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 교사와 운영자 관점에서 본 사이버 가정학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최명숙 ( Myoung Sook Choi ),김정란 ( Jeong Na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와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가정학습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이버가정학습에 참여하는 교사와 운영자의 관점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심층 면담(in-depth interview)법을 실시하였다. 면담 대상은 현재 D광역시 사이버교사로 활동 중인 현직교사 14명과 D광역시사이버가정학습 전체시스템 운영을 맡고 있는 3명의 운영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교사와 운영자들은 콘텐츠의 내용에 오류가 많고 서버가 불안정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둘째,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하는 양질의 콘텐츠와 평가 문항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콘텐츠에서 벗어나 특성화된 과목 개설을 위한 콘텐츠 확보와 타 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넷째, 이상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의 형태로서 온라인 사이버가정학습과 면대면 교실수업을 혼합한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방식의 교수 학습 활동을 활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의 동기 유발을 위해서 여러 가지 보상 체제를 마련하고, 홍보 전략의 내실화를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사이버가정학습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recognitions and needs of cybe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n cyber home learning.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viewpoints of cybe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ho participated in cyber home school. The subjects for interviews were 14 teachers who were working as cyber home learning teachers in D city and 3 administrators who were taking charge of whole cyber home learning system in the city.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rrors in contents, unstable server, and delayed corrections were reported as most common problems. Teachers` rights to reconstruct contents and a support team for searching and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instead of teachers were suggested as possible solutions. Second, a good quality of contents and testing items, based on students` interest and knowledge level, were essential for individualized learning. Third,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courses and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with other schools or institutes were suggested. Fourth,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d online cyber learning and face-to-face learning was suggested as a good model of cyber learning, Five, various incentives for students` motivation and advertis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syste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이러닝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최은진 ( Eun Jin Choi ),최명숙 ( Myoung Sook Choi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이러닝 환경에서 이러닝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5년간 발표된 논문 중 이러닝 상호작용과 학습효과를 연구 변인으로 하는 석.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35편의 논문에서 각 변인의 상관계수를 바탕으로 102개의 효과크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효과크기의 해석은 Cohen(1988)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닝 환경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학습자의 학습효과도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러닝 상호작용 유형과 이러닝 학습효과 간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습자-시스템 상호작용,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고,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중간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이러닝 상호작용과 이러닝 학습효과 하위변인 간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것은 학습만족도이며 다음으로 몰입,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지속의향, 학업성취도 순으로 효과크기가 작아졌다. 결론적으로 이러닝의 모든 상호작용 유형은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으며, 향후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과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등의 인지적인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different e-learning interactions on learning effect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size between e-learning interactions and the learning effect through e-learning, meta-analysis was conducted collecting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over the recent 15 years between 2000 and 2015 as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in academic journals focusing on e-learning interactions and their learning effect as variables in the research. The effect sizes of 102 based 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llected from 35 papers for final analysis. The interpretation of effect size was done by the method of Cohen(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arge effect siz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interactions and overall learning effect. This indicates that active interactions could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of the learners in e-learn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e-learning interactions and learning effect, the learner-content interaction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learner-system interactions,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interactions and subfactors of learning effect, learning satisfaction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learning flows, learning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learning persist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in e-learning and cognitive learning effect.

      • KCI등재

        교원 원격연수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온라인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분석

        황재연 ( Jae Yeon Hwang ),최명숙 ( Myoung Sook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e-Learning 기반 교원 원격연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원 원격연수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 후, 학습자의 배경변인과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D광역시 교육연수원의 60차시 연수과정을 이수한 중·고등학교 교사 19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의 차이에서는 여교사의 학업성취도가 남교사보다 높고 자발적인 연수 참여 여부가 학업성취에 중요한 영향 변인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 분석에서는 자기조절 학습전략이 교육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온라인 학습 태도, 시간관리, 정보해독처리전략이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It is necessary to do systematic researches on factors effecting online teacher training.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n onlin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o analyze learning achieve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e-learning environment. The subjects were 190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had completed a online program of a teacher training center in D city.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ho voluntarily attended the program had higher achievement. In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self-regulated strategies had the highest effect on both variables and online learning attitudes, time management, information interpretation were the variables which had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법 탐색을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분석

        차현전 ( Hyun Jeon Cha ),최명숙 ( Myoung Sook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의 교수법 탐색을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대학 교원의 관심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 대학 교원 학습공동체 참여자가 인식하는 학습 성과, 개선 사항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 자료는 최근 4년 간(2010∼2013) D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운영된 96팀의 산출물이다.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 기준틀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대학 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다루어지는 연구 주제는 교수학습방법이 가장 많았고,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참여자들의 소감문분석에서 나타난 대학 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성과는 협동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 학습 내용의 이해, 적용, 확산, 학습 습관 및 태도의 변화, 교수전문성에 대한 관심과 이해, 교수인적네트워크 형성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 교원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개선사항은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활동을 위한 시설 제공, 프로그램 운영자의 역할 개선, 제출 서류의 간소화, 공유의 장 마련, 활동 시기의 조정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research topics and methods university faculty are interested in by analyzing cases of faculty learning communities at a university to explore teaching methods. Futhermore, it is also to positively examine learning outcomes and improvements that learning community members recognize by analyzing the comments from them. This study is based on outcomes from 96 faculty learning communities support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K university in Daegu from 2010 to 2013. Frames of reference have been selected to analyze the research topics and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reviews of the memb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observed to be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research topic, and case study is applied most often as a research method.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reviews of the members, and finally came up with numerical values on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cooperative learning in general, how much they understand contents to be learned, what they do to apply or expand the contents, how much learning habits and attitude have been changed, how much they are interested in or understand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what they do to form social networks. Using the quantified information, the study was able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oth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Last but not least, looking into the reviews of the members, the study had a chance to understand how to expand supports to promote the program, how to provide facilities for the activities, how to run the program, how to simplify the paper works, how to share ideas or opinions and lastly, limits of the activity period.

