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멸종위기종 감돌고기 Pseudopuntungia nigra의 일중 산란 타이밍 및 초기 산란 위치

        이흥헌 ( Heung Heon Lee ),최윤 ( Youn Choi ),최승호 ( Seung Ho Choi ) 한국어류학회 2014 韓國魚類學會誌 Vol.26 No.1

        2009년 5~7월까지 전북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에 위치한 주자천에서 감돌고기의 일중 산란 타이밍 및 초기 산란 위치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감돌고기의 산란은 5월 7일부터 7월 1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꺽지 산란장에만 탁란을 했다. 61개 꺽지 산란장 중 56개의 산란장에 탁란했으며, 꺽지 산란 후 1~2일 사이에 시작되었다. 하루 중 감돌고기의 탁란은 꺽지의 공격횟수가 낮게 나타난 6~7시 사이에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감돌고기가 탁란한 알의 부화율은 지속적인 꺽지의 산란장 방어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감돌고기는 자신의 알을 중심으로 난 보호를 하는 꺽지 난괴와 가까운 곳부터 산란을 함으로써 꺽지의 난 보호를 통한 이득을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best spawning timing in a day and the first spawning position of Pseudopungtungia nigra was investigated at the Jujacheon stream in Jinan-gun Jeollabuk-do, Koera from May to July 2009. P. nigra spawned only at the nest of Coreoperca herzi from 7 May to 11 July, 2009. P. nigra spawned at 56 nests among 61 nests of C. herzi, and the spawning of P. nigra started on after 1st or 2nd day spawning of C. herzi. The spawning behavior was dominantly observed at around 06:00 to 07:00 AM, when parental C. herzi males are usually inactive in the territorial defence. The hatching rate of P. nigra egg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arental activity of the guarding C. herzi, and P. nigra deposit their egg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egg clutches of C. herzi (normally at the perimeter of the clutch), likely to take much of the potential effects from fanning and guarding, as the hosts focus their care on the centre of the egg clutch.

      • ArcGIS를 이용한 육상 및 해양 생태지도 3D 제작

        이병관,이창래,정원옥,정승진,안중관,김병국,이흥헌,박흥기,정주학,권순열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해상국립공원지역의 생태계 기반 관리체계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 국립공원 연구 1호(국립공원관리공단, 147 ton)를 이용하여 한려해상국립공원과 다도해해상국립 공원의 유·무인도서 및 특정도서에 대해서 육상조사, 수중 조사와 해저지형을 조사하여 육상 및 해상, 해중을 연계한 종합생태지도를 제작하였다. 해중생태지도 제작을 위해서 육상 및 해상 좌표계를 통일하였으며, 조사 격자 범위에서 생태지도의 주요 생물상 분포를 분석한 다음에 ArcGIS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생태지도를 제작하였다. 수치표고모형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작성하기 위해서 고도 와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불규칙삼각망(TIN)을 작성하고 육 상 등고선과 해양 등수심선에 대해서 각각의 TIN을 만들어 DEM을 작성 후, 지형을 분석하였다. 위성 및 항공영상의 배경합성은 육상과 해상의 고도와 수심 자료로 만든 DEM 의 항공사진과 해저면 스캔영상을 따로 모자이크하고 합성 하였다. 해저지형 분석은 ArcScene을 실행한 후, 따로 만든 항공 및 해저 이미지에 DEM을 기저고도(Base Height)로 설정한 다음, 지형 분석에 이용하였다. 제작된 3차원 이미지 는 0.25m격자의 해상도를 갖고 있는 항공영상과 해저면의 Side Scan Sonar 이미지를 이용하였으며, 육상과 해양을 통합하여 3 차원 구현이 되도록 수행하였다. 촬영된 항공영 상과 해저면 영상에 대해서 현장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서 육상 현장조사과 식생조사, 수중조사와 해양생물 분석 자료 를 반영하여 해저와 육상 지형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작성된 육상 및 해양 생태지도는 서 식지와 생태계의 종합적인 관리지도를 작성하는 기초단계 로서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관리지도 로 발전시키고 향후, 외적인 환경변화를 추가함으로서 해양 자원관리와 생물보전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해야 될 것이 다.

