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 취업유무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트레스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오승희(Seung Hee Oh),현화진(Wha Jin Hyun),이홍미(Hong Mie Lee),박혜련(Hae Ryun Park),임현진(Hyun Jin Lim),송경희(Kyung Hee Song)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0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ress and the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ssess the associations with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subjects were 423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210 boys and 213 girls) in Seoul and Gyeonggi-Do. Two hundred fifty-two mothers had some kinds of job and 171 mothers were housewives. The students had stress the most from their studies/schoolwork (M = 2.37), while the least from “teacher/school” (M=1.51). The average stress score of the subjects was 1.76. The average score of dietary habits was 3.43. More specifically, the statement “not skipping breakfast” had the highest score (M = 4.04) and the statement “not substituting cereals, breads or drink milk for any meal” had the lowest score. Students with employed mothers had higher stress level than students with unemployed mothers. Students with employed mothers who have blue color job showed the lower dietary habits score than those with employed mothers who had other types of job. Students of employed mothers who go to school at dawn showed the lowest dietary habits score. In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the stress score of student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dietary habits. It was important for the mother to be at home when the students go to school and return. Based on this study, mothers should be aware of the stress level of their children get depending on their employment status. They should also provide their children to have good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education regula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4): 498~506, 2010)

      • KCI등재

        경기지역 중학생의 식행동실태 및 학업관련 인자와의 관계

        이명숙(Lee, Myoung Sook),현화진(Hyun, Wha Jin),송경희(Song, Kyung Hee)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5

        본 연구는 2011년 7월 4일부터 2011년 8월 24일까지 중학생들의 식행동 실태와 식행동과 학업관련 인자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경기지역의 일부 중학교의 남자 중학생 295명, 여자 중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통하여 학업관련 인자와 식행동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수면시간은 6 ~ 8시간 미만이 71.3%로 많았고, 학교 외 공부시간은 2 ~ 4시간 미만이 가장 많았다. 과외, 학원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에서는 ‘거의 받지 않는다’가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었다. 중학생들의 식습관 점수는 ‘과일을 매일 먹습니까?’ ‘아침은 매일 규칙적으로 먹습니까?’의 점수가 높았고, ‘식사를 할 때는 식품 배합을 생각해서 먹습니까?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평균 식습관 점수는 남학생 3.69 ± 0.67점 여학생은 3.62 ± 0.67점으로 중간정도 수준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에서 남학생들은 ‘우유를 매일 마십니까?, 여학생들은 ‘과일을 매일 먹습니까?’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중학생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는 3회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한 끼 식사에 걸리는 시간은 10 ~ 20분 걸리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한 끼 식사에 걸리는 시간이 짧았다. 식사가 규칙적인편인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간식 섭취 횟수는 하루 1 ~ 2회가 가장 많았다. 학업관련인자에 따른 식행동 실태에서는 학교 외 공부시간이 2시간 이상인 학생들이 2시간 미만 공부하는 학생에 비해 식습관 점수가 높았고, 학교외 공부시간 2시간 미만인 학생이 2시간 이상 공부하는 학생에 비해 2끼를 먹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하루 평균 공부시간이 많은 학생일수록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조사대상 중학생들은 대체로 적정 시간의 수면을 취하고 있었고,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과외, 학원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은 중간 이상의 점수였으며, 하루 3끼니의 식사를 하고 식사가 규칙적인 학생들이 많았다. 또한 학생들의 수면시간과 학교 외 공부시간이 식습관 점수와 식행동에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대상자들의 식습관이 비교적 양호하고, 학업 관련 스트레스도 크지 않게 나타난 것은 매우 다행스럽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식습관이 수면시간과 학교 외 공부시간 등의 학업관련 인자와 관련성을 보였으므로, 특히 학업 부담으로 인한 학업관련 인자들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이 규칙적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올바른 식행동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us of dietary behavior and its association with study-related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Study-related factors, dietary habit score and dietary behavior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and then analyzed. A total of 580 students in some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Ver. 22.0. Results: 71.3% of the subjects slept for 6 ~ 8 hours, and the studying time outside of school was the highest (2 ~ 4 hours). The highest score for stress from studying by private lessons or academies was ‘seldom stressed’, with higher stress being observed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The average dietary habit score was 3.69 in male students and 3.62 in female students. The highest average time for meal eating was 10 ~ 20 minutes, with shorter times being observed for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Eating meals was regular in most students and the highest number of snack eating was 1 ~ 2 times a day. For dietary behaviors by study-related factors, students with more than 2 hours of studying time outside of school showed higher dietary habit scores than those with less than 2 hours, wh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eating 2 meals a day. As the sleeping hours and daily average studying hours increased, the rate of regular meal eating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students showed good, above average dietary behaviors, but gender differences in study-related factors and dietary behaviors. Moreover, the sleeping hours and the studying time outside of school were correlated with dietary habit scores and dietary behaviors. Thus,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for proper dietary behavior is needed along with greater interest in students with problems of study-related factors, particularly those due to study burden.

