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심지역(都心地域)의 아황산(亞黃酸) 가스에 의(依)한 대기오염(大氣汚染)과 수목내(樹木內) 엽(燁)의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 및 수피산도(樹皮酸度)와의 관계(關係)

        차윤정,이경준,Cha, Youn Jung,Lee, Kyung Joon 한국산림과학회 199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0 No.3

        본(本) 연구는 우리나라 도심지역(都心地域)과 외곽지역(外廓地域)의 산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목을 대상으로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수피(樹皮) 산도(酸度)(pH)를 측정함으로써, 도심지역(都心地域)의 오염상태(汚染狀態)를 진단하고 이러한 측정 방법이 대기오염(大氣汚染)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지표(指標)로서 적합(適合)한가를 구명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오염지역(汚染地域)(서울의 남산(南山), 곽악산(冠岳山), 북한산(北漢山), 수원(水原)의 팔달산(八達山)과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강원도(江原道) 평창(平昌))으로 나누어 선정하였고 공시수종으로는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와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를 선택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생육시기별로 나누어 1990년 5월, 8월, 10월에 3회 실시하였으며,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을 $BaSO_4$ 중량법(重量法)으로 측정하고 수피산도(樹皮酸度)를 pH meter로 측정하였다.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는 도시의 경우 1990년도 환경처 발표자료를, 평창의 경우는 임업연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은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증가하였는데(상관계수(相關係數) 0.52), 남산(南山)지역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각각 0.170%와 0.081%의 함량(含量)을 나타내어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인 평창(平昌)(소나무 0.023%, 신갈 0.034%)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수피산도(樹皮酸度)(pH)는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가 증가할수록 낮은 pH를 보였는데 상관계수(相關係數 -0.52), 남산(南山)지역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에서 각각 pH 3.42과 3.63을 나타내어 평창의 pH 3.94와 4.93에 비해 훨씬 낮은 수치를 보였다. 시간별(時期別) 조사(調査)에서는 8월이 5월과 10월에 비하여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이 더 낮고, 수피(樹皮)의 pH는 더 높은 값을 나타냈는데, 이는 6-8월 기간중의 많은 강우량(降雨量)에 의하여 대기(大氣)가 정화(淨化)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수종간(樹種間) 비교에서는 오염지역(汚染地域)에서는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수피(樹皮)의 pH 모두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지만,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의 수피(樹皮) 산도(酸度)(pH)에서는 신갈나무가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소나무에 비해서 수피의 pH가 높고, 대기오염(大氣汚梁)에 따라서 소나무 수피보다 더 큰 변화를 나타냈다. 따라서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樹皮嚴度(pH) 는 대기오염(大氣汚梁)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지표(指標)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피산도(樹皮酸度)는 측정 방법이 간편하면서도 대기오염(大氣汚梁)에 더 민감(敏感)한 지표(指標)라고 결론(結論) 짓는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atmospheric $SO_2$ concentration and both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tree leaves and bark pH to t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as bioindicators for air pollution. Mt. Kwanak, Mt. Nam, Mt. Bukhan (located in Seoul) and Mt. Paldal (located in Suwon, Kyonggi-do) as polluted areas and Pyongchang, Kwangwon-do as an unpolluted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leaves and hark pH of two tree species (Pines densiflora S. et Z. and Quercus mongolica Fisch.) were analyzed in May, August, and October, 1990 by $BaSO_4$ precipitation method and pH measurement, respectively. In both species, concentration of soluble sulphur in the leav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SO_2$ (correlation coefficient : 0.52).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2-year-old needles of Pines densiflora (0.170%) and current year leaves of Quercus mongolica (0.081%) in Mt. Nam in the center of Seoul were higher than those in unpolluted Pyongchang area (0.023% and 0.034%, respectively). Bark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atmospheric $SO_2$ concentr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 -0.52). Bark pH of P. densiflora (pH 3.42) and Q. mongolica (pH 3.63) in Mt. Nam were lower than those in Pyongchang area (pH 3.94 and pH 4.93, respectively). Both soluble S content in the leaves and bark pH were recognized as suitable bioindicators for air pollution by $SO_2$. Especially, bark pH showed more sensitive response to air pollution by $SO_2$ than soluble S concentration in the leaves. The lowest concentration of soluble sulphur and the highest bark pH in August were considered to be due to heavy rain during the rainy season. Soluble S content in the leaves and bark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etween the two species in polluted areas.

