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풀림과 맺힘의 서울 무속

        홍태한(Hong, Tea-Han)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이 글은 풀림과 맺힘이라는 상반된 개념으로 서울의 도시 무속을 설명한 글이다. 풀림과 맺힘은 상대적이다. 풀림이 여는 것이고, 쌓인 것을 없애는 것이라면, 맺힘은 막는 것이고, 새로운 것을 쌓는 것이다. 풀림과 맺힘의 철학적 의미를 논하지는 않는다. 서울굿판에 보이는 상반된 두 양태를 풀림과 맺힘으로 설명해보려고 하는 것이다. 먼저 서울굿판의 재가집의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으며 전문직종 종사 비율이 높고, 종교를 가진 이들이 다수이며, 굿을 널리 알리기보다는 혼자 참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은 개인 신당이나 영업용 굿당을 선호하는데, 굿이 진행되는 동안 자신을 잘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굿의 진행이나 공수에는 즉각적인 반응을 보인다. 이들은 굿에 대해 이중적인 면을 보인다.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고 풀려고 하면서, 그 행위 자체를 감추려 하는 것, 즉 풀림과 맺힘의 상반된 인식이 보인다. 서울굿을 바라보는 이중적 시각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개인굿에서는 개인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면서도 공개적으로 감추려 한다. 마을굿은 대동의식과 공동체의식을 확인하는 자리라는 표면적인 의미와는 무관하게 몇몇 마을 주민들이 참가하여 대다수의 마을주민들을 구경꾼으로 만드는 행사굿으로 변모하고 있다. 드러내는 것과 감추기, 맺힘과 풀림의 이중적 모순의 모습이 21세기 현재 서울굿판의 모습이다. 이처럼 서울굿은 풀림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그것은 지극히 제한된 의미의 풀림이다. 혼자만의 신명과 욕망을 풀고, 몇 몇 사람 중심으로 행사처럼 열리는 마을굿은 본질적인 풀림이 아니다. 서울 무속은 풀림을 보여주지만 개인의 신명 풀이이고 가족중심주의의 풀이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면 원형이 무엇인가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야 한다. 이미 맺힘 중심의 변화하는 서울굿판에서 원형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인가 의문이다. 그리고 무속을 포함하는 민속이 지금 당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을 대상으로 한다면, 마땅히 변하고 있는, 또는 변해버린, 변할 현상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원형은 없고 전형은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둘째 무속의 본질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야 한다. 전통의 하나로 무속이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전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채롭게 변화한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재가집(신도)에 대한 연구로 관심의 폭을 넓혀야 한다. 다양한 현상에 대한 관찰 조사는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This article explains urban shamanism of Seoul based on the contrasting concepts of untying and tying. Tying and untying are in relative relationship. Untying refers to opening and removing what is stacked, while tying means blocking and stacking new things. This article does not discuss philosophical meanings of untying and tying. It tries to explain the contrasting aspects of Seoul gut(exorcism) with the concepts, untying and tying.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jaegajib of Seoul gut are as follows. They are financially well-off, many of them are professionals, have a religion, and tend to participate alone than let others know about the gut. They prefer personal shrines or business venues for gut and do not reveal themselves while gut is performed. Still, they instantly respond to the process of gut or gongsu(shaman’s getting possessed and conveying the words of a dead soul). They have dual attitudes about gut. They want to show and release their desire but try to hide the act. That is, they show the contradicting aspects of untying and tying. The dual perspectives about Seoul gu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ersonal gut reveals personal desires but tries to hide it from the public. Village gut, regardless of its known purpose of solidifying the awareness of accompaniment and community, is being transformed into event gut, where people from several villages participate and most of them just watch the event. The contradiction of revealing and concealing, tying and untying is the aspect of 21st century Seoul gut. Seoul gut shows the aspect of untying but it is untying with a very limited meaning. Village gut, where one expresses one’s excitement and desire and which takes place with a few people is not untying in its essence. Seoul shamanism involves untying but it is the release of personal excitement and the release centered on family. From this perspective, we need to think about what is the prototype. In Seoul gut, where there is already a change centering on tying, it is dubious whether there could be a prototype. Also, if folk culture, including shamanism, is about the life of the contemporary people, it should naturally focus on the changing, changed, or to-be-changed phenomena. Then, there could not be any prototype or paragon. Shamanism exists as a type of tradition but the tradition keeps changing in various ways instead of staying fixed. Lastly, we need to expand our range of interest to jaegajib(shindo). Observation and research on various phenomena is required more than anything.

