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산화질소-합성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이 급성 관동맥 증후군과 이형 협심증 환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최수연(Soo Yeon Choi),유경훈(Kyung Hoon Yoo),박진식(Jin Sik Park),채인호(In Ho Chae),김효수(Hyo Soo Kim),손대원(Dae Won Son),오병희(Byung Hee Oh),이명묵(Myoung Mook Lee),박영배(Young Bae Park),최윤식(Yun Shick Choi),이영우(Young Woo 대한내과학회 2000 대한내과학회지 Vol.58 No.1

        N/A Background : Nitric oxide, also known as endothelial derived relaxing factor(EDRF), regulates the vascular tone and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and platelet adhesions and endothelium-leukocyte interactions. Thus, nitric oxide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and vasospasm. We analyzed the genotype distributions of two eNOS gene polymorphisms in normal healthy Koreans and compared it with those in the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nd variant angina. Methods : We analyzed the two eNOS polymorphisms (eNOS A/B polymorphism is the variable numbers of tandem repeat in intron 4 and eNOS T/G polymorphism is a mis-sense mutation in exon 7) using PCR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in 142 normal healthy Koreans and 164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nd 104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Results :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A/B polymorphism of eNOS gene, A/A, A/B, B/B was 4.9%, 21.1%, 74% in control group and 2.4%, 12.8%, 84.8% in the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p=0.02) and 2.9%, 16.3%, 80.8% in the patients with variant angina(p=NS), respectively.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T/G polymorphism of eNOS gene, T/T, T/G, G/G was 1.4%, 15.5%, 83.1% in control group and 0.6%, 21.3%, 78.1% in the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p=NS) and 0%, 18.3%,81.7% in the patients with variant angina(p=NS), respectively. The odds ratio for acute coronary syndrome of non B/B(A/A & A/B) to B/B was 0.489 (95% CI : 0.257∼0.928). We found that age, sex (male),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smoking, B/B genotype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acute coronary syndrome. But, in variant angina, smoking was the only significant independent risk factor(odds ratio=5.934, 95% CI 2.843-12.388, p<0.05). Conclusion : The B/B genotype frequency of eNOS ge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than in normal controls. But neither A/B nor T/G polymorphism of eNOS gene was associated with variant angina.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OS gene may play some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ACS rather than vasospasm.(Korean J Med 58:19-27, 2000)

      • KCI등재

        유리체절제술 시 평면부 초음파분쇄술 후 각막내피세포의 장기 변화

        최수연(Soo Youn Choi),한지윤(Ji Yun Han),엄영섭(Young sub Eom),김성우(Seong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4

        목적: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수술을 동시에 시행 받았던 유리체절제술 시 평면부를 통한 초음파분쇄술의 술 후 2년째 각막내피세포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 시 평면부를 통한 초음파분쇄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정기적으로 추적관찰하였던 환자 20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경면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술 전, 수술 후 1달, 3달, 6달, 1년, 2년째 측정한 각막내피세포 밀도(endothelial cell density, ECD), 세포면적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 육각형세포율(hexagonality, HA)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측정된 평균 ECD는 1,782 ± 623개/mm2, CV는 35.55 ± 3.03%, HA는 49.86 ± 5.60%였다. 수술 2년 후 측정한 평균 ECD는 1,722 ± 532개/mm2, CV는 35.50 ± 3.03%, HA는 53.00 ± 4.91%로 수술 전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0.9731, 1.000, 0.997), 수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 및 1년의 시점에 측정한 값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유리체절제술 시 평면부를 통한 초음파분쇄술은 수술 전 ECD가 적은 환자에게 수술에 따른 각막내피세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수술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changes in cornea endothelial cell density (ECD) after pars plana vitrectomy (PPV) with fragmentation. Methods: Twenty patients (20 eyes) who underwent PPV with fragmentation and who were followed up for 2 years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cornea EC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and hexagonality (HA) were calculated using a specular microscopy at 1, 3, 6, 12 months, and 2 years after surgery. Results: The preoperative mean ECD was 1,782 ± 623 cells/mm2, and the postoperative mean ECD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t 1, 3, 6, and 12 months. Additio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V or HA. At 2 years after surgery, the mean ECD was 1,722 ± 532 cells/mm2, the mean CV was 35.50 ± 3.03%, and the mean HA was 53.00 ± 4.91%.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ECD, CV, or HA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t 1, 3, 6, and 12 month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mean ECD did not significantly decrease after PPV with fragmentation at 2 years after surgery. A PPV with fragmentation was an appropriate surgical procedure for patients with low cornea endothelial cell density.

