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식 노출 중재: 체계적 고찰

        하예나 ( Yae-na Ha ),유은영 ( Eun-young Yoo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2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아동의 음식 선택성 개선을 위한 음식 노출 중재(Food exposure intervention)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021년 7월 31일까지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PRISMA Flow Chart를 사용하여 연구를 선정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SCOPUS, Embase, ProQuest를 사용하였다. 주제어는 autism, selectivity, food, exposure를 사용하였다. 최종으로 선정된 9개 연구의 질적 수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재의 효과, 중재에 사용된 전략, 중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음식 선택성이 있는 ASD 아동에게 음식 노출 중재를 제공하였을 때 음식 섭취, 음식 다양성, 음식 수용, 음식 양, 음식 접촉의 증진에 효과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음식 노출 중재에 대한 임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AS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식 노출 중재의 일반화 및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food exposure interventions to improve food selectivity in children with ASD. Data collection is not limited to the start of the stud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until July 31, 2021. Study selection was made through the 4 steps of the PRISMA Flowchart. The database used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SCOPUS, Embase and ProQuest. Keywords were autism, selectivity, food, exposure. The final selected 9 studies analyzed the level of evidenc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approach used for intervention, the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When food exposure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ASD children with food sele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ffective in enhancing food consumption, food variety, food acceptance, food amount, and food touch. Through this study, clinical information on food exposure intervention was provided, and evidence data for generalization and intervention development of food exposure intervention for ASD children were prepared.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2012년 한국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졸업 연주 레퍼토리에 대한 연구

        하예라 ( Yaera Ha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3 음악교수법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한국의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생들의 졸업 연주 레퍼토리를 분석하여 현재 음악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졸업 연주회와 그에 따른 연주 레퍼토리가 개선되어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6개의 음악대학을 선정하여 각 대학의 졸업 연주방식과 졸업 연주곡들을 시대별, 작곡가별, 작품별로 분석하고 특징과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주회일 때와 합동 연주회일 때의 레퍼토리 구성에 차이점이 있었다. 독주회를 하는 학교의 경우 레퍼토리의 분포가 시대별로 고른 반면, 합동 연주회일 경우 낭만 시대의 화려한 스타일의 작품들로 레퍼토리 선정이 집중되는 결과가 발생했다. 그리고 모든 학교에서 낭만 시대의 곡에 레퍼토리가 집중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졸업 연주 시 보다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정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졸업 연주회의 기능과 의미에 대해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ill be to provide ways to improve degree recital programs to graduate the music college as a piano major mainly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degree recital repertoires nowadays in Korea. In order to scrutinize the Korean music college degree recital for the piano, piano major students who graduate and graduate-to-be the music college from six universities selected by convenient provide their degree recital repertoires and formats, and these repertoires are analyzed by periods, composers, and compositions. As a result, it has differences by formats between solo recitals and group recitals. Whereas schools which have solo recitals showed a variety of periods of repertoires, group recitals have a tendency to play more fancy romantic music and play less baroque, classical music. By analyzing the result, this study could find several problems and offer solutions to improve the degree recital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토마스 데만트(Thomas Demand)의 ‘탈(脫)역사화’사진작업 연구

        하예라 ( Ha Ye Ra ),박주석 ( Park Ju Seok ) 한국사진학회 2019 AURA Vol.0 No.42

        This study is about a German artist Thomas Demand’s work who spreads beyond all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through photography. The object that Demand takes a photo is a cardboard model handcrafted by him. It exists as simulacre. He does work overthrowing reality by making a virtual space with the cardboard model as the same as a real space. Demand’s work can be characterized by dehistoricization. Because He removed all the indexes connoting that the spaces from collected images were actually existed. With the focus on Demand’s dehistoricized work, this study examines images made with social recognition system that Demand overthrows. He adopted a labor intensive process against deskilling in photography in order to expose myths of photography about realism. He determines that the reality of photography is not real because the images in photography are composed by artist’s recognition system. This study derives historical meaning of Demand’s work from examining works that overthrow substances in reality.

      • KCI등재

        의대생의 성격유형(MBTI)에 따른 블렌디드 해부학실습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연구

