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가변 디퓨저를 장착한 원심 압축기 불안정성 연구

        차봉준,임병준,양수석,Cha, Bong-Jun,Im, Byeong-Jun,Yang, Su-Seok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6 No.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instability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a centrifugal compressor equipped with a cambered variable diffuser has been performed with varying diffuser vane angles. The test was conducted at the design speed of 20,800 rpm and the 80% design speed of 16,640 rpm for 5 diffuser angles : 65$^{\circ}$, 70$^{\circ}$, 75$^{\circ}$, 77.5$^{\circ}$, 80$^{\circ}$ The steady performance test results showed that choking mass flow rate decreases and total pressure ratio increases with a narrowed surge margin as the diffuser vane angle increases. Unsteady pressures were measured using high-frequency pressure transducers at the inducer and the diffuser throat to investigate the instability phenomena such as rotating stall and surge inside the compressor. From the unsteady measurements, it is found that the transient process from rotating stall to surge was mainly affected by diffuser angl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applied to the instability control of the centrifugal compressors using a variable diffus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수난 모티프의 문학적 수용

        차봉준(Cha, Bong-ju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6 No.-

        이 연구는 김동리의 『사반의십자가』와 『부활』을 중심으로 수난 모티프의 문학적 변용 양상 및 그에 담긴 작가의식을 규명함에 목적을 두었다. 김동리는 서구 기독교의 유입과 그 과정 속에서 불거진 전통과의 불화 등을 다루는 방식으로 기독교와 관련된 다수의 작품을 발표했다. 아울러 복음서를 통해 전해오는 다양한 기록들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함에도 남다른 관심을 보여준 작가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두 작품도 이러한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처럼 기독교와 관련한 문제에 유독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서는 작가의 생애적 특성, 즉 어릴 적부터 다양한 종교와 사상의 세례를 직 · 간접적으로 받게 된 특수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해서 김동리의 소설이 수난 모티프를 어떤 방식으로 수용하고 변형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과 변형에 내재된 작가의 의도를 밝히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결론적으로 김동리의 소설은 기독교 근본주의자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예수의 신성을 문제 삼았으며, 이를 통해 당대 민족의 현실에 대한 작가의 역사인식이 작품에 구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민족의식’과 ‘인간주의’라는 작가의 문학에 대한 핵심 주제가 수난 모티프를 수용한 작품에도 면면히 흐르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aspects of literary transformation of suffering motives and consciousness of writer in The Cross of Shaphane and “Resurrection”. Kim, Dong-Ri published a number of works involved in Christianity dealing with conflict on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custom when Western religion had been imported. Furthermore, he revealed his unique concern to embody various records handed down from the Gospel in literary style. Kim’s two works, The Cross of Shaphane and “Resurrection” which this study explores also have same tendency of his consciousness. For finding the reason why he had given a lot of concerns in the matter of Christianity, this study suggests to explore his personal history, specifically his complex religious and philosophical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examines his history, then how to accept and transform suffering motive into his works. So, it reveals that his intention includes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suffering motives. In the conclusion, as the main core of his literature, consciousness of people and humanism indwell on his works that accept suffering motive because he showed up little different perspective of Jesus Christ from Christian fundamentalist, argued Jesus’s divine nature, and embodied his own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comtemporary reality of Korean people in his works.

      • KCI등재

        논문 : 박상륭 소설의 기독교적 상상력 연구 -「아겔다마」의 성서 모티프 패러디 양상을 중심으로-

        차봉준 ( Bong Jun Cha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07 문학과종교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ystem of Park Sang-Ryung`s Christian speculation by adopting "Ageldama", one of his early short novels, as a tex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us with a way to understand Park Sang-Ryung`s all the novels in which various religious speculations are involved. Besides, religious speculations were reflected in the author`s cognition deeper than any other religious speculation from his early novels to latest ones. For this reason, it`s thought that this is a meaningful study. "Ageldama" is a novel in which a biblical motif appears quite clearly among the author`s novels. Therefore, it`s expected that if we thoroughly compare and analyze this novel with a biblical motif, the precedent text, based on the parodic technique, the essence of his Christian speculation, which went trough his literary configuration process, will be specifically found out. The author shows a new understanding of Judas Iscariot who is negatively evaluated in the bible. Different from the Biblical point of view which focuses on Jesus` achievements, Park interprets events and meanings of the corresponding day completely based on Judas`s internal point of view. Also, through such a point of view, it was found that the author has borrowed the Gnostic point of view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heretic and hasn`t been mentioned in the Bible. Besides, it`s worthy of notice that such a Christian speculation constantly has appeared in his other novels even after "Ageldama".

