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wo cases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treated with parenteral octreotide and conservative therapy

        최은진,이섭,Choi, Eun Jin,Lee, Sub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3

        Chylothorax is a rare complication following cardiac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iseases. Although conservative management is successful in the majority of cases, surgical intervention is required in a refractory one. Recently, subcutaneous or intravenous infusion of octreotide has been used as a safe treatment that helps avoiding surgical intervention. Herein, we report two cases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treated with parenteral octreotide and conservative therapy. 선천성 심장병의 수술후 발생되는 유미흉은 드문 합병증이다. 이는 수분, 전해질 및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감염에 취약함을 보이기도 한다. 지금까지의 보존요법에 대해 비교적 치료성적이 좋으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중재가 불가피하다. 저자들은 보존요법과 octreotide 주입을 병행하여 수술적 중재를 피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한 수술후 발생된 유미흉 2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지리적 기원이 다른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균주들의 표현형적 특성

        최은진,이영선,김경희,고영진,정재성,Choi, Eun Jin,Lee, Young Sun,Kim, Gyoung Hee,Koh, Young Jin,Jung, Jae Sung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3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참다래 속(genus Actinidia) 식물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원인세균이다. 7개의 필수 유전자와 11개의 타입 III 효과기 유전자에 대한 다중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전 세계 여러 곳에서 분리된 병원성 균주들은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고 각각 Psa1-Psa3 그룹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Psa1, 3개의 Psa2 및 우리나라와 이탈리아에서 분리된 3개씩의 Psa3 균주 등 총 12 균주를 대상으로 그룹별 표현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그룹의 균주가 $22^{\circ}C$ 이하에서 최대의 성장을 보였으며, Psa3 균주들은 $3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성장이 정지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Psa3 균주의 지연기가 이탈리아 Psa3 균주 보다 긴 특징을 보였다. API 20NE 시험에서 Psa2 균주는 potassium gluconate, capric acid 및 trisodium citrate를 이용하지 못하는 점에서 Psa1과 Psa3 균주와 구별되었다. 다른 그룹과 달리 우리나라 Psa3 균주는 esculin을 가수분해할 수 있었다. API ZYM 시험에서는 Psa3에 속하는 균주들에서만 ${\beta}$-glucosidase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sa 그룹에 따라 ampicillin, novobiocin 및 oleandomycin 등의 항생물질에 대한 민감성 양상이 서로 달랐다.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is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canker in kiwifruit (genus Actinidia).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of seven housekeeping and 11 type III effector genes differentiated the virulent P. syringae pv. actinidiae isolates worldwide into three groups designated as Psa1-Psa3. In this work, a total of 12 P.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s, including three Psa1, three Psa2, three Psa3 strains isolated from Korea and three Psa3 strains from Italy, were compared based on their phenotypic properties. Strains with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had unique growth patterns as demonstrated by growth rate at several temperatures; all tested strains exhibited maximum growth at temperatures below $22^{\circ}C$, while the growth of Psa3 strains was completely inhibited above $30^{\circ}C$. Psa3 strains isolated from Korea had longer lag phases than the Psa3 strains from Italy. The Psa2 strains were different from Psa1 and Psa3 strains in the API 20NE test, in which the Psa2 strains could not utilize potassium gluconate, capric acid and trisodium citrate. Psa3 strains isolated from Korea could hydrolyze esculin. The API ZYM test showed that ${\beta}$-glucosidase activity was detected only from Psa3 strains. The strains belonging to the three Psa groups differed with regard to their susceptibility to ampicillin, novobiocin, and oleandomycin.

