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의 수익성 및 비감사서비스 구매행위의 관계

        최보람(Bo-ram Choi),임영제(Young-je Im)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0 기업과 혁신연구 Vol.43 No.4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의 수익성 및 감사서비스 구매행위와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2005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업지배구조 점수를 사용하여 총점수와 각각의 개별항목(주주권리보호, 이사회, 공시, 감사기구, 경영과실배분)의 개별점수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들은 기업지배구조와 감사보수, 감사시간, 감사품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왔고 많은 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는 감사보수와 감사시간과 양(+)의 관계가, 감사품질과는 음(-)의 관계를 보고하였다. 물론 반대의 결과를 보인 연구도 있고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은 연구들도 있다. 그러나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의 수익성과의 관계나 비감사서비스 구매행위와의 관계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동시에 증가할 때 감사보수를 감사시간으로 나눈 시간당감사보수가 증가하는지는 실증의 문제가 된다. 만약 감사보수와 비교해 감사시간이 더 증가한다면 시간당감사보수는 낮아져 실제로 감사인의 수익성은 약화될 수 있고 반면에 감사보수가 감사시간보다 더 증가한다면 시간당감사보수는 높아져 감사인의 수익성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비감사서비스에 대한 제한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들의 비감사서비스 구매행위도 감사분야에서 중요한 주제이지만 아직까지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주제를 연구하고 감사인의 유지상황(초도감사시와 계속감사시)의 세부 속성을 함께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수익성은 양(+)의 관계가 있었다. 지배구조의 세부 항목으로는 주주, 경영과실 부분과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와 비감사서비스의 구매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바 없는 감사분야의 연구로써 그 후속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을 뿐 아니라 기업지배구조가 갖는 경제적 의미를 다른 측면에서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or"s profitability and non-audit service. In this study, we use the total score and individual item scores (shareholders" rights protection, board of directors, public announcement, audit organization, management negligence distribution) from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from 2005 to 2013. Previous researches conducted studies on corporate governance, audit fees, audit hours, and audit quality. In many prior literature, corporate governa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udit fee and audit hours,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udit quality. Of course, some studies showed the opposite result and some studies did not show significant findings. Howev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profitability of auditors or the employment of non-audit services has not been studied. When the audit fee and audit hours increase at the same time, whether the hourly audit fee is increased is a matter of verification. This is because if the audit hours are increased more than the audit fee, the hourly audit fee will be lowered and the profitability of the auditor may actually weaken. In addi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restrictions on non-audit services are increasing, how to purchase non-audit services by companies with good governance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audit field, but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yet. For this reason, we studied the two subject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the detailed attributes of the auditor"s maintenance status; at the time of initial and continuing audi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profitability. As for the detailed items of the governance structur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hareholders and management erro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purchase of non-audit services. As a study in the audit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only that it can expect its follow-up research, but also that it has confirmed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corporate governance from other aspects.

      • KCI등재

        LED 조명을 이용한 광생물 반응기에서 공기 주입량에 따른 클로렐라 성장 연구

        최보람(Bo-Ram Choi),이태윤(Tae-Yoon Lee) 한국생물공학회 2012 KSBB Journal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optimum value of aeration rate for the cultivation of Chlorella sp. under illumination of red light emitting diode. The aeration rates varied from 0 to 2.4 vvm under the illumination of 4,400 lux of red light emitting diode. The highest specific growth rate of 1.51 day<SUP>-1</SUP> was obtained at the aeration of 0.7 vvm and lower specific growth rates were obtained for other aeration tests. Furthermore, the highest biomass concentration (1.02 g/L) was also obtained at the aeration of 0.7 vvm. Therefore, aeration of 0.7 vvm was determined to be the optimum aeration rate for the cultivation of Chlorella sp. under red light emitting diode.