      • KCI등재

        환경 인문학 담론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 연구

        차봉준(Cha, Bong-Jun)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3

        환경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대안 모색을 위해서는 관련 학문들 간의 유기적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대학 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문제에 대한 종합적 인식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교육과정 제공이 어느 때보다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 단일 학분 영역에서 제각각 제공되고 있던 환경 담론을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 변화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동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운동의 역사와 현재적 중요성을 짚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환경 교육의 담론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시론적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또한 S대학에서 2013학년도부터 개설한 〈환경과 인문학〉 강좌의 교과과정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적 담론이 어떻게 환경문제 인식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환경철학, 환경신학, 환경문학의 틀에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대학 교과과정에서의 환경 인문학적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아울러 문학교육을 통한 환경 인문학적 사유의 형성 가능성에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가 지닌 의미이다. For diagnosis for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and search for alternative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disciplines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curriculum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these problems is strongly required in university education. 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in order to open possibilities to approach with various dimension for environmental discourses which have been offered from every single field. To cope with this changed circumstance and need,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y of environmental movements and the recent meanings of those through preceding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an experimental approach for which direction the discour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an develop to in various fields. Also, it suggests how the poetic discourse can contribute to environmental awareness under the frame of ecosophy, ecotheology, and eco-literature in the case of educational curriculum for “Environment and Humanities” opened since 2013 in S universit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expect proliferation of consensus for need of Environmental Humanities in the university’s curriculum, and to set the possible basis of forming environmental humanistic thought through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1930년대 소설과 생태적 담론

        차봉준(Cha, Bong-Jun) 문학과환경학회 2014 문학과 환경 Vol.13 No.1

        Based on the ecological reasons, the performance of the Korean literature that claims to support the construction of the new ecological society can be discussed in depth by targeting works of later 70s and 80s. However, this study tried to figure the ecological recogni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in 30s as retroacting such periods. Even though the period is when ecological recognitions or ecological discourses in genuine means may not be developed, humans cannot avoid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nature in an attribute of the literature. Moreover, in such relationship, it is too natural to include values and topics that ecological literatures are claiming to support.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writer chose short novels of LEE Hyoseok, San, Deul, and Seonghwangdang of JEONG Biseok which were published in 1930s. Moreover, the study tried to figure the directions of the ecological discourses included in these novels, and what specialties made them to be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ecological literature. LEE Hyoseok and JEONG Biseok wanted to recover the irrationality and abnormality of human lives through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It can assume the start of the ecological reasons from the recognition that nature is the place to heal the wounds got from humans. Besides, their novels are ecological in the point where presenting healthy sexual images to recover primitive vitality and to open the possibility or redemption. This is because the harmonized sex of human and nature, and sex that meets natural quality pursue life than death and recovery than severance as it recovers human lives together with reacting as a new redemption. Therefore, even the ecological discourses of the Korean novels do not directly mention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its qualitative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whether it includes vitality, which is the quality of the nature, and the possibility of redemption. With these reasons, the novels of Lee Hyoseok and JEONG Biseok in the 30s are possible to have ecological discourses.

      • KCI등재

        정찬 소설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차봉준(Cha, Bong-Jun)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3