      • KCI등재

        황룡사지 출토 불교조각

        차윤정(Cha, Yoon-jeong)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황룡사지에서 발견된 불상류는 금당지에서 수습된 청동제 나발편을 제외하면 모두 小像으로, 현재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분산, 소장되어 있다. 이들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현재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불교조각에 대한 연구에서 단편적으로 언급된 정도이다. 이에 각 소장기관의 협조를 받아 출토 불상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고 기존에 잘못 보고되었던 도상적 오류를 바로잡는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현재까지 조사된 황룡사지 출토, 혹은 수습 불상류는 모두 48점이다. 1976~1983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한 불굴조사를 통해 조사되어 《皇龍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에 발표된 불상류 12점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외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34점, 동국대학교박물관에 2점이 소장되어 있다. 국가 사찰이자 신라 최대의 사찰이었던 寺格과 규모, 그리고 거의 700년에 달하는 오랜 지속 기간에도 불구하고 황룡사에서 출토된 불상류는 매우 소량이며, 크기 또한 小像類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출토 불상류를 편년하면 시기적으로 6세기 후반의 창건기부터 고려시대에 燒失되기까지의 전 기간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도상과 재질 또한 매우 다양하여, 신라 불교조각사 연구에 있어 황룡사 불상군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불단을 장엄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소조역사상전편이 새로 발견되었다. 형식과 제작수법으로 보아 크게 2타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A 타입은 삼국시대 장육존상이 만들어진 무렵, B 타입은 통일신라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불교조각은 물론 고대 佛殿莊嚴의 新例로서 주목되는 자료이다. All of the buddhist statues found at Hwangryongsa-temple site are small size except a bronze head piece of buddha. They ate housed in Gyeongju National Museum,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Dongguk University Museum. There are no deep research on them. They have been mentioned fragmentarily in the research on trhe buddhist statues of Three Kingdoms Period and Unified Silla Period. I investigated them with the help of museums and institute. As a result, I found out new statues and corrected iconographic mistake. Buddhist statues discovered at Hwangryongsa-temple site count forty-eight case. Among them twelve are in Gyeongju National Museum, thirty-four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two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Although Hwangryongsa-temple was the biggest and highest temple in Silla, the buddhist statues found at that site are very small in number and size. But the statues extend over a wide range from the second half of 6th century -Hwangryongsa-temple’s foundation- to Goryeo Period -the temple’s destruction-. And the statues’ iconography and material are diverse. So they are very important to study on Silla buddhist art.

