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 수양론의 두 가지 양상과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

        조현일(Cho, Hyun-ill) 대한철학회 2024 哲學硏究 Vol.17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장자』 의 두 가지 수양 방식에서 발견되는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를 규명하는 것이다. 장자의 수양론은 타고난 자연성을 회복하는 비워내는 수양과 일상의 경험이 쌓여 새로운 자연성을 체득하는 쌓아가는 수양으로 구성된다. 전자가 노자의 초월성을 수용한 장자의 사유라면, 후자는 그 초월성을 경험적으로 해석하여 스스로 발전시킨 사유이다. 비워내는 수양은 「덕충부」에서 「전자방」을 통해, 쌓아가는 수양은 「양생주」와 「달생」을 통해 각각의 서사적 흐름을 구성한다. 이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를 통해 장자의 철학은 초월과 경험이라는 상충하는 두 가지의 중첩을 허용하는 형태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구조 간의 연결 원리를 밝혀야 한다. 필자는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한다. 첫째, 전통적 초월성을 경험적 시선에서 재해석한 수평적 초월 개념을 도입한다. 수평적 초월은 현실세계에 바탕을 두면서 자신을 넘어서는 스스로 변화하는 우리의 능력이다. ‘변화’라는 지점에서 수평적 초월과 장자철학의 접점이 발생한다. 둘째, 전통적 초월 개념의 재해석은 경험의 두 측면을 통해 이루어진다. 우리의 경험은 신체적/물리적 층위의 경험에서 은유와 상상이란 사유 방식을 통해 정신적/추상적 층위의 경험으로 확장한다. 『장자』에는 다양한 우언(寓言)과 상상의 행위에서 발생하는 여러 서사가 있다. 장자가 노자의 초월성을 수평적 초월로 재해석할 수 있는 것은 신체적/물리적 층위에서 자신의 사유를 확장했기 때문이다. 장자는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를 통해 초월과 경험을 통합적 시각에서 사유하였다. 이것은 경험적·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이 우리 삶에 공존한다는 삶의 총체성을 부각한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naturalness in Zhuangzis teachings on self-cultivation, which comprises two aspects: cultivation for emptying and cultivation for accumulating. The former is designed to restore innate naturalness, while the latter involves acquiring new naturalness through daily experiences. The process of cultivation for emptying is depicted in Chapters 5 ‘Symbols of Integrity Fulfilled’, and 21 ‘Sir Square Field’, while the process of cultivation for accumulation is illustrated in Chapters 3 ‘Essentials for Nurturing Life’, and 19 ‘Understanding Life’, each presenting its own narrative progression. This multilayered structure of naturalness demonstrates that Zhuangzis philosophy incorporates both transcendence and experience, which coexist in a complementary manner. To better comprehend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naturalness, it is crucial to clarify the principles that connect the structures. To this end, I will explore this topic from two different angles. Firstly, I will introduce the concept of horizontal transcendence, which reinterprets traditional transcendence from an experiential perspective. Horizontal transcendence refers to our ability to change and transcend ourselves while remaining rooted in the real world. This concept intersects with Zhuangzis philosophy at the point of ‘change (化)’. Secondly, th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transcendence is examined through the two lenses of experience. Our experiences can extend from physical/bodily experiences to mental/abstract experiences, enabled by metaphors and imagination. Zhuangzi contains various narratives arising from metaphors and acts of imagination. Zhuangzis reinterpretation of Laozis transcendence as horizontal transcendence is thus made possible by his expansion of thinking at the physical/bodily level. Zhuangzi integrates transcendence and experience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hrough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naturalness. This integration accentuates a facet of lifes wholeness, encompassing phenomena amenable to both experiential and scientific explication, as well as those beyond such paradigms.

      • 강구조물 T형 관이음부의 응력해석

        조현만(Hyun Man Cho),류연선(Yeon Sun Ryu),김정태(Jeong Tae Kim) 한국강구조학회 1997 韓國鋼構造學會誌 Vol.9 No.3

        Fatigue cracking and stress concentration due to repeated loading has been asignificant problem occurred in tubular joints. Analytical methods to calculate stress in welding joints are in general not available. Thus semi-analytical formulae for the stress computation have been used. The stress concentration factor(SCF) of tubular joints may be obtained through model experiment, use of approximate formulas, and finited element analysis. Among them, FEM is known to be very efficient.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mechanism and stress analysis of tubular joints are to be discussed, and the analysis results using FEM will be compared with custormary appoximate formulas. Also, the variations of maximum principal stresses and SCFs of tubular T-joi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ize and boundary conditions will be presented, which would be very helpful and given an insight in the design of structures with tubular members.

