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中國 企業家精神과 創業動機

        表旻燦(Min-Chan Pyo),權聖容(Kwon Sung-yong),張沈偉(Zhang Shen-Wei) 동아인문학회 2009 동아인문학 Vol.16 No.-

        This paper analyzes Chinese entrepreneurship and motivation for start-up entrepreneurs since economic reforms at the end of 1978. We classify the background of Chinese entrepreneurs into three categories: (1) entrepreneurs from peasant stock, (2) entrepreneurs from professional experts, and (3) ex-government officials. Each category has unique start-up motivations and procedures. Entrepreneurs from peasant stock start their businesses as a means of living and prefer to diversify their business. Entrepreneurs from professional experts start their enterprises to be compensated for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Entrepreneurs from government officials are conservative in starting their own businesses because of high opportunity cost of quitting their stable jobs. Ex-government officials have close relationship(guanxi) with government authorities, leading ex-government officials ease to access resources necessary for start-up. Earlier firm-level studies on Chinese enterprises have discussed the competitiveness of Chinese firms, but these studies could not explain the source of competitiveness. This paper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source of competitiveness and motivation for start-up entrepreneurs by analysing start-up entrepreneur cases since 1978. Based on this paper, future studies may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background of Chinese entrepreneurs has a effect on start-up motivation and procedures.

      • KCI등재

        중국을 활용한 대기업-중소기업 간 협력전략: 포스코와 오스템의 Joint Venture 사례연구

        표민찬 ( Min Chan Pyo ),김선우 ( Sun Woo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3 中國硏究 Vol.58 No.-

        As the polarization between the large- and mid-size companies has increased, the government has carried out new policies to stimulate collaboration among the large- and mid-size companies. However, the government effort have not been very effective because the parasitic collaboration, large firms`` giving benefits to small firms without getting anything in returns, cannot work in the long term. This paper examines a case of international joint venture(POS-Austem) founded by POSCO and Austem, in which both firms achieved reciprocal benefits. By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firms, POSCO could expand its business to the automobile component industry and strengthen a captive market of automobile steel plate. Austem could secure a supply of high quality stee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components that it produces. POS-Austem was established in KunShan, China which offered the groundwork for the successful collaboration between POSCO and Austem. China was considered as a cheap manufacturing, and, recently, it is regarded as a potential consumer market. The findings of this paper show that China can also afford a foothold to solve domestic economic problems such as resolving polarization among firms and revitalizing insolvent enterprises.

      • 한국과 일본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비교 연구

        표민찬(Pyo, Min-Chan),정무섭(Jung, Moosup)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2 經營經濟 Vol.45 No.2

        연구목적 - 본고는 한국과 일본 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재무성과를 분석해 양국 기업의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종업원 50인 이상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일본 경제산업성의 기업활동기본조사와 한국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했다. 총요소생산성은 지수를 개발하는 방법을 활용해 양국 간 산업별 총요소생산성을 비교·분석했다. 주요 결과 - 본 연구의 추정 결과 총요소생산성의 경우 2005년 한국이 일본에 비해 4%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006년에는 격차가 1.3%로 축소됐다. 2005년 이전의 데이터를 활용한 기존 연구와 연결해 분석해 볼 때, 한국과 일본의 경쟁력 격차가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별로는 의류, 신발 등 전통제조업과 비금속 광물제품,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산업에서 한국의 총요소생산성이 일본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주력산업인 전자, 1차금속, 자동차 및 운송장비 업종에서 양국 간 격차는 2006년 기준으로 4% 정도에 불과했다. 일본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크지 않은 반면, 한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생산성 양극화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상위기업들이 해당 산업의 생산성을 이끌고 있는 반면, 일본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비교적 비슷한 수준의 생산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업 규모 면에서 일본 기업들이 평균 약 1.7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과 순이익률 측면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일본보다 높아 수익성에서는 한국기업들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부채비율에서는 양국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시사점 - 본 연구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중소기업을 포함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활용해 신뢰성 높은 경쟁력 격차를 추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and compares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in Korea and Japan by employing the date from 2005 to 2006.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of Japanese firms was also higher than Korean firms, but it was a decreasing tendency of the TFP gap between Korea and Japan. The TFP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4 percent in 2005, decreasing to 1.3% in 2006. The TFPs of Korean firms were higher that Japanese firms in the industries of shoes, clothes,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and petroleum cokes products. In addition, the TFPs of Korean firms in the field of electrics, primary metal,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were very close to those of Japanese firm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sales volume of Japanese firms were 1.7 times larger than that of Korean firms. However, Korean firm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net income ratio. The average net income ratio of Korean firms was 6.1% In 2006, but that of Japanese firms was 3.5%.