        하예지 ( Yeji Ha ),김건호 ( Keonho Kim ),김동원 ( Dongwon Kim ),이경율 ( Kyungyul Lee ),임선주 ( Sunju 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해부학 실습은 의학교육에 필수적이다. 연구진은 학생들의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와 관련하여 블렌디드 해부학 실습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 2021년 해부학을 수강한 의예과 107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해부학 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계획과 안내, 사전학습(e-anatomy), 실습운영, 실습지도, 동료와의 협력, 실습평가, 자기평가 및 실습성과가 포함된 25개의 설문지를 리커트 척도로 개발하였다. 성격의 빈도,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성격에 따른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내용: ISTJ 학생들이 18명(16.8%)으로 빈도가 가장 높았다. 만족도 실습성과(4.661)가 가장 높았고, 실습운영(3.393)이 가장 낮았다. 사전학습(e-anatomy)(0.042), 실습평가(0.032), 자기평가(0.052)는 외향형(E)과 내향형(I)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각형(S)의 학업성취도는 직관형(N)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 및 제언: 성격유형은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의대는 각 성격유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부학 실습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Anatomy cadaver dissection practice is essential for Medical education. We conducted studies about satisfaction and academical achievements of blended anatomy cadaver practice related to students’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We took surveys including MBTI and satisfaction in anatomy cadaver practice to 107 second-year premedical students, who studied anatomy in 2021. We developed 25 questionnaires with Likert’s scale, which contain plannig and introduction, pre-learning (e-anatomy), practice operation, practice guidance,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practice assessment, self-evaluation, and practice outcome. We investigated frequency of personalit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atisfaction, differences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personality. As a result, ISTJ personality was the most frequent (N=18, 16.8%). Highest mean score in the satisfaction was practice outcome (4.661), whereas lowest mean score was practice operation (3.393). Pre-learning (e-anatomy) (0.042), practice assessment (0.032), and self-evaluation (0.052)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ersonalities of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Academic achievement of sensing type students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intuition type students. In conclusion, personality types affect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medical schools need to improve anatomy cadaver practi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sonality type.

      • KCI등재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하예지(Ha, Yea ji),서미경(Seo, Mi ky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데이트 폭력의 인식(심각성과 허용도)과 폭력 피해·가해경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해 20~30대 미혼남녀 858명을 대상으로 유형별 폭력(신체적 폭력,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을 묘사한 비네트 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러한 폭력이 질투, 무시, 선제공격으로 인한 폭력이었다면 허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모든 대상자의 심리, 신체, 성적 폭력의 피해, 가해경험을 질문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자의 인식수준을 보면, 각 비네트 상황에 대한 심각성은 5점 척도에 4.21로 높게 인식하였으나, 허용도 역시 4점 척도에 2.24로 높아, 심각하다고 인식하면서도 특정 상황에서는 데이트 폭력을 쉽게 허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유형별 폭력의 가해, 피해경험을 보면, 심리적 폭력은 대상자의 88%이상이 피해, 가해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신체적 폭력은 가해경험 53.6%, 피해경험 49.5%였다. 성적 폭력은 가해경험이 28.1%, 피해경험이 30.7%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데이트 폭력의 피해·가해경험과 인식과의 관련성을 보면, 성적 폭력의 피해·가해경험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심각성은 낮게 인식하였고 상황별 허용도는 높았다. 신체적 폭력의 피해경험에서 심각성은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지만 상황별 허용도는 피해경험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신체적 폭력의 가해경험과 심리적 폭력의 피해·가해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심각성과 허용도)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신체적 피해경험과 성적 폭력의 피해·가해경험이 있는 경우 인식수준이 더 낮아 폭력이 재발되어도 이를 허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nd the offense and victimization violence experience(severity and accept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858 unmarried men and women of 20s ~30s. We divided dating violence into psychological, physical, sexual of dating violence and has randomly presented one of the 3 types of vignettes to participants. The survey results on perception level of participants, severity of each vignette has been highly considered with 4.21 of 5 scale; however, in case of specific situation, it can be acceptability even though they"re perceive of seriousness likewise for acceptable with 2.24 of 4 scale. According to the offens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d by each type of violence, In psychological violence, above 88% participants has offense and victimization. In physical violence, 53.6% participants has offense experience, 49.5% participants has victimization experience. In sexual violence, 28.1% participants has offense experience, 30.7% participants has victimiz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offens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 When compared experienced group with no experienced group, the experienced group in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is perceive of seriousness lowly but acceptability for each situation indicates high result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violence. Finally, violence can be recurrent due to low perception level in case of having offens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in physical, sexual violence. Accordingly, the endeavor is suggested to improve perception due to the fact that it has dangerousness into family violence.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에게 시지각 중재가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하예나(Yae-Na Ha),채송은(Song-Eun Chae),정미연(Mi-Yeon Jeong),유은영(Eun-Young Yoo)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시지각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시지각 중재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데이터 베이스는 PubMed, EMbase, Science Direct, ProQuest,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국회도서관을 사용하였다. 키워드는 뇌성마비, 시지각, cerebral palsy, CP, visual perception을 사용하였다. PRISMA Flowchart에 따라 2012년 1월 1일부터 2022년 3월 30일까지 게재된 연구 중에서 10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들의 질적 수준,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중재의 효과, 중재의 영역과 전략, 중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 비뚤림 위험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모든 연구에서 시지각 중재가 시지각 기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지각 중재는 시지각 기능뿐만 아니라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자세조절, 목표달성, 심리사회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눈-손 협응 영역은 모든 연구에서 중재되었다. 결론 : 시지각 중재 시 시지각 기능을 영역별로 평가하고, 개인별 체계적으로 단계화된 맞춤 중재를 적용해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by systematically reviewing the studies that applied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The databases used were PubMed, EMbase, Science Direct, ProQuest,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keywords used were cerebral palsy, CP, and visu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PRISMA flowchart, 10 studies were selected from among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1, 2012 to March 30, 2022. The quality level of the selected studi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rea and strategies of intervention, assessment tool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nd risk of bias were analyzed. Results : All selected studies confirmed that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visual perception function. In addition, positive results were shown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posture control, goal achievement, and psychosocial areas as well as visual perception function. The eye-hand coordination area was intervened in all studies. Conclusion : In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by area, and apply systematically graded customized interventions for each individual.

