility expenses and collapse of the price due to oversupply at a specific point in time. On the other hand, this is insufficient to completely explain the income instability factor of Chung-yang Green Pepper Farm because a price collapse does not include the monthly price changes. An analysis of the price and scale flexibility of Chung-yang Green Pepper Farm by monthly data showed that annual farm net yield increases by 1.21% due to a 2.21% increase in price if the shipment quantity is reduced to 1% a year. In summary, a plan that supports the farm price received through declining shipments in winter is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income of farms. Because Chung-yang Green Pepper in Gyeongnam region has an especially high market share of 82.5%, the prices and income of Gyeongnam Chung-yang Green Pepper farms can be stabilized effectively if they form an association of producers around the Gyeongnam region and adjust the shipment.

      • KCI등재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의 교수신뢰,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황민지(Min-Ji Hwang),방요순(Yo-Soon B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G대학 내 보건계열학과학생들의 교수신뢰,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고, 변수들 간의 상관성 및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교수방법 및 학업성취도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8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광역시 내 G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보건계열학과 대학생 276명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직접조사 대상 학생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하였다. 설문지는 교수신뢰 27문항, 성취동기 28문항, 자기효능감 24문항이었다. 연구결과, 교수신뢰는 학년이 낮고,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좋을수록 높았으며, 보건행정학부, 언어치료학과, 간호학과 순으로 교수신뢰가 높았다. 성취동기는 4학년보다 1학년이 높았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좋을수록 높았다. 자기효능감은 고학년일수록 높았다. 교수신뢰,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은 서로 상관성을 보였고,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은 교수신뢰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rofessor trus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f health college students in G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to provide basic data on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period was March 1 through 30, 2018. Study subjects were 276 health college students in G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rofessor trust 27 items, achievement motivation 28 items and self-efficacy 24 items. As a result, professor trust was higher when the grade was lower and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was better, and in order of the division of the health administration, the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therapy, and the department of nursing. Achievement motivation was higher in the first grade than in 4th grade and when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was better. Self-efficacy was higher in order of higher grades. Professor trus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fluenced the professor trus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ill be improved based on the mutual trust among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과제지향적 요리활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직업기초능력 및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민지(Min-Ji Hwang),방요순(Yo-Soon B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6

        과제지향적 요리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직업기초능력 및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8년 3월 12일부터 4월 27일까지 G광역시 N복지관을 이용하는 성인 지적장애인 35명(실험군 20명, 대조군 15명)으로 하였다. 중재는 7주 동안 주 1회 60분씩 진행하였다. 평가는 손기능을 위해 퍼듀페그보드를, 인지기능을 위해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를, 사회적 기술을 위해 사회적 기술평정척도를, 직무능력을 위해 직업인성 프로파일과 관능검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실험군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기술, 직무능력을 향상시켰고 대조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과제지향적 요리활동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의 직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기초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켰기에,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 중재프로그램으로 효용성 및 가치를 확인하였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task-oriented cooking activity program on the key vocational competencies and job competen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period was March 12 through April 27, 2018, and the subjects were 35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who used the N. welfare center in G. City.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one hour per week, over a total period of seven weeks. Various measurement tes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the key vocational competencies of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Purdue Pegboard Test was used to measure hand function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battery was us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the Social-skill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social skills, and Work Personality Profile were used to measure job competen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hand function, cognitive function, social skills, and job competency were improved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us, the task-oriented cooking activity program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key vocational competencies that affect the job competen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is valuable a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원대 승려와 복건 지역의 교량