      • KCI등재후보

        서울 진오기굿 〈바리공주〉의 저승관과 그 의미

        홍태한(Hong Tea-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27 No.-

        이글은 〈바리공주〉무가에 나타난 공간의 모습과 그 의미를 고찰한 글이다. 먼저 진오기굿을 이승굿과 저승굿으로 나눈 후 저승굿이 망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의미임을 밝혔다. 특히 〈바리공주〉를 구송하는 말미 거리는 저승굿의 다른 거리와는 달리 망자를 중심에 두고 진행하지 않고 저승의 신격을 중심에 두고 구송한다. 다른 굿거리들이 망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말미거리는 망자를 저승에서 맞이하는 신격의 입장에서 굿을 진행한다. 그러나 말미 거리 후반부에서 망자의 극락왕생을 확인하는 과정이 있어서, 망자와 저승 신격이 서로 만나게 하는 의미가 있다. 또한 〈바리공주〉 무가에는 수직적 세계보다는 수평적 세계가 존재한다. 바리공주가 서천으로 약수를 구하러 갈 때에도 수평으로만 이동한다. 서천서역국이 일상세계와 연속되어 있다는 것은 한국 무속의 현실을 중시하는 사고관의 반영으로 보았다. 이와 함께 〈바리공주〉에서는 공간의 확대가 계속적으로 일어나는데 궁궐이라는 배경은 점차 산, 멀리 떨어진 곳, 서천서역국으로 확장한다. 공간의 확장은 문제 발생과 문제 해결의 빈복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 공간이 한 번 확대될 때마다 주어진 문제가 해결되면서 또 다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문제는 모든 제약이 사라진 서천서역국이라는 공간의 등장으로 완전하게 해결된다. 〈바리공주〉는 제약이 있는 공간에서 제약이 사라진 공간으로 자신의 무대를 넓혀 나간다. 그리고 제약이 없는 공간의 힘을 가지고 있는 약수를, 제약이 남아 있는 공간으로 가지고 옴으로써 모든 닥친 제약을 해소한다. 〈바리공주〉에서 공간이 확대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제약을 해소하려는 방편이다. 모든 제약이 사라진 세계의 힘을 제약이 남아 있는 세계로 끌어오는 것이 〈바리공주〉의 역할이다. 이러한 〈바리공주〉가 오구굿판에서 구송된다는 것은 죽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제약을 풀어준다는 의미이다. 살아 있을 당시에 미처 다하지 못했던 한들을 풀어주고, 망자를 무사히 아무런 제약이 없는 세상으로 인도하는 〈바리공주〉를 들으면서 현실에 존재하는 제약은 극복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space and its meaning of 〈Bari gongju〉, a spiritual song. First of all, Jinoki exorcism is divided into two parts: Yiseung exorcism (exorcismin this world) and Jeoseung exorcism (exorcism in the other world). Jeoseung exorcism (exorcism in the other world) shows the process of sending the dead person to the other world repeatedly. In particular, Malmigeori which recites 〈Bari gongju〉 focuses on godhood of the other world not on the dead person unlike other geories of Jeoseung exorcism. That is, other shaman song focuses on sending the dead person to the other world, while Malmigeori concentrates on godhood of welcoming the dead person in the other world. However, there is the process of checking the dead person's easy passages into eternity in the end of Malmigeori,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e dead person and the god of the other world meet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Bari gongju〉 has a horizontal world rather than a vertical world. For example, Bari gongju moves only horizontally to Seocheon in order to get mineral water. Connecting Secheonseoyeokguk (the nation in the western sky) to ordinary life shows that traditional Korean shamanist custom considers current life important. Moreover, 〈Bari gongju〉 expands from limited space to unlimited space. Bring the mineral water with unlimited spatial power to the restricted space solves all limitations. Space expansion in 〈Bari gongju〉 is a metho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Bari gongju〉 plays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power of the unlimited world to the limited world. 〈Bari gongju〉 recited in Ogu exorcism means that it can solve the limitation (grudge in this world) of the dead person. 〈Bari gongju〉leading the dead person to the unlimited world can overcome all limitations in this world.