        본 연구는 정찬이 자신의 소설들에서 생태적 비판 인식을 드러내는 의도가 무엇인가를 고찰함에 목적이 있다. 정찬의 소설을 단순히 시장 이데올로기로 대표되는 자본주의적 질서와 문명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서만 해석 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시장 이데올로기를 맹신한 자본주의적 사회 구조의 한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제기함에 근본적 의도가 있을 것이다. 머레이 북친은 인간들이 서로에 대한 지배를 당연한 것으로 여겨온 인식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자연에까지 확대되는 오류가 발생했다고 말한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정찬의 문학적 고민을 엿볼 수 있다. 정찬은 문명과 자본에 대한 맹신을 권력과 동일시하고 있는 작가다. 그리고 그는 권력을 폭력으로 규정하는 작가다. 정찬은 인간이 지닌 욕망이 권력을 소망할 때, 그 권력은 필연적으로 폭력성을 수반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인간은 타자성을 억압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한다는 바라본다. 여기서 지배 속성이라는 또 하나의 폭력적 권력이 개입될 때 점점 그가 꿈꾸는 구원의 가능성은 희박해질 것이기에,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 더 나아가 자연의 지배로 표출되는 모든 반생태적 현상에 대해 정찬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필자는 머레이 북친의 사회 생태론적 인식과 생태 페미니즘적 사유에 기초를 두고 정찬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을 살펴보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o explore why Jung Chan reveals his ecological criticism through his novels and what his ecological imagination for alternatives. It is tempting that his novel is a merely mean to reveal his antipathy to market ideology such as capitalistic system and civilization. There are, however, more convincing evidences that his novels try to point out the limits of capitalistic social system mainly pursuing market ideology. Murray Bookchin suggests that humans’ dominance in human society has been mistakenly accepted and this misconception has caused a lot of social and natural problems spreading into natural environment. In the light of this context, Jung Chan’s intention in his novels emerges on the surface. He is the novelist who defines that a blind belief of civilization and capital is same as social power and the social power is violence. He, therefore, conceives when humans’ desire pursues the social power, the power inevitably involves violence, then humans are going to stay in vicious cycle that suppresses others in both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Furthermore, as one more violent power as dominant attribute are added to social power, it decreases the possibility of social and natural redemption which Jung Chan consistently wishes. So that’s why Jung Chan cannot but keep critical perspective to all anti-ecological phenomena like human dominance on other human and nature. Given his perspective of social system and power to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this presentation tries to figure out ecological imagination in his novels based on Bookchin’s social ecology and Eco-feminism.

      • KCI등재

        백도기의 <본시오 빌라도의 手記>와 복음서의 상호 텍스트성 연구

        차봉준(Cha, Bong-Jun)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본 연구는 백도기의 단편 소설 를 복음서의 전승과 상호 텍스트적 관계에서 분석했다. 백도기는 등단 초기부터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기독교인의 자기 성찰과 비판적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또한 목회자라는 신분에도 단순히 호교적 차원의 종교문학에 머물지 않고, 오히려 제도화된 종교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부정을 서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인간 존재의 실존적?사회적 조건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이 세계의 진상을 폭넓게 진술했다는 점에서 기독교 소설사의 비중 있는 작가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의 대상인 는 예수의 십자가 처형에 직접적으로 관여된 ‘빌라도’라는 인물을 서사의 전면에 등장시킴으로 예수의 죽음에 대한 인간적 고뇌와 씻을 수 없는 회한을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고뇌하는 빌라도의 모습 속에서 이 시대의 ‘권력’과 ‘책임’이라는 문제의 상관성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복음서의 전승과 여타의 역사적 전승들이 백도기의 소설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상호 텍스트적 맥락에서 비교 분석을 시도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빌라도의 항변에 담긴 의미의 타당성을 논증하고, 아울러 빌라도에 대한 작가의 옹호와 변명에 담겨진 기독교적 사유의 특질에 접근을 시도했다. 그 결과 신으로부터 권력을 위임받은 통치자란 ‘진리’와 ‘선’과 ‘정의’에 근거해서 ‘그 시대의 불의와 행악’에 맞서는 것이 절대적 사명이며, 따라서 그러한 불의와 행악을 막지 못한 책임이 전적으로 통치자에게 있다는 작가의 현실적 역사인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Old Testament of the Gospels and 「Memorandum of Pontius Pilate」, a novelette written by Do-gi Baek, in inter-textual relations. Since his first proceed to the platform, Baek has been writing literatur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conscience and critical cognition of a Christian on the absurdity of reality. Despite of being a Pastor, he is being noted for not limiting his work to a simple religion-favoring writings, but rather to make cutting remarks and denial of an institutionalized Christianity. He is also portrayed to be an influential author of the Christian Novel Society for his thorough statements on human being's examination of existential & social condition of this world.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Memorandum of Pontius Pilate」, illustrates human suffer and irrevocable repentance on the death of Jesus by fully presenting in its prologue, a character named 'Pilate',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crucifixion of Jesus. The novel is also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day's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ssues from the sufferings of Pilate.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the Old Testament of the Gospels and the other historical Testaments are demonstrated in Baek's novel has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in a context of inter-textuality. Based on this analysis, argument on meaning and pertinence of Pilate's contradiction was made. In addition, the author's vindication and justification implying the Christianized reasons are approached. Conclusion was reached following these attempts for the Leaders, whose authority was delegated from God, holding out against 'immorality and evil of the generation' while rendering 'truth', 'virtue', and 'justice' is an absolute responsibility. Accordingly, the author's extensional appreciation of history, in which the Leaders are to be blamed entirely when they can not defend against such immorality and evil, can be derived as well.

