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衛生藥學의 展望

        崔奎漢 숙명여자대학교 1973 藥硏 Vol.9 No.-

        위생약학의 전망을 논하기 전에 먼저 위생약학에서 취급하는 학과내용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학과는 약학대학의 한 분야로서 약학의 전공과목 이외에 환경위생학 및 이에 수반되는 학문을 더욱 연구하는 학과로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따라서 약사로서 직접 약품관계 이외에 국민의 보건향상과 건강유지에 관계되는 환경위생 문제를 취급하게 되어 종래의 약학부문을 실질적으로 가일층 넓힌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자율주행 DRT 셔틀 디자인 방향성 연구

        최규한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4

        The mobility handicapped in Korea account for 30%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22, and are exposed to a very dangerous mobility environment. Meanwhile,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usher in an era of fundamental transformation in the mobility industr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sentially improve the mobility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promote transportation welfare by proposing the design direction of the autonomous DRT shuttle through case analysis and SWOT analysis of autonomous and DRT shuttles. As a research method, cases of autonomous and DRT shuttles were divided into exterior/interior/UX design, videos of the vehicles were analyzed, and SWO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O strategy includes developing various contents using the metaverse, expanding user experience by incorporating modular concepts, creating niche markets based o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tablishing a device to respond to the demand of the mobility handicapped. The WO strategy includes preparing service integration measures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mobility handicapped, There is also the installation of stops using the metaverse. The ST strategy includes securing a fierce market advantage by creating a niche market through convergence, gaining an advantage using content, and performing a social role that can minimize social conflict. The WT strategy includes gaining an advantage in the market through service integration. Based on this strategy, it is expected that new usability will be propos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autonomous and DRT.

      • KCI등재

        고령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기능 연구 (인터랙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최규한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Korea entered the aged society in 2018 with the elderly population accounting for 14.4% of the total population, and it is expected to enter the super-aged society in 2026. In particular, it is predicted that by 2050, the elderly population will be 38% of the total population, making it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elderly people in the world.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naturally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mong elderly drivers, in 2017, there were 26,713 elderly driver accidents over 65 years of age, with 848 people dying and 38,627 injured. Compared with 2011, the number of accidents and injuries has doubled and the number of deaths has increased 1.4 times.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main factors of the increase in traffic accident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such as a decrease in visual/hearing ability, cognitiv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and muscle strength. Therefore, it raised the necessity of autonomous vehicle(level 2) for elderly driver who can minimize the burden of driving and aimed to study the function of autonomous vehicle for elderly driver who is not familiar with new technology. Based on this, four functions of autonomous vehicles for elderly drivers were derived, such as providing clea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oad environment, conside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rivers, simplifying interface, and reinforcing in-vehicle safety devices. 우리나라는 2018년 고령자 인구가 전체인구의 14.4%를 차지하여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하였고 2026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이다. 특히, 2050년에는 고령자 인구가 전체 인구의 38%로서 고령자 수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 중에 하나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 고령자 인구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데, 2017년 우리나라 교통사고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는 2만 6,713건으로 848명이 사망하고 부상자 3만 8,627명이 발생했다. 2011년과 비교하면 사고 건수와 부상자 수는 약 2배, 사망자 수는 1.4배 증가했다[3]. 본 연구는 교통사고 증가의 주된 요인이 시각/청각 능력의 저하, 인지 및 정보처리 능력의 저하, 근력의 저하 등 고령운전자의 특성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운전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령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차량(레벨2)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새로운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기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환경에 따른 명료한 정보 제공/운전자의 물리적 신체 특성 고려/단순한 인터페이스/차량내 안전장치의 보강이라는 고령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4가지 기능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자율주행 DRT(수요응답형 교통) UX 디자인 특성 연구: 고령자를 중심으로

        최규한(Kyu-Ha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2027년 적용 가능한 레벨5의 자율주행차량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DRT UX 디자인 특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로는 고령자와 차량 내외의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으로 하였으며, 레벨 5의 자율주행차량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적용 대상으로는 2021년을 기준으로 60대부터 90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자와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한 실제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한 자율주행 DRT UX 디자인 특성 연구라는데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자율주행차량과 DRT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량과 DRT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로는 고령자 인터뷰, 자율주행차량 시승, 영상제작, 설문조사, 고령자 자율주행차량 VR 시승을 통한 일반화로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자율주행 DRT UX 디자인 특성 10가지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특성은 예약, 승차, 입력, 주행, 응급, 하차 등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령자의 이동성 향상에 이바지하고 자율주행 DRT의 실용화를 한층 앞당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eatures of autonomous DRT UX design based on level 5 autonomous vehicle applicable in 2027. As the scope of the study, the system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derly and the in/outside of the vehicle, and the level 5 autonomous vehicle was the subject of the study. As of 2021, the targets for application were set from 60s to 90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is a study on the features of autonomous DRT UX design that derives practical insights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As a research method, autonomous vehicle and DRT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based on this, cases of autonomous vehicle and DRT were analyzed. As a case study, generalization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elderly, test-drive of autonomous vehicle, video production, survey, and VR test-drive of autonomous vehicle for the elderly. Ten features of autonomous DRT UX design were deriv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the derived features were classified into reservation, get on, input, driving, emergency, and get off.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mobility of the elderly and further accelerate the practical use of autonomous D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