      • KCI등재

        은산별신제 무가의 전승과 변화

        홍태한 ( Tea Han Hong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1 No.-

        이 글은 부여 은산별신제 무가의 전승과 변화 과정을 살펴본 글이다. 은산별신제는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로 일찍 지정될 만큼 대표적인 민속의례로 인정받았다. 그런데 지정 당시 임동권 선생이 조사한 무가 자료가 후대에 전승되면서 사뭇 다르게 변화했다. 은산별신제차진용 보유자가 정리한 무가는 내용도 크게 달라졌고, 명칭도 < 축원가 >와 < 당산할아버지굿 >에서 < 상당굿 >, < 하당굿 >으로 변화했다. 최근에는 여기에 < 팔도명산 축원 >과 < 신장축원 >이 더해지면서 변화가 새롭게 일어났다. 글쓴이는 최근 은산별신제 무녀 명예보유자 황남희를 7차례 만나 은산별신제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었다. 이 과정에서 무가의 전승변화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은산별산제 무가의 변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어 이 글을쓰게 된 것이다. 차진용이 정리한 은산별신제 무가는 기실 황남희가 새롭게 만든 무가임이 밝혀졌는데 황남희는 이 무가를 서점에서 구입한 무가집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었다고 했다. 또한 황남희는 은산별신제에서는 대내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역시 무가집을 보고 그대로< 팔도명산 축원 >과 < 신장축원 >을 만들었다고 했으며 그 과정에서 어느 누구에서도 이의를 받은 적은 없다고 했다. 결국 현재 전승되고 있는 은산별신제 무가는 황남희 무녀가 기존에 내려오던 무가 사설에 자신이 책을 통해 찾은 여러 무가 사설을 합해 만들어진 것임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은산별신제에서 무당굿의 비중이 그리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은산별신제의 변화 과정에 무가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황남희의 생각을 볼 때 무형문화재의 원형이 무엇인가에 대해 새롭게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change of a shamanism ceremony called ‘Eunsan Byeolsinje’ in Buyeo. Eunsan Byeolsinje, a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has long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iconic traditional shamanism ceremonie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shamanism ceremony materials investigated by Dong-gweon Lim at the time of designation have gone through major changes as they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The shamanism ceremony described by Jin-yong Cha, the holder of Eunsan Byeolsinje, has seen a significant change in its content along with its name from < Chukwonga > and < Dangsan Grandpa Gut > to < Sangdang Gut > and < Hadang Gut >. Added to these in recent years are < Paldomyeongsan Chukwon > and < Sinjang Chukwon >, bringing new changes to the original ceremony. I have recently heard of a variety of stories regarding Eunsan Byeolsinje from an honorary female shaman of Eunsan Byeolsinje named Nam-hee Hwang through seven occasions of meeting and interview, mostly about transmission and change of shamanism ceremony. This article has been prepared based on a new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process of a ritual ceremony called Eunsan Byeolsinje. Eunsan Byeolsinje shamanism ceremony described by Jin-yong Cha turns out to be a shamanism ceremony newly created by Nam-hee Hwang based on the Collection of Shamanism Ceremonies purchased at a bookstore. In addition, Nam-hee Hwang thought highly of Daenaerim in Eunsan Byeolsinje and created < Paldomyeongsan Chukwon > and < Sinjang Chukwon > directly from the Collection of Shamanism Ceremonies, during which he had no objections from anyone. In the end, it turns out that the current Eunsan Byeolsinje shamanism ceremony available today is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shamanism ceremony and additional description of several shamanism ceremonies made by shaman Nam-hee Hwang based on the books she used as references. It has also been found that shaman gut is not given a relatively high priority in Eunsan Byeolsinje. In addition, Nam-hee Hwang who found it necessary to bring a change to shamanism ceremonies in changing process of Eunsan Byeolsinje has served as an occasion to cast a doubt on the original form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 KCI등재

