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語 複數標識 ‘들’에 對한 考察 - 依存名詞 ‘들’을 中心으로 -

        최윤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최윤, 2018. 한국어 복수표지 ‘들’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180 : 91~117 한국어 복수표지 ‘들’은 그 문법적․의미적 위치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논의의 최종 목표는 복수표지 ‘들’을 일관된 시각으로 조망하여 그 활용과 의미 기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타당한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있으며 이번 논의에서는 그 첫 번째 시도로서 의존명사로 활용되는 ‘들’의 활용과 의미 기능을 고찰하였다. 논의의 결과, 현재 의존명사로 분류되어 있는 ‘들’은 접사나 보조사가 아닌 의존명사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존명사 ‘들’이 선행 명사군을 하나의 무리로 묶어 집단성을 강조한다는 사실과 단수의 명사군과 통합의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존명사 ‘들’의 이러한 특징은 모두 ‘들’의 복수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복수성’이야말로 복수표지 ‘들’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의미 기능이라는 것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접사 ‘들’과 보조사 ‘들’의 의미 기능과 활용 양상을 종합하면 ‘들’의 문법적․의미적 위치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osition of Korean plural particle “deul” has not been clearly determined.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lural particle “deul” with a consistent point of view and finally to set reasonable criteria that help understand its usage and semantic function clearly.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achieve its purpose,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 of “deul” that is utilized as a bound noun has been discussed. As a result of discussion, it is found that the particle “deul” that is currently classified as a bound noun needs to be classified as the bound noun that is neither affix nor auxiliary particle.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shed light on the fact that the bound noun “deul” emphasizes its collectiveness by combining preceding nouns as a group and that it contains its limitations in combining with singular nouns. All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 noun “deul” can be seen to derive from its plurality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semantic function to fully understand the plural particle “deul.” If further study explores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 of “deul” as both affix and auxiliary particle and integrate its outcomes with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t would help better understand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osition of Korean plural marker “deul.”

      • KCI등재

        국어의 모순성 어휘․구문의 분류 및 분석(2)

        최윤 한국어의미학회 2017 한국어 의미학 Vol.57 No.-

        Korean Semantic, 57. Vocabulary can have multiple meanings. In general, the meanings of polyseme- a word that has several meaning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a particular case, however, a polysemous word or phrase has completely opposite meanings. As a follow-up study of Choi (2015), the current study aims to classify and analyze polysemous words and phrases that include contradictory meanings with a focus on their distinctiveness. Based on the cause of contradictoriness, polysemous words and phrases with conflicting definit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categories which are ‘contradictory homonyms’, ‘morphologic polysemes with contradictory definitions’, ‘semantic polysemes with contradictory definitions’, ‘syntactic phrases with contradictory definitions’, and‘syntactic and semantic phrases with contradictory definitions.’ Furthermore, several example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to enhance understanding. For instance, the examples of contradictory homonyms include‘심심하다[simsimhada]’, ‘일절[iljeol]’ and some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same sound but opposite meanings. The examples of morphologic polysemes with contradictory definitions are ‘등[deung]’,‘값없다[gabeoptta]’,‘세내다[senaeda]’, ‘N조심 [N+josim]’, ‘웃프다[upeuda]’and ‘착쁘다[chakppeuda].’Also, the examples of semantic polysemes with contradictory definitions are ‘안절부절하다 [anjeolbujeolhada]’, ‘우연찮다[uyeonchanta]’, ‘어줍잖다[eojupjanta]’, and‘꼴같다[kkolgatta].’ With a list of classified words and phrase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and integrated Korean linguistic analysis to explain polysemous words or phrases with contradictory definitions and finally chose a representative definition between two conflicting ones.