        황민지 ( Min Ji Hwang ) 중국사학회 2002 中國史硏究 Vol.21 No.-

        본 논문은 원대 복건지역의 교량과 승려들과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사료의 기록에 따르면 복건 지역에서는 송대 이래 내려온 전통에 따라 원대에도 수많은 교량이 건설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석조 교량 가운데 적지 않은 수가 부교나 목조교량을 개수하여 건설한 것으로, 항구나 섬이나 협만이나 해안을 가로질러 놓여졌다. 이들 석조 교량 가운데 승려들이 건설하였거나 승려들이 건설비를 댄 것이 적지 않았으며, 나아가 교량의 훼손 또는 붕괴 후에도 승려들이 앞장서서 보수 복구하였으며, 교량의 유지 보수의 일도 승려들이 감당했다. 동시에 교량 위에는 암자나 사찰을 세울 수 있어서 승려들이 교량을 지킬 수 있었다. 교량 위에도 불교와 관련있는 건조물들이 있었는데 예를 들면 보살상이나 각종 불상 또는 불탑 등이다. 승려들은 왜 이러한 일을 불평없이 감당했을까? 이는 당연히 승려들 스스로가 본래 해당 지역의 지도자적 집단이어서 쉽게 인력과 재력을 모을 수 있었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동시에 복건 지역의 경제가 발전한 것과도 상당히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천주가 해상 실크로드의 출발점을 이루었던 것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량은 천주에 위치한 것이 적지 않다. 이들 교량은 후대에 거듭 보수 개축되면서 비록 원래의 모습을 이미 잃어버린 것도 있지만, 일부는 다행하게도 보존되어 내려오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원대 승려들이 복건 지역에서 교량에 대해 기울인 노력과 공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사실들은 우리들로 하여금 비록 고승전에 기록되어 있진 않지만 당시 지역사회에 미친 승려들의 지대한 공헌에 대하여 깊은 경의를 표하게 한다.

      • KCI등재

        임대아파트 보행보조기 이용 노인의 주거 편의성과 편의시설 만족도, 낙상 효능감 및 일상생활활동에 관한 연구

        황민지(Min-Ji Hwang),방요순(Yo-Soon Bang),손보영(Bo-Young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는 G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보행보조기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주거 편의성과 편의 시설 만족도를 알아본 후, 낙상 효능감 및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8년 1월 17일부터 2월 21일까지 G광역시 내 A영구임대아파트와 B영구임대아파트의 보행보조기 이용 노인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A와 B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보행보조기 이용노인은 주거 편의성, 편의시설 만족도, 낙상 효능감, 일상생활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보행보조기 이용노인의 주거편의성과 편의시설 만족도는 낙상효능감 및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영구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거나 안전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요소를 파악하여 인간공학적 개선을 함으로써 주거 공간 및 편의시설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여 진정한 의미의 주거복지를 실천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venience of elderly facil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falls 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focusing on senior users of walking aid who live in a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G. City. The study period was January 17 through February 21, 2018. Study subjects were senior users of walking aid who live in A permanent rental apartment and B permanent rental apartment in G. City. As a result, the convenience of elderly facilities, satisfac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falls efficacy and ADL were higher in senior users of walking aid who live in the latest permanent rental apartment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differences in residential space and convenient facility. However, especially convenience of elderly facilities and Satisfac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influenced falls efficacy and ADL. Therefore, housing welfare in a true sense should be practiced by understanding the in conveneince and unsafety factors focusing on aging permanent rental apartment and making human engineering improvements for conveneient and safety residential space and convenient facility.

      • KCI등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Adults Who Stutter in the Twenties

        황민지(Min-Ji Hwang),이은주(Eun-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20대 말더듬 성인의 삶에서 말더듬이 갖는 의미와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말더듬 경험이 어떠한지, 말더듬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본인이 스스로 말을 더듬는다고 생각하는 20대 말더듬 성인 6명으로 연구자가 평가를 통해 말더듬 문제를 확인하였다. 개별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면담 자료를 전사하여 근거이론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9개의 하위주제와 3개의 주제가 드러났다. 하위주제는 1) 말더듬의 영향: 불편하지 않지만 불편하다, 2) 말더듬에 대한 개방: 말하고 싶지 않지만 말하고 싶다, 3) 말더듬의 통제: 조절할 수 있지만 조절할 수 없다, 4) 말더듬 판단의 주체: 내가 판단하는 것 같지만 내가 판단하지 않는다, 5) 말더듬에 대한 타인의 부정적 반응, 6) 말더듬에 대한 자신의 부정적 인식, 7) 자기 방어적 태도, 8) 방관적 자세, 9) 치료에 대한 불신이며, 주제는 1) 말더듬에 대한 양면적 태도, 2) 부정적 반응에 대한 자기 보호, 3) 말더듬에 대한 소극적인 대응이다. 논의 및 결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인지-정서적 치료 접근의 필요성과 지지 그룹 활성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impact of stuttering on the lives of young adult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uttering experiences and the perception of adults who stutter in their twentie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ith 6 adults who stutter in their twenties have been administered and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Results: Nine significant subthemes and three main themes were drawn from the final analyses. Subthemes were ‘influences of stuttering: live with stuttering is not inconvenient but it is rather inconvenient at times’, ‘openness of stuttering: I don’t want to talk about stuttering but sometimes I to (talk about stuttering)’, ‘control of stuttering: I believe I can control my speech and stuttering but sometimes it is difficult to control’, ‘judge of stuttering: I think that “I” judge my speech and stuttering but actually “others” judge me’, ‘others’ negative responses to my stuttering’, ‘negative perceptions to stuttering’, ‘self-defensive attitudes’, ‘onlooking attitudes: leave stuttering’, and ‘mistrust in therapy’. Main themes wer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stuttering’, ‘self-defense to negative responses’, ‘passive reactions to stuttering’. Conclusion: The cognitive-a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was discussed for future needs and such possible support groups were also discussed for the young adults who stutter.

