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만화를 활용한 효율적인 독서지도 방안

        최영임,한복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0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ffective reading guidance using studying cartoons for the reading motivation. We conducted a survey at 3 junior high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consisting of 182 students in 6 classes in an attempt to analyze what motivates reading. We propose strategies that can encourage students to read using cartoons, books, and multimedia guides.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 동기 유발 매체인 학습만화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도서 및 비도서 자료와 학습만화를 연계하여 독서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남 천안의 3개 중학교, 6개 반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독서의 동기 유발요인을 분석하였다. 학습만화와 연계한 도서 및 비도서 목록을 이용한 효율적인 독서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청소년들의 올바른 독서 문화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 교과서 수록 읽기자료를 중심으로 -

        최영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reading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materials within the high school textbook developed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reading materials of high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i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integrated science,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The analysis criteria of reading materials were subject type, purpose, and studen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reading materials on various themes such as humanity, liberty, culture, environment, and district were presented in the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composed of a unit called "reading one book in one semester" . However, most reading materials have no guidance on reading effective or reading direction, and lack of read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extended reading. The reader's reading of the textbook was found to be simply supplementing the learning content of each unit or presenting fragmentary cues for conceptual purpose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internalization of reading, and extension of reading. In this paper, we suggest supplementary materials of reading materials for expanding the high school textbooks, and explore the developmental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s and reading education through suggestions on aspects of textbook composition and teaching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독서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통합사회 주요 교과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였고, 읽기자료의 분석 기준은 주제 유형, 목적, 학생 활동이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에는 인간, 자유, 문화, 환경, 지구 등 다양한 주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개념과 연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국어교과는 한단원에만 ‘한 학기에 한권의 책 읽기’라는 단원이 신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읽기자료가 효과적인 독서 전략이나 독서 방향에 대한 안내가 없으며, 읽기자료의 양이 부족하고 확장적 독서를 위한 자료나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학습 내용을 단순하게 보충하거나 개념 이해를 위한 단편적인 단서로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의 읽기자료 제시가 나열식으로 단순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독서 흥미, 독서의 내면화 그리고 독서 확장을 위한 도구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의 확장을 위한 읽기자료의 보조 자료를 제안하고, 교과서 구성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 대한 제안을 통해 교과서와 독서교육의 발전적 관계를 모색해보았다.

      • 교사와 학생간 상호작용 메커니즘 탐색을 위한 무용공연 제작의 단계별 체계화 전략 -아동 발레를 중심으로 -

        최영임,홍애령 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무용공연 제작 시 교사와 학생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탐색하기 위하여 공연 전 단계에 걸쳐 아동들이 참여하는 무용공연 제작과정을 단계별로 체계화 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무용공연 제작과정을 사전 탐색, 준비, 연습, 홍보물 제작, 공연, 평가의 6단계로 구분하고, 아동이 참여하는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최영임,Choi, Young-Im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독서활동상황' 기록에 대한 만족도, 독서활동 기록의 필요성, 독서활동 기록 방법 등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독서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기록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독서를 통해 성장한 내용을 도서명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독후활동 기록, 교과교사와의 상호작용 활동 등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독서평가 방법의 변화와 학교 현장의 바람직한 독서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s and to make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reading activities records. Data for 120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This study showed negative response result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the 'reading activity situation' record, the necessity of the reading activity record,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reading activity. It is, however,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recording method to invigorate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ctivities. Since it is not easy to identify students' development in reading by the titles which they provides for the reading activity records, a variety of reading activities need to be recorded for understanding students' development process and interaction activities with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in this study will be significant data to improve evaluation methods of reading activities for college admission and to cultivate proper reading culture in high schools.