      • 가상 상황을 통해 시각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 웹 코스웨어

        박성미(Park Sung-Mi),김아름(Kim Ah-Rem),최수연(Choi Soo-Yun),김종훈(Jong-Ho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본 연구에서는 웹을 이용하여 바쁜 현대 생활에 쫓겨 주위의 이웃들-특히 장애인이나 빈민층과 같은 소외계층-에게 소홀해 지기 쉬운 수리 현대인들이 그들을 이해하고 관심을 갖기를 기대하며 웹 코스웨어를 개발하였다. 특히 시각 장애인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시각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실생활에서 시각 장애인을 만났을 때 그들과 함께 생활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도 실생활에서는 알고 있는 지식을 생활에 잘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가상 상황을 설정하여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래서 실생활에서 시각 장애인을 만났을 때 그들과 자연스럽게 생활하는 것을 돕는다. 이 웹 코스웨어를 통해 시각장애인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된 사용자, 즉 학습자가 가상 상황과 체험판을 통해 자신이 얻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시각장애인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였다.

      • KCI등재후보

        관상동맥 질환에서 CD14 유전자형에 따른 세균 및 Heat Shock Protein에 대한 반응의 차이

        한주용,최수연,조현주,김화평,강현재,구본권,김남중,김효수,손대원,오병희,박영배,최윤식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1