        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03 한국무속학 Vol.0 No.6

        이 글은 서울지역의 굿에서 사용되는 상차림을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무가나 무신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된 상차림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울굿에서 차려지는 굿상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부정상, 산신본향상, 가망본향상, 불사상, 조상상, 장군상, 성주상, 뒷전상, 지신상, 안당제석상, 대신말명상, 천궁맞이상. 대수대명상, 사자상, 연지당상, 대감상, 망제님 전물상 등이 현재 서울 지역의 무당들이 말하는 굿상의 종류이다. 그러나 이들 중 몇몇은 실제 굿판에서는 차려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며, 무당에 따라 동일한 상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들 굿상 중에서 일반적으로 모든 굿에 차려지는 상은 부정상, 본향상, 장군상, 뒷전상이다. 본향상은 산신본향과 가망 본향을 모시는 상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상에 올려지는 음식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다른 굿상은 어떤 차림을 가지고 있는지를 그림과 함께 제시했다. 서울굿의 상차림에 나타난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먼저 굿판에 나타나는 신격과 상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굿판의 성격에 따라 비중을 강하게 부여하는 상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서울굿의 상차림에서는 제물을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있음이 보인다. 떡, 나물, 과일, 전, 고기가 그것인데 이 중에서 떡과 나물, 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넷째로는 상의 규모를 줄일 때 시루를 사용하는 모습이 보이며, 다섯째로 꽃(무화)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음이 보인다. 여섯째는 상징성이 있는 음식이 몇 가지가 있으며, 일곱째 상차림이 제가집에게 보이는 무당 정성의 표현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차림은 신과 인간이 직접적으로 만나는 역할을 한다. 서울굿의 상차림을 살펴봄으로써 굿상에 대한 개략적인 모습이 밝혀졌다는 데에 이 글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개별적인 굿거리에서는 각각의 상차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앞으로 살펴볼 것을 과제로 제시한다. This essay is the study about the setting the table of Gutpan in which is performed in Seoul area. There are many kind of setting the table in Seoul-gut. Shamans in Seoul area classify the Gut-sang as Bujeong-sang, Sansinbonhyang-sang, Gamangbonhyang-sang, Bulsa-sang, Josangsang, Janggun-sang, Seoju-sang, Dwijjeon-sang, Jisin-sang, Andangjeseok-sang, Daesinmalmyeong -sang, Cheongungmaji-sang, Daesodaemyeong-sang, Saja -sang, Yeonjidang-sang, Daegam-sang, Mangjenimjeonmul-sang. But some of them are not set and some of them are often called the different name by the different Shamans. Among these Gut-sangs, Bujeong-sang, Sansinbonhyang-sang, Janggun -sang, Dwijjeon-sang are generally set in all kind of Gutpan. Bonhyang-sang is the Sang which worship the Sansinbonhyang and the Gamangbonhyang. I described the food which is set in the Sang in this essay and studied the symbolic meanings of food which is set in the Sang. As a result, the whole aspect of the setting the table of Seoul-gut is found out. We need the detailed discussion based on these facts forward.