      • KCI등재

        장애유아 부모교육 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 비교

        차윤정 ( Cha Yoon-jeong ),전병운 ( Jeon Byoung-un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특수학교 유치부,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조기교육실의 유치부 담당 교사 98명과 장애유아 부모 137명을 대상으로 장애유아 부모교육의 운영실태와 부모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사결과 첫째, 부모교육 운영실태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부모교육 방법으로 부모면담과 강사초빙 강연회가 주된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부모교육의 내용으로는 자녀 지도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 장애아동에 관한 기초지식, 아동양육에 관한 상담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내용 요구에서는 전체적으로 특수교육 및 장애 관련 지식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상담 및 가족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부모들은 지역사회 서비스 및 아동복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교육 방법 요구에서는 효과적인 운영방법으로 교사는 부모면담과 보조교사로서 참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부모는 부모면담, 수업 참관, 강사초빙 강연회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집단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와 부모 사이의 가치관이나 관심이 다름으로 인하여 부모교육의 요구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bout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in educating parents with special need for young children for solidifying the link between the familie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es and for applying effectively education programs. For the purpose,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gainst 98 preschool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the preschool classes of special schools, kindergartens annexed to primary schools and early education centers (welfare centers) and 137 parents of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ntains questions asking about the state of education for parents, and needs of contents and methods in educating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stat e of parent education, satisfaction with existing parent education appeared low as a whole. The main methods of parent education were interviews with parents and lectures by guest speakers. The main contents were knowledge and skills for guiding the children, basic information about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and consulting on raising children. Second, the content needed most in parent education was knowledge about special education and disabilities. While the teachers concentrated on counseling and family support, the parent concentrated on services at local communities and welfare for children. Third,with regard to the methods of parents education, the teachers replied that interviews with parents and parents’ participation as assistant teachers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while the parents mentioned interviews with parents, class visiting and lectures by guest speakers as the most effective methods. In conclus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re was a gap in what was needed for parents education due to the different values and interests of the two groups. Above all, it is an essential factor for teachers and parents to understand each other for maintaining cooperative relations. That is, the best education of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should embrace not only the children but also all the family members, instead of concentrating on the children as we have done so far.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mitigate the troubles occurring in the rela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and to develop desirable relations.

      • KCI등재

        Effects of EFL Learners’ Perspectives on Online English Classes: Gender, Major, and Proficiency

        차윤정(Cha, Yoonjung),김나영(Kim, Na Young),김혜숙(Kim, Hea-Suk) 영상영어교육학회 2022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23 No.1

        This study explores the association between gender, major, language proficiency, and student perspectives toward an online educational setting. Participants included 366 university freshmen who attended ten general English courses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0. They took online courses featuring pre-recorded video lessons and synchronous classes via Zoom. They were divided by gender, by major into four groups, and by proficiency level totaling three group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of four different categories (closed-ended) and three open-ended items (benefits, drawbacks, and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gender and major had no effect on student perspectives toward online learning.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roficiency levels. Specifically, intermediate students are inclined to be more positive about online learning compared to beginners and advanced students. In conclusion, it can be noted that proficiency levels play an important part in student engagement and in attitudes toward online learning. Lastly, students mentioned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is students can repeatedly review online materials at their convenience, but identified non-immediate feedback, technical problems, and fewer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as disadvantage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related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

        차윤정(Cha, Yun-jung)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이 글은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로컬리티 연구에서 언어 연구의 영역은 크게, 지역어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영역과 문학작품, 간판, 상호명,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같은 매체 속의 언어를 대상으로 하는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지역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지역어를 지역 내부적 요소와 지역 외부적 요소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연구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경우는 주로 지역을 기반으로 시간, 인간, 사회문화의 상호작용이 지역어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논의한다. 후자의 논의는 중앙(어)과의 위계 관계 속의 지역(어)에 초점을 맞춘 논의들로, 주로 언어정책, 언어접촉, 언어권리 등에 관한 논의들이 중심을 이룬다. 로컬리티 연구에서 지역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기본적으로 언어학적 분석을 전제로 하지만, 나아가서는 언어적 분석을 지역과 관련하여 해석하기 위해, 인접학문인 문화, 철학, 역사학, 사회학 등의 이론을 접목시키는 연구방법이 적용된다. 로컬리티가 담론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동시에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매체는 중요하다. 매체 속의 언어는 로컬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로컬을 재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언어는 지역어만이 아니라 표준어 역시 연구대상에 포함된다. 표준어라 하더라도 텍스트 속에서의 배치와 사용에 따라, 지역을 재현하고 로컬리티를 구성하는 데 관여하기 때문이다. 매체 속의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 역시 기본적으로 사회언어학이나 텍스트 언어학 같은 언어학적 분석을 전제로 하지만, 여기에 기호학이나 문화이론, 사회학 이론들을 접목시키는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이처럼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는 기존의 언어학적 연구방법에, 탈근대 담론에 기반한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이론을 접목한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점에서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는 학제간 연구를 지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ubject and method of locality research through language. In locality research, the scope of language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areas; the area that involves local language itself and the area that involves the language in media such as literary works, signs, newspapers, radio and television programs. The study of local language is divided again into researches which examine local language in relation to the internal factors of specific region and those which examine local language in relation to the external factors of the specific region. The former consists of discussions on how the interactions between time, humans, and socio-culture are related to the local language based on the region. The latter focuses on discussions on the local language i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language and mainly includes topics such as linguistic policy, language contact, and linguistic rights. In locality research, research on local language presupposes linguistic analysis to which the research method of integrating theories from related disciplines such as literature, philosophy, history, sociology etc. is used to make linguistic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in relation to the specific region. Media which have a great impact on many people at one time is important in locality research in that locality is constructed discursively. A language in media performs the function of forming the image of the locale and reconstructing the locale. In such a case, the standard language as well as the local language are included as subjects of study. This is because the standard language also involv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locale and formation of locality according to their arrangement and use in text. Locality research through language in media also presupposes linguistic analysis such as sociolinguistics and text linguistics to which research methods integrating semiotics, various postmodern theories and sociological theories are applied. Therefore, locality research through language uses research methods that combine existing linguistic research methods with research theories from various disciplines based on Postmodernism. In this respect, locality research through language aims 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민주적 시민 양성을 위한 교양과목으로서의 <열린사고와표현>의 특성과 교육방안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9 No.-