      • KCI등재

        보들레르 작품에 나타난 디오니소스적 여정

        조현진 ( Hyun Jin Cho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2 No.4

        보들레르가 작품 활동을 시작하던 무렵은 프랑스 낭만주의 시기이다. 19세기 초반 라마르틴, 비니 와 위 고를 비롯하여 프랑스 문인들은 독일 낭만주의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는데, 그 중요한 기폭제가 되는 저서가 스탈 부인의 『독일론』이었다. 그러나 다른 작가들과 달리 보들레르는 독일 낭만주의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대표적으로 스탈 부인이 책 전체의 핵심이라고 언급한 열광을 보들레르는 도취라는 개념으로 전환시켰다. 이는 시를 창작하는 것이 신에게서 부여 받은 영감이나 계시와 같이 외부에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인간이 의도적으로 무엇인가에 몰입하려는 의지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보들레르가 갖는 디오니소스적인 측면, 즉 열광의 상태인 시 창작 과정을 등한시 한 채, 결과로서의 도취 자체만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보들레르에게 창작의 매개체였던 디오니소스적인 도취, 문학적 창작과 관련된 열광과 광기가 시인의 작품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2장에서 산문시집 『파리의 우울』 중 디오니소스의 상징물인 지팡이를 다룬 「티르스」와 또 다른 산문시 「천직들」 그리고 『인공낙원』의 전신인 에세이 「포도주와 아쉬시에 관하여」의 일화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보헤미안 음악가들의 삶 속에서 포도주 도취를 선사하며 세상을 방랑하는 디오니소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어지는 3장에서는 디오니소스와 불가분의 관계인 포도주를 시상으로 삼은 『악의 꽃』 <포도주>부의 4편의 시들을 차례대로 검토하였다. 「넝마주이들의 포도주」, 「살인자의 포도주」, 「고독한 자의 포도주」, 「연인들의 포도주」라는 각 시편에 설정된 등장인물들에게 포도주는 희망과 위로를 주거나 때론 범죄의 도구가 되기도 하며, 신과 같은 오만함을 선사하기도 하고, 사랑의 황홀감을 배가시키거나 이상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포도주로 인한 강렬한 도취, 디오니소스 축제의 광기가 초래하는 살인, 인간임에도 12주신主神의 대열에 오른 그의 신성, 미지의 본향인 낙소스 섬으로의 귀환과 같은 디오니소스의 다양한 요소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들레르 작품에 나타난 디오니소스의 여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방랑과 도취 이외의 관점으로 4장에서는 <포도주>부의 서시 격인 「포도주의 영혼」과 『악의 꽃』 마지막 <죽음>부의 최후의 시 「여행」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포도송이가 으깨어져 포도주가 발효되어가는 긴 숙성의 여정은 시인이 지상의 말들paroles을 재료로 고뇌 속에 시를 완성하는 창작 과정의 암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포도주의 도취 속에 잉태된 작품들을 통해서 시적 몽상에 이르고 궁극적으로는 죽음의 세계로 접근하는 것이 보들레르의 디오니소스적 여정의 끝이자, 새로운 출발점이었다. Ne avec le Romantisme francais, Baudelaire s`y meut naturellement. Au debut de 19eme siecle, la plupart des ecrivains francais sont fortement influences par le Romantisme allemand, en particulier, par De L`Allemagne(1810) de Madame de Stael. Pourtant, Baudelaire n`a pas comme d`autres, Lamartine, Vigny ou Hugo, a le decouvrir et a s`y convertir. Il a adopte seulement quelques fondements majeurs et originaux de son esthetique:le Surnaturalisme et l`Ironie. De plus, il a transforme la notion d`enthousiasme en celle d`ivresse. Pour Baudelaire, la poesie n`est pas une emanation du Divin ou une Revelation mais bien volonte de s`enivrer. Ainsi, on a depuis longtemps souligne et focalise sur l`ivresse lui-meme chez Baudelaire, en oubliant le cote dionysiaque. Cette etude a pour but de suivre un parcours dionysiaque chez Baudelaire. Tout d`abord, en analysant trois œuvres qui traitent le bohemianisme Les Vocations, Le Thyrse dans le recueil posthume de poemes en prose Le Spleen de Pairs et Du vin et du hachisch dans l`essai Paradis artificiels, on peut examiner la caracteristique du thyrse qui est un symbole de Dionysos et elucider la relation etroite entre celui-ci et les musiciens qui s`enivrent du vin et menent une vie vagabonde. Ensuite, en analysant de pres 4 poemes dans le Vin des Fleurs du Mal-Le Vin des chiffonniers, Le Vin de l`assassin, Le Vin du solitaire et Le Vin des amants -on peut ainsi constater que l`ivresse du vin differe selon les categories de gens. De plusieurs effets du vin comme la consolation du peuple, le moyen criminel, l`orgueil semblable a Dieu, l`aspiration vers le paradis inconnu sont associes aux attributs principaux de Dionysos. En detail, ce sont l`ivresse du vin invente par Dionysos, le roi Penthee mis en pieces par ses fideles, sa divinite en tant qu`Olympien et son retour au lointain pays natal. Par ailleurs, il s`avere que le parcours dionysiaque chez Baudelaire est de ne cesser d`errer de ville en ville et s`enivrer de vin. Il implique la creation poetique et meme l`image de la mort dans L`ame du vin, le premier poeme d`ouverture de le Vin et Le Voyage, le dernier poeme de la Mort des Fleurs du Mal, dans lequel tous les sujets baudelairiens des poemes precedents s`y rassemblent.