      • KCI등재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연행구조와 의미

        홍태한 ( Hong Tea-han )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4 No.-

        이 글은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연행 구조와 의미를 살핀 글이다. 황해도굿은 현재 서울, 인천, 경기에서 주로 연행되는데 특히 망자를 천도하는 진오기굿이 자주 열린다. 진오기굿은 망자가 죽은 이후 언제 열리는지에 따라 명칭이 다른데 이 글에서 대상으로 삼은 것은 망자의 죽음 이후 49일 전에 주로 열리는 진진오기굿이다. 망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가져온 슬픔과 충격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는 굿이 진진오기굿이다. 이 글에서는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굿거리 구성을 살펴보고, <안등신 좌정하기>와 <영실감흥거리>가 진진오기굿을 바라보는 만신의 서로 다른 관점의 반영임을 제시했다. 그리고 진진오기굿을 구성하는 개별 굿거리의 의미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황해도 진진오기굿은 시왕과 사자가 중심이 되다가 마침내 망자를 출연하게 하여 죽음이 가져온 이별의 고통을 치유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망자와 산자의 갑작스러운 단절이 진진오기굿을 통해 소통으로 이루어지고, 굿이 진행되면서 자연스러운 분리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제시했다. 결국 황해도 진진오기굿은 죽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죽음을 수용하게 하는 유용한 장치임을 규명하였다. This article is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and its implication of Jinjinogi-gut of Hwanghaedo. The Hwanghaedo-gut is mainly perform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oday, and in particular, the Jinogi-gut that leads the deceased to heaven is frequently held. The Jinogi-gut has different named depending on when it is held after passing of the deceased, and the subject in this article is the Jinjinogi-gut that is mainly held 49 days prior to the passing of the deceased. The gut that helps to break away from sorrow and shock from the sudden passing of the deceased is the Jinjinogi-gut. In this article, the gutgeori (performance of shamanism) composition of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en sought, and it presents that < Andeunsin Gwajeonghagi > and < Youngsilgamheunggeori > are reflecting the mutually different point of view of the mansin (10 thousand gods or sometimes, female shaman) that looks at the Jinjinogi-gut. And the implication of individual gutgeori that composes the Jinjinogi-gut is formulated, and through this endeavor,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come the center of Siwang (ten underworld kings) and saja (the angel of death), and with the deceased appearing at last, it is considered to be healing of pain from departure from the death. It has presented that the sudden isolation of the deceased and the live people is made in communication through the Jinjinogi-gut, and with the gut (shaman dance) in progress to make natural separation. Consequently,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en clarified as it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d it is the useful device to accommodate death.

      • KCI등재

        서울굿 가망청배거리에서 ‘가망’의 의미 연구

        홍태한(Hong Tea-han)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1 No.-

        이글은 서울굿의 한 신격인 가망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다음과 같은 사항이 논의되었다. 가망은 근원신의 이름이면서 조상신과 관련되어 있다. 굿판에 불려진 신들을 굿판에 들어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가망이다. 서울굿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가망이 존재한다. 호남지방, 평안도, 황해도 지역에도 가망이 있는데 이를 통해 한국 무속이 같은 계통임이 확인된다. 한국의 굿이 초반부에서는 항상 신격을 불러 모시는 의미를 강조하는데 가망은 이러한 불러 모신다는 의미를 강조한다. 서울굿에 등장하는 가망이 전국적인 굿에서 모두 발견된다는 것은 한국굿의 하나의 원리로 가망의 원리를 들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가망의 의미가 밝혀졌고 가망이 한국 굿의 중요한 원리임이 규명되었다. 앞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굿의 내적 원리를 도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article is considered about the meaning of Kamang as a god of seoul-gut.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Kamang is a name of original god and related with an ancestor god. It is a Kamang that lets gods, who were summoned to gut place, come into a gut place. There is not only in seoul gut, but also in other areas. For example, Ho-nam province, Pyeong-an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Through this, it makes sure that korean shamanism has the same root. It is the meaning that a divinity is always worshiped and summoned in an opening part of the korean gut. In the respect of Kamang, it is emphasized on the same meaning. Kamang of seoul gut is founded in all guts of the country. It means that one of the principles of the korean gut is a Kamang. On this, the meaning of is founded and it is examined colsely Kamang as the important principle of the korean gut.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seek an internal principle of the korean gut based on discussions like this.