      • Study of the Kinetic Effects on Relativistic Unmagnetized Shocks using 3D PIC Simulations

        최은진,민경욱,최청림,Choi, Eun Jin,Min, Kyoung W.,Choi, Cheongrim,Nishikawa, Ken-Ichi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Shocks are ubiquitous in astrophysical plasmas: bow shocks are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solar wind with planetary magnetic fields, and supernova explosions and jets produce shocks in interstellar and intergalactic spaces. The global morphologies of these shocks are usually described by a set of magnetohydrodynamic (MHD) equations which tacitly assumes local thermal equilibrium, and the resulting Rankine-Hugoniot shock jump conditions are applied to ob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physical quantities. While thermal equilibrium can be achieved easily in collisional fluid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collisions are infrequent in astrophysical settings. In fact, shock widths are much smaller than collisional mean free paths and a variety of kinetic phenomena are seen at the shock fronts according to in situ observations of planetary shocks. Hence, both the MHD and kinetic equations have been adopted in theoretical and numerical studies to describe different aspects of the physical phenomena associated with astrophysical shock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3D relativistic particle-in-cell (PIC) simulations for ion-electron plasmas, with focus on the shock structures: when a jet propagates into an unmagnetized ambient plasma, a shock forms in the nonlinear stage of the Weibel instability. As the shock shows the structures that resemble those predicted in MHD systems, we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predicted in the MHD shocks. We also discuss the thermalization processes of the upstream flows based on the time evolutions of the phase space and the velocity distribution, as well as the wave spectra analyses.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디브리핑 경험과의 관계

        최은진(Eun Ji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디브리핑 경험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U지역 간호학과 3학년 2학기 통합 시뮬레이션 실습을 수강한 102명의 간호학생으로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 수업이 모든 끝난 후에 수집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디브리핑경험의 하위항목 중 ‘촉진자의 적절한 안내’가 5점 만점에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문제해결과정과 메타인지간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r=0.704, p<.001). 메타인지와 디브리핑 경험간에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r=0.197, p<.05) 특히 하위항목인 ‘관련성 맺기와 학습하기’와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35, p<.05). 그러나 문제해결과정과 디브리핑 경험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성별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과정의 51.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간호학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디브리핑의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와 문제해결능력, 디브리핑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규명을 위한 추후 연구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i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in S-PBL. Study participants were 102 nursing students who took the integrated S-PBL class in their last semeste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in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highest subscale of debriefing experience was ‘appropriate facilitator guidance’ 3.78 (out of 5). Problem solving process and metacogni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r=0.704, p<.001). Metacogn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briefing experience(r=0.197, p<.05), especially area of ‘learning and making connections’(r=0.235, p<.05)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Multiple regression (enter method) showed that gender and metacognition explained 51.2% of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study offers a rationale on simulation debriefing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upport effects of experiences of debriefing and factors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in nursing simulation.

      • KCI등재

        이러닝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최은진 ( Eun Jin Choi ),최명숙 ( Myoung Sook Choi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이러닝 환경에서 이러닝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5년간 발표된 논문 중 이러닝 상호작용과 학습효과를 연구 변인으로 하는 석.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35편의 논문에서 각 변인의 상관계수를 바탕으로 102개의 효과크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효과크기의 해석은 Cohen(1988)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닝 환경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학습자의 학습효과도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러닝 상호작용 유형과 이러닝 학습효과 간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습자-시스템 상호작용,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고,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중간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이러닝 상호작용과 이러닝 학습효과 하위변인 간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것은 학습만족도이며 다음으로 몰입,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지속의향, 학업성취도 순으로 효과크기가 작아졌다. 결론적으로 이러닝의 모든 상호작용 유형은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으며, 향후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과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등의 인지적인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different e-learning interactions on learning effect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size between e-learning interactions and the learning effect through e-learning, meta-analysis was conducted collecting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over the recent 15 years between 2000 and 2015 as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in academic journals focusing on e-learning interactions and their learning effect as variables in the research. The effect sizes of 102 based 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llected from 35 papers for final analysis. The interpretation of effect size was done by the method of Cohen(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arge effect siz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interactions and overall learning effect. This indicates that active interactions could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of the learners in e-learn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e-learning interactions and learning effect, the learner-content interaction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learner-system interactions,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interactions and subfactors of learning effect, learning satisfaction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learning flows, learning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learning persist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in e-learning and cognitive learning effect.

