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큰광대근과 작은광대근의 해부학적 연구

        최다예(Da-Yae Choi),허경석(Kyung-Seok Hu),김희진(Hee-Jin Ki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0 No.10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rrangement of the zygomaticus major muscle, and to describe morphology of zygomaticus minor muscle. After a detailed dissection, the zygomaticus muscles were observed in 66 embalmed cadavers. It was found that the insertion of zygomaticus major was divided into superficial and deep bands(42/70, 60%). Zygomaticus minor was inserted not only upper lip also alar portion(5/54, 9.2%). The arrangement and insertion patterns of the zygomaticus muscle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smile pattern and treatment of fold.

      • 스웨덴 틸트(TILLT)의 아이리스(AIRIS) 프로젝트 연구 : 예술가 파견을 통한 기업혁신을 중심으로

        최다운(CHOI Da Woon) 慶熙大學校 大學院 2020 高凰論集 Vol.66 No.-

        본 논문은 예술가를 파견해 기업을 혁신하는 스웨덴 틸트(TILLT)의 아이리스(AIRIS)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단체 내 예술적 개입으로(artistic interventions in organizations) 기업을 혁신하는 방법을 연구 하였으며, 상반된 성격을 갖는 두 협력 대상의 상호 발전적 관계를 구축하는 아이리스 프로젝트의 운영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늘어날 예술기반 협력 프로젝트의 안정적 운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62년부터 기업과 협력을 이어온 틸트의 기업 협력 배경을 정리하였으며, 실험적 성격의 아이리스 프로젝트를 도입하여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틸트의 주요 활동을 서술하였다. 틸트는 오랜 기간 기업과의 협력 경험을 통해 유럽 내에서 선도적으로 아이리스 프로젝트를 개발 및 정착시킬 수 있었다. 아이리스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은 조직력 강화 및 브랜드 가치 제고, 연구개발 촉진과 같은 성과로 기업을 혁신한다. 또한 예술가는 기업과의 협력으로 예술적 능력을 비즈니스화하는 경험을 하며, 낯선 장소에서의 창작 활동으로 새로운 영감을 받아 자신의 예술 영역을 확장하기도 한다. 아이리스 프로젝트는 예술가의 창조적 사고와 도발적 활동의 예술적 특성을 잃지 않고 기업의 이해관계를 충족시킨다. 이에 기존의 기업에는 추구하지 않던 비생산적 활동이 아이리스 프로젝트를 통해 일어나며,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 혁신 동력이 된다. 또한 예술가는 새로운 영역에서 활동함으로써 수익 창출 및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협력 역량을 강화해 활동 영역을 확장한다. 이러한 상호 발전적 관계를 구축하는 틸트의 아이리스 프로젝트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변화를 준비하는 기업혁신의 새로운 방안이 되며, 예술 정책으로는 능동적 예술인 복지의 한 방법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SCOPUSKCI등재

        부위별 동결건조 브로콜리의 항산화능 및 이의 첨가가 돈육 유화형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최다미(Da-Mi Choi),이솔희(Sol-Hee Lee),김학연(Hack-Yo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6

