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식 노출 중재: 체계적 고찰

        하예나 ( Yae-na Ha ),유은영 ( Eun-young Yoo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2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아동의 음식 선택성 개선을 위한 음식 노출 중재(Food exposure intervention)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021년 7월 31일까지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PRISMA Flow Chart를 사용하여 연구를 선정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SCOPUS, Embase, ProQuest를 사용하였다. 주제어는 autism, selectivity, food, exposure를 사용하였다. 최종으로 선정된 9개 연구의 질적 수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재의 효과, 중재에 사용된 전략, 중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음식 선택성이 있는 ASD 아동에게 음식 노출 중재를 제공하였을 때 음식 섭취, 음식 다양성, 음식 수용, 음식 양, 음식 접촉의 증진에 효과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음식 노출 중재에 대한 임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AS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식 노출 중재의 일반화 및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food exposure interventions to improve food selectivity in children with ASD. Data collection is not limited to the start of the stud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until July 31, 2021. Study selection was made through the 4 steps of the PRISMA Flowchart. The database used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SCOPUS, Embase and ProQuest. Keywords were autism, selectivity, food, exposure. The final selected 9 studies analyzed the level of evidenc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approach used for intervention, the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When food exposure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ASD children with food sele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ffective in enhancing food consumption, food variety, food acceptance, food amount, and food touch. Through this study, clinical information on food exposure intervention was provided, and evidence data for generalization and intervention development of food exposure intervention for ASD children were prepared.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에게 시지각 중재가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하예나(Yae-Na Ha),채송은(Song-Eun Chae),정미연(Mi-Yeon Jeong),유은영(Eun-Young Yoo)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시지각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시지각 중재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데이터 베이스는 PubMed, EMbase, Science Direct, ProQuest,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국회도서관을 사용하였다. 키워드는 뇌성마비, 시지각, cerebral palsy, CP, visual perception을 사용하였다. PRISMA Flowchart에 따라 2012년 1월 1일부터 2022년 3월 30일까지 게재된 연구 중에서 10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들의 질적 수준,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중재의 효과, 중재의 영역과 전략, 중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 비뚤림 위험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모든 연구에서 시지각 중재가 시지각 기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지각 중재는 시지각 기능뿐만 아니라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자세조절, 목표달성, 심리사회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눈-손 협응 영역은 모든 연구에서 중재되었다. 결론 : 시지각 중재 시 시지각 기능을 영역별로 평가하고, 개인별 체계적으로 단계화된 맞춤 중재를 적용해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by systematically reviewing the studies that applied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The databases used were PubMed, EMbase, Science Direct, ProQuest,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keywords used were cerebral palsy, CP, and visu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PRISMA flowchart, 10 studies were selected from among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1, 2012 to March 30, 2022. The quality level of the selected studi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rea and strategies of intervention, assessment tool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nd risk of bias were analyzed. Results : All selected studies confirmed that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visual perception function. In addition, positive results were shown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posture control, goal achievement, and psychosocial areas as well as visual perception function. The eye-hand coordination area was intervened in all studies. Conclusion : In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by area, and apply systematically graded customized interventions for each individ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