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큰광대근과 작은광대근의 해부학적 연구

        최다예(Da-Yae Choi),허경석(Kyung-Seok Hu),김희진(Hee-Jin Ki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0 No.10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rrangement of the zygomaticus major muscle, and to describe morphology of zygomaticus minor muscle. After a detailed dissection, the zygomaticus muscles were observed in 66 embalmed cadavers. It was found that the insertion of zygomaticus major was divided into superficial and deep bands(42/70, 60%). Zygomaticus minor was inserted not only upper lip also alar portion(5/54, 9.2%). The arrangement and insertion patterns of the zygomaticus muscle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smile pattern and treatment of fold.

      • KCI등재

        한국인 셋째종아리근 닿는곳의 해부학적 특성 및 형태계측학적 분류

        최다예(Da-Yae Choi) 대한체질인류학회 202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3 No.4

        셋째종아리근은 힘줄이식 등 다양한 임상술식에 활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셋째종아리근 힘줄의 닿는곳의 형태를 분류하고 그 위치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임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한국인 시신 15구에서 27쪽의 표본을 사용하였으며, 시신의 평균나이는 71.53±15.00 세였다. 닿는곳에서 셋째종아리근 힘줄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힘줄이 닿는곳의 위치를 계측하였다. 셋째종아리근 힘줄은 7.41%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직사각형 형태로 부착하는 1유형 (29.63%), 삼각형 형태로 부착하는 2유형(25.93%), 띠를 형성하는 3유형 (18.52%), 두 갈래로 분지하는 4유형 (18.52%)으로 분류하였다. 3유형이 가장 몸쪽에 부착하였고, 4유형의 두 갈래 중 안쪽갈래가 가장 먼쪽까지 주행하여 다섯째발허리뼈의 약 3/5지점에 닿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대상으로 셋째종아리근 힘줄의 형태학적 특성을 규명하였을 뿐 아니라, 임상적용가능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fibularis tertius muscle has been used by plastic surgeons during clinical procedures such as tendoplasty of the tendon graf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bserve its insertion area. Twenty-seven specimens from Korean cadavers were used in this study (mean age: 71.53±15.00 years). All specimens were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ir pattern and point of insertion. In 2 specimens (7.41%), fibularis tertius muscle was absent. Type I (rectangular), Type II (triangular), Type III (band), and Type IV (bifurcated) were observed in 29.63% (8/27), 25.93% (7/27), 18.52% (5/27), and 18.52% (5/27) of cases, respectively. Among the four types, the tendon of the fibularis tertius muscle in type III was mostly a proximal attachment, while those of type IV were mostly distal attachment, 3/5 of the fifth metatarsal bone. The morphology of the fibularis tertius muscle and its distal attachments were variable; therefore, precise and detailed knowledge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urgeons and anatomists.

      • KCI등재

        닿는곳에서 짧은종아리근과 새끼종아리근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최다예(Da-Yae Choi) 대한체질인류학회 202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3 No.4

        짧은종아리근과 새끼종아리근은 힘줄을 이용한 재건술 또는 골절의 치료에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시신에서 짧은종아리근과 새끼종아리근의 형태를 파악하고, 힘줄이 닿는 위치와 너비를 계측하여 한국인에서 임상적으로 활용 가능한 해부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함이다. 한국인 성인 시신 17구에서 30쪽의 표본을 사용하였으며, 시신의 평균 나이는 72.00±12.01세였다. 닿는곳의 형태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서 닿는곳의 위치와 힘줄의 너비를 계측하였다. 하나의 힘줄만을 가지는 형태를 1유형 (26.67%), 두 갈래로 나뉘어서 닿는 형태를 2유형 (16.67%), 짧은종아리근에서 새끼종아리근이 일어나는 형태를 3유형 (56.67%)으로 분류하였다. 힘줄이 닿는 위치는 짧은종아리근 닿는곳의 형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힘줄의 너비는 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67%에서는 새끼종아리근이 힘살을 가지고 있었고, 가장 먼쪽에 닿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짧은종아리근과 새끼종아리근의 형태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한국인의 체질인류학적 연구와 임상시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ibularis brevis and fibularis digiti quinti muscles are of clinical significance during reconstructive surgery and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metatarsal b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muscles and the location of their respective insertion areas. Thirty specimens from Korean cadavers were used in this study (mean age: 72.00±12.01 years). All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morphology at the insertion site; Type 1 (single attachment), Type 2 (bifurcated attachment), and Type 3 (presence of fibularis digiti quinti muscle) were observed in 26.67% (8/30), 16.67% (5/30), and 56.67% (17/27) of cases, respectively. The location of the insertion area of the fibularis brevis muscl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nd the width of the tendon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rphology. Fibularis digiti quinti muscle bellies with particularly distal attachments were observed in two specimens (6.67%).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bularis muscles provides insights that may benefit future anthropological study as well as clinical procedures relating to the foot.