        본 연구에서는 브로콜리 화뢰와 줄기의 항산화 능력 비교 및 동결건조 브로콜리 화뢰 분말의 첨가가 돈육 유화형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브로콜리의 항산화 능력은 모든 실험에서 화뢰가 줄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유화형 소시지의 가열수율은 대조구에 비해 BF 분말 0.6%, 0.9%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BF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장기간의 pH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BARS는 모든 저장기간에서 BF 분말 0.6%, 0.9% 첨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나, BF 분말 0.6%, 0.9%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VBN은 0주차를 제외한 모든 주차에서 대조구에 비해 BF 분말 0.6%, 0.9%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VBN 수치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BF 분말 0.9% 처리구는 모든 주차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균수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BF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균수의 생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BF 분말의 첨가는 유화형 소시지의 가열수율을 증진시켰으며, 소시지 제조 시 0.6% 이상의 BF 분말 첨가는 제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fragments obtained from freeze-dried broccoli, and the storage properties of freeze-dried broccoli flower bud powder (BF; 0%, 0.3%, 0.6%, and 0.9%) on emulsion-type pork sausag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roccoli flower bud (BF) and stem (BS) was analyzed by assessing the dry yield, pH,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2,2-diphenyl-1-picrylhydrazy (DPPH),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FRAP). The dry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F than in BS (P<0.05), and the pH was significantly lower in BF than in BS (P<0.05). The TPC, TFC, DPPH, and FRA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F than in BS (P<0.05). Furthermore, the storage properties of sausages supplemented with BF were analyzed by determining the cooking yield,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total bacterial counts (TBC). The cooking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F 0.6% and 0.9% treatments compared to the 0% (control) treatment (P<0.05). The pH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with increasing BF amounts and storage periods. The TBARS and VBN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0.9% BF powder treatment compared to the 0% treatment at all weeks (P<0.05). The TB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BF treatments, as compared to the 0% treatment (P<0.05). Therefore, adding 0.6% or more of BF is appropriate to improve the storage properties of emulsion-type sausages.

      • SCOPUSKCI등재

        Lactobacillus acidophilus 첨가량에 따른 흑염소 불고기의 품질특성

        최다미(Da-Mi Choi),강규민(Kyu-Min Kang),김학연(Hack-You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5

        본 연구에서는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첨가량에 따른 흑염소 불고기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L. acidophilus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염지 후, 가열 후의 pH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지 후 pH에 비해 가열 후 pH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색도의 CIE L* 값은 염지 후와 가열 후 L. acidophilus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지 후에 비해 가열 후의 CIE L*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IE a* 값은 염지 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지 전에 비해 염지 후, 가열 후의 CIE a*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IE b* 값은 염지 후 대조구에 비해 L. acidophilus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보수력은 L2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L3 처리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원섬유단백질 함량은 L3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L. acidophilus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단력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산균 생균수는 염지 전과 후 모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염지 전과 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전단력, 다즙성, 전체적 기호도 항목에서 L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흑염소 불고기 제조 시 10.2 log CFU/g 수준의 L. acidophilus 첨가는 식육의 연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quality properties of black Korean goat Bulgogi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control, additive-free; L1, 10.1 log CFU/g; L2, 10.2 log CFU/g; L3, 10.3 log CFU/g). The manufactured black Korean goat Bulgogi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viable cell count of L. acidophilus, pH,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WHC), shear force, myofibrillar protein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 The WHC of the L2 samp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L3 samples (p<0.05). The shear force of Bulgogi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 acidophilus cell density (p<0.05). The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Bulgogi increased with increasing L. acidophilus cell density.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Bulgogi, the L2 samp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increased acceptability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other samples (p<0.05). However, the L3 sample showed defects in WHC and sensory evaluation. Therefore, the most suitable cell density of L. acidophilus for manufacturing black Korean goat Bulgogi was found to be 10.2 log CFU/g.

