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와 적용되는 알고리즘의 연관성을 이용한 클러스터링 기법

        한우연,남미영,이필규,Han Woo-Yeon,Nam Mi-Young,Rhee PhillKy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2 No.5

        영상 처리와 패턴 인식 그리고 컴퓨터 비젼 분야의 가장 성공적인 응용들 중 하나인 얼굴 인식을 위해 많은 알고리즘이 제안되었고, 최근에는 얼굴의 어떤 속성이 대상을 인식하는 것을 더 쉽거나 어렵게 만드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속성(조명, 표정)에 따라 각각의 알고리즘의 인식 성능이 달라지는 점에 착안해서, 얼굴 데이터와 적용된 알고리즘과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인식 성능을 높이는 클러스터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에서는 인식 알고리즘으로 n-tuple, PCA 그리고 가보 웨이블릿이 사용되었고, 세 가지 벡터화 방법이 제안되었다. 우선 학습 데이터를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클러스터링하고 각각의 클러스터에 대한 세 가지 인식 알고리즘의 적합도를 평가한 후, 같은 알고리즘을 선택한 클러스터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테스트 데이터에서 새로운 클러스터에 대한 유사도를 평가하여 가장 가까운 클러스터가 선택한 알고리즘으로 인식을 수행한다. 그 결과 클러스터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인식했을 때보다 인식 성능이 향상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Many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for (ace recognition that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applications in image processing, pattern recognition and computer vision fields. Research for what kind of attribute of face that make harder or easier recognizing the target is going on recently. In flus paper, we propose method to improve recognition performance using relevance of face data and applied algorithms, because recognition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according to facial attribute(illumination and expression) is change. In the experiment, we use n-tuple classifier, PCA and Gabor wavelet as recognition algorithm. And we propose three vectorization methods. First of all, we estimate the fitnesses of three recognition algorithms about each cluster after clustering the test data using k-means algorithm then we compose new clusters by integrating clusters that select same algorithm. We estimate similarity about a new cluster of test data and then we recognize the target using the nearest cluster. As a result, we can observe that the recognition performance has improved than the performance by a single algorithm without clustering.

      • KCI등재

        데이터와 적용되는 알고리즘의 연관성을 이용한 클러스터링 기법

        한우연,남미영,이필규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6

        Many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for face recognition that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applications in image processing, pattern recognition and computer vision fields. Research for what kind of attribute of face that make harder or easier recognizing the target is going on rec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method to improve recognition performance using relevance of face data and applied algorithms, because recognition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according to facial attribute(illumination and expression) is change.In the experiment, we use n-tuple classifier, PCA and Gabor wavelet as recognition algorithm. And we propose three vectorization methods. First of all, we estimate the fitnesses of three recognition algorithms about each cluster after clustering the test data using k-means algorithm, then we compose new clusters by integrating clusters that select same algorithm. We estimate similarity about a new cluster of test data, and then we recognize the target using the nearest cluster. As a result, we can observe that the recognition performance has improved than the performance by a single algorithm without clustering. 영상 처리와 패턴 인식 그리고 컴퓨터 비젼 분야의 가장 성공적인 응용들 중 하나인 얼굴 인식을 위해 많은 알고리즘이 제안되었고, 최근에는 얼굴의 어떤 속성이 대상을 인식하는 것을 더 쉽거나 어렵게 만드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속성(조명, 표정)에 따라 각각의 알고리즘의 인식 성능이 달라지는 점에 착안해서, 얼굴 데이터와 적용된 알고리즘과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인식 성능을 높이는 클러스터링 방법을 제안하였다.실험에서는 인식 알고리즘으로 n-tuple, PCA 그리고 가보 웨이블릿이 사용되었고, 세 가지 벡터화 방법이 제안되었다. 우선 학습 데이터를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클러스터링하고 각각의 클러스터에 대한 세 가지 인식 알고리즘의 적합도를 평가한 후, 같은 알고리즘을 선택한 클러스터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테스트 데이터에서 새로운 클러스터에 대한 유사도를 평가하여 가장 가까운 클러스터가 선택한 알고리즘으로 인식을 수행한다. 그 결과 클러스터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인식했을 때보다 인식 성능이 향상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후족부 정렬의 새로운 방사선학적 평가 방법