      • KCI등재후보

        서울굿 장단과 굿거리의 관련성

        홍태한 ( Tea Han Hong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6 No.-

        이글은 서울굿에 존재하는 장단의 의미를 주로 개별 굿거리, 신격과 관련하여 살펴본 글이다.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은 서울굿판의 장단을 개별적으로 살핀 후 장단의 결합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아울러 살폈다. 서울굿판에는 청배장단, 상산장단, 굿거리장단, 별상장단, 타령장단, 노랫가락장단, 만수받이장단, 휘몰이장단 등이 있다. 이들 장단은 모두 신격과 연결되어 있고, 구체적인 개별 굿거리와도 관련이 있다. 아울러 노랫가락과 타령은 신격에 따라 존재 양상이 달라진다. 노랫가락을 받는 신격과 타령을 받는 신격이 서로 다르다. 또한 굿거리장단은 굿거리를 구분하게 하고, 이승의 망자가 저승으로 가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처럼 서울굿판에서 장단은 음악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무속적인 의미망을 담고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서울굿의 장단이 단순하게 음악적인 의미망을 넘어서서 무속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음이 밝혀졌다. 아울러 개별 장단이 결합하여 다양한 굿 연행의 중요한 의미를 도출할 수 있음도 밝혔다. The study was examined the meaning of rhythm in a Seoul Gut in association with the god and an individual gutgeori. Also I looked around how it meant to the combination of rhythm, after examining rhythm of seoul gut, respectively. There are Cheongbae jangdan(=rhythm), Sangsan jangdan, Gutgeori jangdan, Byeolsang jangdan, Taryeong jangdan, Noraetgarak jangdan, Mansubaji jangdan, Hwimori jangdan in a Seoul gutpan. These all jangdans were related with God as well as specific gut geo ri individually. Besides, It might be changed aspects of existence on Noraetga ak and Taryeong on a kind of God. The god who received Noraetgarak was different from the god who received Taryeong. Gutgeori jangdan distinguished Gutgeori from other things and also shows the process in which dead person departs this life. In this way, the rhythm in a Seoul gut is in existence as a shamanic meaning, not a music.