      • KCI등재

        두힘살근 앞힘살의 형태변이와 두힘살근 뒤힘살과 붓목뿔근 사이의 위치 관계

        김다혜(Da-Hye Kim),도형주(Hyung-Joo Do),김현주(Hyun-Joo Kim),원성윤(Sung-Yoon Won),최다예(Da-Yae Choi),허경석(Kyung-Seok Hu),최종훈(Jong-Hoon Choi),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1

        간추림 : 본 연구는 한국인 두힘살근 앞힘살의 형태학적 분석과 더불어 두힘살근 뒤힘살과 근접하며 동일한 신경분포를 갖는 붓목뿔근(stylohyoid muscle)과 두힘살근 뒤힘살 사이의 해부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재료로는 한국 성인시신 34구(남: 21, 여: 13, 평균나이: 65 (24~89세))를 사용하였다. 34구의 시신 중 8예에서 두힘살근 앞힘살과 턱목뿔근의 덧힘살 (accessory belly)을 확인하였다. 덧힘살은 아래턱솔기(mandibular raphe)의 표면을 교차하지 않는 유형(unilateral type)과 교차하는 유형(crossover type)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 3예와 5예에서 나타났다. 두힘살근 뒤힘살과 붓목뿔근 사이의 국소적인 위치 관계를 관찰한 결과, 관찰한 49쪽 중 32쪽(65%)에서 붓목뿔근의 힘살이 안쪽과 가쪽으로 나뉘어 두힘살근 뒤힘살의 힘줄을 감싸면서 목뿔뼈로 닿았으며, 이를 붓목뿔근 힘살이 두힘살근 뒤힘살 힘줄의 가쪽으로 더 두꺼운 경우(21쪽)와 안쪽이 가쪽 부분보다 더 두꺼운 경우로 세분하였다 (11쪽). 관찰한 49쪽 중 17쪽(35%)에서 붓목뿔근이 두힘살근 뒤힘살보다 안쪽으로 지났으며, 붓목뿔근의 힘살이 두힘살근 뒤힘살의 가쪽으로 주행하는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힘살근 앞힘살 부위에 존재하는 덧힘살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턱끝밑부위의 이러한 불규칙적인 형태는 비심미적인 목의 외형을 형성할 뿐 아니라 임상에서의 진단과 수술 과정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대부분의 자료에서는 붓목뿔근 힘줄의 끝부분을 두힘살근의 중간힘줄이 관통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나, 연구 결과 붓목뿔근이 두힘살근 뒤힘살의 안쪽으로 지나는 경우가 35%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두힘살근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 관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와 더불어 턱끝밑부위(submental region)와 위목부위(upper neck region)의 수술을 포함한 치료 시 적용 가능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digastric muscle is located in the suprahyoid region which consists of anterior belly, intermediate tendon and posterior belly. This muscle is an important landmark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of submental and upper neck region. Previous researches have reported about variations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general morphology of the digastric muscle and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mus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rphology of the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and confirm the topographic relationship between the digastric muscle and the stylohyoid muscle of Korean. Thirty-four cadavers (21 males, 13 females; mean age 65 years; range 24~89 ye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kin, subcutaneous tissues, superficial fascia and platysma were removed and a detailed dissection was performed, with extreme care being taken not to damage underlying the muscles of submental and upper neck region. After the dissections, all specimens were sketched and photographed. In 8 specimens, we observed the accessory bellies of the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We classified the accessory bellies into the crossover type (five specimens, 14.7%) that cross the mandibular raphe and unilateral type (three specimens, 8.82%). The findings resulting from observation of the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and stylohyoid muscles, the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perforated the stylohyoid muscle in 32 cases (65%) out of 49 sides. This case was subdivided into the belly of the stylohyoid muscle lean to the lateral (twenty-one specimens, 42.9%) or medial side (eleven specimens, 22.4%) of the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In 17 specimens (35%), the stylohyoid muscle existed on the medial side of the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