      • KCI등재

        연구논문 : 제3자에 대한 보험자대위에서 손해배상청구의 범위

        조현진 ( Hyun Jin Cho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5 상사판례연구 Vol.28 No.2

        보험이란 다수의 위험을 하나의 위험집단으로 관리하여 우연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피보험자의 경제적 손실을 전보해주는 제도이다. 이러한 사고에 제3자의 책임있는 사유가 개입하는 경우에 피보험자는 보험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청구권과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갖게 된다. 피보험자가 양자를 모두 행사하는 경우에 피보험자는 사고 발생전보다 오히려 이득을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보험의 도박화 우려를 낳는다. 한편, 만약 피보험자가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포기한다면 사고발생에 책임이 있는 제3자를 면책시키는 결과가 된다. 이는 모두 공평타당한 손해의 분담이라는 법적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 되어 법은 보험자의 보험금액 지급 시 피보험자의 제3자에 대한 청구권을 대위하여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제3자에 대한 보험자대위 청구권은 피보험자의 이중이득방지, 보험의 도박화 방지, 제3자의 면책 방지 등을 그 이론적 근거로 하고 있으며, 법적 성질은 민법상 배상자대위와 같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제3자에 대한 보험자대위의 요건은 제3자의 행위로 인한 보험사고의 발생과 보험자의 보험금지급이 있으면 충족된다. 제3자에 대한 보험자대위의 효과는 피보험자의 제3자에 대한 권리의 이전이다. 그런데 보험금이 일부지급된 경우와 일부보험의 경우에 대한 제한이 있다. 보험금이 일부지급된 경우에는 보험자는 피보험자의 권리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일부보험의 경우에는 규정이 없어 견해가 나뉘고 있으나 피보험자의 보호를 위하여 역시 피보험자의 권리를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보험자가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보험금액이 전부 지급 되었으나 여전히 피보험자에게 손해가 남아있는 경우에 학설은 대체로 피보험자의 권리를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보험자가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판례는 그 동안 피보험자의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는 데 있어서 지급받은 보험금을 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그 범위에서 보험자의 대위를 인정하는 입장이었다. 이에 대하여 최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피보험자의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는 데 있어서 과실상계 등에 의하여 제한된 그의 손해배상책임액에서 보험금을 공제하는 것은 피보험자가 손해보험금을 지급받은 경우의 손해배상청구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것이라고 판시하여, 결과적으로 보험금 전부를 지급받고도 손해가 남는 경우에 있어서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시 피보험자의 권리를 우선시하였다. 위 전원합의체 판결은 보험자는 보험료를 산정함에 있어서 당연히 이러한 위험을 계산한 것이라는 점과 피보험자는 우연한 사고에 대비하여 보험료를 지급하고 보험제도를 이용한다는 점, 위의 결론에 의하더라도 피보험자의 이중이득방지, 보험의 도박화 방지, 제3자의 면책 방지 등 보험자대위의 근거는 전혀 훼손되지 않는다는 점 등에 비추어 아주 타당한 판결이라고 할 것이다. Insurance is to protect an insured who pays premium to an insurer who manages a pool which consists of insureds with the same risks. Subrogation is the right of the insurer to be put in the position of the insured in order to pursue recovery from third parties legally resposible to the insured for a loss paid by the insurer. It is to prohibit the insured from getting interest more than whole loss, to prohibit insurance from being a game of chance, and to prohibit the third party from being indemnified, Subrogation requires an insured accident, a third party`s liability, and sum insured paid. The insurer has a right to substitute the insured`s right to the third party for the loss. Korean Commercial Act restricts the insurer`s right to the amount of what it pays to the insured where it pays less than the sum insured. It, however, keeps silence how to allocate the loss if there is under insurance. There are three opinions how to handle it, i.e. first priority to the insured, first priority to the insurer, recovery prorated between the insured and the insurer. It also keeps silence how to allocate the loss where the insured does not recover his/her whole loss even though he/she is paid the sum insured,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party`s insolvency or comparative negligence. It is possible to share the burden like the case of under insurance above. The author support the opinion which gives priority to the insured. Where either the insurer or the insured must to some extent go unpaid, the loss should be borne by the insurer for that is a risk the insured has paid it to assume. The insurer would still have had to bear the loss up to the full amount of the insurance policy because the accident is already considered when the insurer calculate the premium. The insured is sill entitled only to be made whole, not more than whole because he/she is allowed to reimburse to the extent of his/her loss. Recently, an en banc hearing of the Korean Supreme Court held the insured had a right to reimburse to the extent of his/her loss to made whole, which changed its position. The author support the decision which is quite appropriate to make equal between the insured, insurer, and the third party.

