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심지역(都心地域)의 아황산(亞黃酸) 가스에 의(依)한 대기오염(大氣汚染)과 수목내(樹木內) 엽(燁)의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 및 수피산도(樹皮酸度)와의 관계(關係)

        차윤정,이경준,Cha, Youn Jung,Lee, Kyung Joon 한국산림과학회 199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0 No.3

        본(本) 연구는 우리나라 도심지역(都心地域)과 외곽지역(外廓地域)의 산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목을 대상으로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수피(樹皮) 산도(酸度)(pH)를 측정함으로써, 도심지역(都心地域)의 오염상태(汚染狀態)를 진단하고 이러한 측정 방법이 대기오염(大氣汚染)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지표(指標)로서 적합(適合)한가를 구명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오염지역(汚染地域)(서울의 남산(南山), 곽악산(冠岳山), 북한산(北漢山), 수원(水原)의 팔달산(八達山)과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강원도(江原道) 평창(平昌))으로 나누어 선정하였고 공시수종으로는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와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를 선택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생육시기별로 나누어 1990년 5월, 8월, 10월에 3회 실시하였으며,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을 $BaSO_4$ 중량법(重量法)으로 측정하고 수피산도(樹皮酸度)를 pH meter로 측정하였다.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는 도시의 경우 1990년도 환경처 발표자료를, 평창의 경우는 임업연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은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증가하였는데(상관계수(相關係數) 0.52), 남산(南山)지역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각각 0.170%와 0.081%의 함량(含量)을 나타내어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인 평창(平昌)(소나무 0.023%, 신갈 0.034%)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수피산도(樹皮酸度)(pH)는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가 증가할수록 낮은 pH를 보였는데 상관계수(相關係數 -0.52), 남산(南山)지역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에서 각각 pH 3.42과 3.63을 나타내어 평창의 pH 3.94와 4.93에 비해 훨씬 낮은 수치를 보였다. 시간별(時期別) 조사(調査)에서는 8월이 5월과 10월에 비하여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이 더 낮고, 수피(樹皮)의 pH는 더 높은 값을 나타냈는데, 이는 6-8월 기간중의 많은 강우량(降雨量)에 의하여 대기(大氣)가 정화(淨化)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수종간(樹種間) 비교에서는 오염지역(汚染地域)에서는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수피(樹皮)의 pH 모두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지만,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의 수피(樹皮) 산도(酸度)(pH)에서는 신갈나무가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소나무에 비해서 수피의 pH가 높고, 대기오염(大氣汚梁)에 따라서 소나무 수피보다 더 큰 변화를 나타냈다. 따라서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樹皮嚴度(pH) 는 대기오염(大氣汚梁)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지표(指標)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피산도(樹皮酸度)는 측정 방법이 간편하면서도 대기오염(大氣汚梁)에 더 민감(敏感)한 지표(指標)라고 결론(結論) 짓는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atmospheric $SO_2$ concentration and both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tree leaves and bark pH to t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as bioindicators for air pollution. Mt. Kwanak, Mt. Nam, Mt. Bukhan (located in Seoul) and Mt. Paldal (located in Suwon, Kyonggi-do) as polluted areas and Pyongchang, Kwangwon-do as an unpolluted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leaves and hark pH of two tree species (Pines densiflora S. et Z. and Quercus mongolica Fisch.) were analyzed in May, August, and October, 1990 by $BaSO_4$ precipitation method and pH measurement, respectively. In both species, concentration of soluble sulphur in the leav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SO_2$ (correlation coefficient : 0.52).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2-year-old needles of Pines densiflora (0.170%) and current year leaves of Quercus mongolica (0.081%) in Mt. Nam in the center of Seoul were higher than those in unpolluted Pyongchang area (0.023% and 0.034%, respectively). Bark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atmospheric $SO_2$ concentr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 -0.52). Bark pH of P. densiflora (pH 3.42) and Q. mongolica (pH 3.63) in Mt. Nam were lower than those in Pyongchang area (pH 3.94 and pH 4.93, respectively). Both soluble S content in the leaves and bark pH were recognized as suitable bioindicators for air pollution by $SO_2$. Especially, bark pH showed more sensitive response to air pollution by $SO_2$ than soluble S concentration in the leaves. The lowest concentration of soluble sulphur and the highest bark pH in August were considered to be due to heavy rain during the rainy season. Soluble S content in the leaves and bark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etween the two species in polluted areas.

