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사용자 신호 검출을 위한 여러 개의 적응 상수를 사용한 적응 최소 평균 자승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최병구,박용완 한국통신학회 200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5 No.12

        본 논문에서는, 적응 간섭 제거기(AIC :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er)에 사용되는 적응 알고리즘 중 계산량이 적고, 하드웨어적 복잡성이 낮은 최소 평균 자승(LMS)알고리즘의 적응화 상수(constant step size)를 여러 개 사용하여 빠른 수렴 속도와 낮은 평균 자승 에러를 가지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소 평균 자승 알고리즘에서 적응화 상수는 수렴속도와 평균 자승 에러를 제거하는데, 적응화 상수가 증가할수록 수렴속도가 빨라지는 반면, 평균 자승 에러는 증가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수렴속도를 증가하는 동시에 평균 자승 에러를 줄이기 위해, 최소 평균 자승 알고리즘에서 세 개의 적응화 상수를 가지는 새로운 검출기를 제안한다. 이 구조에서, 매 반복횟수에 따른 각 그룹 출력 값들을 가지고, 선택(selection)부분에서 평균 자승 에러들을 비교하며, 가장 작은 평균 자승 에러를 나타내는 그룹의 에러 값과 필터 계수 값들이 선택되어져 여러 적응화 상수 최소 평균 자승 알고리즘(several step size LMS algorithm)부분에서 각 그룹의 필터 계수를 갱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이용된다.

      • KCI우수등재

        Ionic Conductivities and Melting Transition Studies of NaBH4, KBH4, and Their Mixtures

        최병구 한국진공학회 2019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8 No.5

        As ionic conductivities are related to the intrinsic structural features of materials, they are useful for elucidating structural changes. Herein, the ionic conductivities of crystals of NaBH4, KBH4, and their mixtures are determined for the first time. The melting and decomposition temperatures of various compositions are also measured. Thermal studies indicate that both the hydrides are well-mixed chemically, which is accomplished through a solid-state reaction using a simple ball milling process. The melting temperatures of Na1-xKxBH4 complexes show large negative departures from linearity likely due to the formation of a new structural phase such as rhombohedral NaK(BH4)2. However, the ionic conductivities of Na1-xKxBH4 complexes exhibit only small deviations from linearity with varying x values. The Na-rich samples of Na1-xKxBH4 exhibit fast ion conduction behaviors and the ionic conductivity of 3×10-3 Scm-1 is obtained at approximately 50 ℃ below the melting point.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 휴먼’의 세 가지 조건: 테크놀로지·젠더·정동 – 문윤성, 『완전사회』(1967)를 중심으로 -

        최병구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89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ditions for becoming a post-human centered on the “Perfect Society” (1967) by Moon Yun-Sung. The crisis experienced by the women’s country of the “Perfect Society” makes the subjects learn the dichotomous thoughts for capital accumulation, and reminds them of the dangers of capitalism that made them consumers. This is an allusion to the regime of Park Chung-Hee, which disseminates the economic universalism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to cover the immorality of the system. It is the Affect that the “Perfect Society” provides as a medium to discover and overcome this and ultimately become a post-human. The women’s country controlled emotions by strictly prohibiting sexual encounters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However, the Affect has the possibility of scattering the circuit of fixed thinking through intervening in the moment of the relationship such as the encounter of the body. It has the potential to transcend modern dichotomous thinking. Thus, a post-human, the “human revolution” pursued by the “Perfect Society” is possible when the violence of the modern capitalist economic system that allocates and enforces a specific identity is resolved. 이 논문은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를 중심으로 포스트 휴먼이 되기 위한 조건을 살펴보았다. 『완전사회』의 여인국이 겪는 위기는 자본 축적을 위해 주체에게 이분법적 사고를 학습시키고, 그들을 소비 주체로 만들어 버린 자본주의의 위험성을 상기시킨다. 이것은 체제의 부도덕함을 가리기 위해 과학기술을 동원하여 경제 만능주의를 유포시킨 박정희 정권의 통치방식에 대한 암시이다. 이를 간파하고 넘어서며 궁극적으로 포스트 휴먼이 되기 위한 매개로 『완전사회』에서 내세운 것이 바로 정동이다. 여인국은 신체와 신체가 만나는 성행위를 엄격히 금지함으로써 정동을 통제했다. 하지만 정동은 신체의 만남이라는 관계의 순간에 개입하여 고정화된 사고 회로를 허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근대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설 수 있는 잠재성이 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완전사회』가 추구한 ‘인간 혁명’, 즉 포스트 휴먼이란 특정 정체성을 할당하고 강요하는 근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폭력성을 해소할 때 가능한 것이다.