        한우연,이호승,김원경,안지용,Han, Woo-Yeon,Lee, Ho-Seong,Kim, Won-Kyeong,Ahn, Ji-Yo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6 No.3

        Purpose: There are various methods propo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hindfoot alignment. However, due to structural calcaneus variances between patients, it is hard to assess this alignment definitively. Thus,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for evaluating of the hindfoot alignment and its comparisons to the existing current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s simple weight bearing hindfoot coronal view radiographs of 120 patients, taken between the time period of March 2008 to November 2009. Among the 120 patients, there was a 1:1 ratio of male to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40. The newly proposed method for evaluating this alignment is to draw a moment arm from the point where the sustentaculum tali meets the medial calcaneus border to the most prominent aspect of the lateral process of the calcaneal tuberosity. The angle produced via the intersection of this moment arm to the mid-longitudinal axis of the tibia is found and used to evaluate the hindfoot alignment. The int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coefficient of intraclass correla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omparisons between the newly proposed method to the traditionally used Saltzman et al hindfoot alignment evaluating technique. Results: The newly proposed method has higher int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Saltzman et al technique. Conclusion: This new method is recommended over the traditionally used Saltzman et al technique as it has a stronger confidence level and is appropriate for assessing hindfoot alignment in simple radiographs.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n-tuple 필터링

        한우연(Wooyeon Han),남미영(Miyoung Nam),이필규(Phillkyu Rhee)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Ⅱ

        continuous n-tuple 알고리즘은 tuple의 무작위적 추출을 기본으로 한다. 무작위적 추출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감안하더라도, 무작위적 추출을 통한 인식의 성능은 가변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고 무작위적 추출은 의미 있는 정보의 선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무작위적 추출이 가지는 여러 가지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에 효과적인 tuple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서 얼굴 인식에 효과적이지 않은 tuple의 필터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얼굴 인식에 효과적인 n-tuple classifier

        한우연 ( Woo-yeon Han ),남미영 ( Mi-young Nam ),이필규 ( Phill-kyu Rh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얼굴 인식을 위한 명도값 매칭 알고리즘들 중에서도 Continuous n-tuple classifier는 tuple의 무작위적 추출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 졌다. 무작위적 추출은 단순성과 빠른 속도 등의 장점에 반해 인식의 성능의 가변성을 단점으로 갖는다. 그리고 학습 데이터 추출 방법의 변화에 따른 인식률 변화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작위적 추출이 가지는 여러 가지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에 효과적인 tuple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서 얼굴 인식에 효과적인 tuple의 필터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 추출 방법의 변화에 따른 인식 성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호지킨림프종에 병발된 간내담관 소멸증후군의 자연관해 1예

        한우,정은석,김연호,김청호,박성철,이지,장윤정,종은,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5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1 No.2

        Cholestasis in a patient with Hodgkin’s disease is uncommon, and the causes of cholestasis are mainly direct tumor involvement of the liver, hepatotoxic effects of drugs, viral hepatitis, sepsis and opportunistic infections. Vanishing bile duct syndrome (VBDS) represents a very rare cause for cholestasis in this disease. We report here on a case of a 45-year-old man who developed VBDS during the complete remission stage of Hodgkin’s lymphoma. There was no history of hepatitis or intravenous drug abuse, and the patient had negative results for hepatitis A virus, hepatitis B virus, hepatitis C virus, cytomegalovirus,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he serological studies for antinuclear antibodies, anti-mitochondrial antibodies and anti-smooth muscle antibodies were also negative. Liver biopsy disclosed the absence of interlobular bile ducts in 9 of 10 portal tracts without any active lymphocyte infiltration and there were no Reed-Sternberg cell in the liver. The patient’s cholestasis was in remission and the serum bililrubin level was normalized after two months without treatment, but tumor recurrence was noted at multiple sites of the abdominal lymph nodes on follow-up abdomino-pelvic computed tom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