      • KCI등재

        대학생의 건강관련 생활태도와 모유수유의지에 관한 연구

        이조윤 ( Jo Yoon Lee ),현화진 ( Wha Jin Hyun ),이강욱 ( Kang Wook Lee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모유수유율의 증진을 위해 가까운 미래에 부모가 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유수유증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시행하였다. 그중 한 부분으로 대학생의 건강에 대한 관심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따른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정도 및 태도를 검토함으로서 이를 바탕으로 모유수유증진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할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에서 남학생 125명, 여학생 325명 총 4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모유수유 및 건강관련 특성 중에서 미래 자신의 아기에게 모유수유를 하겠다고 답한 대학생은 전체 응답자 중 359명(80.7%)이었으며, 남학생 중에 73.6%가 여학생 중에 84.2%가 모유수유의지를 나타내, 상대적으로 여학생의 모유수유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전체 응답자 중 84.2%가 자신의 건강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모유수유 태도, 지식정도및 통제신념간의 점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태도는 성별에 따라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0.01), 전공에 따라 보건계열 전공자가 비보건계열 전공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저학년(1,2학년) 집단보다 고학년(3,4학년)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1). 지식정도는 성별, 보건계열 전공여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점수는 성별에 따라 여자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p<0.001), 전공에 따라 보건계열 전공자가 비보건계열 전공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저학년(1,2학년) 집단보다 고학년(3,4학년)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1). 통제신념은 성별에 따라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전공에 따라 보건계열 전공자가 비보건계열 전공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저학년(1,2학년) 집단 보다 고학년(3,4학년)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3) 조사대상자의 모유수유관련 태도, 지식정도 및 통제신념과 모유수유의지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태도, 지식정도, 통제신념의 수준이 높은 집단 모두에서 모유수유의지가높게 나타났다(p<0.001).4) 조사대상자의 건강인식 정도와 모유수유관련 지식정도,태도 및 통제신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들이 건강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에 따른 모유수유관련 지식정도나 통제신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유수유관련태도에 있어서는 인식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5) 모유수유관련 태도의 하부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요인분석결과, 모유수유관련 태도의 하부 요인은 생리요인,실천요인, 건강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학생의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모유수유관련 태도의 하부요인별 관계를 살펴보면,영양제복용군에서 생리요인수준(p<0.05)과 건강요인수준(p<0.01), 비흡연군에서 건강요인수준(p<0.001), 비음주군에서 생리요인수준(p<0.001)이 높은 군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커피음용여부는 모든 하부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6) 조사대상자의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모유수유의지 관계를 살펴본 결과,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에게서 모유수유의 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1), 반면에 영양제복용 여부, 음주 및 커피음용 여부는 모유수유의지와 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여 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health-related lifestyle on knowledge, attitude, control belief and behavior intention toward breast-feeding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a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of childbearing age. The subjects were 445 university students (125 male and 325 female) residing in eight provinces in Korea. The overall percentage of subjects intending to breast-feed their baby was 80.7% (73.6% of males and 84.2% of females). Overall, 84.2% of the subjects had high concerns about their health status. Scores reflecting a positive attitude, knowledge, and control beliefs toward breast-feed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p<0.001) in female students, students majoring in medicine, and higher grades. The students who scored high at attitude, knowledge, and control beliefs also had a significantly higher (p<0.001) intention to breast-feed. When we investigated the sub factors of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significantly more students taking nutrient supplements scored high for physiological factors (p<0.05) and health-related factors (p<0.01). Significantly more non-smoking and non-drinking students scored high for health-related factors (p<0.001) and physiological factors (p<0.001), respectively. The intention to breast-fee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students who did not smoke, but not with other health-related lifestyles. In summ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university students intend to breast-feed, with students having a positive attitude, higher knowledge, and stronger control beliefs having a higher intention to breast-feed. Although a student`s health-related lifestyle affects their attitudes on the physiological and health-related aspects of breast-feeding, only smoking status had an observable connection on the intention to breast-feed. Thus, when developing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e recommend efforts to enhance a favorable attitude, knowledge, and control beliefs toward breast-feeding

      • KCI등재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모유수유교육경험에 따른 모유수유 지식 및 통제신념에 관한 연구

        이조윤(Jo Yoon Lee),이강욱(Kang Wook Lee),현화진(Wha Jin Hyun)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3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8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eastfeeding education experience on knowledge, control beliefs, and future intention toward breastfeeding to consider the needs of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The breastfeeding knowledge, control beliefs and related habits of 445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evaluated between September 1, 2011 to April 30, 2012.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 V.17.0. χ 2-test, t-test and ANOVA were used for the calculation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intended to breastfeed their baby was 80.7% (male: 73.6%, female: 84.2%). Only 21.6% of students experienced breastfeeding education. Students planned to get information related to breastfeeding from their mothers (32.4%), breastfeeding experts (23.8%) and Medical doctors & nurses (10.6%). breastfeeding education group showed higher knowledge level (14.46 vs 10.56) and control beliefs (3.48 vs 3.16) to breastfeeding than non-education group (p < 0.001). General attitude toward breastfeeding was similar between groups; the specific intention to breastfeed for 6 months was higher in the education group (83.3% vs 58.2%) (p < 0.01). Percentage of students who gave correct answers to knowledge questions related to breastfeeding was also higher in the breastfeeding education group than non-education group (72.3% vs 52.8%). Among 20 questions, only 2 ques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breastfeeding education was effective in encouraging or improving breastfeeding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 18(5) : 457~466, 2013)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