      • SCIESCOPUSKCI등재

        단일이온 Poly(POEM-co-AMPSLi) 전해질에 대한 BF<SUB>3</SUB> 첨가효과

        최다인(Da-In Choi),류상욱(Sang-Woog Ryu) 한국고분자학회 2015 폴리머 Vol.39 No.4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성의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ate(POEM)과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ic acid(AMPS)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Li2CO3와의 적정반응을 통해 단일이온 전도성 poly(POEM-co-AMPSLi)를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고분자전해질에 BF3를 첨가하여 루이스산이 이온전도도 및 열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고분자전해질은 0.93의 리튬이온 수송률이 관찰되어 단일이온 전도체임을 확인하고 6 V까지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여주었지만, 3.2×10<SUP>-7</SUP> S/cm의 낮은 상온 이온 전도도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고분자전해질에 대한 BF3첨가는 이온간 해리를 가능하게 하여 상온 이온전도도의 경우 [EO]:[Li] 비율 27:1에서 최대 1.3×10<SUP>-5</SUP> S/cm의 높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나아가 BF3 첨가는 리튬이온과 ethylene oxide기의 배위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고분자전해질의 결정용융온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함께 나타내었다. Single-ion conducting poly(POEM-co-AMPSLi)s were prepared by a radical polymerization of various amount of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ate (POEM) and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ic acid (AMPS) followed by a titration with Li2CO3.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an effect of BF3inclusion on the ionic conductivity and therm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obtained polymer electrolytes showed electrochemical stability up-to 6 V and 0.93 of lithium ion transference number suggested that the electrolytes are one of the single-ion conductors but only 3.2×10<SUP>-7</SUP> S/cm of room temperature ionic conductivity was observed. However, there was a dramatic increase of room temperature ionic conductivity after inclusion of BF3 and 1.3×10<SUP>-5</SUP> S/cm was observed in polymer electrolyte with [EO]:[Li] ratio of 27:1. Furthermore, the inclusion of BF3 decreases the crystalline melting temperature of polymer electrolytes by increasing the coordination between lithium ion and ethylene oxide unit in the polymer matrix.

      • SCOPUSKCI등재

        630 nm Light Emitting Diode 조사가 인체섬유모세포의Caveolin-1과 전구콜라겐 I/III의 발현에 미친 영향

        최다인 ( Da In Choi ),최지영 ( Jee Young Choi ),김상엽 ( Sang Yub Kim ),윤숙정 ( Suk Jung Yun ),이지범 ( Jee Bum Lee ),이승철 ( Seung Chul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14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2 No.3

        Background: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light-emitting diodes (LED) may represent a novel and effective anti-aginglight source for the skin. Among many candidate molecules known to control collagens, caveolin-1 (Cav-1) is knownto play an inhibitory role in cutaneous collagen metabolism.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ED irradiation on the expression levels of Cav-1 andprocollagens (proCOL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Methods: Cultured HDFs were irradiated with 630 nm LED at different doses, and the mRNA and proteinexpression levels of Cav-1 and proCOLs I/III were analyzed. Results: In LED-irradiated HDFs, mRNA and protein levels of Cav-1 were found to be down-regulated, whereasthose of proCOLs I/III were up-regula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v-1 andproCOLs was verified in Cav-1 siRNA transfected HDFs. LED was moreover found to result in up-regulation of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 and its receptors (TβRI, TβRII), SMAD1, and SMAD2 mRNA levels,indicating that LED may activate the TGF-1/TβR/SMAD pathway in HDFs. Conclusion: The anti-aging effects of 630 nm LED on human skin are likely mediated by up-regulation of proCOLsI/III and inhibition of Cav-1 expression levels in HDFs.