      • KCI등재

        【사회과학(社會科學)】 : 한국기업 CSR활동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인식 연구 -합비(合肥)시 대상 자민족 중심주의와 한국 국가이미지의 영향력 분석-

        표민찬 ( Min Chan Pyo ),방아평 ( Ya Ping F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4 中國硏究 Vol.62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hinese ethnocentrism and country image of Korea on the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CSR by Korean firms. Especially this research subdivides CSR into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and analyzes the effect of Chinese ethnocentrism and country image of Korea on subdivided responsibilities. According to the findings, Chinese consumers expect higher legal responsibility to Korean firms than Chinese ones.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in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between Korea and Chinese firm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Chinese consumers with high ethnocentrism ask Korean firms to take high level of legal responsibility. However, the ethnocentrism does not affect on the expectation of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Chinese consumers having good image of Korea require the higher level of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but national image does not affect on legal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Generally Korean firms investing in China should put emphasis on legal responsibility. It would be also effective for Korean firms to expose their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ctivities to Chinese consumers having good image of Korea.

      • KCI등재

        인도경제의 산업별, 지역별 이중구조에 관한 연구

        정무섭(Jung, Moo-Sup),표민찬(Pyo, Min-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낙후된 정체부문(Traditional Sector)와 발전한 선도부문(Advanced Sector)이 공존하는 인도의 이중경제 현상을 분석했다. 본고는 자본축적량과 노동생산성을 기준으로 인도경제를 구성하는 26개 산업을 정체부문와 선도부문으로 구분했다. 또 인도의 28개 주와, 수도인 델리, 3개 연방지역을 각 지역의 소득수준과 소득증가율을 기준으로 구인도 지역(Old India)과 신인도 지역(New India)으로 구분했다. 분석결과, 석유·석유화학 및 핵연료, 제철, 사무용기기 및 컴퓨터, 화학 및 화학제품 등 6개 산업이 인도의 선도부문으로 분류됐으며, 정체부문에는 농업과 광업을 포함해 담배, 의류, 가죽, 음식료품 등이 포함됐다. 지역별로는 찬디가르, 델리, 고아, 하리아나, 케랄라 등 8개 지역이 고성장-고소득 군으로 분류된 반면, 마드야프라데시, 우타르프라데시, 마니푸르 등 11개 지역은 저성장-저소득 군에 포함됐다. 본고에서 제시한 인도경제의 이중구조에 따라 인도에 진출하는 다국적기업들은 선도부문과 정체부문을 서로 다르게 공략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인도 대도시와 고소득층 등 신인도시장에 치중했던 국내기업들은 저소득층으로 구성된 구인도 시장을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산업별로는, 이미 인도의 선도부문에 포함된 산업의 경우, 관련 인도기업을 경쟁의 대상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파트너로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다. 또 본 연구의 산업별 분류에서 제 4분면에 포함된 고생산성-저자본 산업의 경우, 국내기업들이 생산설비와 반제품 등 생산재를 공급하는 협력관계를 구축해, 향후 이들 산업이 선도부문으로 이동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dia’s dual economy model where a traditional sector co-exists with an advanced sector. 26 industries are classified by capital accumulation and labor productivity and 32 regions by income level and income growth rate. According to the findings, total 6 industries such as petroleum·petrochemical, steel, office equipment and computers, and chemicals are categorized into advanced sectors. Agriculture, leather product, food·beverage, etc. ar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sectors. By region, 8 regions such as Chandigarh, Delhi, Goa, Haryana, Kerala are sorted into New India. 11 regions like Madhya Pradesh, Uttar Pradesh, Manipur, ets. Are categorized into Old India. Korean companies entering Indian market have focused on high-income New India. However, it is recommended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MNEs) to find business opportunities in low-income Old India. In addition, when MNEs enter the advanced sector(the first quadrant in figure 3) in India, it is recommended to make a partnership with Indian firms rather than compete with them. When MNEs enter the high productivity and low capital-accumulation(the fourth quadrant), it may be proper for MNEs to adopt a partnership strategy supplying capital goods and semi-finished products to Indian local firms, which are highly possible to move into the advanced sector with high productivity and high capital-accumulation.