      • KCI등재

        플랜더즈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을 활용한 대학 수업 분석의 유용성 탐색

        공미란 ( Mi Ran Gong ),최명숙 ( Myoung Sook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수업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학 수업을 실제로 분석한 사례와 이 도구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양적 수업 분석 도구의 유용성을 탐색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먼저, 플랜더즈 언어상호작용 분석법(Easy 수업 분석 Ver. 3.54)을 활용하여 K대학의 7개 공개 강의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사용자 5명을 심층 면담하고 QSR-NVivo 10을 이용하여 면담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플랜더즈 분석법을 활용함으로써 6가지 상호작용 지수뿐만 아니라 과학적으로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데이터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 사용자들과의 심층 면담에서는 이 분석 도구를 통해 객관적, 체계적, 과학적 분석이 가능하며 대학 교육 현장에서 수업 진단, 수업 개선, 수업 성찰의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관찰의 신뢰성 문제와 관찰자의 시간과 노력 부담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quantitative teaching analysis for university teaching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courses analyzed by the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program and the users` responses of the tool. The subjects were 7 open courses from K university and 5 lecturers who had analyzed university classes.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program(Easy Ver 3.54) were used as an analysis tool. The open-ended questionnaire and QSR-NVivo 10 tool were also used for analysis of five users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y using the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tool, scientific data including six interaction index and additional data can be obtained. Second, the users answered that the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tool could make possible of objective, systematic, and scientific analysis of teaching and be used as a tool of diagnosis, improvement, and reflection of university teaching. On the other hand, reliability of the observation and excessive time and energy of observer were still pointed out as weaknesse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 컴퓨터 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박혜정(Park HaeJung),최명숙(Choi Myoung 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1998년-2003년 2월) 유아 컴퓨터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으로 유아교육학과 및 관련학과(교육학과, 아동학과)의 석ㆍ박사 학위 논문과 7개의 유아교육 전문 학회의 학술지와 대학 논문집에서 총 10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논문의 수는 연도별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두드러지고 있다. 연구주제는 컴퓨터의 활용이 유아의 인지, 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기 가장 많았으며. 홈페이지 운영 및 교사연수에 관한 새로운 연구주제들도 다루어지고 있다. 연구방법에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t검증이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실험처치횟수는 10회 이상, 총 처치시간 600분의 기준에 적합한 연구는 5편에 불과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between 1998 and Feb. 2003. One hundred and eight researches from theses, dissertations, and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ive main criteria - number of research papers per year,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data analysis, experiment conditions - and subcategories were decided based on prior resear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antities of researches on the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have been increasing, especially since 2000. Second, verifying the effect of computer on children's congnitive, affective, and motor development was the most popular topic. Other topics such as homepag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nd teacher training has newly reported. Third, experimental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and survey study was the next. It seemed related to the increase of studies on effectiveness of computer. Fourth,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applied most for data analysis and the t-test and ANOVA were still popular. Lastly,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studies on the basis of 10 treatments and 600 minutes. Studies suitable for this standard were only fiv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in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have been made.

      • KCI등재

        대학 교수자가 지각하는 수업설계지원 e-티칭포트폴리오 시스템 활용 효과 차이 분석

        문수민 ( Su Min Moon ),최명숙 ( Myoung Sook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자가 지각하는 수업설계 e-티칭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활용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e-티칭포트폴리오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임교수 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도구는 시스템 사용성, 운영과정, 수업설계지원, 전반적인 만족도에 관한 2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시스템의 효과와 배경 변인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e-티칭포트폴리오의 장점으로 체계적인 수업설계와 교수 자료의 관리, 그리고 성찰을 통한 강의 개선을 꼽았다. 또한, 운영진의 중간피드백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개선점으로는 시스템 사용성, 다양한 팁이나 사례 제공, 가이드라인제시, 웹 브라우저 호환성, 자료 업로드 편의성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였다. 또한 포트폴리오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컴퓨터 활용 능력의 부족, 저장된 자료의 보안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였다. e-티칭포트폴리오 개발 경험 횟수가 많을수록 수업설계에 대해서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교수자의 직위가 높을수록 운영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별로는 수업설계와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수업설계에서는 인문사회나 자연과학 계열이 공학계열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최종 완성된 시스템이 아니라 시스템과 프로그램운영에 있어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먼저 조사 연구를 통해 밝혀진 긍정적인 효과가 실제로 얼마나 지속되는지에 대한 종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의 포트폴리오 활용이 실제 학습자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탐색도 필요할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e-teaching portfolio system perceived by university faculties. To achieve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via survey from 68 full-time, tenured faculty members who were participants in e-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program. The survey consists of 21 items regarding system usability, program management,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and overall satisfacti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d difference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advantages of utilizing the e-teaching portfolio were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materials management and teaching improvement through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ey also expressed a satisfaction with staff support while they developed their e-teaching portfolio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on system usability, various tips and samples, guidelines, web browser compatibility, and data uploading. Respondents also pointed out concerns regarding their lack of time and computer skills and data security. Faculties with more experience of e-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Faculties with higher position appeared to recognize positively to program management. Faculties showed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overall satisfaction by majors and the Department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 were found to be more positive than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which presupposes the need for continued improvement in program management as well as the portfolio system.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that the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on whether the positive effects identified through the research actually maintai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xplore whether the use of this portfolio affects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