      • KCI등재
      • CDMA시스템에서 지연 시간을 향상시킨 순차적 간섭 제거기에 관한 연구

        최병구,박용완,Choe, Byeong-Gu,Park, Yong-Wan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7 No.7

        본 논문에서는 CDMA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검출을 위해 수신신호를 나누는 개념과 순차적 간섭 제거기를 조합한 새로운 간섭 제거기를 제안한다. 본 간섭 제거기에서 수신신호를 첫 번째 그룹의 입력 신호로 이용하며, m개의 그룹들을 통과해서 m개의 그룹 출력 신호들은 만들어진다. e번째 그룹의 출력 신호를 제외한 모든 그룹의 출력 신호들은 더해져서 수신신호로부터 제거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신호는 번째 순차적 간섭 제거기의 입력 신호로 이용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구조분석을 통해서 향상된 순차적 간섭 제거기가 비트 오율과 복잡성의 면에서 순차적 간섭 제거기의 성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순차적 간섭 제거기의 지연시간에 대한 단점을 향상시킴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odified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for multiuser detection i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his detector uses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er) scheme and divides the received signals to reduce the delay time. In this proposed structure, the active users are divided into a number of groups. Within each group, parallel detection is performed to estimate the output signal of that group. The estimated output signal due to that group is then subtracted from the received signal and the resulting residual signal is used for the parallel detection of the next group. This parallel and serial cancellation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last group in the stage is completed. The estimated output signals due to all groups except -th group are MAI for the user signals in -th group. Therefore, the estimated output signals due to all groups except th group are subtracted from the received signal, and then the obtained signal becomes the input signal of -th SIC. The proposed RDSIC (Reduced Delay time of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er) has performance and complexity close to the SIC, but with much less detection delay.

      • KCI등재

        ‘경계’ 위의 사이보그: 여성⋅노인⋅동성애자 -윤이형 소설을 중심으로-

        최병구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 No.83

        Based on the concept of ‘cyborg’, this article looked at the awareness of the boundary problem in Yun Yi-hyung’s novels. Thinking about the boundaries that can be categorized a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heterosexuality and homosexuality is ultimately an attempt to overcome the narrative of hierarchy and exclusion ‒ created by the system of neoliberalism, economy, and Internet culture ‒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Danny” and “Sua” deal with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Danny” visualized the economic environment of grandmothers who perform care work through robots, and “Sua” takes issue with the ‘look of hierarchization’ through the ques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emale robot ‘Sua’ and the female protagonist. “Lunch at Istua Park” and “Big Wolf Parang” deal with the economic background of virtual reality across the real/ virtual boundary. “Lunch at Istua Park” emphasized a robot-human connection by affirming the existence of virtual space controlled by the state, and “Big Wolf Parang” portrays those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the situation of being engaged in endless competition to obtain capital under the neoliberal system. The two works evoke the violence of the virtual world and contemplate a new way of connecting technology and humans. “Luca” and “Seung-hye and Mi-oh” deal with the issue of homosexuality, but do not disclose the violence of churches or heterosexuals. The two works criticize the ontology of the modern people through which they can prove their existence only by rejecting the other world, and seek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the two heterogeneous world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Yun Yi-hyung reflected on our society where technology becomes part of our daily life through writing and sought a network of coexistence and solidarity, not confrontation. 이 글은 ‘사이보그’ 개념을 바탕으로 윤이형 소설에 나타난 경계의 문제의식을 살펴보았다. 인간과 기계, 현실과 가상, 이성애와 동성애의 경계로 유형화할 수 있는 경계에 대한 사고는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 체제하 노동과 경제, 인터넷 문화가 만든 위계와 배제의 서사를 과학기술을매개로 극복하려는 시도이다. 「대니」와 「수아」는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다룬다. 「대니」에서는 로봇을 매개로 돌봄 노동을 수행하는 할머니의 경제적 환경을 가시화했으며, 「수아」에서는 여성 로봇 ‘수아’와 주인공 여성의 경계에 대한 물음을 통해 ‘위계화의 시선’을 문제 삼는다. 「이스투아 공원에서의 점심」과 「큰 늑대 파랑」에서는 현실/가상의 경계를 횡단하며 가상현실의 경제적 배경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이스투아 공원에서의 점심」은 국가에 의해 통제되는 가상공간의 존재를 부감하며 로봇-인간의 연결을 강조했으며, 「큰 늑대 파랑」은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자본을 얻기 위한 무한경쟁에 익숙한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두 작품은 가상현실이 가진 폭력성을 환기하며, 기술과 인간의 새로운 연결 방법을 고민한다. 「루카」와 「승혜와 미오」 는 동성애 문제를 다루지만 교회나 이성애자의 폭력성을 드러내지 않는다. 두 작품은 다른 세계를 배척해서야 자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근대 인간의 존재론을 비판하며 이질적인 두 세계가 공존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윤이형은 글쓰기를 통해 테크놀로지가 일상이 되는 우리사회를 성찰하며 대립이 아닌 공존과 연대의 네트워크를 모색했다고 할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