      • KCI등재

        인도 증권시장의 투자 유형별 성공사례 연구

        정무섭 ( Moosup Jung ),표민찬 ( Minchan Pyo ),이지은 ( Jieu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에게 적용되는 증권시장의 기업환경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인도시장에 진출할 계획이 있는 기업들에게 참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자기업과 관련된 인도 증권시장의 주요 법률을 살펴보고, 이미 인도 증권시장에서 높은 실적을 보이고 있는 기업들을 투자 유형별로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도의 증권시장 관련 주요법률은 (1) 1996년 제정된 Depositories Act, (2) 1992년 제정된 SEBI Act, 그리고 1956년에 제정됐으며 일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3) Companies Act 와 (4) Securities Contracts(Regulation) Act 등이 있다. 특히 1992년 SEBI Act 제정과 함께 권한이 강화된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 Securities and Exchange Board of India)는 인도 증권금융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외국인 투자관련 제도는 투자의 형태에 따라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와 관련된 제도와 외국인간접투자(Foreign Indirect Investment)와 관련된 제도로 분류될 수 있다. 외국 기업 및 자본이 인도증권시장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외국기관투자자(FII: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로 등록해야 한다. 혹은 이미 등록되어 있는 FII의 하부계정(sub-accounts)으로 등록해도 인도 증권시장에 대한 투자가 가능하다. 인도 증권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은 순수한 인도 로컬기업, 외국기업과 인도기업 간 합작기업, 그리고 외국자본의 독자기업 형태로 구분된다. 투자유형별로 구분해 비교해 보면, 상위 5대 증권사 중 3개사가 합작형태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1년 운용자산 규모 1위 기업인 HDFC Asset Management Company는 영국 기업인 Standard Life Investments가 로컬기업과 함께 설립한 회사이며, 운영자산 3위기업인 ICICI Prudential Asset Management Company는 인도의 대형 상업은행인 ICICI Bank와 영국 Prudential사의 합작기업이다. 인도 증권시장의 경우 외국 증권사에 비해 인도 로컬기업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외국기업과 인도기업 간 합작회사의 경우에도 인도 로컬기업 파트너의 영향력 하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는 인도의 시장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세분화 되어 있어 외국기업들이 단독으로는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도의 20대 증권사 중 절반이 넘는 11개가 인도 로컬기업이며 외국계 단독투자 형태는 2개에 불과하다. 2011년 운용자산 기준으로 인도의 상위 5대 증권사는 HDFC, Reliance Capital, ICICI Prudential, Birla Sun life, UTI 순이었다. 인도 증권시장의 특징으로 상위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매우 높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인도 증권사의 실적을 시계열로 살펴보면, 운용자산 순위에서 일부 변동이 있기는 하지만 상위 5개사의 목록은 변하지 않고 있다. 상위 5대 기업의 운용자산 규모는 전체 시장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상위 5개 회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38%에 지나지 않는데 비해, 인도 상위 5개사의 시장점유율은 2009년 기준으로 58%를 차지했다. 인도의 상위 10대 증권사로 확대하면 시장점유율은 거의 80%에 육박하고 있다. 2005년 상위 5대 증권사의 시장점유율이 51%였던 점을 감안하면 인도 증권시장에서 상위기업의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본고에서는 외국-인도기업 간 합작투자형태의 기업 중에서는 시장점유율이 각각 1위와 3위를 기록한HDFC와 ICICI Prudential의 강점을 분석했다. 인도 로컬기업의 경우 시장점유율 2위와 5위에 오른Reliance Capital과 UTI를 선택했으며, 외국 단독투자 형태의 경우 상위 10대기업에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Franklin Templeton의 성공요인을 분석했다. 인도 증권시장에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외국과 인도기업의 합작형태이거나 인도로컬기업들이다. 반면 외국 단독 투자형 기업들은 높은 실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단독 투자형 외국기업들은 인도 투자자들의 다양하고 독특한 특성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로컬기업이나 외국-인도 간 합작기업들은 인도 투자자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인도 전역에 갖추고 있는 영업망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인도 증권시장에서 7위를 기록하고 있는 외국단독 투자형 기업 Franklin Templeton도 실제로는 인도 로컬기업을 인수해 현지화를 이룬 기업이다. 인도 현지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인도 투자자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 넓은 영업망을 확보해 소비자와 끊임없이 접촉하면서 회사의 강점을 전달해 주는 기능도 강화돼야 한다. 이에 따라 인도에 진출하는 외국계 증권사들은 단독투자 보다는 인도 현지기업을 찾아 합작회사 형태로 진출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외국계 단독기업으로서는 독자적으로 인도 증권시장의 복잡한 규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힘들 뿐 아니라, 인도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가치를 인식시키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또 인도주식시장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본에 대해서는 투자대상기업의 주식을 24%이상 소유할 수 없는 제한을 두고 있는 반면, 외국기업과 로컬기업의 합작사의 경우에는 소유지분에 대한 제한이 없다. 또 외국기업과 인도기업 간 합작회사의 경우 외국기업의 지분이 50%를 넘어도 무방하기 때문에, 현지 로컬기업을 소수 지분으로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합작회사를 설립해 투자에 대한 제약조건을 벗어나는 전략도 필요하다. 