      • KCI등재후보

        중년여성의 빈둥지증후군 극복과 자기실현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차윤정(Yoon-Joung Cha),이미나(Mi-Na Lee)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21 모래상자치료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빈둥지증후군 극복과 자기실현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이다. 중년여성은 폐경, 신체적인 매력의 상실과 자녀를 떠나보내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줄어들면서 느끼는 빈 보금자리에 대한 두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2세의 중년여성으로 2020년 5월 10일부터 2020년 10월 25일까지 총 15회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두 자녀를 군대에 입대시켜야 하는 시점에서 빈둥지에 대한 상실감과 어머니로써 아내로써 역할과 함께 자신의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호소하였으며 모래상자치료에서 자신을 통찰하고 자기실현의 과정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검사는 MMPI검사지와 SCT검사지이다. 중년 여성은 자신을 인식하는 것과 사회적 관계와 가족 안에서의 자신의 한계와 태도를 깨닫는 것과 자신의 욕구와 그 의미를 알아차리며 자신을 돌아보는 것은 인생의 후반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for overcoming empty nest syndrome and self-actualization of middle-aged women. A middle-aged woman experiences menopause, a loss of physical attractiveness and the fear of an empty home she feels as her mother s role diminishes in the process of sending her children awa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52-year-old middle-aged woman, and 15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May 10, 2020 to October 25, 2020.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lained of the loss of an empty nest at the time when their two children had to be enlisted in the military, and vague fears about their future as well as the role of mother and wife. looked at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MPI test strip and the SCT test strip. For middle-aged women, recognizing themselves, realizing their limitations and attitudes in social relationships and family, and recognizing their needs and their meanings and looking back on themselves will be very important factors in how to live the second half of life.

      • KCI등재후보

        보문 : 신령버섯(Agaricus brasiliensis) 자실체 추출 조다당류의 항암 및 면역증강 작용

        차윤정 ( Youn Jeong Cha ),김정화 ( Jeong Hwa Kim ),이태수 ( Tae Soo Lee ),이우윤 ( U Youn Lee ) 한국균학회 2011 韓國菌學會誌 Vol.39 No.1

        Agaricus brasiliensis, one of edible mushroom belonging to Basidiomycota, has been used for curing gastric ulcer and stomach cancer of human beings and also known to have good inhibitory effects on sarcoma 180 and Ehrlich carcinoma of mice. Neutral saline soluble (0.9% NaCl), hot water soluble and methanol soluble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Fr. NaCl, Fr. HW and Fr. MeOH, respectively) were prepared from fruiting body of the mushroom. β-glucan and total protein contents were identify from fractions of edible mushrooms extract. The β-glucan and protein contents of all fractions of the mushrooms ranged from 21.54~32.31% and 0.16~9.34%, respectively. In vitro cytotoxicity tests, crude polysaccharides were not cytotoxic against cancer cell lines such as Sarcoma 180, HT-29, NIH3T3 and RAW 264.7 at the concentration of 10~2000 μg/ml.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rude polysaccharides exhibited life prolongation effect of 18.8~50.6% in mice previously inoculated with Sarcoma 180. Fr. HW increased the numbers of spleen cell by 1.2 fold at the concentration of 200 μg/ml compared with control. Fr. MeOH and Na improved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B lymphocyte by increas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1.6 fold compared with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50~500 μg/ml. Fr. Na generated 15.9 μM of nitric oxide (NO) when cultured with RAW 264.7 at the concentration of 200 μg/ml, while lipopolysaccharide, a positive control, produced 3.7 μM. The Fr. NaCl, Fr. HW and Fr. MeOH increased the secretion of TNF-α, IL-1β, Il-2 and IL-6 by 2.2 tim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Fr. Na increased the numbers of peritoneal exudate cells by 4 folds at the concentration of 50mg/kg compared with control. Circulating leukocytes increased by 2.7 folds when Fr. HW from A. brasiliensis was inoculated at the concentration of 50 mg/kg body weight. The hematological and blood chemical analysis of the 3 fraction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blood compositions and enzyme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refore,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ed that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A. brasiliensis contain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against Sarcoma 180 in ICR mice.