      • 해상국립공원 내 서식지를 기반으로 한 해양행태계 관리

        이창래,이병관,정원옥,정승진,안중관,김병국,이흥헌,박홍기,정주학,권순열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해상국립공원 내 분포하는 다수의 도서는 해양생물다양 성 측면에서 매우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태학 적 기반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보전해야 하는 중요한 도 서이다. 본 연구는 해상국립공원 내 서식지를 기반으로 한 해양생태계 관리와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립공원연구1 호(국립공원관리공단, 147 ton)를 이용하여 2012년 계절별 로 4회 조사를 수행하였다. 해양생태계 기본조사는 한려해 상국립공원 동부해역의 해양환경(CTD, 수질, 퇴적물)과 해 양생물(동·식물플랑크톤, 해조류, 저서무척추동물, 어류)에 대한 시·공간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유·무인도서 및 특정 도서 정밀 조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주변에 있는 6개(경남 홍도, 북여도, 어유도, 갈도, 세존도) 도서와 다도해 해상국 립공원의 백도에 대해서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으 로 수중생물 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사이드스캔소 나(Side Scan Sonar)를 이용해 해저지형도를 작성하여 서식 지 기반 수중생태계 지도를 작성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 거제도 외해의 대한해협 부근에서 고온고염의 대 마난류(對馬暖流)의 유입이 확인되었으며, 다양한 해양생 물이 출현하여 생물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해상공원구역 내에서 높게 나타났 으며, 해류의 계절적 분포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한려해 상국립공원의 홍도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백도에는 멸 종위기종인 나팔고둥, 둔한진총산호, 유착나무돌산호, 검붉 은수지맨드라미, 해송 등이 다수 발견되어 주변의 다른 도 서와 비교했을 때, 해양생물의 다양성에 차이를 보였다. 특 히, 홍도와 백도에서 기후변화 난류성 지표종인 옥덩굴(해 조류)과 빨강불가사리의 출현은 기후변화(수온상승)로 남 해안의 생물종 분포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조사의 중요 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를 이 해하고, 해양생물 서식지를 기반으로 하는 종합적 생태지도 를 작성하고, 서식지 관리가 시급한 도서는 전략적으로 집 중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Goby, Suruga fundicola (Perciformes: Gobiidae) from Tongyeong, Korea

        최윤,이흥헌 한국어류학회 2019 韓國魚類學會誌 Vol.31 No.4

        15 gobids specimens first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ongyeong, Gyeongsangnam-do, were identified as the Suruga fundicola from Korea. The species, representing a new Korean record, is characterized by having VII-I, 16~17 dorsal fin rays, I, 15~16 anal fin rays, 37~42 lateral line scales, notably large eye and narrow interorbital space, scaleless cheek and opercle, no babel, teeth rather strong, and 6~7 dusky spots on sides. A new Korean name, “Keunnun-mang-duk-sok” and “Keun-nun-mang-duk” is proposed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금강에 서식하는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탁란

        김익수,최승호,이흥헌,한경호 한국어류학회 2004 韓國魚類學會誌 Vol.16 No.1

        2003년 5월부터 7월까지 전북 진안군 주천면의 금강상류의 지류인 주자천에서 감돌고기의 탁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감돌고기는 꺽지의 수컷이 보호하는 산란장에 무리를 지어 침입하였고 탁란을 실시하였다. 감돌고기의 산란은 꺽지가 산란을 시작한 직후부터 시작되어 꺽지의 산란이 끝난 후에도 3∼5일 동안 더 진행되었다. 감돌고기 알의 부화는 대부분 숙주의 알보다 먼저 이루어졌고, 감돌고기의 자어는 부화 후 즉시 숙주의 산란장을 떠났다. 산란장을 지키는 부화 후 즉시 숙주의 산란장을 떠났다. 산란장을 지키는 꺽지 수컷이 사라졌을 때 산란장의 숙주의 알과 감돌고기 알은 즉시 다른 어류에 의해 모두 섭식되었다. 따라서, 감돌고기는 자신의 알이 부화할 때까지 숙주의 보호를 받는 커다란 이득을 획득한다. A field study of the brood parasitism by Korean shiner, Psudopungtungia nigra, on nests of the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was carried out from May 2003 to July 2003 at the Juja stream, Jinan-gun, Jeonlabuk-do, Korea. Observations in the wild showed that the Korean shiner concentrated on nests of Korean aucha perch in which the nest owners had just spawned. The Korean shiner always spawned in nests of Korean aucha perch. When the parasite shiner spawned in the perch nest, the parasite eggs hatched earlier than the host eggs. Parasite prelarvae shiner left the nest of the host immediately after hatching. Host and parasite eggs disappeared with no guarding by the host male. We suggest that the parasite eggs are protected from egg predators by the host male.