      • KCI등재

        성과 성역할 정체감 및 성격특성이 의사소통 어려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최영임,장휘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ender, gender role identity and tw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the perceived communication difficulty wi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in the same-sex communication female perceived more communication difficulty than male, but in the opposite-sex communication no gender effect was found. Gender role ident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ame- and opposite-sex communication. That is, the person with the androgynous and masculine gender role identity perceived the lower level of communication difficulty than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the one in the same- and opposite-sex communication. Also the person with the low level of neuroticism and high level of extraversion has low level of perceived communication difficulty. An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extraversion has the greatest effect, which is followed by neuroticism, but the masculinity and femininity has no effects on the perceived communication difficulty in male and female. 이 연구는 남녀 대학생(405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성과 성역할 정체감 및 성격특성(정서적 불안정성과 외향성)이 동성 및 이성과의 의사소통 어려움 지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성역할 정체감 척도와 의사소통 어려움 지각 척도, 정서적 불안정성 척도 및 외향성 척도를 실시하여 연구한 결과,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동성과의 의사소통을 더 어렵다고 지각하였으나 이성과의 의사소통 지각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역할 정체감은 동성과는 물론 이성과의 의사소통 어려움 지각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어, 양성적 및 남성적 성역할 정체감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 여성적 혹은 미분화의 성역할 정체감 소유자들보다 동성 및 이성과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더 적게 지각하였다. 또한 정서적 불안정성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보다 그리고 외향성이 낮은 사람들이 높은 사람들보다 동성 및 이성과의 의사소통을 더 어렵다고 지각하였다. 성역할 정체감과 성격특성이 동성 및 이성과의 의사소통 어려움 지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비교한 결과, 남녀 구분없이 외향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정서적 불안정성이었으며, 남성성과 여성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KCI등재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된 어려움과 성격특성과의 관계

        최영임,장휘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0 No.1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 in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as found.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the same-sex communication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faithfulness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in male and female. But in the opposite-sex one while male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raversion, agreeableness, faithful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s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female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raversion. M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이 연구는 남녀 대학생들(남: 185명, 여: 199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된 어려움과 다섯 가지 성격특성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동성과의 의사소통을 더 어렵다고 지각하였고, 남성은 더 높은 외향성과 호감성을 그리고 여성은 더 높은 정서적 불안정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동성과의 의사소통을 어렵다고 지각하는 사람은 남녀 모두 더 낮은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과 더 높은 정서적 불안정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서는 성차가 있었다. 이성과의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에서는 낮은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및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높은 정서적 불안정성을 갖는 남성과 낮은 외향성과 높은 정서적 불안정성을 갖는 여성이 더 큰 어려움을 나타내어 남녀간에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을 어렵다고 지각하는 정도를 상중하로 구분하여 다섯 가지 성격특성에서의 패턴을 확인한 결과 동성과 이성에 대해 남녀 모두 일관성 있게 외향성이 낮고 정서적 불안정성이 높은 사람들이 동성 및 이성과의 의사소통을 가장 어렵다고 지각하였으나 호감성, 성실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서는 차이가 있어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 지각 정도에 따라 각기 상이한 패턴이 도출되었다.

      • 기장에 있어서 C4 광할성경로의 Aspartate aminotransferase 유전자의 클로닝 2. Aspartate aminotransferase cDNA-I sequencing 과 Genomic DNA library 로부터 AspAT gene 의 선발

        최영임,이병헌,정민섭,조진기,손대영 경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2 遺傳工學硏究所報 Vol.7 No.1

        Panicum miliaceum was used for mRNA extraction. Total 1.2 ㎍ of cDNA was synthesized from 6 ㎍ of mRNA. The cDNAs with the size of around 1.5-5 kb were employed for cDNA library with λ gt 11. Three positive clones designated as pAspAT3-1, pAspAT3-2 and pAspAT3-3 were screened from 1.2×10^6 pfu library. Among three clones, only pAspAT 3-1 was sequenced. The total sequence of pAspAT3-1 was 1594 bp in which 428 deduced amino acids were encoded.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anicum miliaceum leaves. The titre of the genomic DNA library was 1×10^7 pfu/㎖ which was supposed to be large enough to cover total genomic D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