      • KCI등재

        장애유아 부모교육 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 비교

        차윤정 ( Cha Yoon-jeong ),전병운 ( Jeon Byoung-un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특수학교 유치부,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조기교육실의 유치부 담당 교사 98명과 장애유아 부모 137명을 대상으로 장애유아 부모교육의 운영실태와 부모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사결과 첫째, 부모교육 운영실태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부모교육 방법으로 부모면담과 강사초빙 강연회가 주된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부모교육의 내용으로는 자녀 지도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 장애아동에 관한 기초지식, 아동양육에 관한 상담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내용 요구에서는 전체적으로 특수교육 및 장애 관련 지식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상담 및 가족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부모들은 지역사회 서비스 및 아동복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교육 방법 요구에서는 효과적인 운영방법으로 교사는 부모면담과 보조교사로서 참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부모는 부모면담, 수업 참관, 강사초빙 강연회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집단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와 부모 사이의 가치관이나 관심이 다름으로 인하여 부모교육의 요구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bout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in educating parents with special need for young children for solidifying the link between the familie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es and for applying effectively education programs. For the purpose,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gainst 98 preschool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the preschool classes of special schools, kindergartens annexed to primary schools and early education centers (welfare centers) and 137 parents of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ntains questions asking about the state of education for parents, and needs of contents and methods in educating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stat e of parent education, satisfaction with existing parent education appeared low as a whole. The main methods of parent education were interviews with parents and lectures by guest speakers. The main contents were knowledge and skills for guiding the children, basic information about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and consulting on raising children. Second, the content needed most in parent education was knowledge about special education and disabilities. While the teachers concentrated on counseling and family support, the parent concentrated on services at local communities and welfare for children. Third,with regard to the methods of parents education, the teachers replied that interviews with parents and parents’ participation as assistant teachers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while the parents mentioned interviews with parents, class visiting and lectures by guest speakers as the most effective methods. In conclus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re was a gap in what was needed for parents education due to the different values and interests of the two groups. Above all, it is an essential factor for teachers and parents to understand each other for maintaining cooperative relations. That is, the best education of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should embrace not only the children but also all the family members, instead of concentrating on the children as we have done so far.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mitigate the troubles occurring in the rela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and to develop desirable relations.

      • KCI등재

        기호 ‘센텀’의 확산 현상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의미 읽기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3 No.-