      • KCI등재

        저인망에 의한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주변 해역의 어류분포

        최윤 ( Youn Choi ),이흥헌 ( Heung Heon Lee ),오정규 ( Jeong Kyu Oh ) 한국어류학회 2014 韓國魚類學會誌 Vol.26 No.3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전라북도 영광군 위도 해역의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2011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 4회에 걸쳐 모두 9목26과 46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망둑어과(Gobiidae)가 6종으로 전체 종수의 13.04%를 차지하였고,쏨벵이목(Scorpaeniformes) 어류가 5과 7종,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4과 5종, 청어목(Clupeiformes) 어류는 2과 4종, 복어목 (Tetraodontiformes) 1과 2종 순이었다. 우점종은전체의 53.10%가 채집된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였다. 4개의 조사정점에서 모두 채집된 어류는 참서대(Cynoglossusjoyneri)를 비롯하여 17종이었고, 1개의 조사정점에서만 채집된 어종은 쏨뱅이(Inimicus japonicus)를 비롯하여13종이었다. 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공사 시에 이 해역 어류의 일시적인 어종의 감소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풍력단지 구조물 등이 좋은 서식환경을 제공함으로 돌돔과 조피볼낙 등의 어종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a study for offshore wind farm, we investigated the fish fauna of the Wi-do, Younggwang-gun, Chollabuk-do, Korea. From the four times collection of fish species from October 2013 to June 2014, we collected 46 species of 26 families including 9 orders. Among them, the fish of family Gobiidae includes the most number of six species (13.6%). The dominantspecies was the Argyrosomus argentatus with 53.10%. Total of 17 fish species, including the Cynoglossusjoyneri were collected from all of four collecting sites. On the other hand, 13 species including Inimicus japonicus were collected from only one site. Being the wind farm under construction, fish will temporary decrease in this area. But in the long term, we think that Oplegnathus fasciatus, Sebastes shlegelli and others will increase with good inhabited environment provided by the wind farm structures.

      • KCI등재

        태안해안국립공원 모항 암반조간대 웅덩이의 어류 종조성과 수직분포

        최윤 ( Youn Choi ),이흥헌 ( Heung Heon Lee ) 한국어류학회 2013 韓國魚類學會誌 Vol.25 No.4

        태안반도 모항항의 암반조간대 조수웅덩이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어류를 채집하여 고도에 따른 종조성분포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3목 8과 14속 16종이었으며, 이 가운데 망둑어과의 점망둑(Chaenogobiusannularis)이 34.6%로 우점하였고, 아우점종으로는 그물베도라치(Cha-enogobius annularis)가 22.0%, 조피볼락 (Chaenogobius annularis)이 6.9%, 두줄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6.8%순이었다. 그물베도라치는 고도에 관계없이 주거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점망둑은 상부조간대에서가장 우점하였고, 모든 조사 시기에 채집되었다. 주거종의 개체수는 일시주거종과 기회방문종보다 높았으며, 생체량은 주거종이 61.4%로 가장 높았으며, 일시주거종이 14.2%, 기회방문종이 24.4%였다. Specei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by altitude of fish in the rock tide pools in Taean were determined using montly samples collected in the 9 tide pool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0. Among 16 species collected, a forktongue goby Chaenogobius annularis was dominant accounting for 34.6%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followed by Dictysoma burgeri (22.0%), Sebastes schlegelii (6.9%) and Tridentiger trigonocephalus (6.8%). A resident fish Dictyosoma burger occurred at all tide pools, and Chasmichthys dolichognathus was dominant in the upper tide pools and wascollect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e resident fish is more abundant than the transient fish and occasional fish accounted for 61.4%, 14.2% and 24.4% in biomass,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동해 신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의 조간대 어류상

        최윤 ( Youn Choi ),이흥헌 ( Heung Heon Lee ),장준호 ( Jun Ho Jang ) 한국어류학회 2008 韓國魚類學會誌 Vol.20 No.4

        경북 경주시 신월성 해역 조간대의 어류상과 어류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6년 2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족대와 뜰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모두 5목 15과 22속 27종이었다. 본 조사해역은 크고 작은 자갈과 바위가 혼재하고, 많은 해조군락이 발달된 곳에 둑중개과의 무늬횟대가 우점하였고, 노래미는 연중 서식하는 주거종으로 확인되었다. 바위로 이루어진 조수웅덩이에는 망둑어과의 별망둑과 점망둑이 우점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한국고유종으로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안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장갱이과의 민베도라치와 다동가리과의 아홉동가리가 본 해역에도 서식하는 것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An investigation of the intertidal fish fauna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pecimens collected at Sinweolseong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from February 2006 to October 2007. The collected fishes comprised 27 species belonging to 22 genera, 15 families and 5 orders. Family Cottidae was the most abundant in species and individuals, with Furcina osimae the most representative species in the sampling area. Hexagrammos agrammus appeared throughout the year, while Chaenogobius annularis and C. gulosus predominated. In addition, Zoarchias glaber and Goniistius zonatus, which were distributed on Jeju Island and the South Sea of Korea, were first recorded from this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