      • KCI등재후보

        근로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웰니스(Wellness) 요인 상관분석

        황민지(Min-Ji Hwang),방요순(Yo-Soon B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3

        본 연구는 직업재활을 위한 ICF Core Sets를 적용하여, 근로 장애인의 웰니스(Wellness) 요인을 분류하고 각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 재활을 촉진하는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G광역시 내 근로 장애인 65명이었고, 기간은 2014년 7월 3일부터 8월 13일까지였으며, 도구는 직업재활을 위한 포괄형 ICF Core Sets으로 직접 설문 및 평가하였다. 웰니스 요인 중 신체기능과 활동 및 참여는 성별에서 차이가 있었고, 환경요인은 근무시간과 급여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신체기능, 활동 및 참여, 환경요인은 모든 대상자가 직업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신체기능, 활동 및 참여, 환경요인 간의 관계는 상호 관련성이 있었다. 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재활을 위해서는 신체기능 향상 프로그램, 직업 관련 교육 활동, 환경적 요인의 지지와 제도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apply the ICF core set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o classify the Wellness factors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se components, and present basic data that could help facilitate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65 disabled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uly 3 to August 13, 2014. They personally completed a questionnaire using a comprehensive ICF core set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factors of wellnes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physical functions and activities and participations; work hours and pay differences i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all the participants were at similar levels of body function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by occupation. Inter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wellness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systematize the programs for improving the body functions, the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occupatio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pursuit of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상호배타성 가정과 화용적 단서를 활용하는 단어 습득

        김지은(Kim, Ji Eun),황민지(Hwang, Min-Ji),이은주(Lee, Eun Ju)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1

        연구목적: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단어 습득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상호배타성 가정을 활용한 단어 습득 능력, 화용적 단서를 활용한 단어 습득 능력, 그리고 상호배타성 가정을 억제하고 화용적 단서를 활용하는 단어 습득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언어연령 3-5세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14명과 언어연령이 일치하는 일반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상호배타성 가정을 활용하는 단어 습득, 실험 2에서는 화용적 단서를 활용하는 단어 습득, 실험 3에서는 화용적 단서를 활용하여 상호배타성 가정을 억제하는 단어 습득을 확인하였고, 실험 2, 3에서는 화용적 단서의 유형에 따른 집단 간 단어 습득 능력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상호배타성 가정과 화용적 단서를 활용하는 단어 습득 과제인 실험 1과 실험 2에서 일반 아동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화용적 단서를 활용하여 상호배타성 가정을 억제하는 단어 습득 과제인 실험 3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그리고 실험 2와 3에서 응시하기보다 가리키기에서 두 집단 모두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언어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상호배타성 가정과 화용적 단서를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대방이 제공한 화용적 단서의 유형에 따라 맥락에 맞게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두 번째 이름 습득의 결함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bility to utiliz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nd pragmatic intention in order to acquire words, and the ability to suppress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by using pragmatic intention in order to acquire word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4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ged 3-5 and 16 ordinary children matching language age. Experiment 1 was planned to find out the role of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Experiment 2 was about the role of pragmatic intention, and experiment 3 was about suppressing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word acquisi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pragmatic inten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experiment 2 and 3. Result: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ordinary childre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performance in the task of acquiring words using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nd pragmatic intention. In the task of experiment 3,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ordinary children. Conclusion: These results mean that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an utiliz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nd pragmatic intention as their language skills improve. Also, it was meaningful to find out the difficulty of acquiring a second name of same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