      • KCI등재

        백도기 기독교 소설의 현실 지향성 연구

        차봉준(Cha, Bong-jun),이형진(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0 한국문학과 예술 Vol.5 No.-

        본 연구는 백도기의 단편 소설 〈본시오 빌라도의 手記〉를 복음서의 전승과 상호 텍스트적 관계에서 분석했다. 백도기는 등단 초기부터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기독교인의 자기 성찰과 비판적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또한 목회자라는 신분에도 단순히 호교적 차원의 종교문학에 머물지 않고, 오히려 제도화된 종교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부정은 서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인간 존재의 실존적?사회적 조건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이 세계의 진상을 폭넓게 진술했다는 점에서 기독교 소설사의 비중 있는 작가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의 대상인 〈본시오 빌라도의 手記〉는 예수의 십자가 처형에 직접적으로 관여된 ‘빌라도’라는 인물을 서사의 전면에 등장시킴으로 예수의 죽음에 대한 인간적 고뇌와 씻을 수 없는 회한을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고뇌하는 빌라도의 모습 속에서 이 시대의 권력과 책임이라는 문제의 상관성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복음서의 전승과 여타의 역사적 전승들이 백도기의 소설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상호 텍스트적 맥락에서 비교 분석을 시도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빌라도의 항변에 담긴 의미의 타당성을 논증하고, 아울러 빌라도에 대한 작가의 옹호와 변명에 담겨진 기독교적 사유의 특질에 접근을 시도했다. 그 결과 신으로부터 권력을 위임받은 통치자란 ‘진리’와 ‘선’과 ‘정의’에 근거해서 ‘그 시대의 불의와 행악’에 맞서는 것이 절대적 사명이며, 따라서 그러한 불의와 행악을 막지 못한 책임이 전적으로 통치자에게 있다는 작가의 현실적 역사인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Old Testament of the Gospels and 「Memorandum of Pontius Pilate」, a novelette written by Do-gi Baek, in inter-textual relations. Since his first proceed to the platform, Baek has been writing literatur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conscience and critical cognition of a Christian on the absurdity of reality. Despite of being a Pastor, he is being noted for not limiting his work to a simple religion-favoring writings, but rather to make cutting remarks and denial of an institutionalized Christianity. He is also portrayed to be an influential author of the Christian Novel Society for his thorough statements on human being’s examination of existential & social condition of this world.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Memorandum of Pontius Pilate」, illustrates human suffer and irrevocable repentance on the death of Jesus by fully presenting in its prologue, a character named ‘Pilate’,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crucifixion of Jesus. The novel is also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day’s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ssues from the sufferings of Pilate.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the Old Testament of the Gospels and the other historical Testaments are demonstrated in Baek’s novel has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in a context of inter-textuality. Based on this analysis, argument on meaning and pertinence of Pilate’s contradiction was made. In addition, the author’s vindication and justification implying the Christianized reasons are approached. Conclusion was reached following these attempts: for the Leaders, whose authority was delegated from God, holding out against ‘immorality and evil of the generation’ while rendering ‘truth’, ‘virtue’, and ‘justice’ is an absolute responsibility. Accordingly, the author’s extensional appreciation of history, in which the Leaders are to be blamed entirely when they can not defend against such immorality and evil, can be deriv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