      • KCI등재

        ‘사자’를 중심으로 한 생전예수재와 서울 진오기굿의 세계관 비교

        홍태한 ( Hong Tea-han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69 No.-

        이 글은 생전예수재 <사자단>의 의미를 서울 진오기굿 <사재삼성거리>와 비교하여 살핀 글이다. 생전예수재 <사자단>의 구성과 연행 양상을 살피고 진오기굿 <사재삼성거리>의 구성과 연행 양상을 살펴 두 재차의 세부적인 내용과 의미를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자단>과 <사재삼성거리>의 공통점을 몇 가지 제시했다. 먼저 구성방식이 같고 각각의 연행 뒤에 이어지는 주요 존재의 등장을 전제로 하고 있음도 공통된다. 아울러 ‘사자’가 존재함으로써 생전예수재 <중단>의 명부의 권속과, 진오기굿 <말미거리>의 바리공주의 제의적 기능의 유사성이 드러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생전예수재 ‘사자 : 중단의 권속’의 관계는 진오기굿 ‘사자 : 바리공주’의 관계와 같고, 또한 사자를 불러 대접해야 한다는 관념도 생전예수재와 진오기굿이 동일하다. 하지만 생전예수재 <사자단>은 의례의 초반부로, 앞으로 이어질 본격적인 생전예수재를 예비하는 반면, 진오기굿 <사재삼성거리>는 의례의 종반부로 망자가 저승으로 천도되었음을 보여주면서 굿을 마무리하는 단계로 나간다. 이것은 불교와 무속의 세계관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생전예수재의 세계는 상단의 부처님이 모든 것을 주재하는 곳으로 인간세상과 명부는 사자를 통해 소통한다. 수평적 세계와 수직적 세계의 공존이다. 진오기굿의 세계는 인간세상과 명부가 존재하면서 사자는 인간세상에서 망자를 명부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적 세계만 존재한다. 생전예수재의 사자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명부의 권속을 인간세계로 초청하는 역할을 하고 이 모든 것은 상단의 부처님 눈 아래에서 행해진다. 진오기굿의 사자는 망자를 명부로 인도할 뿐이고 이를 바라보는 절대적인 존재는 없다. 사자의 역할과 사자와 연계된 존재의 차이는 이러한 세계관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Saengjeonyesujae < Sajadan > in comparison with Seoul Jinogi-gut < Sajaesamseonggeori >. After investigating the organization and performing aspects of Saengjeonyesujae < Sajadan > and then those of Jinogi-gut < Sajaesamseonggeori >, this author presents the detailed contents and meanings of the two jae (齋). Based on that, this study suggests several similarities between < Sajadan > and < Sajaesamseonggeori >. First of all, the way of their organization is the same, and the appearance of main beings following each of the performances is preconditioned identically. Also, as ‘Saja’ exists, a similarity seems to be revealed between the dependents of Myeongbu in Saengjeonyesujae < Jungdan > and the ritualistic function of Barigongju in Jinogi-gut < Malmigeori >. Accordingly, relationship between Saengjeonyesujae ‘Saja : the dependents of Jungdan’ corresponds to that between Jinogi-gut ‘Saja : Barigongju’, and the idea of having to summon and treat Saja is identically found in Saengjeonyesujae and Jinogi-gut. In Saengjeonyesujae < Sajadan >, however, it appears in the beginning of the ritual and prepares for Saengjeonyesujae that will genuinely start from then on whereas in Jinogi-gut < Sajaesamseonggeori >, it is at the end of the ritual and leads to be step to finish the gut showing that the dead is transferred to the next world (薦度). This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of views to the world between Buddhism and shamanism. The world of Saengjeonyesujae is where Buddha rules everything at the top, and the human world and Myeongbu communicate through Saja. It is the coexistence between the horizontal world and vertical world. In the world of Jinogi-gut, the human world and Myeongbu exist, and Saja has a role of leading the dead from the human world to Myeongbu. Only the horizontal world is present. Saengjeonyesujae’s Saja has a role of inviting the dependents of Myeongbu existing in the other dimension to the human world, and all these things are done under the eyes of Buddha at the top. The only thing Jinogi-gut’s Saja does is to lead the dead to Myeongbu, and there is no absolute being watching it there. This difference found in Saja’s roles and beings associated with Saja originates from the difference of their views to the world.