      • KCI등재

        고유어 색채 파생어의 파생 양상과 의미 분석 - 사전 등재어의 파생 접사를 중심으로 -

        최윤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1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rived patterns of derivatives of native Korean words related to color and analyze the meaning of derivative suffixes. For the study, first, 308 color words related to “Geomda(black),” “nureuda(yellow),” “bukda(red),” “pureuda(blue),” “huida(white)” were extracted and selected out of 8,388 native word adjectives listed in <Urimalsaem>. Next, the selected color word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each color word classification. As a result, a large difference can be observed in the pattern of derivatives according to each color word class. Next, the number of derived word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olor words for each derived suffix was checked to confirm the derived power for each suffix. Finally, the semantic features of each affix were analyzed based on “positive,” “negative,” “lightness,” “chromacy,” and “homogene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system and meaning by analyzing derivatives among native Korean color words. Morphological and semantic analyses were conducted on derivatives among all color words listed in the dictionary for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rived suffixes of color words had the semantic feat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in relation to “evaluation.” In addition, the “color element” had the semantic features of “lightness,” “chromacy,” and “homogeneity.” 본 연구는 한국어의 고유어 색채 파생어들을 조사하여 파생어 형성의 구조적 양상을확인하고 색채어 파생 접사의 의미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말샘>에 등재된8,388개의 고유어 형용사 가운데 논의의 대상이 되는 ‘검다, 누르다, 붉다, 푸르다, 희다’와관련된 308개의 색채어를 추출 선별하였다. 이후 이들을 각 색채어류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각 색체어별로 파생어 형성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파생 접사별로 색채류에 따른 파생어 수를 확인하여 접사별 파생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전의 뜻풀이를 바탕으로 색채어 파생 접사의 의미 자질로서 ‘평가 태도([긍정], [부정])’와 ‘색채([명도], [채도], [균질도])’를 추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각 접사들의 의미 자질을 분석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확장하여 앞으로 한국어 화자가 색채를 인식하는 방식과 범위, 그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Goby, Suruga fundicola (Perciformes: Gobiidae) from Tongyeong, Korea

        최윤,이흥헌 한국어류학회 2019 韓國魚類學會誌 Vol.31 No.4

        15 gobids specimens first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ongyeong, Gyeongsangnam-do, were identified as the Suruga fundicola from Korea. The species, representing a new Korean record, is characterized by having VII-I, 16~17 dorsal fin rays, I, 15~16 anal fin rays, 37~42 lateral line scales, notably large eye and narrow interorbital space, scaleless cheek and opercle, no babel, teeth rather strong, and 6~7 dusky spots on sides. A new Korean name, “Keunnun-mang-duk-sok” and “Keun-nun-mang-duk” is proposed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 KCI등재

        GM 작물의 국내 환경방출: 민관합동조사를 중심으로

        최윤,김병수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2 시민사회와 NGO Vol.20 No.1

        As the cultiv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that are resistant to herbicides or insects increases abroad, controversy over the environmental risks of these crops continues. Korea does not cultivate GM crops for commercial purposes, but imports more than 10 million tons each year. GM crops imported in this way were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in the form of down grains during transportation, but in 2017, GM rapeseed, which was not in this form, was released nationwide. Since this incident, countermeasures and discussions on the environmental release of GM crops hav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Korea. In this stud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perception of risks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NGOs partnership investigation team formed after the GM rapeseed accident were analyzed. Until now, research on GMO-related awareness in Korea has mainly focused 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GMO, GM food labeling, and the risks to huma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various actors about specific incidents that occurred in Korea and their response methods, not the perceptions of GMO in an abstract situation. 해외에서는 제초제나 곤충에 저항성을 갖는 GM 작물의 재배가 증가하면서 GM 작물의 환경 위해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GM 작물을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하고 있지 않지만 해마다 사료 및 식용으로 약 1000만톤 이상을 수입하고 있다. 이렇게 수입된 GM 작물이 운송 과정에서 낙곡 형태로 환경에 방출되고 있었는데 2017년도에는 이러한 형태가 아닌 GM 유채가 전국적으로 방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GM 작물의 환경방출에 대한 대책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GMO의 환경 위해성에 대한 인식, 정부의 안전관리 체계에 대한 평가, GM 유채 유출 사고 후 구성된 민관합동조사팀 활동의 의의와 한계 등을 분석했다. 그동안 국내에서의 GMO 관련 인식조사는 주로 GMO에 대한 지식 정도, 표시제, 인체 위해성에 대한 것들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GMO에 대한 추상적 상황에서의 인식이 아닌 국내에서 발생한 구체적 사건과 그 대응 방식에 대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인식을 분석했다.