      • KCI등재

        연구논문 : 집단의 특성과 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정서 경험의 매개효과 -교차수준 연구-

        최보인 ( Bo In Choi ),권석균 ( Seong Kyeun Kwu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집단의 특성과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교차수준 연구이다. 먼저 집단의 특성으로서 프로세스 활성화와 집단구성원의 감정지능이 집단 내 정서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집단 프로세스 활성화는 집단의 응집성, 협동성, 의사소통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한편 정서 경험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로 구분하여, 긍정적 정서는 열정, 즐거움, 평온의 경험으로, 부정적 정서는 불안, 불쾌, 피로의 경험으로 측정하였다. 집단 효과성은 구성원의 학습 성장과 집단에 대한 만족도 등 개인수준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가설로는 우선 집단의 맥락적 효과로서 집단 프로세스 활성화가 집단효과성에 미치는 교차수준의 영향관계를 구성원의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경험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아울러 집단 구성원의 개인특성인 감정지능이 구성원의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경험을 매개로 집단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실증의 결과,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는데 전반적으로 긍정적 정서의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집단 프로세스 활성화와 집단효과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는 모두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고, 감정지능과 집단효과성 간의 관계에서는 모두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구성원들의 정서 경험이 집단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긍정적 정서가 집단의 중요한 자산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cross level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level group effectiveness. Group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nclude group process variables as well as group members` emotional intelligence. Selected group process variables are group cohesion, within-group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is measured as the composite of 4 sub factors: self-emotions appraisal, others-emotions appraisal, use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Group effectiveness variables are measured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in this study. Those are group member`s team satisfaction as well as the degree of learning and growth through group activities, Adopted as mediators are the two factors of within-group affect experienced by individual group member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is measured by the experienced passion, joy, and peace. Negative affect is measured by the experienced anxiety, discomfort, and fatigue.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58 employees in 50 work groups from the four large firms in Seoul metropolitan area. Empirical analyses resulted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ypes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The result also suggested stronger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ffect than negative affect in general. Bo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ype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processes and effectiveness variables, while they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memb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group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ffective experiences by group members are critical to group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하지 근력운동 방법에 따른 노인의 균형능력 비교

        최보람(Bo-Ram, Choi),고민석(Min-Seok, Ko),이원휘(Won-Hwee, Lee) 한국보건복지학회 2016 보건과 복지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alance ability between PNF technique using thera-band and conservative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in elderly. Thirty subjects who have healthy female elderly and classify normal cognitive ability by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 of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PNF method exercise and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performed conservative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during 4 weeks. We measured balance ability by TUG test, BBS and OLST.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balance ability of both groups after each exercise.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balance ability between pre- and post-exercise. The result showed that the balance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exercise. In control group, the balance abilit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exercise except the OLST. The balance ability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 suggest that the more study is researched for effective balance exercise method in elderly, and the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long term effect of balance exercise method.

      • KCI등재

        도시 가로 활성화를 위한 미디어 파사드 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최보람 ( Bo Ram Choi ),노승석 ( Seung Seok Noh ),박진완 ( Jin Wan R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도시환경에 있어서 가로(街路)경관은 대표적인 도시경관임과 동시에 도시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그 중 특히 도시 가로(街路)공간의 물리적인 형태와 특성을 형성하는 건축물은 도시의 특색과 성격을 나타내는 요소이므로 도시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 서울시를 시작으로 각 지자체에서도 도시의 이미지를 풍성하게 하고 랜드마크성을 부여하는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로(街路)공간의 통일성과 연속성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미디어 파사드의 적용은 오히려 도시이미지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파사드가 적용된 국내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도심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형태 구성적 접근을 도시공간에서의 물리적 배치, 시각 구성, 이미지 형성 및 장소창출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가로공간의 맥락을 고려한 미디어 파사드가 가로환경의 질을 높이는 요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어떻게 가로공간을 활성화 하는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설정한 분석의 틀에 따라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대상으로 삼은 미디어 파사드의 물리적 특징을 조사한다. 둘째, 미디어 파사드가 영향을 미치는 가로를 재정의 한다. 셋째, 분석대상이 위치한 장소의 잠재적 가능성을 파악하여 연계 혹은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추후 미디어 파사드 계획에 있어서 도시 가로 활성화를 위한 미디어 파사드의 형태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urban environment, the streetscape is both an important prerequisite to evaluate the city and a representative urban landscape. Specially, the building on the street to form the natural form and characteristic of urban street is an element to represent the feature and character of it, so it must be formed in order to represent the image of it. Recently several local self-governing bodies including Seoul are active in building Media-Facade making beautiful cityscape landmark. However, indiscreet adaptation of media facade organized independently an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harmony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 causes disturbing city images. This paper investigate four representative media facade buildings in Seoul to propose basic guideline for the form composition of media facad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nalyzed by 3 main aspects; a contextual aspect, a visual aspect, a space-making aspect.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a basic research to give concrete instructions to components of media facade design that enables urban streets acti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