      • KCI등재

        새송이 버섯과 그 부산물의 항산화성

        조현소(Hyun-So Cho),이현지(Hyun-Ji Lee),이수정(Soo-Jung Lee),신정혜(Jung-Hye Shin),이현욱(Hyun-Uk Lee),성낙주(Nak-Ju Su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0

        새송이 버섯과 그 부산물인 버섯파치, 균체파치 및 버섯파치 발효액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화학적인 특성,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비교하였다. 수분은 발효액에서 89.37±0.42%로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새송이 버섯에서 1.72%로 가장 높았다. 조섬유는 균체파치를 제외한 시료에서 10% 미만이었다. 무기질은 발효액에서 3,696.1 ㎎/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의 함량은 새송이 버섯에서 989.59 ㎎/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버섯파치 발효액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발효액의 메탄올 및 물추출물(10 ㎎/㎖)에서 각각 64.07±0.23, 76.27±1.46%이었다. 환원력은 발효액이 새송이 버섯 및 파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10 ㎎/㎖의 발효액 첨가 시 물추출물에서 2.22±0.03으로 가장 높았다. SOD 유사활성은 발효액의 경우 2.5 ㎎/㎖ 첨가 시 50% 이상의 활성이 있었다. 메탄올 및 물추출물에서 10 ㎎/㎖ 첨가 농도에서 균체 파치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50%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균체파치 메탄올추출물의 1~5 ㎎/㎖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2.5의 반응 조건에서 pH 4.0보다 우수하였으며, 메탄올추출물에서는 42.93±1.71~72.97±2.18%, 물추출물에서는 57.66±1.80~81.07±0.81%로 모든 시료에서 물추출물이 메탄올추출물보다 높았다. 따라서 새송이 버섯파치를 이용한 발효액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이나 사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eryngii and its by-products. By-products of Pleurotus eryngii were classified with mushroom, fungal body and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Moisture was the highest in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and crude protein was 1.72%, in mushroom. Crude fiber content was less than 10% except the fungal body by-product. Mineral content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the fermented mushrooom with a value of 3,696.1 ㎎/100 g, and potassium was a predominant mineral in Pleurotus eryngii as well as its by-products. Amin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mushroom with a level of 989.59 ㎎/100 g.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fermented mushroom was the highest, and its m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exhibited 64.07±0.23% and 76.27±1.46% of scavenging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10 ㎎/㎖. Reducing pow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rmented mushroom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mushroom, mushroom by-product, and fungal body by-product. The reducing power of the water extract of fermented mushroom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2.22±0.03. SOD-like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samples except the fungal body by-product were higher than 50% at a concentration of 10 ㎎/㎖.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the individual samples except the fungal body by-product were over 50%. Nitrite scavenging effects were better in pH 2.5 than in pH 4.0. While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were 42.93±1.71~72.97±2.18%, those of the water extracts were 57.66±1.80~81.07±0.81%.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fermented mushroom appeared to be the highest among the mushroom by-produc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an insight into utilization of the mushroom by-products as materials for functional foods and animal feed.