      • KCI등재

        안축장 길이와 시신경 유두의 사상판 두께, 전사상판 두께, 사상판 앞길이와의 상관관계

        최다예(Da Ye Choi),한종철(Jong Chul Han),기창원(Chang Won Kee)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본 연구는 녹내장의 위험인자 중 하나인 근시안에서 안축장 길이가 사상판 두께, 전사상판 두께, 사상판 앞길이와 의미 있는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 18-58세의 근시 외 다른 안과적 질환이 없는 30명 60안을 대상으로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e Tomography, SD-OCT)를 이용하여 Enhanced Depth Imaging (EDI) 방법으로 시신경유두의 상부(위 1/3 지점), 중심, 하부(아래 1/3 지점)에서 각각 사상판 두께, 전사상판 두께, 사상판 앞길이를 측정하였다. 안축장의 길이와 사상판 두께, 전사상판 두께, 사상판 앞길이와의 관련성을 각각 선형혼합효과모델(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안축장은 사상판 전체 평균두께 및 상부, 중심부 두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하부의 사상판 두께와는 유의하게 음의선형관계를 나타냈다(p=0.019, β=-7.34). 안축장과 전사상판 두께는 전체 평균두께 및 상부, 중심부, 하부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안축장과 사상판 앞길이의 평균두께(p=0.022, β=-17.17) 및 중심부(p=0.026, β=-16.18), 하부(p=0.006, β=-20.63)의 두께는 유의하게 음의 선형관계를 나타냈으며, 상부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근시안에서 안축장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시신경 유두의 아래쪽 사상판 두께가 유의하게 얇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사상판 앞길이의 평균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5):745-752> Purpose: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orrelation of axial length to lamina cribrosa thickness (LCT), prelaminar tissue thick-ness (PT), and anterior laminar displacement (ALD) in young healthy eyes. Methods: The optic discs of 60 eyes from 30 young healthy subjects with myopia were scanned using enhanced-depth imaging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pectralis OCT, Heidelberg Engineering, Heidelberg, Germany). The LCT, PT, and ALD were measured at the superior midperipheral, middle, and inferior midperipheral of the optic nerve head, respectively. A linear mixed-effects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xial length and the LCT, axial length and PT as well as axial length and ALD. Results: The mean, superior midperipheral, and middle LCT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xial length. Conversely, the inferior midperipheral L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xial length (p = 0.019, β = -7.34).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PT. Mean AL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xial length (p = 0.022, β = -17.17). Conclus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inferior midperipheral LCT and mean AL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xial length, but PT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xial length.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5):745-752

      • KCI등재

        한국인 셋째종아리근 닿는곳의 해부학적 특성 및 형태계측학적 분류

        최다예(Da-Yae Choi) 대한체질인류학회 202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3 No.4

        셋째종아리근은 힘줄이식 등 다양한 임상술식에 활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셋째종아리근 힘줄의 닿는곳의 형태를 분류하고 그 위치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임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한국인 시신 15구에서 27쪽의 표본을 사용하였으며, 시신의 평균나이는 71.53±15.00 세였다. 닿는곳에서 셋째종아리근 힘줄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힘줄이 닿는곳의 위치를 계측하였다. 셋째종아리근 힘줄은 7.41%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직사각형 형태로 부착하는 1유형 (29.63%), 삼각형 형태로 부착하는 2유형(25.93%), 띠를 형성하는 3유형 (18.52%), 두 갈래로 분지하는 4유형 (18.52%)으로 분류하였다. 3유형이 가장 몸쪽에 부착하였고, 4유형의 두 갈래 중 안쪽갈래가 가장 먼쪽까지 주행하여 다섯째발허리뼈의 약 3/5지점에 닿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대상으로 셋째종아리근 힘줄의 형태학적 특성을 규명하였을 뿐 아니라, 임상적용가능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fibularis tertius muscle has been used by plastic surgeons during clinical procedures such as tendoplasty of the tendon graf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bserve its insertion area. Twenty-seven specimens from Korean cadavers were used in this study (mean age: 71.53±15.00 years). All specimens were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ir pattern and point of insertion. In 2 specimens (7.41%), fibularis tertius muscle was absent. Type I (rectangular), Type II (triangular), Type III (band), and Type IV (bifurcated) were observed in 29.63% (8/27), 25.93% (7/27), 18.52% (5/27), and 18.52% (5/27) of cases, respectively. Among the four types, the tendon of the fibularis tertius muscle in type III was mostly a proximal attachment, while those of type IV were mostly distal attachment, 3/5 of the fifth metatarsal bone. The morphology of the fibularis tertius muscle and its distal attachments were variable; therefore, precise and detailed knowledge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urgeons and anatomists.

      • 가변속 펌프 시스템에 적합한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의 특성 예측에 관한 연구

        최다운(Da-Woon Choi),이건(Jian Li),조윤현(Yunhyun Cho)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본 논문에서는 가변속 펌프 시스템에 적합한 SRM의 최적 구동을 위한 예측 방법에 대해 나타내었다. 회전자의 위치에 따른 쇄교 자속 곡선 모델링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에 의해 전류의 최적 인가 시점을 테이블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SRM 제어기 및 알고리즘을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