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ansducer 최적화 설계에 의한 Laser Projection Display용 음향광학변조기 제작 및 특성평가에 대한 연구

        차승남,이항우,김용훈,황영모 한국광학회 1997 한국광학회지 Vol.8 No.5

        Laser projection display(LPD)는 레이저를 이용한 full color의 대형화면을 구현하는 system이다. $TeO_2$와 $LiNbO_3$ 단결정을 음향광학 매질과 transducer로 사용하여 이 system에 쓰이는 영상 신호 처리용 음향광학변조기(Acousto Optic Modulator : AOM)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AOM은 transducer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가장 효과적으로 음향광학 매질에 전달되도록 simulation한 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AOM은 특성평가와 더불어 설계값에 맞게 제작되었는가를 회절효율 측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LPD System에 실장된 AOM의 회절효율은 85%이며 rise time은 41.5 ns이다. Laser projection display is a full color display system for large area. In this system, laser beams are modulated at acousto optic modulators(AOM) according to the video signal. AOM consists of a $TeO_2$ crystal and a $LiNbO_3$ transducer. We calculated the acoustic wave propagating from transducer to acousto optic media and made AOM by the calculated results. We compared calculated results with fabricated AOM by measuring modulation efficiency at various frequency. The modulation efficiency of AOM is 85% at the carrier frequency of 144MHz and the rise time is 41.5 ns.

      • KCI등재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차승봉(Seung Bong Cha),민우(Min Woo Nam) 한국농촌지도학회 2015 농촌지도와 개발 Vol.22 No.4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learning more properties in agricultural college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was accepted according to the some goodness of fit statistics such as ?撮? (84.28, p>.05), RMR(.036), RMSEA(.041), GFI(.927), NFI(.945), CFI(.985), IFI(985). seconds, Learning attitude(. 31) and content validity(.47)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s a direct impact on satisfaction. thirds, Perceived Usefulness(.34) and Content validity(.36) has direct effect of factor on learning attitude. Finally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direct effect all Content validity(.64) and easy of use(.27). Finally, considering of duties required in the agriculture.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should have provide field learning based Learning materials, practices, instructional media. As a result, it will enhance the performance of field learning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식품안전성 e-Learning 콘텐츠가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성열,이철희,민우,차승,박혜진,채경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3