        이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민주적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기존의 교양과목 분류에서 의사소통 교과목의 분류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고 의사소통 능력이 민주적 시민이 갖추어야 할 자질 가운데 하나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의사소통 과목으로 분류되어 왔던 부산대학교의 교양필수 과목인 <열린사고와표현>의 교과목 특성을 민주적 시민 양성을 위한 교과목으로 새롭게 규정하고, 교육목표 실현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시민’의 개념과 민주적 시민의 자질에 대해 살피고 민주적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에서의 일반적 교육목표 다섯 가지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열린사고와표현>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한 교과교육목표를 새롭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교육내용의 분석을 통해 <열린사고와표현>의 교육내용이 민주주의의 가치와 신념, 태도 등, 민주적 시민의 양성이라는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린사고와표현>에서 수행되는 ‘읽기, 토론하기, 학술보고서 쓰기’의 교육활동이 민주적 시민 양성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분석하고, <열린사고와표현>의 교육방안으로 ‘읽기→토론하기→학술보고서 쓰기’의 통합 교수모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cultivate th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cation subjects in the existing liberal arts class and points out that communication ability is one of the qualities that democratic citizens should hav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newly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Open Thinking and Expression>, a liberal arts essential subjec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which has been classified as a communication subject so far, as a subject for democratic citizen development, and proposed educational plans for realizing educational goals. To this end, the concept of ‘citizen’ and th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were examined and five general educational goals were set in education to train democratic citizens.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goa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Open Thinking and Expression> were newly set.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of <Open Thinking and Expression> are composed of the values, beliefs, attitudes of democracy, and the things to achieve the educational purpose of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 Also,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reading, discussing, and writing academic reports’ performed in <Open Thinking and Expression> are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democratic citizens and proposed an integrated teaching model of ‘reading discussing writing academic reports’ as an educational plan of <Open Thinking and Expression>.

