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스마트폰 산업의 경쟁력 연구 : 재무성과, 국제화, 기술역량 분석

        표민찬,정무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인 스마트폰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기업의 경쟁력을 재무성과, 국제화, 기술역량 등 3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재무성과 측면에서는 아직까지 국내기업이 중국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적 측면에서 중국기업의 경쟁력은 한국의 69%수준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재무성과를 구성하는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수익성과 성장성 측면에서 중국기업이 이미 한국을 추월한 것으로 분석됐다. 향후 중국기업들이 수익성과 성장성을 기반으로 기업 규모 측면에서 빠르게 한국을 추격할 것으로 평가된다. 국제화 수준에서는 아직까지 중국기업들이 한국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기업의 국제화 수준은 한국의 약 80%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기업들이 수출을 통한 해외시장에서의 매출보다는 거대한 자국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화웨이, 레노보 등 중국 스마트폰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있어 국제시장에서 중국 기업과의 경쟁이 치열해 질 전망이다. 중국 기업의 절대적인 연구개발비 수준은 아직까지 한국에 미치지 못하지만, 매출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이미 한국기업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확대되면서 최근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특화된 기술을 선보이기도 하는 등 기술추격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중국기업과 경쟁하는 방식을 벗어나, 중국기업을 협력과 활용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mpetitiveness of Chinese smart phone produceters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internationalization, and technology competence. According to findings,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Korean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firms, reaching 68.9% level of Korean firms in 2014. However, the profits and growth rates of Chinese firms have already exceeded the Korean firms. In terms of internationalization, the Chinese firms are behind the Korean firms. The Chinese firms’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is about 80% of Korean firms’. However recently Chinese firms are expanding their business to emerging markets such as Southeast Asian and Africa. The findings also present that the technology competence of Chinese firms has advanced rapidly and they already have the world best technologies in some areas of smart phone industries. Even though the absolute amount of investment of Korean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firms, the investment rate as a proportion of sales in Chinese firms was 13 percent in 2014, which was higher than Korean firms.

      • KCI등재

        Why Firms Provide Goods to Foreign Markets Using a Combination of Entry Modes: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xport

        표민찬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0 Seoul Journal of Business Vol.16 No.2

        This paper empirically explains why firms provide goods to foreign markets using a combination of two entry modes,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nd export. This research analyzes two factors, transaction costs and economies of scale, which differently impact the foreign market entry mode. The balanced panel data set of automobile companies is employ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time lag before firms switch entry modes from export to FDI. A firm may choose exporting as an entry mode to satisfy the increased local demand in the short run. In the long run, a firm may expand its local production capacity through FDI to satisfy local demand. The findings also show that firms reaching the minimum efficient scale are more likely to expand foreign production capacities to meet local demand. However, firms with less than the minimum efficient scale prefer to expand domestic production of exportable goods rather than increase foreign production.

      • KCI등재후보

        中國 企業家精神과 創業動機

        表旻燦(Min-Chan Pyo),權聖容(Kwon Sung-yong),張沈偉(Zhang Shen-Wei) 동아인문학회 2009 동아인문학 Vol.16 No.-

        This paper analyzes Chinese entrepreneurship and motivation for start-up entrepreneurs since economic reforms at the end of 1978. We classify the background of Chinese entrepreneurs into three categories: (1) entrepreneurs from peasant stock, (2) entrepreneurs from professional experts, and (3) ex-government officials. Each category has unique start-up motivations and procedures. Entrepreneurs from peasant stock start their businesses as a means of living and prefer to diversify their business. Entrepreneurs from professional experts start their enterprises to be compensated for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Entrepreneurs from government officials are conservative in starting their own businesses because of high opportunity cost of quitting their stable jobs. Ex-government officials have close relationship(guanxi) with government authorities, leading ex-government officials ease to access resources necessary for start-up. Earlier firm-level studies on Chinese enterprises have discussed the competitiveness of Chinese firms, but these studies could not explain the source of competitiveness. This paper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source of competitiveness and motivation for start-up entrepreneurs by analysing start-up entrepreneur cases since 1978. Based on this paper, future studies may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background of Chinese entrepreneurs has a effect on start-up motivation and procedures.

      • KCI등재

        【사회과학(社會科學)】 : 한국기업 CSR활동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인식 연구 -합비(合肥)시 대상 자민족 중심주의와 한국 국가이미지의 영향력 분석-

        표민찬 ( Min Chan Pyo ),방아평 ( Ya Ping F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4 中國硏究 Vol.62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hinese ethnocentrism and country image of Korea on the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CSR by Korean firms. Especially this research subdivides CSR into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and analyzes the effect of Chinese ethnocentrism and country image of Korea on subdivided responsibilities. According to the findings, Chinese consumers expect higher legal responsibility to Korean firms than Chinese ones.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in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between Korea and Chinese firm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Chinese consumers with high ethnocentrism ask Korean firms to take high level of legal responsibility. However, the ethnocentrism does not affect on the expectation of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Chinese consumers having good image of Korea require the higher level of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but national image does not affect on legal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Generally Korean firms investing in China should put emphasis on legal responsibility. It would be also effective for Korean firms to expose their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ctivities to Chinese consumers having good image of Korea.

      • 한국과 일본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비교 연구

        표민찬(Pyo, Min-Chan),정무섭(Jung, Moosup)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2 經營經濟 Vol.45 No.2

        연구목적 - 본고는 한국과 일본 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재무성과를 분석해 양국 기업의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종업원 50인 이상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일본 경제산업성의 기업활동기본조사와 한국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했다. 총요소생산성은 지수를 개발하는 방법을 활용해 양국 간 산업별 총요소생산성을 비교·분석했다. 주요 결과 - 본 연구의 추정 결과 총요소생산성의 경우 2005년 한국이 일본에 비해 4%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006년에는 격차가 1.3%로 축소됐다. 2005년 이전의 데이터를 활용한 기존 연구와 연결해 분석해 볼 때, 한국과 일본의 경쟁력 격차가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별로는 의류, 신발 등 전통제조업과 비금속 광물제품,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산업에서 한국의 총요소생산성이 일본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주력산업인 전자, 1차금속, 자동차 및 운송장비 업종에서 양국 간 격차는 2006년 기준으로 4% 정도에 불과했다. 일본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크지 않은 반면, 한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생산성 양극화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상위기업들이 해당 산업의 생산성을 이끌고 있는 반면, 일본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비교적 비슷한 수준의 생산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업 규모 면에서 일본 기업들이 평균 약 1.7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과 순이익률 측면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일본보다 높아 수익성에서는 한국기업들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부채비율에서는 양국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시사점 - 본 연구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중소기업을 포함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활용해 신뢰성 높은 경쟁력 격차를 추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and compares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in Korea and Japan by employing the date from 2005 to 2006.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of Japanese firms was also higher than Korean firms, but it was a decreasing tendency of the TFP gap between Korea and Japan. The TFP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4 percent in 2005, decreasing to 1.3% in 2006. The TFPs of Korean firms were higher that Japanese firms in the industries of shoes, clothes,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and petroleum cokes products. In addition, the TFPs of Korean firms in the field of electrics, primary metal,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were very close to those of Japanese firm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sales volume of Japanese firms were 1.7 times larger than that of Korean firms. However, Korean firm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net income ratio. The average net income ratio of Korean firms was 6.1% In 2006, but that of Japanese firms was 3.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