        Background : CD14 is the receptor for lipopolysaccharides and heat shock protein (HSP), which has been suggested being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response to infectious agents or HSP is different according to CD14 polymorphism in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 Antibody titers to Helicobacter pylori, Chlamydia pneumoniae, and human HSP60 (hHSP60) were measured in 48 patients with stable CAD and in 41 healthy controls by ELISA. CD14 genotype was determined by PCR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was measured. Results : Seropositivity to C. pneumoniae and H. pylori, and antibody titer to hHSP60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CAD. CD14 genotype distribution was 31 TT (35%), 43 CT (48%), and 15 CC (17%). To compare the response to the infectious organism and hHSP60, we divided study population into 3 groups; CAD patients with non-TT genotype (group I, n=30), CAD patients with TT genotype (group II, n=18), and normal controls (group III, n=41). Seropositivity to C. pneumoniae and H. pylori, and antibody titer to hHSP6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groups. Though hs-CRP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groups, post-Hoc analysis showed that hs-CRP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group I: 1.6[1.1-3.5] mg/L and group II: 0.35[0.1-2.0] mg/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flammatory responses to infectious organisms and HSP do not differ according to the CD14 genotype in Koreans. 목적 : 만성적인 세균 감염이나 자가 면역 반응이 동맥경화와 연관되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CD14은 lipopolysaccharides (LPS)와 heat shock protein(HSP)의 수용체로 C(-260)→T 다형성이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과 관련되어 있다고 제안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CD14 다형성에 따른 LPS와 HSP에 대한 반응성을 염증표지자를 측정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안정형 관상동맥 환자 48명과 정상 대조군 41명을 대상으로 Chlamydia pneumoniae, Helicobacter pylori 항체 및 인체 HSP60 (hHSP60) 항체 역가를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CD14 유전자형은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결정하였고 hs-CRP를 측정하였다. 결과 : C. pneumonias 및 H. pylori 항체 양성 여부 및 항체 역가, 그리고 hHSP60에 대한 항체 역가는 안정형 관상동맥 질환의 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CD14 유전자형의 분포는 TT 30명(39%), CT 31명(40%), 그리고 CC 16명(21%)이었다. 관상동맥 질환 군에서 TT 유전자형은 38%, 대조군에서는 32%로 TT 유전자형과 관상동맥 질환의 유무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P>0.05). CD14 유전자형에 따라 C. pneumonias와 H.pylori 감염 및 hHSP60에 따른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 여 부를 알아보기 위해, 관상동맥 질환 군을 다시 TT 유전자형 군과 non-TT 유전자형 군으로 나누어, 전체적으로 세군에서 항체 양성률과 역가를 비교하였다(I군: CD14 TT 유전자형을 가진 안정형 관상동맥 환자, II군: CD14 TT 유전자형을 가진 안정형 관상동맥 환자, III군: 정상 대조군). 세 군에서 C. pneumonias와 H. pylori 항체 양성률 및 hHSP60 항체 역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군사이에 hs-CRP 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post-Hoc분석에서 II군의 hs-CRP 값이 I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0.35 [0.1-2.0] mg/L in group II vs. 1.6 [1.1-3.5]mg/L in group I, P>0.05). 결론 :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CD14 유전자형에 따라 LPS나 HSP에 대한 반응이 유의하게 다르지 않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와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유전적 다형성이 관동맥성형술 후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과 유전자 다형성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손대원,박영배,이영우,채인호,김효수,최영진,최수연,최윤식,오병희,이명묵,박진식,성지동 대한내과학회 2000 대한내과학회지 Vol.5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PTCA)이후의 재협착에는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세포외기질의 축적에 의한 신생내막의 형성과 remodeling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Angiotensin II는 세포증식을 촉진하고 혈관 수축을 일으켜 재협착을 유발하는 반면 nitric oxide는 세포분열억제작용 및 혈관확장작용을 통하여 재협착을 억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angiotensin II와 nitric oxide의 합성에 중요한 ACE 유전자와 nitric oxide synthase(NOS) 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성이 한국인에서 관상동맥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이 풍선 성형술 군과 stent군에서 어떻게 다른가와 이들 유전자 다형성 간에 재협착에 대한 상호작용(interaction)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관동맥 성형술을 받고 추적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받은 219명의 262병변(stent군 77명(81병변), 풍선성형술군 142명(181병변))을 대상으로 하여서 ACE유전자의 I/D polymorphism 그리고 NOS유전자의 A/B polymorphism과 G/T polymorphism에 대한 유전자형분석과 QCA를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 262개의 병변 중에서 30%인 78병변에서 재협착이 일어났으며 Stent 군에서분석에서도 ACE DD유전자형은 late loss와 loss index증가의 유의한 위험인자 였다. 하지만, NOS 유전자의 유전자 다형성은 balloon군과 stent군 모두에서 재협착의 위험인자가 아니었다. 또, 유전자 다형성 간에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에서 유전자 다형성 간에 상호작용은 관찰되지않았다. 결론 : 한국인에서 ACE DD genotype은 관상동맥 stent시술 후 재협착의 유의한 위험인자이며, 이런 영향은 balloon angioplasty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stent후 재협착과 balloon angioplasty후의 재협착 기전이 다른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NOS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성은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CE와 NOS유전자 다형성 간에 재협착에 대한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Background : Intimal hyperplasia and vascular remodeling are major mechanisms of restenosis after coronary artery angioplasty. Angiotensin II causes restenosis by stimulating cell proliferation and vascular constriction and nitric oxide prevents restenosis by inhibiting cell proliferation and stimulating vascular dilatati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nd nitric oxide synthase (NOS) are the main determinants of the activity of the angiotensin II and the nitric oxide. In this study, we tested whether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ACE and the NOS gene are the risk factors of restenosis and whether the effect of the genetic polymorphisms in stent group is different from that in balloon angioplasty group. We also tested whether there are interactions among the polymorphisms. Methods : We determined ACE I/D polymorphism and NOS A/B and G/T polymorphism in 219patients (77 patients (81 lesions) in stent group and 142 patients (181 lesions) in balloon angioplasty group) who underwent PTCA and follow up coronary angiograph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May 1999. Results : Restenosis (50% of reference diameter) was observed in 78/262(30%) lesions (18/81(22%) lesions in stent group, 60/181(33%) lesions in balloon angioplasty group). ACE DD genotype is the significant risk factor for increment of late luminal loss and loss index in stent group. In stent group, means of the late luminal loss and loss index of the lesions of the DD genotype are 1.12±0.61mm and 74.7±38.3% and those of the non-DD genotype are 0.72±0.77mm and 44.9±67.5% but DD genotype is not the risk factor for restenosis after balloon angioplasty. The restenosis rate, late luminal loss and loss index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NOS polymorphisms. No significant interaction among the polymorphisms is observed. Conclusion : ACE DD genotype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stenosis after stent insertion but is not a risk factor for restenosis after balloon angioplasty in Korean. This result refleche different mechanism of restenosis after stent insertion and balloon angioplasty. NOS polymorphisms are not associated with restenosis and no interaction between the polymorphisms is observed.(Korean J Med 58:402-410, 20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