        It is well known that food safety make human life better sustainable. Especially, to let young students build up appropriate attitude toward food safety may bring about preventable outcomes to food accid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food safety education under the current formal schooling.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verify whether or not food safety e-Learning content affected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e-Learning content was developed by animation programming based on ISD and Rapid Prototyping model. 183 students participated in quasi experimental study and were asked to answer 10 cognitive questions and 10 affective items after taking e-Learning. Based on the major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Studen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ncrease in terms of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score and posttest score. This may be due to e-Learning content’s educational effect.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content influence positively not only knowledge or understanding but attitude. Further, it may be considered an alternative of offline education for food safety. 식품안전성은 삶을 유지하고 지속시키는데 아주 중요하다. 특히 자라나고 있는 학생들에게 식품 안전에 대한 가치관을 형성토록 하는 것은 식품에 대한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하지만 현행 학교교육으로는 식품안전성 교육을 시행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식품안전성에 대한 e-Learning 콘텐츠 부재와 그에 따른 교육효과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체계적 분석도 매우 힘들다. 이 연구는 식품안전성 e-Learning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켜 교육효과가 발생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e-Learning 콘텐츠는 ISD와 빠른원형모델을 근거로 애니메이션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연구 설계는 동일 피험자 사전사후 검증으로 설계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중학교 1학년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총인원수는 203명이며, 이중 설문지 작성 오류와 미회수를 제외한 18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에서 식품안전성의 교육효과성 분석결과를 보면 안전한 우리농산물 알기 콘텐츠에 대한 인지적인 문항의 총합평균점수에서 사전점수(65.79)보다 사후점수(70.11)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의적 영역에서 사전점수(4.24)와 사후점수(4.54)의 총합점수(summated score)를 살펴보았을 때 ‘안전한 우리 농산물 알기’ 콘텐츠를 학습하고 난 후 어느 정도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설 검증 결과 인지적ㆍ정의적 영역 모두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발생하였다. 이는 e-Learning 콘텐츠 학습이 식품안전성에 대한 지식과 이해도를 높이고, 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해석되며, 오프라인 학교교육의 대체 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농업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박성열,김수욱,민우,차승,박혜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distinctions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field experimental research by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by using pre-post t-test and one way ANCOVA. This study showed two results. First, agricultural basic technology I class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in lecture that taught by same teacher. On the other hand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no ha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e-learning classes sho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en the face-to-face classes thus it means the e-learning classes have positive effect i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Yet,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ace-to-face classes. Because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curse had problems when it was conducted like connecting errors with LMS server, delaying play of the content. It caused students’ low concentration and low motiva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ers are able to know the importance of checking stable infra, when they want to apply really courses. 이 연구는 농업 교과 과정에서 동일 교수자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환경을 비교ㆍ분석하여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이질집단 전후 검사설계 방법에 의한 현장실험연구(Field Experimental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통계방법은 사전-사후 t-test와 one way 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농업기초기술I 과정은 동일한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경 과정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학업성취도의 평균점수가 이러닝 집단이 면대면 수업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 교과서 위주의 면대면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동일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습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두 과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조경 과정은 면대면 수업에서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경 과정의 경우 실험연구 당일 LMS 서버와 네트워크 상의 접속 오류와 이러닝 콘텐츠 재생의 버퍼링 현상이 학생들의 주의 집중 및 동기가 저하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닝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학교의 정보화 시설(인터넷 환경과 컴퓨터 사용 실습실 환경)에 대한 점검과 이러닝 운영하는데 필요한 LMS와 같은 제반 시스템 환경 등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써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농업토목기술 I 및 농업기계 과목의 이러닝 콘텐츠학습효과 분석 및 활용 방안

        박성열,김수욱,민우,차승,강혜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2

        Nowadays the fact that e-learning has enough effect compare with face-to-face class is requiring to be proved. Thus this study wanted to figure out the way to invigorate and supply e-learning to the vocational high school agricultural classes. So researchers selected vocational high school agricultural and chose 81 agricultural major students, then verified the effect of e-learning contents. This study used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A t-test and one-way ANCOVA was implemented as statistical method. To summarize the result, there are significance differences between e-learning and face-to-face class in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technologyⅠ class.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e-learning and face-to-face class in agricultural machinery class by result of t-test and one-way ANCOVA. Main reason for absence of difference was adjudged with follow: Learner’s dispersion of focus cased by e-learning contents access and play error on, both of LMS and network, when the day of experiment. This fact presents importance of atmospheric stabilized support such as computer based management system and infra network, also with qualified contents development, when develop e-learning courses ware and apply it to actual teaching. Research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about e-learning is valuable as basic material for instructor, learner itself and authorities of school and department managers who responded to activate and diffuse it. 이 연구는 농생명산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농업 교과목 이러닝을 활성화시키고 보급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2개의 농생명산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를 선정하여, 농업 전공 학생 81명을 대상으로 동영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효과가 발생하는지 검증하였다. 이질(실험/통제)집단 전후 검사설계(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방법을 도입하여 t검증과 일원공분산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농업토목기술 I' 교과목은 사전-사후 t검증과 일원공분산분석 결과에서 두 가지 학습방법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농업기계' 교과목은 사전-사후 t검증과 일원공분산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은 원인은 현장연구를 진행한 고등학교의 인프라 환경이 다른 여타 학교보다 제한적으로 사용이 되었으며, 실제 테스트 운영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던 하드웨어적 장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발생의 주 원인으로 LMS와 네트워크상에서 이러닝 콘텐츠 초기 접속 시 버퍼링 지연, 재생 중의 끊김 현상 등 학습자의 주의 집중을 분산시키는 요소와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진행 시 발생된 페이지 전환 지연 등 진행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학교현장 특히 거주지역이 대도시에서 멀어질수록 이러닝 코스웨어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및 환경 분석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인프라와 같은 환경의 안정적 지원이 학교교육에서 이러닝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농업기술센터 농산물 이력추적제 현장교육 실태분석