        이 글에서는 부산 지역의 아파트 명칭에 나타나는 기호 ‘센텀’의 확산현상을 대상으로, ‘센텀’의 의미 변화를 살피는 한편, 이러한 확산 현상의 사회문화적 의미 읽기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호의 생산과 사용의 배경이 되는 현대사회의 특성에 대해 살피고, 공간과 인간의 관계맺기 방식과 그 변화, 공간의 금융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대사회의 특성이 지역사회에서 나타나는 기호 ‘센텀’의 확산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호 ‘센텀’의 확산 배경으로는, 첫째 아파트 명칭을 통한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과시 욕망이 자리한다는 것, 둘째 공간의 금융화 현상과 함께 아파트가 투자재로 인식되는 현상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센텀시티가 전문가에 의해 자본의 논리에 따라 기획된 추상공간으로, 공간의 위계화를 통해 주변 지역과의 차별화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내고 있다는 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간의 위계화에 따라 센텀시티가 ‘중심, 상류층’과 관련하여 의미화 되는데 반해, 주변 지역은 ‘주변, 비상류층’과 관련하여 의미화 된다. 공간의 의미적 대립은, 주변 지역인들의 욕망을 자극하여, ‘센텀’이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 결과 지역사회에서 ‘센텀’은 원래 센텀시티라는 물리적 공간을 지시대상으로 갖는 기호였지만, 확산 현상을 통해 현실의 지시대상과 분리되면서 의미의 추상화가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change of ‘centum’ and read the sociocultural meaning in the diffusive proliferation of ‘centum’ in the names of apartments located in various parts of Busan. For this purpose,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which provide a backdrop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sign, this study looked at the ways in which human beings build a relationship with space, the changes in those ways, and the financialization of spac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uch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is related to the diffusion of the sign ‘centum’ emerging in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wo aspects provided the backdrop for the diffusion of ‘centum’: one is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social identity and the reflection of his/her desire to show off through the name of the apartment, and the other is the phenomenon of recognizing apartments as an investment goods with the finacialization of space. This finding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Centum City, as an abstract space planned by a specialist upon the logic of capitalism, is continuously generating its differentiated ualities from the surrounding areas through the hierarchization of space. Space hierarchization signifies Centum City in relation to ‘center, the upper class’, while signifying the surrounding areas in regards to ‘periphery, the non-upper class.’ Such opposition in the meaning of space aroused the desire of surrounding residents and became a major factor for the proliferation of ‘centum’ into surrounding areas. In local communities, ‘centum’ was originally a sign for the physical space of Centum City as its referent. Now a semantic abstraction is underway, as the sign of ‘centum’ is diffusing from its referent in reality.

      • KCI등재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적 상상과 재현의 정치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을 상상한다는 것은 현재 우리 사회를 관통한다고 믿고 있는 작동원리, 가치체계 등과는 ‘다른 것’을 그려보는 것이다. ‘다른 것’은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예측이 될 수도 있지만, ‘지금, 여기’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드러나지 않아 미처 알지 못했던 것들, 그래서 대안으로 상상되지 못했던 것들이 될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신자유주의를 위반하는 논리가 작동하지만 은폐되어 있는 로컬공동체를 재현함으로써, 이를 통해 대안적 상상을 시도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재현, 재현목록과 담론의 관계를 살피고, 재현이 가진 의미와 지식의 생산기능이 어떻게 담론이나 권력과 연계되는지를 논의함으로써 신자유주의의 대안적 상상에서 재현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신문 기사에 재현된 우리사회의 ‘경쟁담론’의 분석을 통해, 물화된 ‘너’와 ‘우리’, ‘공생’ 개념의 삭제, 몰인격적 관계에 기반한 경제적 효용성의 추구라는 신자유주의적 논리가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지배적 담론에 가려 재현되지는 못하고 있지만,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다른 것’의 모습을 암남동 해녀공동체에서 찾아보았다. 해녀공동체 내부의 경쟁에서는 ‘나’와 관계 맺는 ‘너’, 신자유주의적 경쟁에서 삭제되었던 ‘우리’, ‘공생’의 개념이 복권되고 인간적 관계에 기반한 ‘다른 경쟁’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끝으로 존재하지만 재현되지 못해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소통되지 못했던, ‘다른 것’의 재현은 지배적 담론에 균열을 가하고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실천의 한 가지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편재되어 있지만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수많은 대안적 풍경들을 재현하여 새로운 인식틀이 될 수 있는 재현목록을 구성해 가는 것은, 개인의 변화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층위의 장소들로 확장될 수 있는 대안적 상상의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Imagining an alternative to neo-liberalism is to picture ‘something different’ to the operational principle and value system that we believe penetrates our society at the present time. ‘Something different’ may be a prediction regarding th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However, they may be things we failed to realize, and hence things we failed to imagine as an alternative because they are not exposed in the world despite their presence ‘here and now’. This paper attempted an alternative imagination by representing the hidden local community, which is functioning a logic that defies neo-liberalism. To do this, the paper firs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list, and discourse. The study inquired into the importance of representation in the alternative imagination of neo-liberalism by examining how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and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s connected to discourses and power. Furthermore, an analysis on the ‘competition discourse’ of Korean society represented by newspaper articles confirmed the logic of new-liberalism to pursue economic usefulness based on impersonal relationships. Also, the study tried to find the image of ‘something different’ existing in the ‘here and now’, in the Haenyeo community of Amnamdong, although representation failed due to the dominant discourse. The concepts of ‘us’ and ‘coexistence’, deleted by the competition of neo-liberalism, were restored in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in the Haenyeo community, and a ‘different competition’ of logic based on human relationships was at work. Lastly. the representation of ‘something different’, which failed to be communicated between members of society, though existing, inflicts cracks upon the dominant discourse and is a practice that creates new meaning.