독자 경영을 원하는 외국계 기업들은 우선 합작투자 형태로 진입해 충분한 노하우와 브랜드 인지도를 쌓은 후 로컬 합작사 지분을 인수하는 단계적인 전략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인도 증시관련 법규, 각종 공시자료와 언론매체, 기업보고서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향후 개별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인터뷰 등을 통해 추가적인 자료를 확보하고 계량적인 방법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nancial market environment and the key success factors for entering India securities market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financial companies in India. There are 4 major regulations that could affect foreign securities firms entering India securities market, which are Depositories Act(enacted in 1996), SEBI Act(1992), Companies Act(1956), and Securities Contracts Act(1956). With the enactment of SEBI Act, SEBI(Securities and Exchange Board of India) was empowered, becoming a major institute of India securities market. Securities companies in India consist of three types: India local firm, foreign firm, and joint venture between foreign and local firms. The three firms out of top five firms in India securities market are joint ventures, and the other two firms are India local firms. For example, the biggest securities company based on operating assets in 2011 was HDFC Asset Management Company, which was a joint venture between the British company(Standard Life Investment) and a India local company(Housing Development Finance Corporation). ICICI Prudential Asset Management Company was number three in the operating assets ranking in India securities market, which was also a joint venture between a Indian commercial bank(ICICI bank) and British firm(Prudential). Even in the joint venture, Indian local firms have much stronger decision power than foreign partners. The India securities market environment is so complex that foreign firms are not easy to successfully penetrate the market single-handed. For such a reason, there is no foreign firm listed in top five securities companies in India and there are only two foreign wholly-owned companies in top 20 securities firms. One of characteristics in India securities market is that the leading companies have strong market power. For example, the total market share of top 5 securities companies is more than 50 percent, which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US securities market where the top 5 firms had only 38% market share in 2009. The total market share of top 10 companies in India securities market was close to 80 percent. In addition, the market dominating power of top 5 companies has an upward tendency. The total market share of top 5 securities companies was 51 percent in 2005, increasing to 58% in 2009. This paper examines major securities companies in India such as HDFC and ICICI Prudential(joint ventures between foreign and local firms), Reliance Capital and UTI(India local firms), and Franklin Templeton(foreign firm). Franklin Templeton is the only foreign company listed in top 10 companies. Most financial companies with high performance are joint ventures between foreign and local firms and/or India local companies. On the contrary, foreign companies have been underperforming by lack of understanding the diverse needs of Indian investors. Even though Franklin Templeton is regarded as a foreign company, but it became a major securities company after taking over an Indian local securities company(Pioneer ITI) in 2003.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hat it is proper for foreign financial companies to enter India securities market by setting up a joint venture with local firms rather than building up a wholly-owned company. The India security market has very complicated regulations and complex local investors and, hence, it is not easy for foreign firms to adjust itself to local business environment. A joint venture between a India local firm and a foreign firm could bypass the regulation applied only to foreign wholly-owned company. For example, there is a legal restriction that foreign investing firms cannot hold more than 24 percent of a local firm’s share. However, this restriction is not so for a joint venture between local and foreign firms. The foreign financial firms that plan to have 100% share may use a stepwise strategy in which they set up a joint venture with local partners at first and, afterward, buy back local partner’s share when they accumulate sufficient knowhow of doing business in India securities market.