      • KCI등재

        한국연안 백상아리 Carcharodon carchariasis 의 출현과 분포

        최윤 한국어류학회 1998 韓國魚類學會誌 Vol.10 No.2

        1.국내의 석인상어에 의한 피해 기록 1959년부터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상어에 의한 피해는 모두 6건이며, 해수욕을 하던 대학생 1건, 전복채취 해녀 3건, 키조개 잡이 잠수부 2건 등 주로 5월과 6월 잠수어민들이 피해 대상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조사가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공격한 상어의 종은 분명치 않다. 단지 1996년 6월 10일 군산연안 연도리에서 발생한 사고의 경우는 사고를 목격한 동료 어부의 상황 설명이나 비슷한 시기에 동일해역에서 백상아리가 채포된 것으로 보아(한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 350㎝ TL) 본 종의 소행으로 판단된다. 일본에서는 1950년부터 지금까지 16건의 상어에 의한 피해가 보고되었으며, 이 가운데 확인된 종은 주로 백상아리와 청상아리였다(Nakaya, 1993) 2. 국내연안 백상아리의 출현과 분포 백상아리는 계절적으로 이동을 하며 표충수온 11°∼24℃의 수역에서 출현하는데, 75% 이상이 15°∼22℃사이에서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asey and Pratt, 1985; Klimley, 1985, Bruce, 1992). 한편 백상아리가 출현한 최저 수온은 일본 북해도해역의 7.2℃이다(Nakano and Nakaya, 1987).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본 연구 기간 중 국내연안에서 포획된 백상아리는 모두 7개채였고, 6개체가 서해안에서 1개채가 동해안에서 출현하였다. 계절 별로는 5개체가 5, 6월에 출현하였으며, 7월과 8월에는 각각 1개채씩 출현하였다. 성별로는 수컷이 5개체 암컷이 1개체였고, 1개체는 암수가 확인되지 않았다. 7개체 중 충남 외연도에서 포획된 1개체는 전장 135㎝의 새끼였다. 출산직전에 있는 어미 뱃속의 백상아리 전장이 약 130㎝인 것을 감안하면 (Last and Stevens, 1994), 본 개체는 출산 직후의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 해역은 백상아리의 출산장소일 가능성이 크다. 한편 백상아리는 부산해역에서도 포획된 기록이 있어서(Nakano and Nakaya, 1987) 국내의 모든 연안에 본 종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5월과 6월 서해안 백상아리의 집중적인 출현원인 첫째, 해류와 수온의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백상아리의 서식수온은 11∼24℃이지만, 캘리포니아 해역에서 백상아리가 가장 많이 출현하는 시기는 수온이 11℃에서 15℃로 상승할 때이다(Klimley and Ainley, 1996). 어청도와 격렬비열도 해역의 5월 말 수온은 수심 37m에서 12.8℃, 표층수온은 15.9℃를 나타냈다. 둘째, 풍부한 먹이이다. 백상아리는 해산포유류를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도 3개채의 백상아리에서 확인된 위 내용물이 모두 전장 50∼80㎝의 쇠물돼지로서 각각 3개체, 2개체, 3개체를 포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서해연안에 풍부한 쇠물돼지는 백상아리의 좋은 사냥감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출산장소로서의 가능성이 있다. 5월 무렵 오끼나와 해역에서 임신개체가 자주 포획되고 있으며, 이것은 이 해역의 풍부한 어패류가 갓 태어난 새끼들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Nakaya, 1992). 국내의 격렬비열도와 어청도해역은 5월과 6월 한류와 남으로부터 북상한 황해난류과 섞이면서 많은 어류들이 모이며, 백상아리의 좋은 출산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