      • KCI등재

        특집논문 : 원류(原流), 인간(人間), 교류(交流) ; 로컬 공동체와 "차이의 공간" 생성 -암남공원 해녀공동체를 중심으로

        차윤정 ( Yun Jung Cha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1

        국가적 경제위기를 배경으로 서구로부터 이식된 신자유주의는 현재 한국 사회의 중요한 작동원리이자 보편적 지식으로 소통되고 있다. 하지만 위로부터 강제적으로 이식되는 작동원리나 가치체계는 기존 세계의 작동원리나 가치체계와 만났을 때, 갈등과 경합, 조정, 배제와 저항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글에서는 신자유주의의 보편화라는 사회적 현상 속에서 이러한 경합과 조정의 과정이 벌어지는 로컬 공동체에 주목하여, 이 로컬 공동체를 ‘차이의 공간’으로서 의미화하고 그 공간의 생성 배경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위로부터 이식된 신자유주의적 원리에 완전히 포섭되지 않은 로컬 공동체의 모습을 보이는 암남공원 해녀공동체를 조사하였다. 우선 이 해녀공동체 내부의 운영체재에 작동하는 원리가 신자유주의적 원리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살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의 배경에 해녀공동체의 구성원적 특성과 함께 오랜 시간의 축적과 생활세계에 기반한 공통적 장소경험을 통해 형성된 로컬의 작동원리와 가치체계, 그리고 그 기저에 자리한 ‘유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생활세계에 기반하고 시간적 축적을 통해 형성된 로컬의 가치체계와 작동원리는, 위로부터의 강제적 이식을 통해 세계를 동일화하려는 신자유주의의 전략에 저항하여 차이를 생성해 내는 공간 즉, ‘차이의 공간’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런 점에서 로컬은 보편적 원리라는 권력을 배경으로 이식되는 탈장소화된 가치나 원리에 저항할 수 있는 기반 공간이며, 로컬마다 이식과 저항의 국면에서 생성되는 차이의 양상이 곧 로컬리티의 양상 중의 하나라는 것을 살펴보았다. Neo-liberalism that has been transplanted from the Wes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national economic crisis is currently communicated as one of the key working principles and universal knowledges in Korean society. Yet, when met up with those of the existing world, working principles or value systems that are forcibly transplanted from the top, are supposed to go through processes of conflict, contest, adjustment, exclusion, resistance. This study took notice of a local community where processes of contest and adjustment arise amid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universalization of neo-liberalism; signified this local community as ‘space of difference’; and paid attention to the background of creation of the very space. For this purpose, a haenyeo community in Anmamdong was investigated which shows the looks of a local community that is not completely brought around to the neo-liberalistic principles transplanted from the top. First, it was noticed that the working principle inside the operating system of this haenyo community is different from the neo-liberalistic one. In addition, along with membership characteristics of the haenyeo community, a ‘bonding relationship’ which had been formed through shared experiences based on a long period of temporal accumulation, and a world of life was confirmed to be present in the background of this difference. As statedabove, local value systems and working principles formed based on a world of life and through a temporal accumulation was confirmed to constitute a ‘space of difference’, that is, a space that creates difference in resistance against neo-liberalistic strategies that are meant to equalize the world through a forcible transplant from the top. In this sense, a ‘local’ is a footing space for resisting the transplant of de-localized universal values or principles, and the aspect of difference shown by this ‘local’ can be said to be an aspect of the locality.