      • KCI등재

        베트남 소비자의 모바일 결제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혁신성과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영향 분석

        응웬티꾹 ( Nguyen Thi Cuc ),표민찬 ( Pyo Minchan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1 東南亞硏究 Vol.3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risk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uncertainty avoidance on consumer’s intention of mobile payment.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umer innovat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while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risk related to mobile payment. In addition, perceived risk negatively affects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innovativeness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s,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use via the mediation of perceived risk. Second, the uncertainty avoidance shows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consumers’ innovativeness and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service, and between perceived risk and the intention to use.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low uncertainty avoid, it was found that consumer innovativeness has a higher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s. Additionally, consumers with a low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are not sensitive to the risks associated with mobile payments, so the perceived risk has a lower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 KCI등재

        중국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특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하이 뷰티상품 시장을 중심으로

        이군우 ( Junyu Li ),표민찬 ( Minchan Pyo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2 국제지역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중국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특징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중국 상하이 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인플루언서의 특징인 전문성, 관여도, 동질성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플루언서의 특징인 전문성, 관여도, 동질성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그리고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의 구매의도로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인플루언서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플루언서의 특징 중 관여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인플루언서의 상호작용 수준이 낮은 경우, 인플루언서의 관여도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인플루언서의 특징 중 전문성과 동질성 측면에서는 인플루언서의 상호작용 수준이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관여도 수준이 낮은 인플루언서의 경우 적극적으로 소비자와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본인의 단점을 극복하고,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향상시킴으로써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influence on consumer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ve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value.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nfluencer’s characteristics such as professionalism, involvement, and homogeneity hav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r and purchasing intention is mediated by consumers’ perceived value. The influencer’s interaction shows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influencer’s involvement and consumer’s perceived value. The higher interaction level, the higher consumer’s perceived value. This result implies that influencer with low level of involvement could overcome one’s shortcomings by actively interacting with consumers. However, two other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professionalism and homogeneity, do not show the moderating effects.

      • KCI등재

        중국 소비자의 신분욕망이 고급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행림(Xinglin Zhao),표민찬(Minchan Pyo)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20 중국과 중국학 Vol.- No.41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직장여성의 신분욕망이 사회적 권력의 수준에 따라 고급 화장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분욕망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고급 화장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급 화장품 선호도 변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급 화장품 선호도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고 있어 신분욕망이 직접적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신분욕망이 고급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와 같은 선호도가 고급 화장품의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분욕망이 고급 화장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사회적 권력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사회적 권력이 낮은 소비자일수록 신분욕망이 고급 화장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분석됐다. 이는 사회적 권력이 낮은 소비자일수록 과시적 소비를 하려는 심리가 강하게 발생하고 보상소비를 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반면 사회적 권력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신분욕망이 고급 화장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중국 고급 화장품 시장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사회적 권력이 높은 여성과 낮은 여성을 구분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사회적 권력이 높은 여성을 대상으로는 효용성을 강조하는 반면, 사회적 권력이 낮은 여성에게는 지위 향상이 연상되는 광고메시지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desire for status on th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luxury cosmetics in China.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consumers with high desire for status have high intention to purchase luxury cosmetics. Also, as the preference of luxury cosmetics plays a role of full mediation, the desire for statu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luxury cosmetics, and such preference leads to the purchase of luxury cosmetic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influence of the desire for status on the preference of luxury cosmetics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power of consumers. The lower the social power of the consumer, the higher the influence of the desire for status on the preference of luxury cosmetics. On the other hand, the desire of status does not have an effect on the preference of luxury cosmetics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high social power. Such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cosmetic firms should use different advertising phrases according to their target customers.

      • KCI등재

        中國式 家族企業의 企業承繼에 관한 硏究

        權聖容(Sungyong Kwon),表旻燦(Min-Chan Pyo) 동아인문학회 2010 동아인문학 Vol.18 No.-

        Chinese private enterpris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in recent years. This paper analyzes family ownership of Chinese private enterprises since economic reforms at the end of 1978. Chinese family enterpris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because of China's short history of economic transition. The Chinese founders of private enterprises tend to assign their next generation to key positions of their firms even when their sons and daughters are at early ages. The founders intend the next generation to develop management abilities through providing management experiences for their sons and daughters. The founders also utilize firms' business diversification for inter-generational ownership transition. They diversify their business into the industries that their sons and daughters are interested in. The next generations develop business skill and knowhow in the field of industry that she or he is interested in and, finally, joins the main business of the founders, their parents. Because of strong connection and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taking key positions in family enterprises, professional manager system has not been settled down in Chinese private firms. This paper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enterprises in China by analysing firm-level cases since 1978. Based on this paper, future studies may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level of family involvement in key positions has an effect on managem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