      • SMAP 위성자료 기반 농업가뭄 모니터링

        하예인 ( Yein Ha ),이태화 ( Taehwa Lee ),김상우 ( Sangwoo Kim ),신용철 ( Yongchul Shin ),최경숙 ( Kyung-sook Choi ),이현우 ( Hyunwoo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지표면의 토양수분은 지표와 대기의 순환, 지표 유출 및 지하수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문분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최근 원격탐사기술의 향상과 함께 인공위성 기반의 토양수분 관측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인공위성 기반의 원격탐사된 토양수분 이미지 자료는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토양수분 자료를 제공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원격탐사된 토양수분 이미지 자료들은 40km 이상의 저해상도 자료를 전 지구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실제 자연현상과 농업 활동 등은 작게는 수 미터에서부터 수 킬로미터 단위까지 매우 다양한 크기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40km의 저해상도 자료의 실제 적용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미국 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NASA)에서는 2014년에 고해상도(3~40km)의 지표토층 0-5cm 까지 투과할 수 있는 Soil Moisture Active and Passive(SMAP) 위성을 발사하였으나, 검·보정 기간(2015년 3~7월)중에L-band 센서의 안테나의 작동 불능으로 고해상도의 토양수분 자료의 이용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비록 SMAP위성의 고해상도 이미지가 현재는 제공되지 않지만, 검·보정 기간에 관측된 고해상도 이미지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토양수분 분포 및 농업가뭄 평가를 수행하였다. 약 3개월간의 검보정 기간에 측정된 토양수분 이미지와 토양수분자료동화기법을 연계하여 3km 해상도의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토양수분을 재생산하여 한반도의 토양수분변화 및 농업가뭄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형태소 분석을 통한 악성 댓글 필터링 방안

        하예람(Yeram Ha),천준석(Junseok Cheon),왕인서(Inseo Wang),박민욱(Minuk Park),우균(Gyun W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인터넷 기사에 대한 댓글은 토론 및 소통 등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악성 댓글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정도로 심각한 문제이다. 이런 측면에서 악성 댓글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현재 채택되고 있는 금칙어 바탕의 댓글 필터 방안은, 특히 한글 댓글의 경우 효과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비속어 형태소와 존대어 형태소를 구별함으로써 댓글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들 두 형태소를 바탕으로 댓글 건전도를 계산하고, 또한 건전도를 바탕으로 한 댓글 충격량 계산방법을 여럿 제안한다. 악성 댓글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포털에서 수행되고 있는 클린봇보다 재현율이 37.93% 포인트 개선되었으며 F-지수 값은 47.66 포인트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따르면, 형태소 분석을 기초로 한 새로운 필터 방법이 금칙어를 바탕으로 한 방법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ven though the replying comments on Internet articles have positive effects on discussions and communications, the malicious comments are still the source of problems even driving people to death. Automatic detection of malicious comments is important in this respect. However, the current filtering method of the malicious comments, based on forbidden words, is not so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replying comments written in Korean. This paper proposes a new filtering approach based on morpheme analysis, identifying coarse and polite morphemes. Based on these two groups of morphemes, the soundness of comments can be calculated. Further, this paper proposes various impact measures for comments, based on the soundness. According to the experiments on malicious comments, one of the impact measures is effective for detecting malicious comments. Comparing our method with the clean-bot of a portal site, the recall is enhanced by 37.93% point and F-measure is also enhanced up to 47.66 points.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new filtering method based on morpheme analysis can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those based on forbidden words.

      • KCI등재후보

        반대쪽 팔 들기 동작 시 만성요통환자와 정상인의 다열근 두께 변화 비교

        송원빈,김지혁,정웅근,하예,한성구,황보인,Song, Won-bin,Kim, Chi-hyok,Jung, Woong-keun,Ha, Ye-ji,Han, Seong-gu,Hwangbo, In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 2018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Vol.24 No.2

        Backdround: Using RUSI (Rehabilitation Ultra Sound Imiging) method, which showed high reliability in soft tissue measurements, we compared the muscle relax and contraction, sex,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y of the multifidus muscl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normal subjects. Methods: In this study, 16 patients (male: 8, female: 8)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16 healthy adult (male: 8, female: 8) were participated. Subjects lied prone posture on the table with elbow flexed $90^{\circ}$ and shoulder abducted $120^{\circ}$ (starting position). Test was applied two types that muscle relax position and muscle contraction position. Muscle relax position is equal to starting position and muscle contraction position is that upper extremity lift up about 5cm from the table. We measured the thickness of the multifidus muscle in each position by ultrasound.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deviation of Both Side Difference of Activated resting-Arm Lifting Ratio according to posture change between th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 previous study showing that there is an imbalance in the activity of multifidu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