      • KCI등재후보

        고정역할치료가 초등학생의 개인구념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

        차윤정(Cha Youn-Jung),안이환(Ahn Ie-Hwa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Kelly(1955)의 고정역할치료(Fixed-Role theory)가 대인불안이 있는 초등학생의 개인구념(Personal Construct)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K초등학교 5학년 5개 학급 가운데 대인불안검사(음정순, 2003)의 상위 15%에 해당하는 학생 18명을 선발하여 각각 9명씩(여 5, 남 4)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고정역할 치료는 Kelly가 2주 동안 실시한 6회기의 고정역할치료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재구성 하였다. 고정역할치료 프로그램은 4주 동안, 주 3회 총 10회를 연구자의 교실에서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디음과 같다. 첫째, 고정역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개인구념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고정역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아동의 6가지 대인불안(일반적 대인불안, 집단·사회적 대인불안, 친구에 대한 대인불안, 특정인에 대한 대인불안, 이성에 대한 대인불안, 미지인에 대한 대인불안) 가운데 미지인에 대한 대인불안을 제외한 5개 영역애서 매우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고정역할치료는 초등학생의 대인불안에 대한 개인구념의 변화를 통해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The prnpose of this study is proving the effect of fixed-role theory at elementaIy students' individual construc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To prove these assumptions, each 9 students are categorized into experimented group and controlled group and the 18 subjects are from K elementary school in Busan. Before taking the program, two groups had individual construction test through interpersonal anxiety test and latticed role-construction. Based on Kelly’s (1955) fixed-role theory program taken 2 weeks in sixth fixed-role thoory program, the researcher, myself, reorganized the program with the six sub-factors of interpersonal anxiety analyzed to know the symptoms of interpersonal anxiety by Eum jung-soon(2003). Fixed-role thoory program was experimented 3 times a week, 10 times in total for 4 weeks with the subjects from experimented group after school in researcher’s cla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the experimented group’s individual construction experimented fixed-role theory program considerably improved. Second, interpersonal anxiety of experimented group taken fixed-role theory program considerably decreased except the interpersonal anxiety with strangers which is a sub-factor.

      • KCI등재

        로컬리티 연구의 관점에서 본 언어접촉과 지역어 변화의 한 양상

        차윤정 ( Cha Yun-ju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로컬의 `역동성`을 고찰하기 위한 논의 방식의 하나는, 외부의 제도나 질서, 규범 등이 로컬에 이식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로컬의 대응방식을 살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로컬리티 연구는 기존의 논의틀에서 발화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새로운 논의를 전개한다. 발화 위치를 글로벌이나 국가 같은 거시적 차원에서 미시적 차원인 로컬로 옮김으로써, 거시적 차원에서 동일화시킨 것들을 걷어내고, 그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차이와 주름에 주목하여 이것이 동일성에 균열을 일으키고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왔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논의틀을 언어에 적용하였다. 외부로부터 이식되는 규범으로서의 표준어와 지역어의 언어접촉상황에서 지역어의 변화 양상을 <대천일기>의 `비`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드러난 위세`를 지닌 표준어가 `지역어`를 대체함으로써 지역어가 소멸되는 예, 표준어를 지역어의 언어원리에 맞추어 변형시키는 예, 그리고 표준어와의 경쟁에서 지역어가 우위를 차지하고 현재까지 유지되는 예 등의 변화의 모습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표준어로의 변화라는 일반적인 방향성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차이`를 기반으로 `숨겨진 위세`를 지닌 지역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로부터의 힘에 대응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One of the methods of discussion to examine the dynamics of local is by exploring its responding ways in the process of external institutions, orders. or norms being transplanted into it.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on locality develops a new discussion by removing the place of speech from the existing frame of discussion. It skims off the things that have become `one` on the macroscopic dimension and pays attention to the various differences and creases existing behind them by removing the place of speech from the macroscopic (i.e., global or national) dimension to the microscopic (i.e., local) dimension In addition, it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this will bring fracture and new changes to the oneness. This study applied this frame of discussion to the language and examined the features of changes in the local language under the situation where a language contact has arisen between the local language and the standard language which is being transplanted from the outside as a norm. In this process, this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cases: the one where the local language has disappeared after the standard language with overt prestige displaced it; the one where the standard language has been modified to fit the linguistic principles of the local language; and the one where the local language has been so far kept alive by holding a dominant position in the competition with the standard language. Through this, this study confirmed that based on the regional `differences`, the local language with covert prestige, not unilaterally embraced by the transplant from the outside, has shown the `dynamics` of the local via its linguistic features by responding to it in various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