      • KCI등재

        재태 연령과 몸무게에 따른 B형 간염 항체 양성률 비교

        최은진 ( Eun Jin Choi ),윤현진 ( Hyun Jin Yun ),허재원 ( Jae Won Huh ),이보영 ( Bo Young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1

        목적: B형 간염 예방 접종 후 항체 생성률은 건강한 만삭아에 비해 면역반응이 약한 미숙아나 저출생 체중아에서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실제로 그러한 지 알아보기 위해 제태 연령과 출생체중에 따라 B형 간염 예방 접종 후 항체 생성률을 비교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부산 일신 기독 병원에서 B형 간염 예방접종 완료 후 B형 간염 항원, 항체 검사를 받은 968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출생 체중과 제태 연령에 따라 분류하여 항체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제태 연령별 항체 음성률(non-responder or poor-responder)은 28주 이하에서 15.6%, 28주에서 32주 사이에서 11.4%, 32주에서 37주 사이에서 5.8%, 37주 이상에서 1.9%로 제태 연령별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으며 제태 연령이 증가할수록 상당한 감소를 보였다. 각각의 출생체중별 항체 음성률(non-responder or poor-responder)은 1,000 g 이하에서 16.7%, 1,000 g에서 1,500 g 사이에서 15%, 1,500에서 2,000 g 사이에서 5%, 2,000 g 이상에서 2%로 출생 체중별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으며 출생체중이 증가할수록 상당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 B형 간염 예방 접종 후 항체 양성률은 출생 체중이 작을수록 제태 연령이 적을수록 떨어졌다. 또한 제태 연령 37주 이상, 출생 체중 2,000 g 이상은 독립적으로 B형 간염 예방 접종 후 높은 항체 양성률과 관련되어 있었다.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immune response of hepatitis B vaccine is decreased in preterm or low birth weight babies compared to healthy term babies. To evaluate this notion, we investigated the positive seroconversion rate of hepatitis B antibody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medical records about the positive seroconversion rate of a total of 968 infants who were given DNA recombinant hepatitis B vaccine as scheduled at II Sin Christian Hospital, Busan from January 2002 to Mar 2007. Results: The postive seroconversion failure rate (non-responder or poor-responder) of hepatitis B antibody by gestational age was 15.6% (<28 weeks), 11.4% (>28 weeks, <32 weeks), 5.8% (>32 weeks, <37 weeks), and 1.9% (<37 weeks). The postive seroconversion failure rate by birth weight was 16.7% (<1,000 g), 15% (>1,000 g, <1,500 g), 5% (>1,500 g, <2,000 g), and 2% (>2,000 g). Conclusion: The seropositive rate of hepatitis B antibody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decreased as the gestational age and the birth weight decreased. And gestational age more than 37 weeks and birth weight above 2,000 g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seropositive rate of hepatitis B antibody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 학생논문 : 빅 데이터(Big Data) 시대의 소비자보호 문제 -소비자 개인정보의 범위와 정보주체 동의를 중심으로-

        최은진 ( Eun Jin Choi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글로벌비즈니스와 법센터 2015 연세 글로벌 비즈니스 법학연구 Vol.7 No.1