      • KCI등재

        비동일성의 관점에서 본 로컬리티와 표상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7 No.-

        이 글에서는 탈근대적 비동일성의 사유에 기반하여 로컬리티의 개념 및 생성과 존재 양상, 의미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함께 동일성의 대표적 개념인 표상의 연구범주 설정이 가진 한계와 해결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일성과 비동일성의 사유를 ‘원형’, ‘시뮬라크르(사건)’의 문제와 관련하여 살피고, 비동일성의 사유의 대표적 개념인 들뢰즈의 ‘사건’을 조명하였다. 그리고 ‘사건’ 개념을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생성과 존재 양상, 의미, 표상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순간적이고 유동적이며 원형을 상정할 수 없는 ‘사건’은 잠재성을 가지고 유동적으로 흐르다가 발현됨으로써 현실화된다. 이는 공간과 시간, 사회구조, 인간의 접합, 로컬 내외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는 로컬리티가 유동적이며 원형을 상정할 수 없다는 점, 로컬리티가 잠재적인 것과 발현되는 것으로 나뉘는 점 등과 유사하다. 또한 사건이 발현되면서 계열화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화 되는 것 역시 로컬리티가 특정 국면에서 발현되면서 계열화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화 되는 양상과 유사하다. 나아가 다양하게 의미화된 로컬리티는 표상된 후 맥락의 변화에 의해 재의미화 되는데, 이런 점에서 로컬리티 연구에서 표상은 사유방식으로서의 표상이 아닌 재현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사건의 개념과 생성, 의미의 문제에 주목하여 이를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할 때, 비동일성의 사유에 기반한 로컬리티의 특성과 국면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되고 계열화되고 표상/재현 되는 로컬리티가 차이의 존재로서 사유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로컬리티의 표상/재현의 가능성과 맥락에 따른 재의미화를 통해 표상/재현이 동일성의 원리로 수렴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비동일성의 사유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and becoming of locality and the question of its signific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postmodern nonidentity and also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research category set for representation, which is a typical concept of ident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d thoughts of identity and nonidentity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archetype", and shed light on Deleuze"s "ev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nonidentity thinking. Then, by appropriating the concept of "event" to the study of locality, it discussed the becoming and significance of locality and the case of representation. An "event," which is transient and fluid and for which an archetype cannot be postulated, flows in a state of flux with virtuality until it manifests itself to become a reality. This is similar to the idea that locality, constructed through space and time, social structure, human connection, and internalexternal interaction of a locale, is fluid and cannot assume an archetype. This is analogous to the fact that locality is divided into what is latent and what is revealed. That an event bears meaning in various ways through systematization after its manifestation is also similar to how locality manifests in certain conditions and becomes meaningful in different ways through systematization. Furthermore, locality, which is signified in various ways, is signified once again through contextual changes after it is represented. Thus, when event is appropriated to the study of locality focusing on its concept and becoming and the question of its signification, locality generated and systemat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features and aspects grounded on nonidentity thinking, can be thought as the existence of difference. In addition, through various possibilities of representation and its resignification, the path of converging representation towards the principle of identity is blocked opening the possibility to move towards nonidentity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