      • KCI등재

        서울지역 도당굿의 변화와 의미

        홍태한(Hong, Tea-han)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8 No.-

        이 글은 서울지역 도당굿의 변화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민속을 바라보는 관점을 논한 글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서울지역 도당굿의 분포를 살펴보니 도당굿은 자연 마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여러 지역에 남아있는 도당굿은 몇 가지 변화상을 보인다. 먼저 마을신앙으로서의 성격을 잃고 신앙의례까지 점차 단절되고 있다. 이러한 단절이 일어나게 된 것은 도당굿이 자연 마을 중심의 마을신앙이어서 마을이 재개발되면서 구심점을 쉽게 잃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당굿의 다양성과 지역적 정체성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다양한 지역에서 서로 다른 무속집단이 도당굿을 연행했지만 지금은 동일한 무속집단이 지역적 정체성을 내세우지 않고 여러 곳에서 도당굿을 감당한다. 그리하여 도당굿의 정체성이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여기에 무형문화재 제도가 영향을 주어 마을 주민보다는 무속인이 중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상을 바탕으로 할 때 민속의 전형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 전형의 기준은 하나 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형의 범주에 따라 도당굿의 성격이 크게 달라진다. 더욱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도당굿을 바탕으로 과연 전형을 논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를 통해 민속은 변하지 않는 고유한 가치가 있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민속이 변하고 있는 현재의 모습을 현장에서 확인해야 한다. 변화상을 살펴보아야 전형의 정립이 가능하고 민속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안목이 열릴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ing status of dodanggut of Seoul and based on this, discusses the perspective to see folklore. First of all, the distribution of dodanggut in Seoul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dodanggut tends to be transmitted centering on natural villages. Dodanggut that is remaining in several regions show some aspects of change. First, it is losing its characteristics as a folk belief and is losing its ritual as a belief. The reason for its loss is that dodanggut is a folk belief centered on natural villages and as villages are redeveloped, it is losing its center. Also, the diversity and local identity of dodanggut is gradually disappearing. Previously, various shaman groups performed dodanggut in various regions but now the same shaman group perform dodanggut in many places without showing any local identity. So dodanggut has lost its identity and here, intangible cultural asset had an influence. This made dodanggut centered on shamans rather than on villagers. Considering these changes, it is doubtful whether there can be a prototype of folklore. There can be many standards in prototype, not just one. So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prototype, the characteristics of dodanggut changes. In addition, based on dodanggut that is rapidly changing, it is questionable whether we can discuss prototype. So we should break away from the belief that folklore has its unique value that does not change and have to witness the current status of folklore that keeps changing. When we look at the changing aspects, we will be able to establish prototype, and will have an eye for appreciating folklore.

      • KCI등재

        서울굿의 현재적 양상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2

        이글은 현재 서울지역에서 행해지는 굿의 모습을 정리한 글이다. 굿을 담당한 무당을 중심으로 본다면 새로운 무속인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충청도나 전라도 무당들이 서울굿판에서 굿을 하기도 하고, 선녀나 동자를 모시는 무당들도 많이 등장한다. 악사들도 전통적인 흐름에서는 벗어나 새로운 모습들을 보인다. 마을굿이 많이 행해지고 있으나 제의성은 약화되고 일회적인 행사같은 느낌을 준다. 개인굿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다. 음악과 같은 예술성은 줄어들고 신의 말씀을 직접 듣고 싶어하는 수요에 맞추어 공수를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굿의 요소가 되었다. 공급자인 무당보다 수요자인 재가집이 굿의 중심에 놓여있다. 굿을 전문적으로 뒷바라지 해주는 굿당이 성업중이어서 서울굿 전승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마을굿은 행사 중심으로 바뀔 것이고, 개인굿은 획일화 축소화가 일어날 것이다. 그리고 무당보다는 재가집이 중심이 되는 굿판이 열릴 것으로 예상한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aspects of Seol Area Gut. Focusing on the shaman, who are charge of gut, we can see lots of new shamans appear. Shamans from Chungcheong province or Jeolla province often play guts at the Seoul gut-pan(place), and a lot of shmans who worship Dongja or Seonnyeo appear. Also, the musicians show new aspects which were deviated from the traditional stream. Although the town guts are hold, the feature of sacrificial rite weakens and it give us feeling just like an event. There are a lot of changes on the personal gut. The feature of art like music decreased and then the most important factor became the giving god’s words to meet requirements , that is to say, people want to listen to God directly. The demander, client is in the middle of gut rather than the provider, shaman. Gut-dang, which served professionally guts, is widely done, so it plays a role to hand down the Seoul gut. In the future, the town gut will be based on event and the personal gut will be standardization and reduction. I expect the client -based gut pan to be hold rather than the shaman-b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