        오늘날 IT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모바일 시대의 도래로 사회구성원 누구나 온라인상에서 쇼핑, 교육, 금융, 통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과거보다 더 많은일들을 보다 능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불과얼마 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장비의 사용은 개개인이 컴퓨터를 항상 휴대하고 언제,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사용환경과 문화를 총체적으로 바꾸었다. 이처럼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로 인터넷 이용환경은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소비자 개인정보에 대한 수집량이 많아졌다.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어떤사안에 대해서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대하여 빅 데이터 예측에 점점 더 영향을 받기 시작하면서, 이는 쇼핑, 의료, 교육, 선거, 기업 운영 등 다양한 분야뿐만 아니라 테러리즘의 예방,사이버 보안 등 각종 재난이나 범죄의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에도 활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빅 데이터의 무분별한 수집은 종래에는 예상할 수 없었던 개인정보의 침해사례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특히 오늘날 보편화된 개인 휴대용 스마트 기기로 인해 실시간으로 기기에 저장된 정보가 외부에 유출됨으로써 이러한 위험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하여, 우리가 이러한 정보에 대해서는 보호되어야 하는 정보라는 인식이 약할 뿐만 아니라, 사업자들이 애초에 동의를 구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동의를 구하는 일 조차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리만으로는 해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빅데이터시대의 소비자 개인정보보호는 종래의 개인정보 보호법제가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현상이 계속 발생함으로써 근본적으로 개인정보 보호의 범위 등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smart mobile era, any member of society can easily use various online services such as shopping, education, finance, and communication, and can complete more work much more efficiently than in the past. It has not been long since smart devices were introduced, but the use of such devices has changed the computer use environment and culture in general, thereby allowing individuals to always carry and use computers at anytime, anywhere.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the Internet environment has been able to realize a ubiquitous environment in which users can always connect to network and use necessary services at anytime, anywhere. However,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predicted in the past is likely to occur in the era of Big Data. For example, this includes cookie information or purchase history. Such Big Data process, which is knowing well about customers and being able to provide services that fit customer preferences, plays a positive role for businesse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list of products that customers have paid attention or usually purchase, thereby identifying customer preferences.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weak awareness among people, that such information should not only be protected but also ask for the consent of primary information providers from the beginning. Furthermore, since even asking for consent itself is difficult, so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s hard to be solved through the existing law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a result, in the era of Big Dat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rings up the necessity to review the fundamental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ore, as new phenomena that could not be predicted by the conventional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keep occurring.

      • KCI등재
      • KCI등재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곰솔임분의 간벌에 따른 토양 호흡 동태

        최은진 ( Eun Jin Choi ),서희영 ( Hui Yeong Seo ),이광수 ( Kwang Soo Lee ),유병오 ( Byung Oh Yoo ),김춘식 ( Choon Sig Kim ),조현서 ( Hyun Seo Cho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1

        경남 진주시의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월아시험림 내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곰솔임분의 간벌 처리구를 대상으로 토양 이산화탄소(CO2) 방출량과 토양환경요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강도구, 약도구, 대조구를 설치하고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토양 CO2 방출량, 토양온도, 토양수분함량, 토양 pH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양 CO2 방출량의 월별 변화는 간벌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가 없었다(P>0.05). 연 평균 토양 CO2 방출량의 경우 처리간 유의적인 차는 없었으나 약도구 0.58 g CO2 m.2 h.1, 강도구 0.49 g CO2 m.2 h.1, 대조구 0.45 g CO2 m.2 h.1 순으로 약도구가 높게 나타났다. 토양 CO2 방출량은 토양온도와 유의적인 지수함수 관계(P<0.05)가 있었으나 토양수분과 토양 pH 와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Q10 값의 경우 약도구 3.40, 강도구 3.20, 대조구 3.06으로 약도구가 가장 크게 나타나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곰솔임분의 간벌처리는 토양온도 상승과 함께 토양 CO2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 on soil CO2 efflux rates, soil temperature, soil water content and soil pH by thinning intensity treatments (heavy thinning, light thinning, control) of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arl.) stand disturbed by pine wilt disease in Wola National Experimental Forests in Jinju, Gyeongnam province. Monthly variations of soil CO2 efflux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inning and the control treatments (P>0.05). The annual mean soil CO2 efflux rates were 0.58 g CO2 m.2 h.1 for the light thinning, 0.49 g CO2 m.2 h.1 for the heavy thinning and 0.45 g CO2 m.2 h.1 for the control treatments,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exponential relation between soil CO2 efflux rates and soil temperature, but no correlation between soil water content or soil pH and soil CO2 efflux rates. The values of Q10 were 3.40 for the light thinning, 3.20 for the heavy thinning and 3.06 for the control treatm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soil CO2 efflux rates in a black pine stand disturbed by pine wilt disease could be affected by thinning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