      • KCI등재

        오미자의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성분과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추출조건의 최적화

        조현대 ( Hyun Dae Cho ),정지연 ( Jiyeon Jeong ),류화선 ( Hwa Sun Ryu ),이정노 ( Jungno Lee ),박성민 ( Sung-min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2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열매로부터 모유두세포 증식에 활성을 나타내는 gomisin N을 정제하고 gomisin N의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인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하여 모유두세포증식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n-hexane 분획물 1 μg/mL 처리군에서 약 29%의 증식 활성을 나타내었다. n-Hexane 분획물의 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진행하였으며 2 개의 화합물 gomisin N (1)과 schizandrin (2)를 분리 동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실험 결과, gomisin N에서 최대 20%이상의 증식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오미자 열매로부터 최대치의 gomisin N을 얻을 수 있는 최적추출조건을 반응표면분석(RSM)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최적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에탄올의 비율, 추출시간, 추출온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실험한 결과, 0.95 이상의 결정계수와 0.05 이하의 p-value를 나타내어 모델의 적합성이 확인 되었다. Gomisin N의 최대함량을 위한 최적추출조건은 에탄올비율 83.8%, 추출온도 80 ℃, 추출시간 8.7 h으로 확인되었고, 최적추출조건에서 gomisin N의 함량은 378,300 ppm으로 예측되었다. 최적추출조건에 대한 실제 검증에서 평균 376,884 ppm으로 예측된 값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refined gomisin N, which represents activity in the prolifer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HFDPCs) from the fruit of Schisandra chinensis (S. chinensis), and have identifi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obtaining extracts with high content of gomisin N. The activity of the extracts and fractions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approximately 29% proliferation activity in the group treated with 1 μg/mL of n-hexane fraction. Column chromatography was used to assess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n-hexane fraction, and two compounds, namely gomisin N(1) and schisandrin(2),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When the HFDPCs proliferation activity was tested for the isolated compounds, gomisin N exhibited ≥ 20% proliferation activity. Thus,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to obtain the maximum level of gomisin N from the fruit of S. chinensis were determined, where ethanol proportion, extraction time, and extraction temperature were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reveal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0.95 and p-value ≤ 0.05, which confirmed the fit of the model.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to achieve the maximum content of gomisin N were as follows: ethanol proportion 83.8%, extraction temperature 80 ℃, and extraction time 8.7 h. The content of gomisin N using these conditions was predicted as 378,300 ppm, and a mean value close to the predicted value (376,884 ppm) was obtained while validating the aforementioned conditions.

      • 천재지변, 그 정치적 욕망과 노모스 -삼국시대 텍스트 읽기의 한 방식-

        조현설 ( Cho Hyun-soul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6 동방문학비교연구 Vol.6 No.-

        『삼국사기』에는 천재지변 기사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는 자연현상을 인문현상과 연결시켜 이해하려는 유기체적 우주론, 구체적으로는 음양오행적 사유의 산물이다. 그런데 이런 상징적 질서(노모스)가 고착되면 천재지변이라는 특이한 자연현상은 특정한 의미로 수렴된다. 여기에는 특정 사건을 하나의 의미로 계열화하려는 권력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다. 785년 신라 38대 원성왕의 즉위를 둘러싼 폭우와 알천 홍수 사건을 천명으로 해석한 『삼국사기』의 기사가 바로 그런 사례이다. 하지만 동일한 사건을 『삼국유사』는 다른 방식으로 의미화하고 있다. 점몽가에 의해 해석된 천명의 논리가 비점몽가에 의해 정확히 반대로 해석된다. 비점몽가는 천명을 상대화함으로써 욕망을 균질화하려는 왕권의 권위를 부정한다. 이 부정의 언어를 적실히 독해해 내는 것, 이것이 삼국시대 텍스트 읽기의 유력한 방식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There are numerous natural disasters article in Samguksagi(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It connects organismic cosmology to understand natural phenomena and a social phenomena. Specifically, That is the product of Five-Elements school. But when this symbolic order(Nomos) is fixed, natural disasters are stuck in a specific meaning. In the Nomos, there is a logic of power making specific case to one meaning. For example, The King Wonsung`s story of AD 785 years is the case. That story was interpreted as Heaven`s will in Samguksagi. However, the same event was expressed in a different meaning in Samgukyusa. Heaven`s will interpreted by fortune-teller is interpreted the other way by non-fortune-teller. As a result, the authority of the throne is denied by `desiring-production` that non-fortune-teller is showing. I think this is a powerful way to read text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