        박성열,이철희,민우,차승,이현아,박혜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4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education from farmers,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on-site education and consulting method which bring out early adoption and successful diffusion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system in local areas. Relating to the purposes, the researchers implemented mail survey and 165 farmers, 43 extension educators and 42 directors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re wer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questionnaires for each group. Based on the findings and statistical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First, it was revealed both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considered lack of time and advertising traceability as barriers in terms of traceability education. Second, it was revealed farmers recognized less about traceability systems compared to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towards overall satisfaction of traceability education in local area. Fourth, the participants appraised the contents of education about traceability system at importance. Specially, they valued know-how and practice of advanced farmers adopting traceability system and vision and futuristic expansion at significance. Lastly,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 provincial extension office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should take each role according to its own infrastructure and mission. Furthermore, offline education has to go side by side with online education and education has to be offered in line with farmers’ agricultural products. 이 연구는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이용 활성화 및 확산․보급을 위하여 현장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와 소장 그리고 교육 수요자인 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현행 교육실태를 중점 분석하여 향후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농업기술센터의 소장 42명, 교육담당자 43명과 농업인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실태 분석 중심의 문항을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 퍼센트,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치와 조사대상자 그룹간의 차이검증을 위해 t-test, ANOVA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현장교육에 있어서 소장이나 교육담당자가 가장 어렵게 느끼는 것은 교육준비 시간부족과 이력추적제에 대한 홍보의 어려움, 담당 전문인력의 부족 등이었다. 둘째, 농산물 이력추적제에 대한 인지도는 농업인들이 소장이나 교육담당자에 비해 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농산물 이력추적제 교육실태에 대한 만족도는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와 소장 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세 그룹 모두 2점대의 낮은 만족도를 표시하고 있었다. 넷째, 농산물 이력추적제 시행을 위한 교육의 도움도와 필요도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소장이 농업인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농업인들의 이력추적제 교육에 대한 참여의향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력추적제의 세부 교육내용별 중요도에서는 이력추적제 우수 농가 및 노하우 소개, 이력추적제의 비전 제시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력추적제 교육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이론+실기로 이원화하여 농촌진흥청이나 기술센터에서 역할 분담으로 수행하거나, 작목이나 품목별로 분리하여 실시하는 것 등을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Optimized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for Partial-Volume-Corrected Amyloi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Lewy Body Dementia

        오종수,김재승,채선영,오민영,오승준,차승남,장호종,이종식,이재홍 한국물리학회 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0 No.5

        We present an optimized voxelwis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of partial-volume (PV)- correcte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of 11C Pittsburgh Compound B (PiB), incorporating the anatomical precision of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and amyloid (A) burden-specificity of PiB PET. First, we applied region-based partial-volume correction (PVC), termed the geometric transfer matrix (GTM) method, to PiB PET, creating MRI-based lobar parcels filled with mean PiB uptakes. Then, we conducted a voxelwise PVC by multiplying the original PET by the ratio of a GTM-based PV-corrected PET to a 6-mm-smoothed PV-corrected PET. Finally, we conducted spatial normalizations of the PV-corrected PETs onto the study-specific template. As such, we increased the accuracy of the SPM normalization and the tissue specificity of SPM results. Moreover, lobar smoothing (instead of whole-brain smoothing) was applied to increase the signal-to-noise ratio in the image without degrading the tissue specificity. Thereby, we could optimize a voxelwise group comparison between subjects with high and normal A burdens (from 10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30 patients with Lewy body dementia, and 9 normal controls). Our SPM framework outperformed than the conventional one in terms of the accuracy of the spatial normalization (85% of maximum likelihood tissue classification volume) and the tissue specificity (larger gray matter, and smaller cerebrospinal fluid volume fraction from the SPM results). Our SPM framework optimized the SPM of a PV-corrected A PET in terms of anatomical precision, normalization accuracy, and tissue specificity, resulting in better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A burden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Lewy body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